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497B1 -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497B1
KR102643497B1 KR1020230110280A KR20230110280A KR102643497B1 KR 102643497 B1 KR102643497 B1 KR 102643497B1 KR 1020230110280 A KR1020230110280 A KR 1020230110280A KR 20230110280 A KR20230110280 A KR 20230110280A KR 102643497 B1 KR102643497 B1 KR 10264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signal
risk index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호
Original Assignee
이엠시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시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엠시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수신기에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고, 화재 위험 지수를 기반으로 건물 내 화재 발생 위험을 감시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센서의 설치 위치 및 신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위험 지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건물 내 각 장소에 대해 유동인구의 수, 인명 피해 예상 정도를 고려한 하나 이상의 목표 지점을 설정하여 목표 지점을 우선순위화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해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Remote f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 수신기에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고, 화재 위험 지수를 기반으로 건물 내 화재 발생 위험을 감시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방 관제 시스템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존의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각종 소화설비를 실시간으로 통합상황실이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또한, 건물 내에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초기 단계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달하거나 건물 내의 거주자에게 사이렌 등이 울리도록 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소방 관제 시스템의 구성 중 하나인 소방수신기는 화재 신호 혹은 가스누설경보기로부터 가스 누설 신호 또는 그 외 신호를 직접 수신해서,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설 발생 또는 소화 설비의 작동 상태 등을 관리자에게 알림을 송신하는 장치로서 소방 관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의 소방수신기는 단순히 화재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고, 소방수신기에 부착된 화재감지기는 주변 환경 및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오동작이 많았다.
화재감지기의 오동작에 의해 소방차의 출동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소방시설에 대한 심각한 신뢰성의 저하가 우려되고, 이로 인해 실제 화재 시 거주자의 화재에 대한 대응 지연으로 인명 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종래의 소방 관제 시스템은 이러한 화재감지기의 오동작과 관련하여 빅데이터가 없고, 관리자가 실제 화재 발생 여부와 화재 정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관리자가 최초 발화 지점 등을 파악할 수 없어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원인과 책임을 분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64640호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2022.1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센서의 설치 위치 및 신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위험 지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건물 내 각 장소에 대해 유동인구의 수, 인명 피해 예상 정도를 고려한 하나 이상의 목표 지점을 설정하여 목표 지점을 우선순위화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해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소방수신기; 상기 소방수신기에 설치되며, 상기 소방수신기에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으며,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생성되는 식별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지수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신호가 저장되며, 상기 센서의 설치 위치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식별부,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 비정상 신호인지 여부 및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화재위험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할 때 상기 센서의 식별정보에 포함된 신호 정보가 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기준값을 부여하고, 비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기준값보다 높은 값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 서버는,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화재 위험 지수를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며, 화재 위험 지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이 송신될 때, 화재 위험 지수의 임계값을 초과한 비정상 신호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추적하며,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센서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영상감시장치를 매칭 영상감시장치로 지정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영상감시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상기 매칭 영상감시장치 지정 시, 복수의 상기 센서별로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영상감시장치에 대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건물 내 복수의 지점 중 화재를 감시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목표 지점이 설정되고, 상기 목표 지점은 유동 인구의 수, 화재 발생 시 예상 피해 정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화하여 최우선 목표 지점을 지정하되, 상기 센서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할 때, 각 센서의 설치된 위치 정보가 상기 최우선 목표 지점과 가까울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가 일정 기준 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의 식별정보 중, 설치 위치 정보를 추적하고,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센서 간 위치가 가까울수록 화재 위험 지수른 산출할 때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센서의 설치 위치 및 신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위험 지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각 장소에 대해 유동인구의 수, 인명 피해 예상 정도를 고려한 하나 이상의 목표 지점을 설정하여 목표 지점을 우선순위화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해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소방수신기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관제 서버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소방수신기(100), 관제 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며, 원격지에서 화재를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소방수신기(100)는 건물 내 하나 이상 설치되며, 건물 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S)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는다. 소방 수신기(100)에는 통신 모듈(110)이 설치되며, 통신 모듈(110)은 소방 수신기(100)에 수신된 신호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하며, 관리자 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하다.
관제 서버(200)는 소방 수신기(100)에 설치된 통신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신호를 분석하고, 신호의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신호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여 화재 위험 지수가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감시하며, 화재 위험 지수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관리자 단말기(300)에 알림을 송신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건물 내 관리자가 소유하는 단말기로 관제 서버(200)로부터 송신되는 알람 및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휴대 및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 내비게이션, 노트북과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네트워킹 컴포넌트(유선 또는 무선)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소방수신기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수신기(100)는 건물 내에 복수개 설치되며, 건물 내에 설치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S)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
소방수신기(100)에는 통신 모듈(110)이 설치되며, 통신 모듈(110)은 외부와 통신하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소방수신기(100)에 센서(S)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관제 서버(200)에 송신한다. 통신 모듈(110)은 IoT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관제 서버(200)에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신호를 필터링하는 등의 전처리 작업 후 관제 서버(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센서(S)는 건물 내에 복수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열상 센서, 불꽃 감지 센서, 온도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필요한 센서가 더 추가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센서들은 주변 환경을 감지한 신호를 소방수신기(100)에 송신하며, 소방수신기(100)에 수신된 신호는 통신 모듈(110)에 의해 관제 서버(200)에 송신되고, 관제 서버(200)에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관리자가 원격으로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관제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제 서버(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신호 식별부(230) 및 연산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통신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으며, 관리자 단말기(300)에 알림을 송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건물 내 센서(S)의 설치 위치가 저장되며, 소방수신기(100)에 설치된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식별 정보 및 분석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식별부(230)는 통신부(210)에 수신된 신호에 대해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성되는 식별정보는 각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 각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 비정상 신호인지 여부 및 각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식별정보는 각 센서별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연산부(24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Fire Risk Index)로 수치화하여 정량화하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각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위치에 따른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시해야 하는 복수의 목표 지점이 설정될 수 있으며, 목표 지점은 유동인구의 수, 화재가 발생했을 시 예상 피해 강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선순위가 높은 목표 지점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큰 피해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로 지하주차장이나 인구 밀집도가 높은 영화관 등이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목표 지점에 설치된 센서(S)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화재 위험 지수가 높게 부여된다.
연산부(240)에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할 때, 식별정보에 포함된 신호 정보가 정상 신호인 경우 기준값을 부여하고, 비정상신호인 경우에는 기준값보다 높은 값을 부여한다.
따라서, 연산부(240)에서 산출된 화재 위험 지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통신부(210)가 관리자 단말기(300)에 알림을 송신한다. 관리자 단말기(300)에 수신된 알림은 시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정보를 기초로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센서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영상감시장치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자 단말기(3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비정상신호를 송신하는 센서가 일정 기준 시간 내에서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센서의 식별정보 중 설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복수 개의 센서 간 설치된 위치 정보가 가까울수록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할 때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에 제1센서(S1) 내지 제5센서(S5)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소방수신기(100)에 수신되어 관제 서버(200)로 송신된 신호 중 비정상 신호라고 판단된 신호가 제1센서(S1)와 제5센서(S5)일 경우에는 제1센서(S1)와 제5센서(S5)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화재 위험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산출된다.
그러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에 제1센서(S1) 내지 제5센서(S5)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소방수신기(100)에 수신되어 관제 서버(200)로 송신된 신호 중 비정상 신호라고 판단된 신호가 제1센서(S1), 제2센서(S2)일 경우에는 제1센서(S1)와 제2센서(S2)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화재 위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된다.
상술된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실제 화재 발생 시 일정 기준 시간 내에 근접한 복수의 센서로부터 비정상신호가 들어오는 상황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화재 위험 지수를 높게 추정함으로써, 실제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00)와 통신하는 영상감시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감지장치(400)는 건물 내 천장이나 벽에 복수 설치되어 건물 내 공간을 촬영하는 장치로, 화재 발생 시 영상감시장치(400)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300)에 송신되어 관리자가 화재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각 층마다 영상감시장치(400)가 설치되고, 센서(S)가 5개씩 설치된다. 3층에 화재가 발생하여 3층에 설치된 제4센서(S34)와 제5센서(S35)가 비정상신호를 송신하며, 제4센서(S34)와 제5센서(S35)와 가까이 위치하는 제3영상감시장치(400c)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300)에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4센서(S34)와 제5센서(S35)의 물리적 거리는 2층에 설치된 제2영상감시장치(400b)와 가깝지만 2층에 설치된 제2영상감시장치(400b)는 3층에 발생된 화재 현장을 촬영할 수 없기 때문에 3층에 설치된 제3영상감시장치(400c)가 제4센서(S34) 및 제5센서(S35)와 물리적 거리는 제2영상감시장치(400b)보다 멀지만 제3영상감시장치(400c)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관리자 단말기(300)에 송신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센서(S)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높이 값을 반영한 거리 차이의 값을 가진 영상감시장치(400)라고 하더라도, 다른 층에 있다거나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있을 경우, 센서(S)가 설치된 위치 근방에서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센서(S)가 설치되는 위치 주변을 촬영하는 건물 내 설치되는 영상감시장치(400)를 매칭하여 관제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화재 발생 시 매칭 상태인 영상 감시 장치(400)가 촬영하는 영상 데이터가 관리자 단말기(300)에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S)와 영상감시장치(400)의 매칭 결과는 일 실시예로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에게 알림이 송신되었을 경우, 실제 화재 발생 여부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추후 오보 발생 원인이나 화재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소방서에 신고가 접수되고, 관리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소방수신기(100) 및 건물 내 설치된 화재 경보 장치, 화재 진압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도 소방수신기(100) 및 건물 내 설치된 화재 경보 장치, 화재 진압 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소방수신기
110 통신 모듈
200 관제 서버
210 통신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신호 식별부
240 연산부
300 관리자 단말기
400 영상감시장치
S 센서

Claims (10)

  1.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소방수신기;
    상기 소방수신기에 설치되며, 상기 소방수신기에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으며,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생성되는 식별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지수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신호가 저장되며, 상기 센서의 설치 위치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식별부,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화재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정상 신호인지 화재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하는 비정상 신호인지 여부 및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화재위험지수를 산출하되, 화재 위험 지수는 상기 센서의 식별정보에 포함된 신호 정보가 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기준값을 부여하고, 비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기준값보다 높은 값이 부여되어 산출되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화재 위험 지수를 기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며, 화재 위험 지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송신하되,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이 송신될 때, 화재 위험 지수의 임계값을 초과한 비정상 신호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추적하며,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의 설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센서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영상감시장치를 매칭 영상감시장치로 지정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매칭 영상감시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상기 매칭 영상감시장치 지정 시, 복수의 상기 센서별로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영상감시장치에 대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건물 내 복수의 지점 중 화재를 감시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목표 지점이 설정되고, 상기 목표 지점은 유동 인구의 수, 화재 발생 시 예상 피해 정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화하여 최우선 목표 지점을 지정하되,
    상기 센서의 상기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재 위험 지수를 산출할 때, 각 센서의 설치된 위치 정보가 상기 최우선 목표 지점과 가까울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은,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가 일정 기준 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의 식별정보 중, 설치 위치 정보를 추적하고,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센서 간 위치가 가까울수록 화재 위험 지수른 산출할 때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20230110280A 2023-08-23 2023-08-23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264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280A KR102643497B1 (ko) 2023-08-23 2023-08-23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280A KR102643497B1 (ko) 2023-08-23 2023-08-23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497B1 true KR102643497B1 (ko) 2024-03-05

Family

ID=9029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280A KR102643497B1 (ko) 2023-08-23 2023-08-23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4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074A (ja) * 1995-12-25 1997-07-11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
KR101697935B1 (ko) *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JP2017068868A (ja) * 2016-12-26 2017-04-06 能美防災株式会社 異常通報システム
KR102369267B1 (ko) * 2021-05-03 2022-03-0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위험도 최적화값 도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송출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464640B1 (ko)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230037211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우선순위 기반 화재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074A (ja) * 1995-12-25 1997-07-11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
KR101697935B1 (ko) *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JP2017068868A (ja) * 2016-12-26 2017-04-06 能美防災株式会社 異常通報システム
KR102369267B1 (ko) * 2021-05-03 2022-03-0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위험도 최적화값 도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송출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KR20230037211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우선순위 기반 화재감시 시스템
KR102464640B1 (ko)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0696740B1 (ko)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EP2543026B1 (en) Aspirating environmental sensor with webserver and email notification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200414008Y1 (ko)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0985804B1 (ko)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2164449B1 (ko) Ai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20200007185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0637708B1 (ko)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640152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97286B1 (ko) 센서를 이용한 알람신호 전송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장치
KR101951361B1 (ko) 인공지능 방범 관리 방법
US20240161600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KR102055275B1 (ko) IoT를 이용한 통합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299704B1 (ko)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KR102042585B1 (ko)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43497B1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WO2019224116A2 (en) Fire alarm system integration
KR20070018485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야간 화재 및 침입자 경고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02084376B1 (ko) 소방시설의 화재감지기 자동 원격 점검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화재수신기
CN106530565A (zh) 安防告警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