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310B1 -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 Google Patents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310B1
KR101970310B1 KR1020170097835A KR20170097835A KR101970310B1 KR 101970310 B1 KR101970310 B1 KR 101970310B1 KR 1020170097835 A KR1020170097835 A KR 1020170097835A KR 20170097835 A KR20170097835 A KR 20170097835A KR 101970310 B1 KR101970310 B1 KR 10197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inishing plate
plate
floor pane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351A (ko
Inventor
신성한
Original Assignee
신성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한 filed Critical 신성한
Priority to KR102017009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패널의 열 팽창 또는 열 수축에 의해 바닥패널이 들뜨거나 바닥패널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하절기 바닥패널의 열 팽창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때, 바닥패널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지지바의 길이방향 측으로 바닥패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절기 바닥패널의 열 수축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 때, 바닥패널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바닥패널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Floor panel and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패널의 열 팽창 또는 열 수축에 의해 바닥패널이 들뜨거나 바닥패널들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패널은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장 등의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이나 진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석재, 목재, 합성목재 등의 여러 소재를 채용하고 있다.
기존 바닥 패널로 주로 사용되는 판형의 패널은 주로 여러 장의 합판을 압축한 소재를 적용하고 있고, 실내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기존 바닥 패널을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양측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홈과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일 측 바닥 패널의 홈에 타 측 바닥 패널의 돌기를 끼워 서로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바닥 패널은 서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므로 일 측 바닥패널에 대해 타 측 패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어렵고, 수평방향으로의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종래 바닥 패널의 결합구조로서, 바닥패널의 테두리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고, 돌기와 홈의 결합부위에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를 결합시키는 구조가 있다.
이는, 수평방향으로의 결합시 돌기 측의 바닥 패널을 경사진 방향으로 세워서 수평방향으로 놓인 다른 바닥 패널의 홈에 진입시키면, 돌기의 경사면이 홈의 경사면을 따라 진입되면서 결합되고, 경사지게 세워진 바닥 패널을 수평방향으로 눕히면 돌기와 홈의 결합부위가 밀착되면서 록킹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닥 패널의 결합구조 또한 상호 간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경사면들 상호 간의 면 접촉 및 다른 부분들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지므로 바닥패널들 상호간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바닥패널의 열 팽창에 의한 들뜸 현상이 발생하거나 열 수축에 의한 바닥 패널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0842호 B1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1783호 B1 (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616호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절기 및 동절기에 바닥패널의 열 팽창 및 열 수축에 의한 바닥패널의 들뜸 현상 및 바닥패널들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 가장자리 주변의 일정 영역이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부가 마련된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인입홈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설치된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인입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감판에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 내주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에 제1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의 외측을 향하는 타 측에 제2패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을 구비한 바닥구조체는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장착부가 마련된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고, 바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바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이 구비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닥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패널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 가장자리 주변의 일정 영역이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부가 마련된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인입홈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설치된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인입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감판에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 내주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에 제1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의 외측을 향하는 타 측에 제2패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하절기 바닥패널의 열 팽창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때, 바닥패널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지지바의 길이방향 측으로 바닥패널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절기 바닥패널의 열 수축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 때, 바닥패널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바닥패널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패널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닥구조체의 지지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닥구조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 및 바닥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 및 바닥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바닥패널(1)과, 지지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패널(1)은 마감판(10)과, 프레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장자리 주변의 일정 영역에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인입홈부(11)가 마련된다. 상기 인입홈부(11)는 마감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 인입홈부(11)에 의해 마감판(10)은 상부 면적이 하부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판(10)의 인입홈부(11)에 설치되고,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체(100)의 고정클립(175)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마감판(10)의 인입홈부(11)에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게 4개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며, 일 측 프레임부(20)의 단부가 인접하는 타 측 프레임부(20)의 단부와 접촉되게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각각 삽입부(30)와, 결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30)는 인입홈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마감판(10)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40)는 삽입부(30)로부터 마감판(10)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마감판(10)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 내주면에는 걸림돌기(41)가 형성되며, 고정클립(175)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의 내측과 외측 방향에 각각 대응되는 삽입부(30)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결합부(4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40) 사이의 공간(S)에는 프레임부(2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부재(미도시)를 억지 끼움방식으로 삽입하여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일 측의 프레임부(20) 단부와 타 측 프레임부(20) 단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0)는 결합부(4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마감판(10)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부(40)가 마감판(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결합부(4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미도시)는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프레임부(20)는 바닥패널(10)의 내측과 외측 방향에 각각 대응되는 삽입부(30)의 폭 방향 양측 중에서 마감판(10)의 외측에 대응되는 일 측에서만 연장된 하나의 결합부(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판(10)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에 마감판(10)과 프레임부(2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제1패킹(31a)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1패킹홈(31)이 형성되고, 마감판(10)의 외측을 향하는 타 측에는 바닥패널(10)들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제2패킹(32a)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2패킹홈(32)이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패킹홈(31) 및 제2패킹홈(32)에는 밀봉을 위한 패킹부재 대신에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체(100)는 바닥패널(1)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판(110)과, 지지로드(120)와, 제1플랜지(130)와, 스토퍼(140)와, 제2플랜지(150)와, 지지바(160)와,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로드(120)는 바닥판(110)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로드는 후술하는 제1플랜지 및 제플랜지로부터 하방의 바닥판 또는 바닥으로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하단에 고장력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장력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은 하단이 바닥판에 고정되고 상단은 지지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로드에서 바닥판으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한다.
상기 제1플랜지(130)는 지지로드(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로드(120)에 나사 결합되고, 바닥판(110)과 대응되게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40)는 제1플랜지(130)의 하방에서 지지로드(120)에 나사 결합되어, 제1플랜지(130)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140)는 지지로드(120)에 나사 결합되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 측이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2플랜지(150)는 제1플랜지(130)의 상부를 일부분 감싸도록 제1플랜지(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장착부(151)가 마련된다. 상기 제2플랜지(150)의 하부에는 제1플랜지(13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제1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플랜지(150)의 상부에는 제2플랜지(15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장착부(151)가 상면 중앙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장착부(151)에는 제2플랜지(150)부 및 장착부(15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2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6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60)는 제2플랜지(150)의 장착부(151)에 마련된 제2삽입홈에 삽입 장착되고, 바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인접하는 타 측 지지체(100)의 제2플랜지(150)에 일부가 장착 및 지지된다.
상기 파지부는 지지바(16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바(16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1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71)과, 상기 브라켓(171)에 결합되고 바닥패널(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175)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71)은 고정클립(175)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바(160)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판(172)과, 상기 고정판(172)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바(16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73)의 폭은 지지바(16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결합리브(173)의 단부에는 지지바(160)의 하단에 걸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리브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175)은 브라켓(171)의 고정판(172)에 고정되는 베이스(176)와, 베이스(176)에 일 측에 결합되고 타 측은 바닥패널(1)의 프레임부(2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클립(1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도 1 내지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1)을 지지하는 지지체(100)가, 바닥판(110)과, 지지로드(120)와, 제1플랜지(130)와, 스토퍼(140)와, 제2플랜지(150)와, 지지바(160)와,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과, 지지로드(120)와, 제1플랜지(130)와, 스토퍼(140)와, 제2플랜지(150)와, 지지바(160)를 생략하고, 파지부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의 고정판(172)은 바닥을 따라 길게 연장 및 고정피스를 통해 부분적으로 바닥에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며, 고정클립(175)은 고정판(17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판(17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하절기 바닥패널(1)의 열 팽창에 의해 길이가 늘어날 때, 바닥패널(1)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지지바(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지지바(160)의 길이방향 측으로 바닥패널(1)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절기 바닥패널(1)의 열 수축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 때, 바닥패널(1)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지지바(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바닥패널(1)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바닥패널
10 : 마감판
11 : 인입홈부
20 : 프레임부
30 : 삽입부
40 : 결합부
100 : 지지체
110 : 바닥판
120 : 지지로드
130 : 제1플랜지
140 : 스토퍼
150 : 제2플랜지
160 : 지지바

Claims (9)

  1.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 가장자리 주변의 일정 영역이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부가 마련된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인입홈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설치된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인입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감판에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 내주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에 제1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의 외측을 향하는 타 측에 제2패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5. 바닥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로드에 나사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장착부가 마련된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고, 바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바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이 구비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닥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패널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면 가장자리 주변의 일정 영역이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홈부가 마련된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인입홈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설치된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인입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감판에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 내주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클립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마감판의 내측을 향하는 일 측에 제1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의 외측을 향하는 타 측에 제2패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마감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체.
KR1020170097835A 2017-08-01 2017-08-01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KR10197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35A KR101970310B1 (ko) 2017-08-01 2017-08-01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35A KR101970310B1 (ko) 2017-08-01 2017-08-01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51A KR20190013351A (ko) 2019-02-11
KR101970310B1 true KR101970310B1 (ko) 2019-04-18

Family

ID=6537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35A KR101970310B1 (ko) 2017-08-01 2017-08-01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6147A (zh) * 2021-12-31 2022-04-26 浙江华汇装饰工程股份有限公司 槽条插入式木地板结构及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42B1 (ko) 2006-06-13 2007-01-17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바닥패널
KR100691783B1 (ko) 2006-11-15 2007-03-1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바닥패널
KR101298395B1 (ko) * 2010-01-06 2013-08-20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 시스템
KR101279616B1 (ko) 2012-09-12 2013-06-27 주식회사 안성테크 하부공조 밀폐형 바닥패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51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KR101947754B1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US20200048894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BG64183B1 (bg) Механично свързване на панели
KR200482159Y1 (ko) 조립식 가구
KR102168421B1 (ko) 데크 플레이트 조립용 탄성 조립체
KR101970310B1 (ko) 바닥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바닥구조체
KR100674210B1 (ko) 바닥마감용 개량 마루판재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2375574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2420414B1 (ko) 커튼월 지지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49B1 (ko) 바닥재용 고정구
KR20150072871A (ko) 패널 연결시스템
KR100696418B1 (ko) 조립식 패널 코너핀
JP5419185B2 (ja)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20190129714A (ko) 바닥구조
KR101711559B1 (ko) 칸막이 판넬 코너 연결용 고정 프레임
KR101738564B1 (ko) 금속 천장재 마감구
KR101838527B1 (ko) 외장패널 결합체
KR101200130B1 (ko) 걸레받이
KR100862668B1 (ko) 조립형 바닥재
KR101705774B1 (ko)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KR102304057B1 (ko) 외벽마감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