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147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147B1
KR102643147B1 KR1020190028102A KR20190028102A KR102643147B1 KR 102643147 B1 KR102643147 B1 KR 102643147B1 KR 1020190028102 A KR1020190028102 A KR 1020190028102A KR 20190028102 A KR20190028102 A KR 20190028102A KR 102643147 B1 KR102643147 B1 KR 10264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dule
vacuum cleaner
module
battery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069A (ko
Inventor
이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1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47L9/1675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movable, revolving or rota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 먼지통, 필터모듈, 구동부 및 핸들부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배터리는 상기 흡입 노즐,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모듈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한 다음,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여 먼지는 먼지통에 저장하고, 공기는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기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구조에 따라서 캐니스터형, 업라이트형, 핸디형, 스틱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연결장치에 의해서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청소기를 의미하고, 상기 업라이트형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디형 청소기는 흡입모터와 집진공간이 내장되어 있는 소형 청소기를 의미하고, 상기 스틱형 청소기는 흡입모터와 집진공간을 내장하고 있는 본체가 바닥면에서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52837(공개일자:2003년06월27일)에는 복합형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는 집진공간과 구동부 사이에 연장관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스틱형 및 핸디형으로 변형 가능한 복합형 진공 청소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복합형 진공 청소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청소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므로, 배터리의 고장 시 배터리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청소기 본체에 전선을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충전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경우, 청소기의 무게중심이 제품 하부에 위치되면 흡입력이 떨어져서 청소상태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반대로 청소기의 무게중심이 제품 상부에 위치되면 청소기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게 느껴지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공개번호 (공개일자) : 특2003-0052837 (2003년 6월 27일), 발명의 명칭 : 복합형 진공청소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의 무게중심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기의 전체길이 또는 전체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기를 이루는 각 모듈이 손쉽게 조립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충전이 용이해지고,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를 이루는 흡입 노즐, 먼지통, 필터모듈, 구동부 및 핸들부 각각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청소기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청소기를 이루는 각 모듈의 유지보수가 유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는 상기 흡입 노즐,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청소기의 무게중심을 원하는 지점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기 무게중심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해당 청소지역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는, 상기 흡입 노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모듈, 구동부 및 핸들부는, 상기 먼지통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 노즐, 먼지통, 제 1 필터모듈 및 구동부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의 내부에는 직선의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청소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고 흡입유량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핸들부의 사이에 결합되어, 공기 중의 먼지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모듈에는, 먼지가 필터링 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핸들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 1 필터모듈, 제 2 필터모듈, 구동부, 핸들부 및 배터리 중 이웃하는 2개의 구성이 상호 접철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필터모듈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 2 필터모듈과 상기 핸들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필터모듈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청소기 본체를 이루는 흡입 노즐, 먼지통, 필터모듈, 구동부 및 핸들부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청소기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청소기를 이루는 각 모듈의 유지보수가 유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는 흡입 노즐, 구동부 및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청소기의 무게중심을 원하는 지점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기 무게중심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해당 청소지역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배터리는 흡입 노즐의 일측에 결합되어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구동부 또는 핸들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기 흡입 노즐, 먼지통, 필터모듈 및 구동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청소기의 내부에 직선의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고 흡입력 및 흡입유량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청소기 본체를 이루는 모듈들 중 이웃하는 2개의 구성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힌지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제공되므로, 청소기의 전체길이 또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듈형 진공 청소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다수의 모듈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는 각 모듈의 결합순서 또는 배치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흡입 노즐(10),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및 핸들부(6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0)을 기준으로,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및 핸들부(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전체적으로 직선의 스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각 모듈이 적층된 청소기 본체와 지면(B)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A)을 이룸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60)를 파지한 상태로 바닥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각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흡입 노즐]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 노즐(1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노즐(10)은 청소면(B)의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0)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 노즐(10)의 일측에는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먼지 흡입구(11)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먼지 흡입구(11)는 청소면(B)과 마주보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노즐(10)은 노즐 브러쉬(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즐 브러쉬(12)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청소면(B)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브러쉬(12)는 상기 흡입 노즐(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 브러쉬(12)는 상기 청소면(B)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노즐 브러쉬(12)를 청소면(B)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노즐(10)을 앞으로 밀면서 청소할 수 있다.
[먼지통]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먼지를 저장시키는 먼지통(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먼지통(20)은 상기 흡입 노즐(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통(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면이 상기 흡입 노즐(10)의 흡입구(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먼지통(20)의 내부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통(20)의 내부유로를 통과하여 후술될 필터모듈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20)은 상기 흡입 노즐(10)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먼지통(20)에 저장된 먼지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다.
[제 1 필터모듈]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제 1 필터모듈(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은 상기 먼지통(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은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먼지를 분리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은 사이클론 필터(31)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론 필터(31)는,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사이클론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통(20)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 모듈(30)은 "사이클론 필터"로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은 먼지분리 패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분리 패드(32)는 상기 먼지통(20)과 상기 사이클론 필터(31)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통(2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은 먼지분리 레버(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분리 레버(33)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31)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먼지분리 레버(3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먼지분리 패드(32)가 상기 먼지통(20)의 밀폐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먼지분리 레버(33)에 의해 상기 먼지통(20)이 상기 제 1 필터모듈(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부]
상기 진공 청소기(1)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내부의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부(40)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발생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팬이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40)가 구동되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 노즐(10)의 흡입구(11)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의 내부는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0)를 통과한 공기는 후술될 제 2 필터 모듈(5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의 공기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는 일 방향으로 정회전하여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는 타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 노즐(10)과 상기 구동부(40)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40)의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40)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먼지통(20)과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공기유로가 짧아져서 강력한 바람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 기능은, 커튼이나 가구 등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역할로 기능할 수 있다.
[제 2 필터모듈]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제 2 필터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모듈(50)은 상기 구동부(4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0)의 내부와 상기 제 2 필터모듈(50)의 내부는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모듈(50)에는 상기 제 1 필터모듈(30)을 통과한 공기 중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분리하는 헤파필터(51)가 포함된다. 상기 헤파필터(51)는 상기 구동부(40)를 통과한 공기 중 먼지를 2차적으로 분리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모듈(50)에는 상기 헤파필터(51)와 더불어 초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모듈(50)에는 연장관(5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연장관(52)은 상기 헤파필터(51)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장관(52)은 상기 헤파필터(51)의 출구측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52)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파필터(5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배출구(521)를 통해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521)는 상기 연장관(52)의 둘레면 일부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 노즐(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및 제 2 필터모듈(50)을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5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및 제 2 필터모듈(50)은 나란하게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가 스틱 형태를 이루므로 직선 형상의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흡입유량이 향상되고 흡입력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핸들부]
상기 진공 청소기(1)는 핸들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제 2 필터모듈(5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60)에는 상기 제 2 필터모듈(50)에 연결되는 스틱부(61)와, 상기 스틱부(61)의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62)이 포함된다.
상기 스틱부(6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제어하는 전자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틱부(61)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부(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63)는 상기 스틱부(61)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40)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63)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40)의 흡입력이 조절될 수 있다.
[배터리]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배터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흡입 노즐(10),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및 핸들부(6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구동부(40)에 전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터리(70)가 상기 진공 청소기(1)에 결합되면, 상기 배터리(70)의 전원이 상기 구동부(40)로 전달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터리(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노즐(10) 또는 상기 먼지통(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하부에 해당하는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70)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청소기의 무게중심이 청소기의 하부 즉, 바닥면(B)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핸들(62)을 쥐고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손쉽게 바닥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배터리(70)는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흡입 노즐(10)의 주변에 배치되므로, 상기 배터리(7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진공 청소기(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충전 시 청소기 전체를 충전시키지 않고 배터리(70)만을 별도로 충전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1 연결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제 1 연결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 노즐(10)과, 상기 흡입 노즐(10)에 결합되는 먼지통(20)과, 상기 먼지통(20)에 결합되는 제 1 필터모듈(30)과, 상기 제 1 필터모듈(3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80)와, 상기 제 1 연결부(80)에 결합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에 결합되는 제 2 필터모듈(50)과, 제 2 필터모듈(50)에 결합되는 배터리(70) 및 배터리(70)에 결합되는 핸들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0),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및 핸들부(6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80)는,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듈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결부(80)는 2개의 구성을 힌지 결합시켜 상호 회동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80)에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80)는 상기 제 1 필터모듈(30)과 상기 구동부(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8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흡입 노즐(10), 먼지통(20) 및 제 1 필터모듈(30)은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연결부(8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10), 먼지통(20) 및 제 1 필터모듈(30)을 "제 1 모듈"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듈은 직선의 스틱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80)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배터리(70) 및 핸들부(60)는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연결부(8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배터리(70) 및 핸들부(60)는 "제 2 모듈"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듈은 직선의 스틱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80)는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상기 제 1 연결부(80)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제 1 모듈 또는 제 2 모듈 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의 회전 가능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제 2 필터모듈(50)과 상기 핸들부(6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하부가 아닌 상부 측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제 2 필터모듈(50)의 배출구(5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배출구(5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배터리의 위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 노즐(10)과, 상기 흡입 노즐(10)에 결합되는 먼지통(20)과, 상기 먼지통(20)에 결합되는 제 1 필터모듈(30)과, 상기 제 1 필터모듈(3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80)와, 상기 제 1 연결부(80)에 결합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에 결합되는 제 2 필터모듈(50)과, 제 2 필터모듈(50)에 결합되는 핸들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노즐(10),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제 1 연결부(80) 및 핸들부(60)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70)가 상기 구동부(40) 또는 제 2 필터모듈(50)과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구동부(40) 또는 제 2 필터모듈(50)의 외면에 중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배터리(70)가 상기 제 2 필터모듈(50)의 후단에 장착되는 것에 비하여,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무게중심은 상기 진공청소기(1)의 중심 부분 즉, 상기 제 1 연결부(80)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70)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배터리(70)는 상기 배출구(521)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배터리(7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상기 배출구(5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연결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 노즐(10)과, 상기 흡입 노즐(10)에 결합되는 먼지통(20)과, 상기 먼지통(20)에 결합되는 제 1 필터모듈(30)과, 상기 제 1 필터모듈(3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80)와, 상기 제 1 연결부(80)에 결합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에 결합되는 제 2 필터모듈(50)과, 제 2 필터모듈(5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90)와, 상기 제 2 연결부(90)에 결합되는 배터리(70) 및 배터리(70)에 결합되는 핸들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0), 먼지통(20), 제 1 필터모듈(30), 구동부(40), 제 2 필터모듈(50), 배터리(70) 및 핸들부(60)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80)는,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듈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결부(80)는 2개의 구성을 힌지 결합시켜 상호 회동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80)에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80)는 상기 제 1 필터모듈(30)과 상기 구동부(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8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흡입 노즐(10), 먼지통(20) 및 제 1 필터모듈(30)은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연결부(8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10), 먼지통(20) 및 제 1 필터모듈(30)을 "제 1 모듈"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90)는,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이루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듈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연결부(90)는 2개의 구성을 힌지 결합시켜 상호 회동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 2 연결부(90)는 상기 제 1 연결부(8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연결부(90)는 상기 제 2 필터모듈(90)과 상기 배터리(7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9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구성, 즉 상기 제 1 연결부(80)와 상기 제 2 연결부(9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40) 및 제 2 필터모듈(50)은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연결부(80) 또는 상기 제 2 연결부(9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 및 제 2 필터모듈(50)을 "제 2 모듈"로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90)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배터리(70) 및 핸들부(60)는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2 연결부(9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70) 및 핸들부(60)는 "제 3 모듈"로 이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부(80)는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연결부(90)는 상기 제 2 모듈과 상기 제 3 모듈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모듈, 제 2 모듈 및/또는 제 3 모듈이 상호 접철가능하게 회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모듈, 제 2 모듈 및 제 3 모듈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제 1 모듈, 제 2 모듈 및 제 3 모듈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모듈만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모듈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연결부(80)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 2 연결부(9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모듈 및 제 3 모듈이 상기 제 1 모듈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를 이루는 흡입 노즐, 먼지통, 필터모듈, 구동부 및 핸들부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청소기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고 청소기를 이루는 각 모듈의 유지보수가 유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는 흡입 노즐, 구동부 및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청소기의 무게중심을 원하는 지점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기 무게중심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해당 청소지역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를 이루는 모듈을 구부려서 전체길이 또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의 흡입구에 연결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에 결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모듈;
    상기 제 1 필터모듈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모듈;
    상기 제 2 필터모듈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먼지통 및 상기 제 1 필터모듈은 서로 고정되어 직선 형상의 제1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2 필터모듈은 서로 고정되어 직선 형상의 제2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핸들부는 서로 고정되어 직선 형상의 제3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필터모듈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필터모듈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8102A 2019-03-12 2019-03-12 진공 청소기 KR10264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02A KR102643147B1 (ko) 2019-03-12 2019-03-12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102A KR102643147B1 (ko) 2019-03-12 2019-03-12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69A KR20200109069A (ko) 2020-09-22
KR102643147B1 true KR102643147B1 (ko) 2024-03-05

Family

ID=7270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102A KR102643147B1 (ko) 2019-03-12 2019-03-12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1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3233A1 (en) * 2004-02-23 2005-08-25 Lin Kun Y. Vacuum collector having sweeping device
KR101661314B1 (ko) * 2016-03-07 2016-09-29 김현태 진공 청소기의 먼지떨이 장치
CN106618377A (zh) * 2016-09-14 2017-05-10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清洁工具
US20180055311A1 (en) * 2016-08-29 2018-03-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8175889A (ja) * 2018-07-17 2018-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8196810A (ja) * 2018-09-20 2018-12-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9146693A (ja) * 2018-02-26 2019-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集塵組立体および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788A (ja) * 1994-03-16 1995-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の蓄電池パック冷却機構
KR20030052837A (ko)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복합형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3233A1 (en) * 2004-02-23 2005-08-25 Lin Kun Y. Vacuum collector having sweeping device
KR101661314B1 (ko) * 2016-03-07 2016-09-29 김현태 진공 청소기의 먼지떨이 장치
US20180055311A1 (en) * 2016-08-29 2018-03-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6618377A (zh) * 2016-09-14 2017-05-10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清洁工具
JP2019146693A (ja) * 2018-02-26 2019-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集塵組立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8175889A (ja) * 2018-07-17 2018-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8196810A (ja) * 2018-09-20 2018-12-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069A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319B2 (en) Cleaning apparatus
US11166608B2 (en) Cleaner
US10433686B2 (en)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30172407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305735B2 (en)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dirt cup and separate filter drawer
CA2553412A1 (en) Hand-holdable vacuum cleaners
US10828649B2 (en)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793374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inlet flow area
US20190254493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210196B2 (en) Bagless vacuum clean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US20210085141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643147B1 (ko) 진공 청소기
CN209186551U (zh) 手持清洁设备
US20240065502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90254492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inlet flow area
JP2021531897A (ja) 電池式掃除機
US12004701B2 (en) Cleaner
CN207785051U (zh) 立式真空吸尘器
CN207979612U (zh) 立式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