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960B1 -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960B1
KR102642960B1 KR1020210171850A KR20210171850A KR102642960B1 KR 102642960 B1 KR102642960 B1 KR 102642960B1 KR 1020210171850 A KR1020210171850 A KR 1020210171850A KR 20210171850 A KR20210171850 A KR 20210171850A KR 102642960 B1 KR102642960 B1 KR 10264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filter
hydrogen
producing hydrogen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3659A (ko
Inventor
최현철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9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inorganic compounds, e.g. ammonia
    • C01B3/047Decomposition of 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2/00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J12/007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gaseous media with gaseous media;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 the presence of catalytically active bodies, e.g. porou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82Composition of suppor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를 포함하고,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 및 상기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압력순환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촉매는 다수 개의 유로 형태의 셀을 포함하며, 각 셀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폐쇄된 구조이고, 전면이 폐쇄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APPARATUS OF PRODUCING HYDROGEN FROM AMMONIA AND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USING THE SAME}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수소 제조 방법은 활성금속이 담지되어 있는 촉매와 500℃ 이상 고온의 암모니아 가스를 접촉시켜 암모니아를 질소와 수소로 분해시키는 촉매 분해 반응기,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미전환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흡착 제거 장치, 그리고 질소가 포함된 수소를 정제하는 압력순환흡착기(PSA)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암모니아의 분해반응은 흡열반응이며, 아래 반응식과 같이 표준조건에서 흡열량은 46 kJ/mole 이다.
NH3 (g) → 0.5 N2 (g) + 1.5 H2 (g) ΔHf = 46 kJ/mole (2.70 kJ/g)
이는 석유화학 반응 중 대표적인 흡열반응인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 SM)를 제조하는 에틸벤젠(ethylbenzene, EB) 탈수소화 반응(EBSM 반응)과 비교하면, 암모니아 분해반응의 흡열량이 단위 질량당 EBSM 반응의 약 2.45배 정도임을 알 수 있다.
EB (g) → SM (g) + H2 (g) ΔHf = 117 kJ/mole (1.10 kJ/g)
따라서, 단열(adiabatic) 조건에서 외부 열 전달만으로는 암모니아 분해반응에 의한 반응기 내 온도 하락을 막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반응온도 하락에 의한 암모니아 분해 촉매 활성의 급격한 감소를 예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전환 암모니아가 다량 발생하게 되고, 수소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압력순환흡착기(PSA)에 다량의 암모니아 가스가 유입될 경우 수소 생산 효율 감소와 고순도 수소 생산의 어려움이 발생하여, 촉매 분해 반응기와 압력순환흡착기(PSA) 사이에 미전환된 암모니아를 흡착 제거하는 설비가 필수적이다.
흡착 제거 설비는 미전환된 암모니아를 손쉽게 흡착을 통해 제거할 수 있지만, 흡착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촉매 분해 반응기 후단의 혼합가스를 100℃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혼합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는 부식성 가스로 암모니아를 포함한 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내부식성 재질의 열교환기가 필요하다.
또한, 흡착 제거 설비는 연속운전을 위해서 1기는 미전환 암모니아 제거를 위해, 또 다른 1기는 흡착제 재생 또는 준비(stand-by) 상태로 최소 2기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어, 장치 제작 비용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아울러, 흡착제 재생을 위해서는 고온의 질소가 필요하고, 재생가스인 질소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가열로는 투자비 및 운전비를 높이게 한다. 재생에 공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암모니아가 흡착된 흡착제와 고온의 공기가 반응하게 되면, 유해한 질소산화물이 발생하게 되어 질소 산화물을 저감하는 별도의 설비, 예를 들어,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 필요하기에, 흡착제 재생가스로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흡착제 재생 단계에서 흡착제를 통과한 질소 가스는 흡착제에 있던 암모니아를 포함하게 되어,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흡수 제거하는 암모니아 흡수탑과 암모니아가 용해된 물을 처리하는 별도의 환경설비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수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미전환 암모니아를 흡착 제거하기 것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양한 부속설비가 필요하여, 투자비와 운전비가 과도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 구현예는 미전환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공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흡착 공정으로 인한 부속설비들도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정이 단순해지고 투자비 및 운전비가 크게 절감되는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를 이용한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를 포함하고,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 및 상기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압력순환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촉매는 다수 개의 유로 형태의 셀을 포함하며, 각 셀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폐쇄된 구조이고, 전면이 폐쇄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암모니아의 분해는 상기 필터형 촉매의 상기 셀의 개방된 전면으로 암모니아가 주입되어 분해되고 셀의 벽면을 통해 상기 셀의 개방된 후면으로 수소 및 질소가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는 상기 필터형 촉매를 다층 구조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암모니아는 상기 필터형 촉매의 전단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필터형 촉매의 다층 구조 사이로 분산되어 주입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에 주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는 동일 층에 복수 개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분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는 활성금속이 담지체에 담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금속은 Ru, Pt, Pd, Rh, Cr, Cu, Te, Se, Pb, Ir, Re, Ni, Co, Fe, V, W, Zr, Ce, L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실리콘카바이드, 지르코니아, 타이타니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금속은 상기 촉매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단계; 및 압력순환흡착기에서 상기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촉매는 다수 개의 유로 형태의 셀을 포함하며, 각 셀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폐쇄된 구조이고, 전면이 폐쇄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미전환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공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흡착 공정으로 인한 부속설비들도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정이 단순해지고 투자비 및 운전비를 크게 절감하면서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흡착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암모니아 단위무게 당 수소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수소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촉매 분해 반응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이하, 구현예들에 대하여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에 대해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10)는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20), 그리고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압력순환흡착기(40)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2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30)를 포함한다. 촉매 분해 반응기(20)에 주입된 암모니아는 100℃ 이상의 고온의 암모니아 가스로서, 상기 필터형 촉매(30)와 접촉하여 암모니아 분해 반응이 일어나 수소 및 질소로 분해될 수 있다.
암모니아 분해 반응은 흡열량이 매우 큰 흡열 반응으로, 기존 형태의 촉매를 사용한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는 반응기 내 온도 하락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촉매 활성이 급격히 감소된다. 따라서 촉매 활성에 의해 암모니아 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는 암모니아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아 미전환된 암모니아가 남게 된다. 수소를 고순도로 정제하는 압력순환흡착기에 암모니아가 유입될 경우 수소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고순도 수소를 얻기도 힘들다.
일 구현예에 따른 필터형 촉매(30)는 800℃ 이상의 고온에 노출되어도 담지체의 성상 및 물성이 변하지 않으며 활성금속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촉매와 달리 일 구현예에 따른 필터형 촉매(30)를 촉매 분해 반응기(2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함으로써, 높은 촉매 활성이 유지되어 암모니아를 수소 및 질소로 분해할 수 있어 미전환된 암모니아가 남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분해된 수소 및 질소는 압력순환흡착기(40)로 유입되어 수소 생산 효율이 증가하고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잔류하는 미전환된 암모니아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이를 흡착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흡착 공정의 경우 흡착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1차 분해된 혼합가스의 온도를 낮춰야 함에 따라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열교환기를 갖춰야 한다. 뿐만 아니라, 흡착 공정의 연속 운전을 위해 흡착제 재생을 준비하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며, 흡착제 재생에 필요한 고온의 질소를 제공하기 위해 질소의 온도를 높이는 별도의 가열로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흡착제에 흡착된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해 흡수탑과 암모니아가 용해된 물을 처리하는 별도의 환경설비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미전환된 암모니아 분해를 위한 종래의 흡착 공정은 다양한 부속설비가 필요하고 이러한 투자비 및 운전비가 과도하게 투입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필터형 촉매(30)를 사용한 촉매 분해 반응기(20)를 통과할 경우 암모니아는 수소 및 질소로 효율적으로 분해되므로 흡착 공정이 필요 없으며, 이 경우 흡착 공정으로 인한 다양한 부속설비들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공정이 단순해지고 투자비 및 운전비가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흡착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암모니아 단위무게 당 수소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30)는 다수 개의 셀로 구성되며, 각 셀은 유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로 형태의 각 셀은 암모니아 가스가 유입되는 전면과 암모니아가 분해되어 수소 및 질소가 배출되는 후면을 가지며, 이때 각 셀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후면은 폐쇄된 구조를, 반대로 전면이 폐쇄되어 있으면 후면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셀에서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반대로 전면이 폐쇄된 셀은 해당 셀의 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암모니아는 필터형 촉매(30)의 다수 개의 셀의 개방된 전면으로 주입되면 촉매의 활성에 따라 셀 내부에서 수소 및 질소로 분해되고, 수소 및 질소는 셀 내부의 벽을 통과하여 다수 개의 셀의 개방된 후면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필터형 촉매(30)에 암모니아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미전환된 암모니아 없이 수소 및 질소로 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30)는 촉매 분해 반응기(20) 내에 적어도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6개로 포함될 수 있다. 필터형 촉매(30)가 상기 범위와 같이 다수 개 포함되는 경우 암모니아를 분산 주입할 수 있어 촉매 분해 반응기의 온도를 일정 수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촉매의 높은 활성이 유지됨으로써 암모니아를 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형 촉매(30)를 다층 구조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촉매 분해 반응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촉매 분해 반응기의 일 예시를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고하면, 필터형 촉매(30)는 다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암모니아는 필터형 촉매(30)의 전단으로 주입되거나, 필터형 촉매(30)의 다층 구조 사이, 즉, 한 층의 필터형 촉매와 다른 한 층에 배치된 필터형 촉매 사이로 분산되어 주입될 수 있고, 또는 이들 모두에 주입될 수도 있다.
필터형 촉매(30)를 다층 구조로 가지는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암모니아 분해 반응은 흡열 반응으로서 암모니아 분해에 의한 반응 온도의 하락을 감안하여, 촉매 부피당 암모니아 처리량을 계산하여, 암모니아 분해 반응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암모니아 가스량을 층 마다 분산하여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30)는 예를 들면, 한 층 내지 10개 층, 한 층 내지 8개 층, 한 층 내지 6개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30)는 동일 층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터형 촉매는 동일 층에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6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스 분산판(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산판(35)은 암모니아가 다수 개의 셀로 구성된 필터형 촉매(30)에 주입될 때 고르게 분산되어 주입되도록 역할을 하며, 촉매의 활성을 최대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필터형 촉매(30)는 활성금속이 담지체에 담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금속은 Ru, Pt, Pd, Rh, Cr, Cu, Te, Se, Pb, Ir, Re, Ni, Co, Fe, V, W, Zr, Ce, L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800℃ 이상의 고온에서 비표면적, 결정상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적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지체는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실리콘카바이드, 지르코니아, 타이타니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금속은 촉매, 즉, 활성금속이 담지체에 담지된 촉매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활성금속이 담지체에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어 있는 촉매를 사용할 경우 활성금속 무게 당 암모니아 분해 반응의 활성을 증가시켜 미전환된 암모니아의 비율을 낮추고 수소 및 질소로 분해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압력순환흡착기(40)에서는 필터형 촉매(30)를 통과하여 배출된 수소 및 질소의 혼합가스로부터 고순도의 수소를 정제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를 통해, 전술한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단계; 및 압력순환흡착기에서 상기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필터형 촉매, 촉매 분해 반응기 및 압력순환흡착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에 따르면, 8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운전이 가능한 필터형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암모니아를 분해할 수 있고 미전환된 암모니아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전환된 암모니아 제거를 위한 별도의 흡착 공정 없이 암모니아 분해를 통해 얻어진 수소 및 질소를 압력순환흡착기로 도입하여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암모니아 단위무게당 수소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투자비 및 운전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를 포함하고, 공급되는 암모니아의 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 및
    상기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압력순환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촉매는 암모니아 분해 촉매이며,
    상기 필터형 촉매는 다수 개의 유로 형태의 셀을 포함하며, 각 셀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폐쇄된 구조이고, 전면이 폐쇄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암모니아의 분해는 상기 필터형 촉매의 상기 셀의 개방된 전면으로 암모니아가 주입되어 분해되고 셀의 벽면을 통해 상기 셀의 개방된 후면으로 수소 및 질소가 배출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는 상기 필터형 촉매를 다층 구조로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4. 제3항에서,
    암모니아는 상기 필터형 촉매의 전단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필터형 촉매의 다층 구조 사이로 분산되어 주입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에 주입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필터형 촉매는 동일 층에 복수 개로 포함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분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필터형 촉매는 활성금속이 담지체에 담지된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활성금속은 Ru, Pt, Pd, Rh, Cr, Cu, Te, Se, Pb, Ir, Re, Ni, Co, Fe, V, W, Zr, Ce, L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담지체는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실리콘카바이드, 지르코니아, 타이타니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활성금속은 상기 촉매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필터형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분해 반응기에서, 공급되는 암모니아의 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수소 및 질소를 배출하는 단계; 및
    압력순환흡착기에서 상기 배출된 수소 및 질소로부터 수소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촉매는 암모니아 분해 촉매이며,
    상기 필터형 촉매는 다수 개의 유로 형태의 셀을 포함하며, 각 셀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폐쇄된 구조이고, 전면이 폐쇄되어 있으면 해당 셀의 후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암모니아를 분해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형 촉매의 상기 셀의 개방된 전면으로 암모니아가 주입되어 분해되고 셀의 벽면을 통해 상기 셀의 개방된 후면으로 수소 및 질소가 배출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는 상기 필터형 촉매를 다층 구조로 포함하고,
    암모니아는 상기 필터형 촉매의 전단으로 주입되거나, 상기 필터형 촉매의 다층 구조 사이로 분산되어 주입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에 주입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필터형 촉매는 동일 층에 복수 개로 포함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5. 제11항에서,
    상기 촉매 분해 반응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분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6. 제11항에서,
    상기 필터형 촉매는 활성금속이 담지체에 담지된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활성금속은 Ru, Pt, Pd, Rh, Cr, Cu, Te, Se, Pb, Ir, Re, Ni, Co, Fe, V, W, Zr, Ce, L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8. 제16항에서,
    상기 담지체는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코디어라이트, 실리콘카바이드, 지르코니아, 타이타니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19. 제16항에서,
    상기 활성금속은 상기 촉매의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방법.
KR1020210171850A 2021-12-03 2021-12-03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KR10264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50A KR102642960B1 (ko) 2021-12-03 2021-12-03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50A KR102642960B1 (ko) 2021-12-03 2021-12-03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659A KR20230083659A (ko) 2023-06-12
KR102642960B1 true KR102642960B1 (ko) 2024-03-04

Family

ID=8677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850A KR102642960B1 (ko) 2021-12-03 2021-12-03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199B1 (ko) * 2020-12-28 2021-05-04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를 이용한 고순도 수소 제조방법, 이를 위한 제조장치 및 on-site형 모듈 시스템
KR102256907B1 (ko) 2019-12-24 2021-05-27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 기반의 On-site 수소충전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149B1 (ko) * 2010-04-21 2016-06-20 희성촉매 주식회사 암모니아 분해 모듈을 가지는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장치
CA2981060A1 (en) * 2015-03-30 2016-10-06 Basf Corporation Multifunctional filters for diesel emission control
GB2562160B (en) * 2017-03-20 2021-06-23 Johnson Matthey Plc Catalytic wall-flow filter with an ammonia slip cataly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07B1 (ko) 2019-12-24 2021-05-27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 기반의 On-site 수소충전소
KR102247199B1 (ko) * 2020-12-28 2021-05-04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를 이용한 고순도 수소 제조방법, 이를 위한 제조장치 및 on-site형 모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659A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8509A (en) Gas purifying process and gas purifying apparatus
US6964692B2 (en) Carbon monoxide adsorption for carbon monoxide clean-up in a fuel cell system
US7361199B2 (en) Combined water gas shift reactor/carbon dioxide adsorber for use in a fuel cell system
KR102107135B1 (ko) 수성가스전환 반응공정과 통합된 압력변환흡착 분리정제 시스템 및 공정
JP5013633B2 (ja) 亜酸化窒素精製方法
JP2021161006A (ja) アンモニア改質型水素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モニア改質型水素供給方法
US3969481A (en) Process for generating ultra high purity H2 or O2
JP2006342014A (ja) 高純度水素製造方法
JPH024753A (ja) ニトリルおよびオキシドの製造法
Harrison et al. Low-carbon monoxide hydrogen by sorption-enhanced reaction
KR102642960B1 (ko)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KR101586593B1 (ko) 가스 흡착 분리 장치
EP1894611B1 (en) Method for gas purification
KR102262103B1 (ko) 플라즈마 장치를 포함하는 개질 시스템
CN210214801U (zh) 氧气纯化装置
US7618477B2 (en) Plane structure formed from a matrix and phase change material usable for treating gases
EP1817099B1 (en) Process for employing reverse flow reactor
KR20240062775A (ko)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JP2010201373A (ja) ガス処理装置
KR20230084018A (ko) 암모니아로부터의 수소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
JPS6241701A (ja) メタノ−ル分解装置の圧力スイング式ガス分離器
JP5237870B2 (ja) 高純度水素製造方法
JP2507296B2 (ja) メタノ−ル改質水素製造方法
US7175821B2 (en) Reactor and process for reducing emissions of CO and NOx
CN111491711A (zh) 提纯气体的制造装置以及提纯气体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