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221B1 -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 Google Patents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221B1
KR102643221B1 KR1020230156612A KR20230156612A KR102643221B1 KR 102643221 B1 KR102643221 B1 KR 102643221B1 KR 1020230156612 A KR1020230156612 A KR 1020230156612A KR 20230156612 A KR20230156612 A KR 20230156612A KR 102643221 B1 KR102643221 B1 KR 10264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oor
lock
hand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탐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탐라
Priority to KR102023015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05B2001/0023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being movable into a non-operating position, e.g. foldable towards the mounting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05B2015/166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for lock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정역모터의 구동으로 '록(LOCK)' 또는 '언록(UNLOCK)' 작동하는 록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기구적으로 손잡이를 출몰 연동시켜 도어록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록(록커) 록킹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사물함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의하면; 사물함(1) 내벽에 설치되며 록킹구(111)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마그네트(112)가 배치된 키퍼(110)와; 사물함(1)을 개폐하는 도어(2)의 배면부에 덮개패널(121)을 통해 상기 키퍼(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122)가 마련된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을 통해 출몰되어 상기 키퍼(110)의 록킹구(111)에 삽탈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31)가 마련된 록커(130)와;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커(130)의 랙기어부(131)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41)가 회전축에 마련되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록커(130)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정역모터(140)와; 상기 하우징(120)의 제어회로부(122)에 배치되며 사물함 도어(2)의 닫힘 시 상기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1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자기센서(150)와; 상기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연계되면서 사물함 도어(2)에 천공된 관통홀(3)에 배치되며,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 수용되도록 후진되고, 상기 록커(130)가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서 사물함 도어(2)의 앞면으로 전진 돌출되어 손으로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선단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122)와 접속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되어 사물함 도어(2)가 닫혀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엘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4)가 태그될 경우 상기 정역모터(1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Electronic door lock for lockers with pop-up handle}
본 발명은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 도어록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손잡이가 출몰(出沒)되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ㆍ목욕탕ㆍ호텔ㆍ기차역ㆍ버스터미널ㆍ체육시설 등 여러 사람이 생활하거나 이용하는 건물의 실내나 실외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 앞면이 개방된 복수의 수납공간이 칸막이를 통해 구획되어진 본체와, 본체의 앞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공간들의 개방부를 각각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도어와, 각각의 도어를 본인 이외에 타인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도어록을 갖추고 있다.
최근들어 사물함용 도어록은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록'과 '언록'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자식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42404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10-1242404호의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은 키입력방식과 무선인식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 및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공이 용이하며 안전사고의 예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사물함용 전자 도어록에서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육안으로는 '록' 또는 '언록'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없어서, 사용자가 '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도어 손잡이를 잡고서 일일이 당겨보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종래 사물함용 전자 도어록은 도어를 닫고 받드시 키패드 등을 통해 비밀번호 입력과 잠금신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도어를 닫으면 이것이 '록' 또는 '언록' 상태인지를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도어만을 닫고서 그대로 나가 도난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역모터의 구동으로 '록(LOCK)' 또는 '언록(UNLOCK)' 작동하는 록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기구적으로 손잡이를 출몰 연동시켜 도어록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록(록커) 록킹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사물함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팝업형 손잡이유닛의 출몰 동작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전력이 별도로 소모되지 않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물함 내벽에 설치되며 록킹구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마그네트가 배치된 키퍼와; 사물함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부에 덮개패널을 통해 상기 키퍼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통해 출몰되어 상기 키퍼의 록킹구에 삽탈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가 마련된 록커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커의 랙기어부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가 회전축에 마련되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록커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정역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제어회로부에 배치되며 사물함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자기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덮개패널에 연계되면서 사물함 도어에 천공된 관통홀에 배치되며, 상기 록커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에 수용되도록 후진되고, 상기 록커가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에서 사물함 도어의 앞면으로 전진 돌출되어 손으로 잡고서 사물함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선단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와 접속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가 배치되어 사물함 도어가 닫혀 상기 록커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엘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가 태그될 경우 상기 정역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를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팝업형 손잡이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덮개패널에 후면부가 고정되면서 사물함 도어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배치되며 선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면부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이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기가 배치된 슬라이딩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선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부에 압입된 부싱에 걸려 지지되며 후단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후면부에 마련된 외향플랜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를 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후면부와 인접하는 상기 록커의 중도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선단부가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하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록커의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후진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록커의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에는 상기 제2경사면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를 선형적으로 밀어 전진 이동시키는 록커 경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팝업형 손잡이유닛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후진 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부를 덮도록 원반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의하면; 정역모터의 구동으로 '록' 또는 '언록' 작동하는 록커의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기구적으로 팝업형 손잡이유닛이 사물함 도어 전면부에서 출몰 연동되어 도어록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록커) 록킹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사물함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전자키를 태그하여 '록'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팝업형 손잡이유닛이 사물함 도어 전면부에서 돌출됨으로써, 이를 잡고서 사물함 도어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통해 도어록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전력이 별도로 소모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의하면; 팝업형 손잡이유닛이 사물함 도어의 관통홀에 수용 배치되도록 콤팩트하게 이루어져 있어, 부딪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에 의하면; 팝업형 손잡이유닛의 슬라이딩 손잡이 후진 이동시에는 손잡이덮개가 가이드부재의 선단부를 완전하게 덮기 때문에, 도어록 설치로 인한 사물함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함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 Ⅳ선에 따른 평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설치상태 및 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내부 구조를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내부구조 및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록'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전자키를 태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을 '언록'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언록 상태에서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통한 사물함 도어의 개방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전자식 도어록은 물놀이 공원, 대중목욕탕, 헬스클럽, 찜질방 등과 같은 시설에서 사용자 사물함 도어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록을 '언록'하기 위한 전자키는 알에프아이디 IC 칩(RFID IC chip)이 내장된 헤드와, 이 헤드에 결합되어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원형 탄력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하며, 알에프아이디 IC 칩은 외부의 알에프 아이디 리더기를 통해 인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구성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100)은 사물함(1) 내벽에 설치되는 키퍼(110)와, 사물함 도어(2)의 배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전장품이 마련되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출몰되어 키퍼(110)에 삽탈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31)가 마련된 록커(130)와, 록커(130)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정역모터(140)와, 사물함 도어(2)의 닫힘 시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록커(130)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자기센서(150)와, 사물함 도어(2)에 천공된 관통홀(3)에 수용 배치되면서 록커(130)가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사물함 도어(2)에서 출몰되어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키퍼(110)는 사물함(1) 내벽에 설치되며,이의 중앙부위에는 록킹구(1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키퍼(110)는 록커(130)의 '록'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록커(130) 선단부가 록킹구(111)에 걸려 도어(2)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키퍼(110)의 일측에는 마그네트(112)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자기센서(150)를 통해 도어(2)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20)은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물함(1)을 개폐하는 도어(2)의 배면부에 덮개패널(121)을 통해 키퍼(110)와 인접하도록 스크루(미도시)를 통해 고정 배치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록커(13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하우징(120)의 측면을 통해 출몰되어 키퍼(110)의 록킹구(111)에 삽탈되며, 여기에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정역모터(140;도 5참조)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며, 록커(130)의 랙기어부(131)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41)가 회전축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정역모터(140)는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공급받아 피니언기어(141)가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록커(130)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게 된다. 정역모터(140)의 정/역방향 구동은 제어회로부(122)를 통해 제어된다.
자기센서(150)는 하우징(120)의 제어회로부(122)에 배치되며 사물함 도어(2)의 닫힘 시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정역모터(1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록커(130)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모터(140)의 구동으로 '록' 또는 '언록' 작동하는 록커(130) 슬라이딩 동작과 기구적으로 연동하여 사물함 도어(2) 전면에서 출몰됨으로써, 도어록(10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으며 돌출된 상태에서는 이를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술하면,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은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연계되면서 사물함 도어(2)에 천공된 관통홀(3)에 수용 배치되고, 록커(130)가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사물함 도어(2)에서 출몰되며, 사물함 도어(2)의 앞면으로 전진 돌출되면 이를 손으로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선단부에는 제어회로부(122)와 접속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되어 있어서, 사물함 도어(2)가 닫혀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엘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4;도 9참조)가 태그될 경우 정역모터(1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록커(130)를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함 도어(2)의 관통홀(3)에 배치된 가이드부재(210)와, 가이드부재(210)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후면부에 제1경사면(221)이 마련된 슬라이딩 손잡이(220)와,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이를 후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240)과, 록커(130)의 중도에 마련되며 제1경사면(221)과 면접촉하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251)으로 어진 록커 경사부재(250)와,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덮개(260)로 대별된다.
가이드부재(210)는 선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후면부가 스크루(미도시)를 통해 고정되면서 사물함 도어(2)의 관통홀(3)을 통과하여 배치된다.
슬라이딩 손잡이(22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부재(210)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면부에는 가이드부재(210) 후면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221)이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선단부에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된다.
코일스프링(240)은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선단은 가이드부재(210)의 선단부에 압입된 부싱(211)에 걸려 지지되며, 이의 후단은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면부에 마련된 외향플랜지(222)에 걸려 지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손잡이(220)는 코일스프링(24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가이드부재(210) 내부에서 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록커 경사부재(250)는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면부와 인접하는 록커(130)의 중도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선단부가 제1경사면(221)과 면접촉하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251)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록커(130)의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에는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진 이동을 허용하며, 반면에 록커(130)의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에는 제2경사면(251)을 통해 슬라이딩 손잡이(220)를 선형적으로 밀어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손잡이덮개(260)는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선단부에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진 이동시 가이드부재(210)의 선단부를 덮도록 원반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작동 및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2)를 닫으면 제어회로부(122)의 자기센서(150)는 키퍼(110)와 근접하며, 이를 통해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회로부(122)에서는 정역모터(140; 도 5참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록커(130) 선단이 하우징(120) 일측으로 돌출되어(도 8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록킹구(111)에 걸린다. 이에 따라 제어회로부(122)에서는 자기센서(150)를 통해 사물함 도어(2)가 닫힌 상태로 판단하며, 정역모터(1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록커(130)를 통해 '록' 상태로 유지한다. 록커(130)의 '록' 상태에서는 록커 경사부재(250)의 제2경사면(251)이 슬라이딩 손잡이(220) 후단의 제1경사면(221)과 점차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끌어지며,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240)을 통해 탄성 지지된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슬라이딩 손잡이(220)는 후진방향으로 이동한다(도 8의 화살표 B 방향 참조).
따라서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슬라이딩 손잡이(220)가 사물함 도어(2)의 관통홀(3) 내부로 후진되면서 손잡이덮개(260)가 가이드부재(210)의 선단부를 완전하게 덮개된다. 사용자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매립 상태를 통해 사물함 도어록(100)이 '록' 상태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록(100)의 '록' 상태에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알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4)를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전면부에 태그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부(122)에서는 전자키(4)를 통해 '록'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정역모터(1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록커(130)가 후진되어 '언록' 상태가 된다. 록커(130) 선단이 하우징(120)에 완전하게 들어가면 도어록(100)은 '언록' 상태가 된다. 이러한 '언록' 상태에서는 록커 경사부재(250)의 제2경사면(251)이 제1경사면(221)과 면접촉하면서 후진 이동하며(도 9의 화살표 C 방향 참조), 이것에 의해 코일스프링(240)이 압축되면서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슬라이딩 손잡이(220)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된다(도 9의 화살표 D 방향 참조). 즉, 슬라이딩 손잡이(220)는 코일스프링(240)을 압축시키면서 사물함 도어(2) 전면으로 돌출되며, 이를 통해 사물함 도어(2)가 열린 상태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돌출된 슬라이딩 손잡이(220)를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할 수 있다.
재차 설명하면; 정역모터(140)의 정역구동으로 '록' 또는 '언록' 작동하는 록커(130) 슬라이딩 동작과 함께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이 기구적으로 연동하여 사물함 도어(2)에서 출몰되며, 사용자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위치를 통해 록킹여부를 손쉽게 확인하여 사물함(1)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의 출몰 동작과정에서 배터리(미도시) 전력이 별도로 소모되지는 않는다.
1..사물함 2..도어 3..관통홀
4..전자키 100..도어록 110..키퍼
111..록킹구 112..마그네트 120..하우징
121..덮개패널 122..제어회로부 130..록커
131..랙기어부 140..정역모터 141..피니언기어
150..자기센서 200..팝업형 손잡이유닛 210..가이드부재
211..부싱 220..슬라이딩 손잡이 221..제1경사면
222..외향플랜지 230..알에프아이디 리더기 240..코일스프링
250..록커 경사부재 251..제2경사면 260..손잡이덮개

Claims (3)

  1. 사물함(1) 내벽에 설치되며 록킹구(111)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마그네트(112)가 배치된 키퍼(110)와;
    사물함(1)을 개폐하는 도어(2)의 배면부에 덮개패널(121)을 통해 상기 키퍼(11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122)가 마련된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120)의 측면을 통해 출몰되어 상기 키퍼(110)의 록킹구(111)에 삽탈되며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131)가 마련된 록커(130)와;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커(130)의 랙기어부(131)와 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41)가 회전축에 마련되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록커(130)를 '록' 또는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정역모터(140)와;
    상기 하우징(120)의 제어회로부(122)에 배치되며 사물함 도어(2)의 닫힘 시 상기 마그네트(11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정역모터(1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기 위한 자기센서(150)와;
    상기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연계되면서 사물함 도어(2)에 천공된 관통홀(3)에 배치되며,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 수용되도록 후진되고, 상기 록커(130)가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관통홀(3)에서 사물함 도어(2)의 앞면으로 전진 돌출되어 손으로 잡고서 사물함 도어(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선단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122)와 접속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되어 사물함 도어(2)가 닫혀 상기 록커(130)가 '록'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엘에프아이디 칩이 내장된 전자키(4)가 태그될 경우 상기 정역모터(14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록커(130)를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는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20)의 덮개패널(121)에 후면부가 고정되면서 사물함 도어(2)의 관통홀(3)을 통과하여 배치되며 선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면부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221)이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기(230)가 배치된 슬라이딩 손잡이(220)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외곽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선단은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선단부에 압입된 부싱(211)에 걸려 지지되며 후단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면부에 마련된 외향플랜지(222)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를 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240)과;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면부와 인접하는 상기 록커(130)의 중도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선단부가 상기 제1경사면(221)과 면접촉하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251)으로 이루어져, 상기 록커(130)의 '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진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록커(130)의 '언록'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시에는 상기 제2경사면(251)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를 선형적으로 밀어 전진 이동시키는 록커 경사부재(2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형 손잡이유닛(200)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220)의 후진 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선단부를 덮도록 원반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덮개(2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KR1020230156612A 2023-11-13 2023-11-13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KR10264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6612A KR102643221B1 (ko) 2023-11-13 2023-11-13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6612A KR102643221B1 (ko) 2023-11-13 2023-11-13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221B1 true KR102643221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6612A KR102643221B1 (ko) 2023-11-13 2023-11-13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2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51B1 (ko) * 2021-01-22 2021-06-02 주식회사 탐라 개폐표시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51B1 (ko) * 2021-01-22 2021-06-02 주식회사 탐라 개폐표시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US10458152B2 (en) Gate assembly employing a dual actuator latching mechanism
US6655180B2 (en) Locker lock with adjustable bolt
US6185773B1 (en) Remote control mechanism for a locker
US6116066A (en) Electronic input and dial entry lock
US5886644A (en) Programmable digital electronic lock
US5887467A (en) Pawl &amp; solenoid locking mechanism
US6938445B2 (en) Mortise lock status indicator
US7069755B2 (en) Deadbolt lock with electronic touch-key
US5845523A (en) Electronic input and dial entry lock
CN102197184B (zh) 机电锁和闩锁装置
US20030016847A1 (en) Fingerprint-actuated padlock
AU2009229472A1 (en) Micro motor locking system
ES2333637A1 (es) Cerradura de leva con cerrojo retractil.
US4754625A (en) Electrically controlled lock
US20100156594A1 (en) Biometric Lock
US6598439B1 (en) Lock-and-alarm assembly
KR102643221B1 (ko) 팝업형 손잡이유닛을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KR20110052832A (ko) 도어록 해정장치
CA1136675A (en) Locking device
KR100991848B1 (ko) 착탈식 키홀더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
CN209025560U (zh) 一种具有报警锁定功能的指纹锁
KR102258951B1 (ko) 개폐표시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전자식 도어록
JP2008179997A (ja) 反転ラッチ式電気錠
JP2002168015A (ja) 非接触作動式の施錠機構を備えた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