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44B1 -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44B1
KR102644444B1 KR1020230065628A KR20230065628A KR102644444B1 KR 102644444 B1 KR102644444 B1 KR 102644444B1 KR 1020230065628 A KR1020230065628 A KR 1020230065628A KR 20230065628 A KR20230065628 A KR 20230065628A KR 102644444 B1 KR102644444 B1 KR 10264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in body
under
induction ran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피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월드 filed Critical (주)피스월드
Priority to KR102023006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1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접착면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상기 제1접착면부와 단차를 갖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접착면부와 평행한 제2접착면부가 형성되어 제2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접착돌기;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언더 인덕션 렌지가 거치되어 피고정대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BRACKET UNIT FOR UNDER INDUCTION RANGE AND UPPER PLATE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언더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의 하면에 언더 인덕션 렌지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조리를 위한 가열 장치로서, 전자 렌지, 가스 렌지, 오븐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실내 공기의 오염, 실내 온도의 상승 문제 등의 이유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인덕션 렌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채택한 가열 조리 기구로서, 높은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인덕션 렌지는 산소의 소모가 없고, 폐가스의 배출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는 테이블 상판을 통해 그 상면이 노출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반해, 언더 인덕션 렌지는 상판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인덕션 렌지를 의미한다. 언더 인덕션 렌지는 상판의 하면에 그 상부가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 언더 인덕션 렌지의 설치 기술은 나무 재질의 상판에 고정 프레임과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숙련공에 의한 작업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언더 인덕션 렌지가 설치되는 상판은 그 특성상 나무 뿐만 아니라, 대리석, 세라믹, 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상판이 대리석 등 재질인 경우, 종래 기술이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숙련공에 의한 기존의 설치 방식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고비용 구조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상의 불편은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보편적 확대 보급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5624호 (2018.01.26)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 고정프레임(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4226호 (2019.06.24) PCB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조리기기(Cooking equipment with PCB fixing brack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블 상판의 하면에 언더 인덕션 렌지를 간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판의 재질이나 작업자의 숙련도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간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 가능한 브라켓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설치 안정성과 품질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라켓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 작업 이후, 사용자 실수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의 이탈과 그로 인한 손상 등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설치 작업 이후에도, 언더 인덕션 렌지를 간이하고 신속하게 탈거하고자 한다.
또한, 테이블 상판에 언더 인덕션 렌지를 간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1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접착면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상기 제1접착면부와 단차를 갖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접착면부와 평행한 제2접착면부가 형성되어 제2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접착돌기;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언더 인덕션 렌지가 거치되어 피고정대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제1접착제가 가압에 의해 스프레드될 때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피고정대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침투방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착제는 제2접착제보다 경화 시간이 더 길게 소요되며, 제1접착제가 경화되면 제1접착제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접착력을 계속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방지벽 및 상기 제2접착돌기의 각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접착돌기와 연직 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본체가 미리 설정되는 체결부재만으로 피고정대상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 구조의 나사공을 갖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착돌기는 상기 제2접착돌기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고정대상에 대한 상기 본체의 하중 지지력을 더 향상시키는 확장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상판; 상기 상판의 하면 중 어느 일 대각선 방향으로 한 쌍이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8항의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을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상판 어셈블리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테이블 상판의 하면에 언더 인덕션 렌지를 간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판의 재질이나 작업자의 숙련도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간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안정성과 품질 신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 작업 이후, 사용자 실수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의 이탈과 그로 인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작업 이후에도, 언더 인덕션 렌지를 간이하고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유닛 중 본체가 구비된 상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본체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본체에 제1접착제 및 제2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유닛 중 커버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유닛 중 본체가 구비된 상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상판(D) 중 특히 그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판(D)은 언더 인덕션 렌지(I)가 설치되는 피고정대상을 의미한다. 상판(D)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식탁 등의 상판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판(D)은 조리 가능하다면 싱크대 등의 상판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판(D)은 나무 뿐만 아니라, 대리석, 유리 등 비자성체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D)은 그 상면과 하면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며, 미리 설정되는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상판(D)은 그 재질에 따라 두께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인덕션 렌지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피가열용기 자체에 열을 유도시키는 간접적 방식으로 피가열용기 내의 음식물 등을 가열하는 조리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는 상판(D)을 통해 그 상면이 노출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반해, 언더 인덕션 렌지(I)는 상판(D)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덕션 렌지를 의미한다. 그 결과, 언더 인덕션 렌지(I)는 원형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상판(D)을 통과하여 상판(D)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가열용기를 가열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I)는 그 상면이 상판(피고정대상)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고정 설치되거나, 상판(피고정대상)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상판(D)의 하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0)에는 제1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판(D)이 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100)가 체결부재(나사 등)에 의해 상판(D)에 쉽게 조립 고정될 수 있는 경우 사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에는 제1접착면부(110) 및 제2접착돌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판(D)이 대리석,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100)가 체결부재(나사 등)에 의해 상판(D)에 조립 고정될 수 없는 경우 다른 결합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상판(D)의 재질과 상관없이 언더 인덕션 렌지(I)를 상판(D)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대각선 방향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제1접착제(a1) 및 제2접착제(a2)에 의해 상판(D)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본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본체에 제1접착제 및 제2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I)의 상부는 네 모서리가 모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등의 제조 방법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언더 인덕션 렌지(I)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언더 인덕션 렌지(I)는 상판(피고정대상)의 어느 일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언더 인덕션 렌지(I)의 상부 어느 일 모서리 및 이에 인접하는 면이 각각 접촉되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내측면은 언더 인덕션 렌지(I)의 상부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내측면은 언덕 인덕션 렌지의 상부 외측면과 밀착 결합되는 세로내측면(101)과 세로내측면(101)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언더 인덕션 렌지(I)의 상부 외측면과 밀착 결합되는 가로내측면(10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내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면(10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본체(100)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1접착제(a1)가 도포되는 제1접착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런 본체(100)의 하면은 단차가 없는 평탄면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착면부(110)는 본체(100)의 하면과 일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접착면부(110)는 본체(100)의 하면 중 일부일 수 있다. 이때, 제1접착제(a1)는 제1접착면부(110) 중 복수 개의 개소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접착제(a1)는 도포 이후 12 시간 내지 36시간 이내에 경화되어,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강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즉, 제1접착제(a1)는 후술할 제2접착제(a2)보다 경화 시간이 더 길게 소요된다. 제1접착제(a1)는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일 수 있다. 실리콘 접착제는 그 재질 특성상 경화되면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본체(100)의 하면에 제1접착면부(110)와 단차를 갖도록 돌출되며, 제1접착면부(110)와 평행한 제2접착면부(122)가 형성되어 제2접착제(a2)가 도포되는 제2접착돌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접착면부(122)는 제2접착돌기(120)의 상면일 수 있다.
제2접착돌기(120)는 본체(10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접착면부(122)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접착돌기(120)는 본체(100)의 하면에서 연직 하방 즉, 본체(10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접착돌기(120)는 본체(10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접착제(a2)는 제2접착면부(122)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제2접착돌기(120)는 위치에 따라 형상에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접착제(a2)는 도포 이후 5분 내지 20분 이내에 경화되어, 빠른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제일 수 있다. 이런 제2접착제(a2)는 예를 들어, 에폭시 접착제일 수 있다. 에폭시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가 미리 설정되는 혼합 비율로 혼합된 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제1접착제(a1) 및 제2접착제(a2)가 제공하는 서로 다른 특성의 접착력을 통해 상판(D)에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속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착제(a1)의 도포량이 제2접착제(a2)보다 더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외부 충격이 본체(100) 등에 직접 가해지거나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본체(100)는 제1접착제(a1)로 인해 상판(D)의 하면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접착돌기(120)는 제2접착돌기(120)에서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고정대상에 대한 본체(100)의 하중 지지력을 더 향상시키는 확장돌기(12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장돌기(120a)는 제2접착면부(122)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며, 제2접착제(a2)가 도포될 수 있는 확장접착면부(122a)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제2접착제(a2)는 확장접착면부(122a)의 전부 또는 일부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접착면부(122)에 도포된 제2접착제(a2)는 가압에 의해 스프레드되어 확장접착면부(122a)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그 결과, 확장접착면부(122a)는 제2접착제(a2)에 의한 접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하면에는, 제1접착제(a1)가 가압에 의해 스프레드될 때, 본체(100)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피고정대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침투방지벽(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침투방지벽(140)은 일정 폭을 갖고 상방으로 돌출되되, 본체(100)의 하면 중 특히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가 상판(D)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접착제(a1)는 상판(D)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침투방지벽(140)은 제1접착면부(110)에 도포된 제1접착제(a1)가 가압될 때, 제1접착제(a1)가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00)의 하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는 상판(D)에 언더 인덕션 렌지(I)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1접착제(a1)가 언더 인덕션 렌지(I)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침투방지벽(140) 및 제2접착돌기(120)의 각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0)가 상판(D)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는, 상판(D)에 대한 본체(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침투방지벽(140), 제2접착돌기(120) 및 확장돌기(120a)의 각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상면에는 제2접착돌기(120)와 연직 방향으로 연통되어 본체(100)가 미리 설정되는 체결부재만으로 피고정대상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30)는 본체(1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체결부(130)는 체결홈(132), 체결공(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32)은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수용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체결공(134)은 제2접착면부(122)와 연통되며, 체결부재의 나사산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일 수 있다. 그 결과, 본체(100)는 전술한 제1접착제(a1) 및 제2접착제(a2)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피고정대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상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 구조의 나사공(152)을 갖는 제2체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150)는 제2접착면부(122)와 연통되는 수용홈(1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200)는 볼트(b)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수용홈(154)은 커버부(2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킬 때, 나사공(152)을 통해 통과하는 체결부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용홈(154)은 제2접착제(a2)가 가압에 의해 스프레드될 때,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일부 이동되는 제2접착제(a2)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부(130)와 제2체결부(150)는 서로 교대하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체결부(130) 및 제2체결부(150)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의 상면에는 제1체결부(130) 및 제2체결부(150)와 동일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커버부(200)의 하면과 면 접촉 결합되는 접촉리브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리브부(180)는 본체(100)와 커버부(20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의 상면에는 본체(100)의 상면 중 그 테두리 일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높이로 돌출되는 테두리리브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리브부(170)는 본체(10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의 상면에서 미리 설정되는 높이로 돌출되며, 제1체결부(130)와 제2체결부(150) 사이를 연결하는 내측리브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리브부(160)는 제1체결부(130) 및 제2체결부(15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유닛 중 커버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I) 설치용 브라켓 유닛은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언더 인덕션 렌지(I)가 거치되어 피고정대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커버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커버플레이트(210), 연결플레이트(230), 거치플레이트(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210)는 커버부(200)가 본체(100)와 결합될 때, 본체(10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에 해당된다. 이때, 커버플레이트(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12)이 이격 형성되어 있다. 거치플레이트(220)는 커버플레이트(210)와 단차를 형성하며, 언더 인덕션 렌지(I)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제공한다. 연결플레이트(230)는 커버플레이트(210)와 거치플레이트(220) 사이를 연결한다.
본체(100)에 커버부(200)를 결합하기 위해, 먼저 관통공(212)과 나사공(152)이 연직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본체(100)의 상면에 커버부(200)를 배치한다. 그 다음, 볼트(b)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볼트(b)가 관통공(212) 및 나사공(152)을 통과하여 본체(100)에 조임 체결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언더 인덕션 렌지(I)는 그 상면이 상판(D)의 하면과 서로 대향하면서 밀착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이 한 쌍의 브라켓 본체(100)가 어느 일 대각선 방향에 결합되어 있는 상판(D) 어셈블리를 준비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상판(D)의 하면에 언더 인덕션 렌지(I)를 정렬시킨다. 이때, 상판(D)의 하면과 언더 인덕션 렌지(I)의 상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커버부(200)를 사용하여 언더 인덕션 렌지(I)를 거치시킨다. 이때, 커버부(200)의 일측에는 언더 인덕션 렌지(I)가 거치되도록 하고, 타측은 볼트(b)를 사용하여 커버플레이트(210)가 본체(100)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그 결과, 언더 인덕션 렌지(I)는 간이하고 신속하게 상판(D)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I) 설치용 상판 어셈블리는 상판(D) 및 브라켓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판(D)은 피고정대상에 해당되며, 이미 상술하였는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유닛은 언더 인덕션 렌지(I) 설치용으로 이미 상술하였는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 유닛은 상판(D)의 하면 중 어느 일 대각선 방향으로 한 쌍 즉, 2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라켓 유닛은 상판(D)의 하면 중 서로 교차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총 4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본체
200: 커버부
110: 제1접착면부
120: 제2접착돌기
130: 제1체결부
140: 침투방지벽
150: 제2체결부
160: 내측리브부
170: 테두리리브부
180: 접촉리브부
101: 세로내측면
102: 가로내측면
106: 외측면
122: 제2접착면부
120a: 확장돌기
122a: 확장접착면부
132: 체결홈
134: 체결공
152: 나사공
154: 수용홈
210: 커버플레이트
220: 거치플레이트
230: 연결플레이트
212: 관통공
a1: 제1접착제
a2: 제2접착제
I: 언더 인덕션 렌지
D: 상판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1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접착면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상기 제1접착면부와 단차를 갖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1접착면부와 평행한 제2접착면부가 형성되어 제2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접착돌기;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언더 인덕션 렌지가 거치되어 피고정대상에 설치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접착돌기와 연직 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본체가 미리 설정되는 체결부재만으로 피고정대상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착돌기는 상기 제2접착돌기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고정대상에 대한 상기 본체의 하중 지지력을 더 향상시키는 확장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돌기는 상기 제2접착면부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동일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상기 커버부의 하면과 면 접촉 결합되는 접촉리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제1접착제가 가압에 의해 스프레드될 때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이탈되어 피고정대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침투방지벽이 형성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제1접착제는 제2접착제보다 경화 시간이 더 길게 소요되며,
    제1접착제가 경화되면, 제1접착제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접착력을 계속 제공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방지벽 및 상기 제2접착돌기의 각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 구조의 나사공을 갖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7. 삭제
  8. 상판;
    상기 상판의 하면 중 어느 일 대각선 방향으로 한 쌍이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을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상판 어셈블리.
KR1020230065628A 2023-05-22 2023-05-22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KR10264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628A KR102644444B1 (ko) 2023-05-22 2023-05-22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628A KR102644444B1 (ko) 2023-05-22 2023-05-22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444B1 true KR102644444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628A KR102644444B1 (ko) 2023-05-22 2023-05-22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57Y1 (ko) * 2015-08-04 2016-01-28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인덕션 히터 탈부착용 거치대
KR200485624Y1 (ko) * 2016-11-24 2018-02-01 (주)피스월드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
KR20180046573A (ko) * 2016-10-28 2018-05-09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KR102503680B1 (ko) * 2022-05-25 2023-02-23 고재호 전기레인지 지지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57Y1 (ko) * 2015-08-04 2016-01-28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인덕션 히터 탈부착용 거치대
KR20180046573A (ko) * 2016-10-28 2018-05-09 (주)쿠첸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KR200485624Y1 (ko) * 2016-11-24 2018-02-01 (주)피스월드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
KR102503680B1 (ko) * 2022-05-25 2023-02-23 고재호 전기레인지 지지용 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5624호 (2018.01.26)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 고정프레임(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4226호 (2019.06.24) PCB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조리기기(Cooking equipment with PCB fixing br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US8091489B2 (en) Connecting device for furniture
EP2816291A1 (en) Cooking appliance, especially domestic cooking appliance
KR102644444B1 (ko) 언더 인덕션 렌지 설치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상판 어셈블리
US20030009966A1 (en) Support panel for air handling unit
US6281480B1 (en) Installation strip for a cooktop
KR100595280B1 (ko) 전기 레인지의 인덕션 히터 어셈블리 결합구조
US20020159832A1 (en) Table construction
KR101675922B1 (ko)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US6313447B1 (en) Cook top positioning element for a heating device
KR20090109905A (ko) 온돌용 패널 어셈블리 구조
CN112469312B (zh) 家具组件
KR20190002389U (ko) 건식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101970310B1 (ko)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KR20180046573A (ko)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KR101139000B1 (ko) 적외선 난방기용 거치장치
AU2011234900B2 (en) Cooking arrangement
JP2015107805A (ja) 室外機運搬体および運搬用枠体
CN104456652B (zh) 电磁炉
KR200410719Y1 (ko) 패널 설치용 레일장치
KR20180046570A (ko) 전기 레인지의 상판 장착 구조체
KR20220072753A (ko) 호브 및 이러한 호브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200145688Y1 (ko) 실험용 테이블
KR102187890B1 (ko) 조리 장치
CN210177795U (zh) 一种新型蒸压加气混凝土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