KR102645274B1 - 마킹툴 - Google Patents

마킹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274B1
KR102645274B1 KR1020230135746A KR20230135746A KR102645274B1 KR 102645274 B1 KR102645274 B1 KR 102645274B1 KR 1020230135746 A KR1020230135746 A KR 1020230135746A KR 20230135746 A KR20230135746 A KR 20230135746A KR 102645274 B1 KR102645274 B1 KR 10264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jig
base
groov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환
Original Assignee
백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환 filed Critical 백성환
Priority to KR102023013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에 텍스트를 삽입하기 위한 마킹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가공 이후, 가공물의 외주면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마킹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은, 소정 길이가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전방부 상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반의 공구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 상측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홈이 형성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홈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가공물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마킹모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은, 선반 가공 공정 시, 선반 공구대를 통해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공정상에 자동 마킹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킹툴{Marking tool}
본 발명은 피가공물에 텍스트를 삽입하기 위한 마킹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가공 이후, 가공물의 외주면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마킹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삭 등 기계적 가공 공정 이후, 가공품의 표면에 로고, 제조일, 고유번호 등의 마킹을 실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가공면이 평평한 경우에는 기계적 압착 형태로 마킹을 용이하게 실시하였으나, 선삭 가공품 등과 같은 원형의 가공품은 일정한 압착면 형성이 어려울 수 있어 주로 레이저 마킹장치 등을 이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레이저 마킹 로봇’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481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481호 (2004.10.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반 가공 공정 시, 선반 공구대를 통해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자동 마킹이 실시될 수 있게 구성되는 마킹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은, 소정 길이가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전방부 상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반의 공구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 상측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홈이 형성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홈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가공물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마킹모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은, 선반 가공 공정 시, 선반 공구대를 통해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공정상에 자동 마킹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정면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좌측면도이다.
도 1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우측면도이다.
도 1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저면도이다.
도 1의 (e)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을 지그부가 분리된 형태를 저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지그부가 베이스부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지그부가 베이스부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저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지그부가 베이스부의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지그부가 베이스부의 후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저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지그부 및 마킹모듈부의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지그부 및 마킹모듈부의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c)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의 피가공물에 마킹부가 마킹을 실시하는 형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이 피가공물에 진입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가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전방부 상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베이스부(1), 상기 베이스부(1)의 후방부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반의 공구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2), 상기 베이스부(1)의 전방부 상측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홈이 형성되는 지그부(3), 상기 지그부(3)의 홈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가공물(P)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마킹모듈부(4)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1)는, 소정 길이가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전방부 상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부(1)는, 몸체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하기의 체결부(2)가 후측 하부에 연결되고, 하기의 지그부(3)가 전측 상부에 용이하게 연결 형성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의 길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의 길이는, 피가공물(P)의 직경 및 선반의 공구대 가동범위를 고려하며, 하기의 마킹부(41)가 용이하게 피가공물(P)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범위내에 형성될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의 전방부 상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높이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의 상단부에는 상부톱니부(11)가 더 마련된다.
상기 상부톱니부(1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하부톱니부(31)와 맞물리며, 하기의 지그부(3)가 상기 베이스부(1) 전방부 상측의 단차면에서, 전측 및 후측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 및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톱니부(11)는, 상기 베이스부(1)의 전방부 상측에 형성된 단차면에 랙기어 형태의 나사홈 및 나사산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1)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는 나사산 및 나사홈이 복수개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하기에 언급될 하부톱니부(31)는, 상기 상부톱니부(1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맞물려지는 나사산 및 나사홈의 길이방향으로 하기의 지그부(3)가 상기 베이스부(1)의 전방부 상측의 단차면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톱니부(11)에는 수직 관통하는 형태의 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직경제어홀부(12) 및 제 2 직경제어홀부(13)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는, 상기 베이스부(1)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수직 관통하는 홀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홀은 상기 베이스부(1)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직경제어홀부(13)는,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와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부(1)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수직 관통하는 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홀은 상기 베이스부(1)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와 측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 및 제 2 직경제어홀부(13)에는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부(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14)는,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 및 제 2 직경제어홀부(13)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하기의 지그부(3)의 최종 슬라이딩 위치를 제어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2)는, 상기 베이스부(1)의 후방부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반의 공구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2)는, 선반의 공구대에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부(1)의 후방부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그부(3)는, 상기 베이스부(1)의 전방부 상측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그부(3)는, 도 1, 도 3, 도 4에 도시되었다.
상기 지그부(3)는, 하기의 마킹모듈부(4)를 용이하게 수용 고정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1)에 연결되어, 피가공물(P) 직경 등을 고려하여 간격이 제어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지그부(3)는,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의 단차면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단부는 하기의 마킹모듈부(4)가 수용 고정될 수 있는 홈 형태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홈은 상기 지그부(3)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간격 형성되며, 상기 홈에는 하기의 마킹모듈부(4)가 선택적으로 수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그부(3)는, 하부톱니부(3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톱니부(31)는, 하단면에 랙기어 형태의 나사홈 및 나사산이 번갈아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상부톱니부(11)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톱니부(31)의 나사산 및 나사홈도 상기 베이스부(1) 기준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상부톱니부(11) 및 하부톱니부(31)의 나사산 및 나사홈이 서로 결합되며, 서로간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베이스부(1) 기준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상기 지그부(3)가 상기베이스부(1)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부(3)를 목표 지점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하기의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 및 제 2 직경제어수용부(33)를 통해, 최종 안착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 및 제 2 직경제어수용부(33)는 도 2에 도시되었다.
먼저, 상기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는, 상기 하부톱니부(31) 상에 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홈은 상기 볼트부(14)의 단부가 체결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직경제어수용부(33)는, 상기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톱니부(31) 상에 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홈은 상기 볼트부(14)의 단부가 체결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와 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 및 제 2 직경제어수용부(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기준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각각 편향되게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 및 제 2 직경제어수용부(33)가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편향되게 형성됨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형성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 및 제 2 직경제어홀부(13)와 함께 결합 시, 상기 지그부(3)의 슬라이딩 가동범위가 넓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피작업물의 직경이 클 때는, 도 3의 (a), (b)와 같이, 지그부(3)를 전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고, 그 가동범위의 제한은 상기 제 1 직경제어홀부(12) 및 제 1 직경제어수용부(32)의 볼트부(14) 체결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피작업물의 직경이 작을 때는, 도 3의 (c), (d)와 같이, 지그부(3)를 후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고, 그 가동범위의 제한은 상기 제 2 직경제어홀부(13) 및 제 2 직경제어수용부(33)의 볼트부(14) 체결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킹모듈부(4)는, 상기 지그부(3)의 홈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가공물(P)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마킹모듈부(4)는, 상기 지그부(3)의 홈에 안착 형성되며, 피가공물(P)의 표면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킹모듈부(4)는, 마킹부(41), 마킹수용부(42), 마킹고정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마킹부(4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후측단면에 마킹면이 마련된다.
상기 마킹부(41)는, 마킹을 실시하고자 하는 도안 및 텍스트가 양각되어진 마킹면이 상기 베이스부(1) 기준으로 후측부의 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마킹부(4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하기의 마킹수용부(42)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마킹부(41)는, 선택적으로 교체가 용이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마킹부(41)의 몸체 일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기의 마킹수용부(42) 내부에 수용된 상기 마킹부(41)를 핀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b2)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킹수용부(42)는, 상기 마킹부(41)의 전방측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3)의 홈 일측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마킹수용부(42)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에서 후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개방된 후측면으로 상기 마킹부(41)가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마킹수용부(42)는, 상기 마킹부(41)의 전방단부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킹수용부(42)는 상기 지그부(3)의 홈의 일측에 밀착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마킹수용부(42)는 상기 지그부(3)의 측면으로부터 관통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되는 핀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b3)을 통해 상기 지그부(3)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킹고정부(43)는, 상기 지그부(3) 홈 타측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마킹수용부(42)와 마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지그부(3)의 홈내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마킹고정부(43)는, 상기 마킹수용부(42)를 상기 지그부(3)의 홈 내부에 강하게 끼움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마킹고정부(43)는, 상기 마킹수용부(4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킹부(41), 마킹수용부(42), 마킹고정부(43)가 별도로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마킹부(4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마킹 시, 강한 기계적 압착이 가해져야 하므로 안정적인 고정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마킹수용부(4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킹고정부(43) 및 마킹수용부(42)의 마찰면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킹수용부(42)의 일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되되, 하방을 향할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증가하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마킹고정부(43)의 일측면은 하방을 향할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마킹수용부(42)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일측면과 상기 마킹고정부(43)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일측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믄 면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마킹수용부(42)가 상기 지그부(3)의 홈에 내삽된 이후, 상기 마킹고정부(43)의 경사면을 상기 마킹수용부(42)의 경사면에 대응될 수 있게 끼움 결합시킨 후, 상기 마킹수용부(42)를 수직 방향으로 핀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b1)을 통해 고정시킴으로 상기 마킹수용부(4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피가공물
1 : 베이스부
11 : 상부톱니부
12 : 제 1 직경제어홀부
13 : 제 2 직경제어홀부
14 : 볼트부
2 : 체결부
3 : 지그부
31 : 하부톱니부
32 : 제 1 직경제어수용부
33 : 제 2 직경제어수용부
4 : 마킹모듈부
41 : 마킹부
42 : 마킹수용부
43 : 마킹고정부

Claims (5)

  1. 소정 길이가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전방부 상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부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반의 공구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부 상측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홈이 형성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홈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피가공물에 마킹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되는 마킹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모듈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후측단면에 마킹면이 마련되는 마킹부;
    상기 마킹부의 전방측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의 홈 일측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마킹수용부;
    상기 지그부 홈 타측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마킹수용부와 마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지그부의 홈내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마킹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용부의 일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되되, 하방을 향할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증가하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마킹고정부의 일측면은 하방을 향할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마킹수용부가 상기 지그부의 홈에 내삽된 이후, 상기 마킹고정부의 경사면을 상기 마킹수용부의 경사면에 대응될 수 있게 끼움 결합시킨 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전방부 상측에 형성된 단차면에 랙기어 형태의 나사홈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는 상부톱니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상부톱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는 나사산이 복수개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하단면에 랙기어 형태의 나사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톱니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하부톱니부는,
    상기 상부톱니부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산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툴.

KR1020230135746A 2023-10-12 2023-10-12 마킹툴 KR10264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746A KR102645274B1 (ko) 2023-10-12 2023-10-12 마킹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746A KR102645274B1 (ko) 2023-10-12 2023-10-12 마킹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274B1 true KR102645274B1 (ko) 2024-03-07

Family

ID=9027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746A KR102645274B1 (ko) 2023-10-12 2023-10-12 마킹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2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81Y1 (ko) 2004-08-02 2004-10-25 지성우 레이저 마킹 로봇
KR20130122491A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조인탑 마킹 기능을 갖는 파이프 절단 장치
KR101414891B1 (ko) * 2013-05-08 2014-07-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킹장치 및 마킹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481Y1 (ko) 2004-08-02 2004-10-25 지성우 레이저 마킹 로봇
KR20130122491A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조인탑 마킹 기능을 갖는 파이프 절단 장치
KR101414891B1 (ko) * 2013-05-08 2014-07-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킹장치 및 마킹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074B1 (ko) 다운 파워 바이스
JP4445236B2 (ja) 孔あけ装置及びその孔あけ方法
ES2511240T3 (es) Carril de guía para puertas correderas o puertas correderas plegables
KR102645274B1 (ko) 마킹툴
US9441662B2 (en) Joint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0204109U1 (de) Anschlussaufnahme
CN218396859U (zh) 打螺钉装置
CN105936015A (zh) 一种金器加工夹具
US3106117A (en) Device for mounting insert guide-rails notably in machine tools
DE102018132253B4 (de) Werkstück-Haltespannvorrichtung
KR200419407Y1 (ko) 다운 파워 바이스
CN108856811B (zh) 一种制动盘打孔的辅助工装及采用该工装对制动盘打孔并安装热电偶的方法
JP2001211944A (ja) 移動棚等におけるレール及びレールの固定構造
CN206966660U (zh) 高速车削圆锥螺纹的自动退刀装置
CN219542369U (zh) 一种机床用工装夹具
CN215035511U (zh) 定位夹紧机构以及定位夹具
JPH06630U (ja) 複列バイス
JPH1057170A (ja) 書棚の棚板取付装置
US6079342A (en) Needle support for sewing machine
CN217769387U (zh) 一种带可调节紧固结构的嵌入式桌面线盒
CN210231725U (zh) 一种新型圆锯机送料台
GB2192822A (en) Securing device for installing tools on a press
RU21175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ма заготовок
KR200253359Y1 (ko) 가구의 서랍식 케이지의 취부구조
CN213455286U (zh) 一种用于检测踏板齿形直线度的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