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015B1 -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015B1
KR102643015B1 KR1020180031758A KR20180031758A KR102643015B1 KR 102643015 B1 KR102643015 B1 KR 102643015B1 KR 1020180031758 A KR1020180031758 A KR 1020180031758A KR 20180031758 A KR20180031758 A KR 20180031758A KR 102643015 B1 KR102643015 B1 KR 10264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stirrer
concentration value
manufacturing devic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989A (ko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18003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01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2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by feed-back, i.e. a measured parameter of the mixture is measured, compared with the set-value and the feed values are corr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4Speed during the operation
    • B01F35/22142Speed of the mixing device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2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adding a material to be mixed to a mixture in response to a detected feature, e.g. density, radioactivity, consumed power or col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제조 및 저장되는 용액, 특히 제설 용액을 목적하는 농도의 값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Solution manufacturing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액 저장 탱크(tank)에 저장되는 용액의 농도를 목적하는 농도의 값에 맞추어 제조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로는 사람과 화물의 이동을 보장함으로써, 국민 경제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의 기간 시설이다. 따라서, 각 국가의 정부에서는 사람과 화물의 원활하고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도로를 새로이 건설할 뿐 아니라,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 발생하는 강설 또는 결빙은 많은 도로 장애를 발생시키므로 각국 정부는 이러한 강설과 결빙에 대한 많은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응책 중에 하나로서 제설제를 이용한 도로 제설 작업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제설제는 통상 융설제와 마찰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마찰제는 노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재료로서 주로 모래를 사용하며, 융설제는 화학 반응으로 눈을 녹이는 재료로서 주로 염화물계 융설제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런 융설제를 살포하는 방법으로는 과거에는 고체 상태 그대로 도로에 살포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제설 작업의 속효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융설제를 수용액 상태로 제조하여 살포하거나 고체 상태의 융설제와 함께 살포하는 습윤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용액 상태로의 살포는 고체 살포 방식에 비하여 도로에서 비산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노면에 비교적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강설 이전에 수용액 상태의 융설제를 살포하면 노면 결빙이 미리 예방될 수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염화 칼슘(CaCl2, calcium chloride) 등의 이러한 융설제를 수용액 상태로 제조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데, 기존의 제설 용액 제조 장치는 생산되는 제설 용액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같은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공급되는 제설 용액의 경우라도 공급받을 때마다 제설 용액의 농도가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설 작업 작업이 요청되는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농도의 제설제 수용액이 제설제 살포 차량에 공급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제설 용액 제조 장치는 용액의 농도를 투입되는 제설제의 질량 대비 투입되는 물의 양으로 나누는 등의 어림 짐작 계산에 의존하여 산출하였으므로 목적하는 농도의 제설 용액을 지속적으로 적절히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적하는 농도의 용액을 생산,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는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생산되는 용액의 농도가 목적하는 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목표하는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입력받는 단계;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증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 초과인 경우,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감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질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매 양, 상기 교반기의 현재의 교반 속도가 유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용액 제조 장치의 용매 유입 배관으로 상기 용액 저장 탱크의 용액이 유입되어 보관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액 제조 장치의 용매 유입 배관으로 상기 용액 저장 탱크의 용액이 유입되어 보관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용매 유입 배관으로의 용매 유입이 차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교반기 및/또는 용액 저장 탱크의 드레인(drain) 밸브가 열리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이후에, 호퍼 및/또는 용액 저장 탱크에 구비되는 용매 살포 노즐(nozzle)을 통하여 용매가 분사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은 제설제를 녹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은 제설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CaCl2), 염화 나트륨(NaCl), 염화 마그네슘(MgCl)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정 농도 값은 20 웨이트 퍼센트(wt%, weight percent), 25 웨이트 퍼센트, 30 웨이트 퍼센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는 현재 농도 측정부; 목표하는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입력 받아 저장하는 설정 농도 값 기억부; 상기 설정 농도 값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을 감한 농도 차이 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농도 차이 값을 전달 받아, 상기 농도 차이 값에 따라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양수인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증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영(0)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음수인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감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영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영인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질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매 양, 상기 교반기의 현재의 교반 속도를 유지토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가 배관 동파 방지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용액 제조 장치의 용액을 용매 유입 배관으로 유입시켜 보관하고 용매의 유입은 차단하는 동파 방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 청소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수신부가 자가 청소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교반기 및/또는 용액 저장 탱크의 드레인 밸브를 개방시키고, 호퍼 및/또는 상기 용액 저장 탱크에 구비되는 용매 살포 노즐을 통하여 용매를 분사시키는 자가 청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은 제설제를 녹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은 제설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정 농도 값은 20 웨이트 퍼센트, 25 웨이트 퍼센트, 30 웨이트 퍼센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표하는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입력받는 단계;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는 현재 농도 측정부; 목표하는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입력 받아 저장하는 설정 농도 값 기억부; 상기 설정 농도 값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을 감한 농도 차이 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농도 차이 값을 전달 받아, 상기 농도 차이 값에 따라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하는 농도의 용액을 생산,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다양한 제설 작업 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농도의 제설 용액을 공급하여 보다 효율적인 제설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생산되는 용액의 농도가 사용자의 요구 하는 농도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되어 생산, 저장 및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는 생산 정지 중의 상황에서 고농도의 제설제 수용액을 용매 유입 배관 등에 유입 저장하여 부동액으로 활용함으로써,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주변 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자가 청소 기능을 통하여 본 발명은 부식 등의 발생이 쉬운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교반기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호퍼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호퍼 부분을 아래에서 투시하여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념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제설 용액이 생산되어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에서 농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방법을 순서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럭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 용매 유입 배관 내부로 용액이 유입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에서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 용매 또는 용액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에서 자가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자가 청소 기능 및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지 관리 모듈의 내부 구성을 블럭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1도 내지 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 1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도면 2도는 교반기 부분을, 도면 3도는 호퍼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4도는 호퍼 부분을 아래에서 투시하여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용액 저장 탱크(400)에서 측정하는 현재 농도 값이 기입력되는 목표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에 접근하도록 피드백(feedback)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피드백 제어의 핵심은 모터(210)(motor)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교반기(200)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impeller)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용액 저장 탱크(400)내에 저장된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모터(210)의 속도를 증가시켜 보다 농도가 진한 용액이 용액 저장 탱크(400)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용액의 전체 농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용액 저장 탱크(400) 내에 저장된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보다 농도가 연한 용액이 용액 저장 탱크(400)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용액의 전체 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도면 3도와 4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호퍼(300)(hopper)의 내부에 구비되는 용매 유입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매의 양을 조절하여서 용액 저장 탱크(400) 내에 저장되는 용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용매 유입부는 호퍼(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용매 유입 배관(310)과 호퍼(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용매 유입 배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호퍼(300) 하부에 구비되는 파쇄부(3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교반기(200) 내로 투입되는 용질 및/또는 용매의 양을 조절하여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저장되는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설정 농도 값에 다가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조절, 용매 및/또는 용질의 양 조절에 따른 농도 조절의 자세한 과정은 이하 도면을 통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념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에서 용액 저장 탱크(400) 내에 저장되는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는 과정은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구비되는 비중 측정부(410), 수위 측정부(42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위 측정부(420)가 측정하는 수위별로 비중 측정부(410) 내부에 구비되는 플로팅(floating) 모듈(module)과 비중 측정부(4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거리 측정 센서(sensor)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필요한 수위 측정부(420)가 측정한 수위별로 플로팅 모듈과 제1 거리 측정 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른 농도는 농도 메타(meta) 테이블(table)로 정리되어 미리 수록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용액 저장 탱크(400) 내에 저장되는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는 방식이 반드시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서만 측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용액 저장 탱크(400) 내에 저장된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적절히 측정할 수 있으면 그 외 다른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용액의 전도도나 굴절율을 사용하여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산출하여도 무관하다.
용액 저장 탱크(400)에 용액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부분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별하여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고형화된 제설제 등의 용질과 물 등의 용매를 투입받는 호퍼(300)(hopper) 부분이고, 나머지 하나는 호퍼(300)의 아래에 구비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임펠러를 이용하여 용매에 용질이 잘 혼합되도록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교반기(200)로 나눌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호퍼(300) 내에는 제1 용매 유입 배관(310)과 제2 용매 유입 배관(32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호퍼(300) 하부의 교반기(20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파쇄부(33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를 조절을 기본으로, 용매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매의 양 조절 및/또는 파쇄부(330)의 회전 속도 조절에 따른 용매 및/또는 용질 투입 양 조절을 통하여 용액 저장 탱크(400)에 저장되는 용액의 농도를 목적하는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매, 물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혼용이 가능하며, 용질, 제설제도 역시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혼용이 가능하다. 또한, 염화 칼슘(CaCl2, calcium chloride), 염화 나트륨(NaCl, sodium chloride), 염화 마그네슘(MgCl2, magnesium chloride)이라 단순히 기재되어 있어도 이는 용질과 같은 의미로 이해함이 타당하며, 본 발명에서 용액이라 함은 이러한 제설제가 물에 용해되어 있는 제설제 수용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용매를 물로써, 용질을 제설제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구현되는 것이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제설 용액이 생산되어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매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매, 특히 물은 제1 용매 유입 배관(310)과 제2 용매 유입 배관(320)을 통하여 호퍼(300) 내부로 분사되어 용질인 제설제를 녹이면서 호퍼(300)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호퍼(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맞물리는 기어(gear) 형식으로 형성되는 파쇄부(330)를 통하여 용질인 제설제는 더 잘게 파쇄되게 되고, 더 잘게 파쇄된 제설제가 섞인 제설 용액은 교반기(200)로 투입되게 된다. 교반기(2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용액에 녹아드는 용질의 양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제설제 수용액은 용액 저장 탱크(400)로 이동하게 되고, 용액 저장 탱크(400)는 필요 또는 요청에 따라 저장된 용액을 다시 대용량 용액 저장 탱크(500)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는 용액 저장 탱크(400)에서는 내부에 저장된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고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에 근접하도록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게 된다. 이 과정은 이하 도면을 통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에서 농도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방법을 순서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은 목표하는 용액의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 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7-1) 그리고, 용액 저장 탱크(400)에 저장되는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여(S7-2), 설정 농도 값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과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고(S7-3), 같은 경우에는 교반기(200)의 현재 교반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7-4) 여기에, 추가로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질 양과 현재의 용매 양도 그대로 유지되는 과정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만일,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과 상이한 경우에는,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 미만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S7-5),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 미만인 경우에는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증가,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증가, 용매의 양 감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이 선택되어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에 일치되도록 조절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가 증가되는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로 공급되는 용액의 농도가 현재 보다 낮아져야 하므로(S7-7),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는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감소,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증가,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감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선택하여 현재 농도 값이 설정 농도 값에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방법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를 감소시켜 공급되는 용액의 농도를 낮추는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은 이러한 피드백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하여, 제설 작업 상황에 맞추에 필요한 농도의 제설제를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럭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100)는 현재 농도 측정부(110), 설정 농도 값 기억부(120), 비교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액 제조 장치(100)의 현재 농도 측정부(110)는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저장되는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앞에 살펴보았던 비중 측정부(410)와 수위 측정부(420)를 이용하여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저장되는 용액의 농도를 적절하게 산출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설정 농도 값 기억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농도 값을 입력받아 기억 저장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설정 농도 값이라 함은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제설제 수용액이 달성되어야 할 농도 값을 지칭한다. 이 값은 통상적으로는 20 웨이트 퍼센트, 25 웨이트 퍼센트, 30 웨이트 퍼센트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부(130)는 설정 농도 값 기억부(120)에서 전달받은 설정 농도 값에서 현재 농도 측정부(110)에서 전달받은 현재 농도 값을 감한 값인 농도 차이 값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고, 제어부(140)는 비교부(130)가 산출한 농도 차이 값을 전달받아,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어부(140)가 수행하는 역할을 보다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비교부(130)로부터 전달받은 농도 차이 값이 양수인 경우에, 제어부(140)는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증가,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증가,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감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농도 차이 값이 영(0)이 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농도 차이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그 반대로 용액 저장 탱크(400) 내로 투입되는 용액의 농도가 낮아지도록 교반기(200)의 교반 속도 감소,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증가,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감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농도 차이 값이 영(0)이 되도록 조절한다. 또한, 농도 차이 값이 영(0)이 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교반기(200)의 현재 교반 속도,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교반기(200)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을 기억하고, 현재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동일한 농도의 용액이 용액 저장 탱크(4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140)의 이러한 조절 작업을 통하여,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100)는 제설 작업 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농도의 제설 용액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받은 설정 농도 값에 일치되는 농도의 제설제 수용액을 균일하게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 용매 유입 배관 내부로 용액이 유입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의 주변으로 배치되는 관로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용매 유입 배관에 용액 저장 탱크(400)의 용액을 주입하여 보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의 통상적으로 동절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제설제 수용액의 제조가 필요할 때만 한시적으로 구동되지 동절기 내내 연속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 정지 중인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의 용매 유입 배관 등이 영하의 날씨에서 동파되는 상황이 간혹 발생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저장되는 제설제 수용액을 용매 유입 배관으로 유입하여 저장함으로써, 용매 유입 배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농도의 제설제 수용액은 영하의 날씨에도 쉽게 얼지 않는데, 이러한 제설제 수용액을 부동액으로 활용하여 용매 유입 배관 등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 10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에서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확인되면(S10-1),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용매, 특히 물이 용매 유입 배관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시키고(S10-2),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있는 용액을 용매 유입 배관으로 유입하여 보관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3)
이러한 기능 수행을 통하여, 본 발명은 제설 용액 제조 장치의 주변 관로가 동절기에 동파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 용매 또는 용액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100)가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는 제설제 수용액 등의 용액 생산이 완료된 이후에 자가 청소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하는데, 이는 호퍼(300), 교반기(200),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잔여 용액을 드레인(drain) 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용매, 특히 물을 용매 유입 관로를 통하여 호퍼(300) 등에 주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 동안에, 교반기(200)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는 회전하면서 교반기(200) 내부가 더 깨끗하게 청소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인 용액 제조 장치에서 자가 청소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면(S12-1), 호퍼(300)와 용액 저장 탱크(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용매 살포 노즐을 통하여 용매가 분사되며(S12-2), 이러한 용매는 용매 유입 관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용매가 호퍼(300)나 용액 저장 탱크(400)내에 분사되고 있는 과정과 동시 또는 이시로 드레인 밸브(valve)가 열리는 과정이 수행되어(S12-3), 호퍼(300), 교반기(200) 또는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에 이물질이나 잔여 염화물 성분이 드레인 배관을 타고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자가 청소 기능을 통하여 본 발명은 부식 등의 발생이 쉬운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설 용액 제조 장치에서 자가 청소 기능 및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지 관리 모듈의 내부 구성을 블럭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가 청소 기능과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유지 관리 모듈(600)은 제1 수신부(610), 제2 수신부(620), 동파 방지 제어부(630), 자가 청소 제어부(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신부(610)는 사용자로부터 배관 동파 방지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신하여 동파 방지 제어부(6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동파 방지 제어부(630)는 용액 저장 탱크(400)의 용액을 용매 유입 배관으로 유입시켜 보관하는 작업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용매 유입은 차단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신부(620)는 사용자로부터 자가 청소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자가 청소 제어부(6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자가 청소 제어부(640)는 호퍼(300) 및/또는 용액 저장 탱크(400)에 구비되는 살포 노즐을 통하여 용매를 분사하는 동시에 교반기(200) 및/또는 용액 저장 탱크(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드레인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호퍼(300), 교반기(200), 용액 저장 탱크(400)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하는 농도의 용액을 일정하게 각종 제설 상황에 맞추어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제설 용액 제조 장치(1000)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용액 제조 장치
110 : 현재 농도 측정부
120 : 설정 농도 값 기억부
130 : 비교부
140 : 제어부
200 : 교반기
210 : 모터
300 : 호퍼
310 : 제1 용매 유입 배관
320 : 제2 용매 유입 배관
330 : 파쇄부
400 : 용액 저장 탱크
410 : 비중 측정부
420 : 수위 측정부
500 : 대용량 용액 저장 탱크
600 : 유지 관리 모듈
610 : 제1 수신부
620 : 제2 수신부
630 : 동파 방지 제어부
640 : 자가 청소 제어부
1000 : 제설 용액 제조 장치

Claims (24)

  1. 배관 동파 방지 기능 또는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선택되면, 용액 제조 장치의 용매 유입 배관으로 용액 저장 탱크의 용액이 유입되어 보관되는 단계;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면, 교반기 또는 용액 저장 탱크의 드레인(drain) 밸브가 열리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배관 동파 방지 기능이 선택되면, 용액 제조 장치의 용매 유입 배관으로 용액 저장 탱크의 용액이 유입되어 보관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용매 유입 배관으로의 용매 유입이 차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면, 교반기 또는 용액 저장 탱크의 드레인(drain) 밸브가 열리는 단계 이전에,
    호퍼 또는 용액 저장 탱크에 구비되는 용매 살포 노즐(nozzle)을 통하여 용매가 분사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배관 동파 방지 기능 또는 자가 청소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이전에,
    목표하는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입력받는 단계;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이 측정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증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농도 값과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비교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 초과인 경우,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는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감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이 되도록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현재 농도 값이 상기 설정 농도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질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매 양, 상기 교반기의 현재의 교반 속도가 유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은 제설제를 녹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은 제설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CaCl2), 염화 나트륨(NaCl), 염화 마그네슘(MgCl)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농도 값은
    20 웨이트 퍼센트(wt%, weight percent), 25 웨이트 퍼센트, 30 웨이트 퍼센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의 구동 방법.
  13. 배관 동파 방지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자가 청소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가 배관 동파 방지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용액 제조 장치의 용액을 용매 유입 배관으로 유입시켜 보관하고 용매의 유입은 차단하는 동파 방지 제어부;
    상기 제2 수신부가 자가 청소 기능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교반기 또는 용액 저장 탱크의 드레인 밸브를 개방시키고, 호퍼 또는 상기 용액 저장 탱크에 구비되는 용매 살포 노즐을 통하여 용매를 분사시키는 자가 청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의 현재 농도 값을 측정하는 현재 농도 측정부;
    목표하는 용액 농도인 설정 농도 값을 입력 받아 저장하는 설정 농도 값 기억부;
    상기 설정 농도 값에서 상기 현재 농도 값을 감한 농도 차이 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 상기 농도 차이 값을 전달 받아, 상기 농도 차이 값에 따라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양수인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증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영(0)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음수인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의 양 감소,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매의 양 증가, 상기 교반기의 교반 속도 감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영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차이 값이 영인 경우,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질 양,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현재의 용매 양, 상기 교반기의 현재의 교반 속도를 유지토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저장 탱크 내의 용액은 제설제를 녹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 용질은 제설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제는
    염화 칼슘, 염화 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농도 값은
    20 웨이트 퍼센트, 25 웨이트 퍼센트, 30 웨이트 퍼센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장치.
  23. 삭제
  24. 삭제
KR1020180031758A 2018-03-19 2018-03-19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64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8A KR102643015B1 (ko) 2018-03-19 2018-03-19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8A KR102643015B1 (ko) 2018-03-19 2018-03-19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89A KR20190109989A (ko) 2019-09-27
KR102643015B1 true KR102643015B1 (ko) 2024-03-04

Family

ID=6809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58A KR102643015B1 (ko) 2018-03-19 2018-03-19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0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588A (ja) * 2002-12-27 2004-07-29 Watanabe Kikai Kogyo Kk 塩水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並びに装置
KR100676406B1 (ko) * 2005-02-03 2007-01-30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 제설제 교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07B1 (ko) * 1998-03-05 200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588A (ja) * 2002-12-27 2004-07-29 Watanabe Kikai Kogyo Kk 塩水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並びに装置
KR100676406B1 (ko) * 2005-02-03 2007-01-30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 제설제 교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89A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5896A (ko) 폐 염화칼슘 재활용 액상 제조 기능을 구비한 액상 제설제 가열 살포장치 및 다목적 차량용 살수장치
KR101467832B1 (ko)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102643015B1 (ko)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21428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a liquid
KR101988542B1 (ko) 제설제 로딩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저장 탱크
KR101907066B1 (ko) 용액 제조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565568B1 (ko) 초산칼륨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액상 동결방지제 분사장치
KR102119028B1 (ko) 도로 결빙 방지시스템
KR101888992B1 (ko) 저장 용액 넘침 방지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109975A (ko)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471399B1 (en) Brine maker
KR101907076B1 (ko)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6141124A (zh) 铅条自动成型机
CN217127456U (zh) 熔融液态渣综合处理系统
CN208072131U (zh) 一种带混合搅拌加热的道路施工沥青拉车
KR20160090501A (ko) 염수용액 제조 살포장치
KR100998197B1 (ko) 염수 제조시간을 단축한 컨트롤장치
CN208235292U (zh) 一种沥青路面养护车
RU2693256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ылеобразования пр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и горной массы
KR200396225Y1 (ko) 눈을 사용하여 제설액을 제조 후 살포하는 장치
KR20190107382A (ko) 저장 용액 넘침 방지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91954B1 (ko) 유화아스팔트 공급장치
CN207682653U (zh) 一种盾构机废弃泥浆的稠度调节装置
JP2014125748A (ja) 凍結防止液生成貯蔵装置
KR100833330B1 (ko) 즉각적인 주수 중단이 가능한 염수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