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828B1 -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828B1
KR102642828B1 KR1020210069020A KR20210069020A KR102642828B1 KR 102642828 B1 KR102642828 B1 KR 102642828B1 KR 1020210069020 A KR1020210069020 A KR 1020210069020A KR 20210069020 A KR20210069020 A KR 20210069020A KR 102642828 B1 KR102642828 B1 KR 10264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rd
sheet
present
transpar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858A (ko
Inventor
유정희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1006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8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single light or small number of lights capable of being switched on or off, e.g. a series of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1Mark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6K19/070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multilayered, e.g. laminated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안테나(112)에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22)를 포함하고 있는 투명시트(120)와;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에 존재하고,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상면 방향으로 투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단시트(13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저면시트(140)가 서로 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드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절단면(152)를 가지고 있는 모서리부(15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빛을 발생할 경우, 상기 모서리부(150)의 상기 절단면(152)에서 빛의 굴절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카드의 테두리를 따라서 빛의 띠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A Card illuminating the edges thereof and method of illumin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단말장치에 접근할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직진하여 카드의 모서리에 도착하고, 그 모서리에서 불규칙하게 굴절함으로써, 카드의 모서리에서 발광하는 모습을 연출하게 되는 카드 및 그 발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하여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경제활동을 다양한 모습으로 영위하고 있다.
오늘날 일반화된 플라스틱 카드는 다수의 박막 플라스틱 시트를 합지하고, 박막의 각 플라스틱 시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박막 시트와 박막 시트의 사이에 다양한 기능성 수단을 내장시킴으로써, 플라스틱 고유의 사용용도 내지 그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는 단말장치에 직접 접촉시켜서 소유자의 금전 정보 등을 인식하도록 하고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접촉식 카드와, 단말장치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카드에 내장된 금융 정보 등을 단말장치에서 읽어들여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비접촉식 카드로 나눌 수 있다.
접속식 카드의 경우, 소유자가 카드를 단말기의 투입구에 넣으면, 단말기의 접촉단자가 플라스틱 카드의 IC칩에 접촉되어지고, IC칩에 내장되어 있는 소유자의 금융정보 등을 단말장치가 읽어들여서, 소정의 거래 행위를 시작하거나 거래행위를 완성하게 된다.
비접속식 카드의 경우에는, 소유자가 단말장치에 직접 카드를 접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유효 거리의 범위 내에 있으면, 단말장치와 플라스틱 카드에 내장된 전기적 소자 등이 상호간의 인터페이싱 과정을 거쳐서, 단말장치와 플라스틱 카드 사이에서 소정의 거래 행위를 시작하거나 거래행위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접촉식 카드의 경우에는, 단말장치와 플라스틱 카드의 접촉점이 서로 접촉되는 순간에, 상기 단말장치에서 순간적으로 플라스틱 카드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지고, 그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소정의 금융 정보가 상호간에 인터페이싱 되어진다.
이때, 엘이디 내장 플락스틱 카드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순간적으로 흘러가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하여, 플라스틱 카드에 엘이디 소자와 같은 발광체를 내장시키고, 그 발광체가 순간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엘이디 발광체가 순간적으로 발광하게 되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가 단말장치에서 인식되어 작동되는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반짝거리는 발광체로 인하여 흥미를 일으키게 되어, 플라스틱 카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현행 발광체를 내장한 플라스틱 카드는 단말장치에 투입하여 사용할 경우, 순간적으로 반짝거리다가, 곧바로 사라져 버려서,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발광체가 작동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몇몇 기술을 보완하거나 개선한 선행기술들이 등장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거나 실제로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07192호 (등록일: 2006. 7. 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38716호 (공개일: 2006. 5.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64135호 (공개일: 2006. 6. 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115826호 (공개일: 2014. 10.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19249호 (등록공고일: 2003. 7. 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6653호 (등록공고일: 2002. 11. 30.)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단말장치에 접근할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직진하여 카드의 모서리에 도착하고, 그 빛이 카드의 모서리에서 불규칙하게 굴절하게 됨으로써, 카드의 모서리에서 발광하는 모습을 연출하게 되는 카드 및 그 발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는,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안테나 시트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안테나(112)에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22)를 포함하고 있는 투명시트(120)와;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에 존재하고,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상면 방향으로 투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단시트(13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저면시트(140)가 서로 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드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절단면(152)를 가지고 있는 모서리부(15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본 발명의 카드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코일 안테나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의 배치 구조는 종래 기술들과는 다르게 설치되어진다. 종래 기술은 통상적으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표면방향으로 향한 빛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의 방향으로 향하여 각각의 모서리 방향으로 직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외부로 빛이 나가게 될 경우, 그 빛이 상기 모서리부에서 불규칙하게 굴절되어 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서리부에서 마치 일련의 선으로 배열한 발광체 라인을 형성한 것처럼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명시트의 가장 자리의 단면을 미세하게 불규칙한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 직진하는 빛을 이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 직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를 단말장치(M)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M)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M)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코일 안테나(1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로부터 빛(L)을 발생시키는 제1 단계(S 210)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 중에서,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과,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경계면 또는 저면 시트(140)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빛(Lr)을 이용하되, 상기 직진하는 빛(Li)과 상기 반사되는 빛(Lr)으로 하여금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카드의 가장자리로 진행하여 나가도록 유도하는 제2 단계(S 220)와;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직진하던 빛(Li)과 상기 반사되던 빛(Lr)이 상기 투명시트(120)의 가장자리에 있는 모서리부분(150)의 절단면(52)에 이르렀을 때, 상기 모서리부분(150)의 절단면(152)에서 상호간에 불규칙하게 굴절현상을 일으키면서 카드의 외부로 투사되어 나가도록 하는 제3 단계(S 230)와;
사용자가 상기 모서리부분(150)의 절단면(152)에서 불규칙하게 굴절되어지면서 외부로 투사되는 빛에 의해, 카드의 모서리부분(150)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제4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카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장치(M)의 근처로 가져가게 될 경우,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이 상기 투명 시트(120)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부분(150)으로 진행하게 되고, 그곳에서 외부로 투사되어 나갈 때, 불규칙한 굴절반응을 일으켜서, 상기 각 모서리부분(150)을 따라 매우 밝고 선명한 빛으로 발광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는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장치에 접근시킬 경우, 카드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밝고 선명한 빛의 띠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카드는, 사용시마다 그 모서리부분에서 발광하게 됨으로써, 독특한 카드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카드의 일종이지만, 종래의 카드와는 달리, LED의 빛을 특정한 방식으로 한정하여 활용함으로써, 카드의 독자적인 차별화를 달성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에 관한 개념도로서, 평상시의 카드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관한 개념도로서,
도 2a는 카드 내부의 발광소자(122)로부터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의 경로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고,
도 2b는 카드 내부의 발광소자(122)로부터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직진하는 빛(Li)의 경로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며,
도 2c는 카드의 발광소자(122)로부터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직진하는 빛(Lr)의 경로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각 모서리 부분에서 빛의 띠를 나타내 보여주는 사진자료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상면이라 함은 기준이 되는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그 위쪽에 존재하는 면을 의미하고, 저면이라 함은 상기 상면의 반대쪽으로서 기준이 되는 구성요소의 아래쪽에 존재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단말장치(M)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M)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코일 안테나(112)는 단말장치(M)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M)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그 내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코일 안테나(112)는, 본 발명의 카드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M)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영역 내에서 변화를 겪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코일 안테나(112)의 내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코일 안테나(112)는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면, 그 유도전류를 발광소자(122)로 보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안테나(112)는 발광소자(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는 투명시트(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투명시트(120)가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보호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 시트(110)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안테나(112)를 보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시트(120)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상면에서 보호한다는 점은,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는 서로 다른 박막 시트인 것이고, 상기 투명시트(12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서로 다른 박막 시트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서는 PP(폴리프로필렌)수지, PE(폴리에틸렌)수지, PS(폴리스티렌)수지,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박막 플라스틱 시트로서 외부의 충격 또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필요한 강도 및 기타 물성 등을 고려할 때, PET 수지 또는 PC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그 내부에 발광소자(122)를 설치하여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122)는 상기 코일 안테나(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112)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경우, 그 유도전류를 받아서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122)는 유도전류를 받아서 빛(L)을 발생시킬 경우, 그 빛(L)을 한쪽 방향으로 향하여 직진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122)는 빛을 발생시키는 LED 광원이 카드의 내부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한쪽 방향'이라 함은 상기 투명시트(120)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하고, 그 중에서도 상기 발광소자(12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투명시트(120)의 넓이가 더 크고 더 많게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카드 내부의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이라 함은 카드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박막 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박막 시트들이 차곡 차곡 배열되어 접착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의 상면과 저면의 표면에 대해 직각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은 본 발명의 카드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시트(120)를 따라 상기 투명시트(120)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퍼져 나가거나, 소정의 경사를 이루어 퍼져나가게 될 때,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와 저면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 중에서, 본 발명의 투명시트(110)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시트(120)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퍼져 나가는 빛(Li)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도 2c는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 중에서, 본 발명의 투명시트(110)의 내부에서, 소정의 경사를 이루어 퍼져나가면서,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와 저면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는 빛(Lr)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은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직진하여 진행하는 빛(Li)과, 상기 투명시트(120)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는 빛(Lr)과, 그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 직진해서 나가는 빛(L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빛(L) =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직진하는 방향의 빛(Li) +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는 빛(Lr) + 기타 방향의 빛(Le)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22)의 배치 구조는 종래 기술들과는 다르게 설치되어진다. 종래 기술은 통상적으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표면방향으로 향한 빛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투명시트의 내부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의 방향으로 향하여 각각의 모서리 방향으로 직진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에 존재하고,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상면 방향으로 투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단시트(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단시트(130)는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이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Le)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차단시트(130)는 상기 발광소자(122)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시트(13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발광소자(122)의 위치 및 그 설치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도록 해주고, 설혹 상기 발광소자(122)가 발광될 경우에도 외부에서 이를 잘 인식할 수 없도록 해준다. 더구나, 상기 발광소자(122)가 빛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시트(130)에 가려져 있어서, 그 모습이 외부에서 전혀 관찰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트(13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의 상당한 분량이 카드의 표면으로 직접 방사되어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을 잘 인식할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차단시트(130)의 존재 및 그 배치 구조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면 시트(140)는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로서는 PVC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저면 시트(140)의 표면에는 다양한 문자 또는 디자인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저면시트(140)가 서로 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드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모서리부분(1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서리부분(150)은 플라스틱 카드의 형태로 절단한 절단면(15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절단면(152)은 한 장의 플라스틱 카드 시트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플라스틱 카드로 재단하는 톰슨 절단기 또는 레이저기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외부로 빛이 나가게 될 경우, 그 빛이 상기 모서리부에서 불규칙하게 굴절되어 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서리부에서 마치 일련의 선으로 배열한 발광체 라인을 형성한 것처럼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명시트의 가장 자리의 단면을 미세하게 불규칙한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발생된 빛(L)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상기 모서리 부분(150)에 이르게 되고, 상기 절단면(152)에서 외부로 투사되어 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단말장치(M)에 접근시키거나 그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코일 안테나(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에서 빛(L)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122)에 의해 발생된 빛(L)은, 상기 발광소자(122)의 배치구조에 의해 상기 투명시트(120)의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되어진다. 상기 투명 시트(120)의 내부에서는,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직진하여 상기 절단면(152)에 도달하는 빛(Li)과, 상기 투명 시트(120)의 상부 경계면과 저부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절단면(152)에 도달하는 빛(Lr)과, 그 이외의 빛(L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시트(120)의 내부를 거쳐서 상기 절단면(152)에 도달하는 각각의 빛(Li) 및 빛(Lr)은, 상기 투명 시트(120)의 플라스틱 재질과 공기의 재질이 다른 것이어서, 그 절단면의 경계면에서 각각 다르게 굴절되어지거나 복굴절 현상을 일으키면서, 외부로 투사되어 나오게 된다. 외부로 굴절되거나 복굴절되어 나가는 빛(Lf)은 다양한 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절단면(152)을 따라 일종의 선(line)을 이루면서 발광되어지는 것처럼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카드(100)를 단말장치(M)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본 발명의 카드(100)의 네모진 모서리 부분(150)에서는 일종의 빛의 띠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러한 모습은 사용자의 육안으로 그대로 들어오게 된다.
이에 반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카드(100)를 단말장치(M)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거나, 평소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아무런 빛을 내지 않고, 더구나 상기 발광소자(122)가 상기 차단시트(130)에 의해 가려져 있음므로,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게 되고,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와 동일한 모습을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100)는 상기 발광소자(122)와 투명시트(120)와 차단시트(130) 및 모서리 부분(150) 등의 배치 구조를 종래 기술들과는 다르게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카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장치(M)의 근처로 가져가게 될 경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이 투명 시트(120)의 내부에서 각 모서리부분(150)으로 진행하게 되고, 그곳에서 외부로 투사되어 나갈 때, 불규칙한 굴절반응을 일으켜서, 상기 각 모서리부분(150)을 따라 일종의 선을 이루면서 매우 밝고 선명한 빛으로 발광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를 단말장치(M)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M)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M)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코일 안테나(1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로부터 빛(L)을 발생시키는 제1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M)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단말장치(M)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그 카드(100)는 자연스럽게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상기 코일 안테나(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로부터 빛(L)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 중에서,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과, 반사되어 진행하는 빛(Lr)을 이용하되, 이들이 카드의 가장자리 진행하도록 하는 제2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단계(S 220)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이 상기 투명시트(120)의 한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되, 그 한쪽 방향에서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과,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 경계면과 저면 경계면에서 반사되어지면서 진행하는 빛(Lr)을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 경계면과 저면 경계면에서는, 소정의 각도로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지고, 그 반사된 빛은 다시 그 반대편 경계면에서 다시 반사되어지며, 계속적으로 반사된 빛(Lr)은 최종적으로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카드의 가장자리로 진행하여 나아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직진하던 빛(Li)과 상기 반사되던 빛(Lr)이 상기 모서리부분(150)의 절단면(152)에서 상호간에 불규칙하게 굴절현상을 일으키면서 카드의 외부로 투사되어 나가도록 하는 제3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 단계(S 230)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직진하던 빛(Li)과 상기 반사되어 도달된 빛(Lr)이 상기 모서리부분(150)의 절단면(152)에서 외부로 투사되어 나갈 때, 각각 분산되어 퍼져서 외부로 발산되어지게 된다. 이때, 외부로 굴절되거나 복굴절되어 나가는 빛(Lf)은 다양한 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재질과 공기의 재질이 서로 달라서, 빛이 소정의 굴절현상 또는 복굴절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상기 절단면(152)에 도달된 빛이 서로 다른 각도로 입사되어진 결과, 그 굴절각도가 서로 달라지게 됨으로써 발생되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첨부된 도 2a와 도 2b 및 도 2c의 모습을 참조함으로써,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모서리부분(150)의 절단면(152)에서 불규칙하게 굴절되어지면서 외부로 투사되는 빛에 의해, 카드의 모서리부분(150)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제4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4 단계(S 240)는 위에서 설명한 제3 단계(S 230)의 빛의 굴절현상이 특정한 하나의 지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 모습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는 상기 모서리 부분(150)이 본 발명의 가장자리 테두리를 따라 일종의 선의 모습을 이루면서 존재하고, 그 가장자리 테두리 모습으로 일종의 빛의 띠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첨부된 도면 3의 사진자료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카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장치(M)에 접근시킬 때,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이 그대로 사용자의 육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고, 카드(100)의 내부에 있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서 그 가장자리의 절단면(152)에 이르고, 그 절단면(152)에서 불규칙하게 굴절되거나 복굴절되어서, 카드(100)의 가장자리 테두리를 따라 발광시키는 모습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평소에는 통상적인 카드와 큰 차이가 없지만, 그 카드를 단말장치에 근접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카드의 가장자리 테두리를 따라 모서리 부분에 선명하고 또렷한 빛의 띠를 나타내게 되고, 이는 카드의 사용을 사용자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카드의 미관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및 그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본 발명)
110 : 안테나 시트, 112 : 코일 안테나,
120 : 투명시트, 122 : 발광소자,
130 : 차단 시트, 140 : 저면 시트

Claims (5)

  1.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안테나(112)에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22)를 포함하고 있는 투명시트(120)와;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에 존재하고,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상면 방향으로 투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단시트(13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저면시트(140)가 서로 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드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절단면(152)를 가지고 있는 모서리부(150); 를 포함하고 있는 카드에 있어서,
    a). 상기 발광소자(122)는
    1)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2) 상기 코일안테나(112)에 의한 유도전류에 의해 빛(L)을 발생시키며,
    3) 상기 유도전류에 의한 빛(L)이 발생될 경우, 그 빛(L)을 한쪽 방향으로 향하여 직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지고,
    4) 더욱 구체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 광원이 카드의 내부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어야 하며,
    b).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은
    1) 카드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시트(120)를 따라 상기 투명시트(120)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퍼져 나가거나,
    2) 카드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시트(120)를 따라 소정의 경사를 이루어 퍼져나가면서, 상기 투명시트(120)의 상면와 저면 경계면에서 반사되면서 진행하게 되고,
    c). 상기 모서리부(150)는
    1) 직진하던 빛(Li)이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를 따라 직진하여 카드의 외부로 투사되어지고,
    2). 반사되던 빛(Lr)이 상기 모서리부(150)의 절단면(152)에서 상호간에 불규칙하게 굴절현상을 일으키면서 카드의 외부로 투사되어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9020A 2021-05-28 2021-05-28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KR10264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20A KR102642828B1 (ko) 2021-05-28 2021-05-28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20A KR102642828B1 (ko) 2021-05-28 2021-05-28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58A KR20220160858A (ko) 2022-12-06
KR102642828B1 true KR102642828B1 (ko) 2024-03-04

Family

ID=8440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20A KR102642828B1 (ko) 2021-05-28 2021-05-28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8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653Y1 (ko) 2002-09-06 2002-11-30 배성룡 엘이디램프가 장치된 신용카드
KR200319249Y1 (ko) 2003-01-07 2003-07-07 배성용 광고 로고 신용등급 등을 광으로 표시하는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ic칩 신용카드
KR100680186B1 (ko) 2004-11-01 2007-02-08 메디칸(주) 조명카드
KR20060064135A (ko) 2004-12-08 2006-06-13 김유정 발광 카드
KR100607192B1 (ko) 2006-02-03 2006-08-01 김주현 문자발광 프래카드
KR101104026B1 (ko) * 2010-05-27 2012-01-06 강민수 Led 전원용 압전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카드
KR20140115826A (ko) 2013-03-22 2014-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발광 rfid 카드
KR200475765Y1 (ko) * 2013-04-09 2014-12-31 이효덕 측면 장식부재용 걸이고정수단이 구비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58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154B2 (ja) カード形データキャリア
CN101291818B (zh) 芯片卡
KR20200074159A (ko) 윈도우 또는 윈도우 패턴 및 선택적인 백라이팅을 갖는 금속, 세라믹, 또는 세라믹 코팅된 트랜잭션 카드
KR850004665A (ko) 광학식 마우스
KR20150064044A (ko) 적외선 수발광용 광학 물품 및 적외선 수발광부
US9242502B2 (en) Identification document and a method of producing
CA2961113C (en) Card body for a data carrier and inlay for a partial card body
KR102642828B1 (ko)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TWM620081U (zh) 發光智慧卡
CN209199472U (zh) 光学防伪识别卡
CN106201093A (zh) 一种具有指纹识别的触摸屏盖板及触摸屏
KR102635334B1 (ko)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ES2835788T3 (es) Soporte de datos en forma de tarjeta con características ópticas
TW201730590A (zh) 反光車牌及反光片材
CN207302095U (zh) 证件读取装置
CN209825332U (zh) 具有主动照明功能的头盔
JP4572659B2 (ja) 偽造防止カードおよびその読み取り方法
JP6079140B2 (ja) 光制御シート及び光制御シート付き光取入部
WO2006095978A1 (en) Keyboard for a forgery discrimination
KR101196140B1 (ko) 인레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201984504U (zh) 交易卡
CN207670035U (zh) 一种组合防伪证书
CN201852031U (zh) 透明光学组件及包含该透明光学组件的指示灯
KR200319321Y1 (ko) 금융 거래용 투명 또는 반투명 카드
CN201233610Y (zh) 金炫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