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334B1 -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334B1
KR102635334B1 KR1020210069019A KR20210069019A KR102635334B1 KR 102635334 B1 KR102635334 B1 KR 102635334B1 KR 1020210069019 A KR1020210069019 A KR 1020210069019A KR 20210069019 A KR20210069019 A KR 20210069019A KR 102635334 B1 KR102635334 B1 KR 10263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rd
antenna
shee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857A (ko
Inventor
유정희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1006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3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single light or small number of lights capable of being switched on or off, e.g. a series of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1Marking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6K19/070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multilayered, e.g. laminated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112)에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의 직진 방향은 카드의 내부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투명시트(120)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되어 입사된 빛을 받아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의 빛을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반사하게 되는 광흡수반사부(13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 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A Card using the light-emitting element's straight forward and reflective phenomena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단말장치에 접근할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직진하면서 카드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 3의 부재에 의해 일부 흡수되어지고 일부 반사되어짐으로써, 외부의 카드 사용자로 하여금 제 3의 부재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하여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경제활동을 다양한 모습으로 영위하고 있다.
오늘날 일반화된 플라스틱 카드는 다수의 박막 플라스틱 시트를 합지하고, 박막의 각 플라스틱 시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박막 시트와 박막 시트의 사이에 다양한 기능성 수단을 내장시킴으로써, 플라스틱 고유의 사용용도 내지 그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는 단말장치에 직접 접촉시켜서 소유자의 금전 정보 등을 인식하도록 하고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접촉식 카드와, 단말장치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카드에 내장된 금융 정보 등을 단말장치에서 읽어들여 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비접촉식 카드로 나눌 수 있다.
접속식 카드의 경우, 소유자가 카드를 단말기의 투입구에 넣으면, 단말기의 접촉단자가 플라스틱 카드의 IC칩에 접촉되어지고, IC칩에 내장되어 있는 소유자의 금융정보 등을 단말장치가 읽어들여서, 소정의 거래 행위를 시작하거나 거래행위를 완성하게 된다.
비접속식 카드의 경우에는, 소유자가 단말장치에 직접 카드를 접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유효 거리의 범위 내에 있으면, 단말장치와 플라스틱 카드에 내장된 전기적 소자 등이 상호간의 인터페이싱 과정을 거쳐서, 단말장치와 플라스틱 카드 사이에서 소정의 거래 행위를 시작하거나 거래행위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접촉식 카드의 경우에는, 단말장치와 플라스틱 카드의 접촉점이 서로 접촉되는 순간에, 상기 단말장치에서 순간적으로 플라스틱 카드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지고, 그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소정의 금융 정보가 상호간에 인터페이싱 되어진다.
이때, 엘이디 내장 플락스틱 카드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순간적으로 흘러가는 전기에너지를 활용하여, 플라스틱 카드에 엘이디 소자와 같은 발광체를 내장시키고, 그 발광체가 순간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엘이디 발광체가 순간적으로 발광하게 되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가 단말장치에서 인식되어 작동되는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반짝거리는 발광체로 인하여 흥미를 일으키게 되어, 플라스틱 카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현행 발광체를 내장한 플라스틱 카드는 단말장치에 투입하여 사용할 경우, 순간적으로 반짝거리다가, 곧바로 사라져 버려서,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발광체가 작동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몇몇 기술을 보완하거나 개선한 선행기술들이 등장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 기술적 구성이 복잡하거나 실제로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07192호 (등록일: 2006. 7. 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38716호 (공개일: 2006. 5.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64135호 (공개일: 2006. 6. 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115826호 (공개일: 2014. 10.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19249호 (등록공고일: 2003. 7. 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6653호 (등록공고일: 2002. 11. 30.)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단말장치에 접근할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직진하면서 카드의 내부에 존재하는 광흡수반사 부재에 의해 일부 흡수되어지고 일부 반사되어짐으로써, 외부의 카드 사용자로 하여금 광흡수반사 부재의 존재 및 그 모습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는,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와; 상기 안테나 시트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의 직진 방향은 카드의 내부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투명시트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어 입사된 빛을 받아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의 빛을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반사하게 되는 광흡수반사부와; 상기 안테나 시트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본 발명의 카드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의 배치 구조는 종래 기술들과는 다르게 설치되어진다. 종래 기술은 통상적으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내부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빛의 방향과 거의 직각 방향으로 향하게 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 직진하는 빛을 이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는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 직진할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 빛을 발생시키는 제1 단계(S 210)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만 카드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으로 한정하여 이용하는 제2 단계(S 220)와;
상기 카드 내부에 존재하는 광흡수반사부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게 직진하는 빛을 입사받아서,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는 반사되는 빛으로 하고, 상기 반사되는 빛이 카드의 표면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3 단계(S 230)와;
사용자가 상기 반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존재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제4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 210)는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이용하고, 상기 제2 단계(S 220)는 카드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으로 한정되어지고, 상기 제3 단계(S 230)는 카드 내부에 존재하는 광흡수반사부에서반사되어 카드의 밖으로 나오는 빛(Lr)으로 한정되어지고, 상기 제4 단계(S 240)는 카드 밖으로 나온 상기 반사광(Lr)에 의해 상기 광흡수반사부의 존재 여부 및 그 형상이나 디자인 형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L)과 사용자가 인식하는 도구로서의 빛(Lr)의 세기 내지 강도를 살펴보면, 빛(L) > 빛(Li) > 빛(Lr)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는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장치에 접근시킬 경우, 카드 내부에 존재하는 광흡수반사부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광흡수반사부의 존재와 더불어, 그 형태 또는 디자인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광흡수반사부의 형태 또는 디자인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카드 사용의 즐거움을 배가할 수 있고, 카드의 고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에 관한 개념도로서, 발광소자(122)에 의해 빛을 발생하였을 경우, 그 빛의 경로 및 광흡수반사부의 모습을 외부로 드러내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에 관한 개념도로서, 발광소자(122)에서 빛을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광흡수반사부의 모습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상면이라 함은 기준이 되는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그 위쪽에 존재하는 면을 의미하고, 저면이라 함은 상기 상면의 반대쪽으로서 기준이 되는 구성요소의 아래쪽에 존재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100)는,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테나(112)는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단말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그 내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유도전류는 본 발명의 카드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안테나(112)에 발생되어지게 된다. 상기 안테나(112)는 폐회로형 안테나를 이루고 있으면서, 코일 형태로 형성된 코일 안테나와, 동박을 에칭하여 형성된 에칭 안테나와, 패턴 형식으로 만들어진 패턴 안테나를 포함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PCB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112)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 영역을 겪게 되면, 상기 안테나(112)에 유도전류가 발생되어지고, PCB 회로기판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발광소자(122)로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112)는 최종적으로 발광소자(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는 투명시트(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투명시트(120)가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보호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 시트(110)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112)를 보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시트(120)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상면에서 보호한다는 점은,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는 서로 다른 박막 시트인 것이고, 상기 투명시트(12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서로 다른 박막 시트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서는 PP(폴리프로필렌)수지, PE(폴리에틸렌)수지, PS(폴리스티렌)수지,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박막 플라스틱 시트로서 외부의 충격 또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필요한 강도 및 기타 물성 등을 고려할 때, PET 수지 또는 PC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그 내부에 발광소자(122)를 설치하여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122)는 상기 안테나(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안테나(112)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경우, 그 유도전류를 받아서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122)는 유도전류를 받아서 빛(L)을 발생시킬 경우, 그 빛(L)을 한쪽 방향으로 향하여 직진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122)는 빛을 발생시키는 LED 광원이 카드의 내부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카드 내부의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이라 함은 카드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박막 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박막 시트들이 차곡 차곡 배열되어 접착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의 상면과 저면의 표면에 대해 직각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은 본 발명의 카드의 내부에서 상기 투명시트(120)를 따라 상기 투명시트(120)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퍼져 나가게 된다.
상기 투명시트(120)는 상기 발광소자(122)를 고정된 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장착하거나 설치하기 위하여, 발광소자 장착홈(124)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은 상기 투명시트(120)를 따라 평행하게 광흡수반사부(130)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Li)과, 그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 직진해서 나가는 빛(L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빛(L) = 광흡수반사부의 방향의 빛(Li) + 기타 방향의 빛(Le)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흡수반사부의 방향의 빛(Li)은 투명시트(120)를 따라 평행하게 직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테나(112)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로 직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기 발광소자(122)와 상기 안테나(112)가 동일한 투명시트(120)에 설치되어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되어 입사된 빛을 받아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의 빛을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반사하게 되는 광흡수반사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산되는 빛(L) 중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직진하여 나가는 빛(Li)을 받아들이는 길목에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카드의 상면 시트와 카드의 저면 시트의 사이에 존재하여야 하지만, 상기 안테나(112)가 설치된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위쪽에 설치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광흡수반사부(130)가 상기 안테나(112)의 설치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직진하던 빛(Li)이 상기 안테나(112)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추후 카드 사용시 상기 안테나(112)의 모습을 명확하게 외부로 드러내게 되고, 그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설치 위치는 상기 발광소자(122)의 설치 위치와 동일하거나 평행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투명시트(1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가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 장착홈(124)과 동일하게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 광흡수반사부 장착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장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를 상기 투명시트(120)의 표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별도의 장착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투명시트(120)의 표면에 인쇄방식이나 도포방식으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외부에서 입사된 빛(Li)을 받아서, 그 빛의 일부를 자체의 구성물질에 의해 흡수하고, 그 나머지의 빛(Lr)을 외부로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그 자체의 구성물질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재질이라 함은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거의 그대로 투과시키는 재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건물의 내부와 같은 실내 또는 자연광이 존재하는 실외에 있는 경우, 사용자들의 육안에 의해 잘 식별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카드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통상적으로 휴대하고 있거나, 단말장치에 접근하여 사용하기 전에는 카드의 내부에서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통상의 자연광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투명한 상태를 이루고 있지만,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입사된 빛(Li)을 받았을 경우에는 그 빛의 일부를 받아 흡수한 반면에, 그 나머지 빛(Lr)을 외부로 반사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 미세한 무기질 분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무기질 분말 이외에, 외부에서 빛에너지를 받게 되면 형광 작용을 일으키는 형광체 분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분말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입사된 빛(Li)을 받아서, 더욱 선명한 광흡수반사부(130)의 형상을 외부로 드러내 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저면에서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면 시트(140)는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로서는 PVC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저면 시트(140)의 표면에는 다양한 문자 또는 디자인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위에서 설명한 상기 투명시트(120)와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저면 시트(1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 그 기능을 원만하게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가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122)에 의해 발생된 빛(L)은, 1차적으로 카드의 내부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의 방향으로 직진하는 빛(Li)으로 한정되어지고, 2차적으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에서 흘러 나온 빛(Lr) 만으로 한정되어지며, 3차적으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에서 흘러나온 빛(Lr) 중에서도 사용자의 육안에 의해 식별되어지는 빛으로 한정되어 활용되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3차적으로 한정된 빛을 통하여 카드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존재 및 그 형태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과 사용자가 인식하는 도구로서의 빛(Lr)을 그들의 세기 내지 강도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면, 빛(L) > 빛(Li) > 빛(Lr)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상기 발광소자(122)와 상기 광흡수반사부(130) 및 기타 구성요소들의 배치 구조를 종래 기술들과는 다르게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 기술은 통상적으로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이 카드의 내부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고, 점차적으로 그 빛을 더욱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LED 빛의 활용 방식이 전혀 다른 것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에 관한 개념도로서, 발광소자(122)에 의해 빛을 발생하였을 경우, 그 빛의 경로 및 광흡수반사부의 모습을 외부로 드러내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 직진하는 빛을 이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위에서 그 이유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다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좀 더 효율적인 빛의 활용을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이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Le)을 차단하는 차단부재(126)를 상기 발광소자(122)의 주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26)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모습을 더욱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발광소자(122)의 위치 및 그 설치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도록 해주는 장점도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서 이러한 원리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소자(122)가 빛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모습이 외부에서 전혀 관찰되지 않게 된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재질이 투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에 관한 개념도로서, 발광소자(122)에서 빛을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광흡수반사부의 모습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소자를 내장한 카드를 이용하여, 그 카드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활용하는 카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드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 내지 자기력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로부터 빛(L)을 발생시키는 제1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112)에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의 직진 방향은 카드의 내부 시트층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투명시트(120)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되어 입사된 빛을 받아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의 빛을 카드의 표면 방향으로 반사하게 되는 광흡수반사부(13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 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단말장치에 접근시키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그 카드(100)는 자연스럽게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형성된 자장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상기 안테나(11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때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광소자(122)로부터 빛(L)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테나(112)는 폐회로형 안테나를 이루고 있으면서, 코일 형태로 형성된 코일 안테나와, 동박을 에칭하여 형성된 에칭 안테나와, 패턴 형식으로 만들어진 패턴 안테나를 포함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PCB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112)는 전기적으로 발광소자(122)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을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는 방향으로만 카드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으로 한정하여 이용하는 제2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을 제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점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Li)만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122)의 LED 의 방향이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고, 필요한 경우 그 주변에 별도의 차단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카드 내부에 존재하는 광흡수반사부(130)에서,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게 직진하는 빛(Li)을 입사받아서,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는 반사되는 빛(Lr)으로 하고, 상기 반사되는 빛(Lr)이 카드의 표면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3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산된 빛(L) 중에서 상기 카드의 적층 시트들에 대해 평행하게 직진하는 빛(Li)으로 더욱 한정하고 있고, 이러한 빛(Li)은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에 입사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 빛(Lr)을 외부로 반사되어 나오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반사되는 빛(Lr)에 의해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존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4 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카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장치에 접근시킬 때,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이 그대로 사용자의 육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고, 카드(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던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에서 흘러나온 일부의 빛(Lr)에 의하여, 처음으로 카드(100)의 내부에 존재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모습을 인식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단말장치에 근접시켜 사용할 때마다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존재 및 그 형상이나 그 이미지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를 격려성 슬로건이나 다양한 문양의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카드로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다시 한번 더 평가해 본다면, 본 발명에 의한 카드(100)를 단순히 지갑이나 핸드폰의 내부에 소지하고 있거나 사용 전에 손에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통상적인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카드와 같은 외형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가 본 발명의 카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이나 지하철과 같은 단말기 또는 ATM과 같은 단말장치에 근접시키게 된 상태에서는 그 카드의 내부에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내게 된다.
이러한 점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S 210)는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을 이용하고, 상기 제2 단계(S 220)는 카드 내부에서 직진하는 빛(Li)으로 한정하여 이용하고, 상기 제3 단계(S 230)는 카드 내부에 존재하는 광흡수반사부(130)에서 반사되어 카드의 밖으로 나오는 빛(Lr)으로 한정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제4 단계(S 240)는 카드 밖으로 나온 상기 반사광(Lr)을 육안에 의해 이용함으로써,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의 존재 여부 및 그 형상이나 디자인 형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및 그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본 발명)
110 : 안테나 시트, 112 : 안테나,
120 : 투명시트, 122 : 발광소자,
124 : 발광소자 장착홈, 130 : 광흡수반사부,
140 : 저면 시트

Claims (6)

  1. 단말장치에 접근하거나 단말장치로부터 멀어질 경우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시트(11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상면에 존재하고,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112)에 연결되어 빛(L)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22)와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되어 입사된 빛을 받아 반사하게 되는 광흡수반사부(130)를 포함하고 있는 투명시트(120)와;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저면에 존재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110)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저면 시트(140); 를 포함하고 있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22)는,
    1).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빛(L)을 발생시키고,
    2).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빛(L) 중에서, 다수의 박막 시트들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박막 시트들이 차곡 차곡 배열되어 접착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진하는 빛(Li) 만을 이용하도록 하고,
    상기 광흡수반사부(130)는
    1). 상기 빛(L)을 발생시키는 상기 발광소자(122)와 함께 동일한 상기 투명시트(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2). 상기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된 빛(L) 중에서 상기 직진하는 빛(Li)만을 받아들이고,
    3). 상기 직진하는 빛(Li)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카드의 상면 시트와 카드의 저면 시트의 사이에 존재하여야 하지만, 상기 안테나(112)가 설치된 상기 안테나 시트(11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4). 상기 직진하는 빛(Li)을 입사받아서, 그 중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그 나머지는 반사되는 빛(Lr)으로 하고, 상기 반사되는 빛(Lr)이 카드의 표면으로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발광소자(122)에서 발생된 빛(L) 중에서 상기 다수의 박막 시트들이 차곡차곡 배열되어 접착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직진된 빛(Li) 만을 이용하도록 하되, 상기 직진된 빛(Li) 중에서 상기 광흡수반사부(130)에 의해 반사된 빛(Lr) 만을 카드의 외부로 나오도록 하고, 상기 반사된 빛(Lr)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69019A 2021-05-28 2021-05-28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KR10263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19A KR102635334B1 (ko) 2021-05-28 2021-05-28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19A KR102635334B1 (ko) 2021-05-28 2021-05-28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57A KR20220160857A (ko) 2022-12-06
KR102635334B1 true KR102635334B1 (ko) 2024-02-08

Family

ID=8440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19A KR102635334B1 (ko) 2021-05-28 2021-05-28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3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815A (ja) * 2002-02-21 2003-08-29 Sigma Denshi Kogyo Kk 超広角再帰反射パネルを用いた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653Y1 (ko) 2002-09-06 2002-11-30 배성룡 엘이디램프가 장치된 신용카드
KR200319249Y1 (ko) 2003-01-07 2003-07-07 배성용 광고 로고 신용등급 등을 광으로 표시하는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ic칩 신용카드
KR100680186B1 (ko) 2004-11-01 2007-02-08 메디칸(주) 조명카드
KR20060064135A (ko) 2004-12-08 2006-06-13 김유정 발광 카드
KR100607192B1 (ko) 2006-02-03 2006-08-01 김주현 문자발광 프래카드
KR20090102201A (ko) * 2008-03-25 2009-09-30 허봉락 동적 반사광을 발현하는 발광 표지판
KR20140115826A (ko) 2013-03-22 2014-10-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발광 rfid 카드
KR20170001549U (ko) * 2015-10-26 2017-05-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815A (ja) * 2002-02-21 2003-08-29 Sigma Denshi Kogyo Kk 超広角再帰反射パネルを用いた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57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1944B (zh) 车辆识别系统识别的标牌
US10402610B2 (en) Printed LEDs embedded in objects to provide optical security feature
CN101291818B (zh) 芯片卡
US8226014B2 (en) Card-shaped data carrier
KR20180130563A (ko) 내장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다층 구조체
KR20200074159A (ko) 윈도우 또는 윈도우 패턴 및 선택적인 백라이팅을 갖는 금속, 세라믹, 또는 세라믹 코팅된 트랜잭션 카드
US20190272456A1 (en) Printed leds and wavelength conversion area on objects to provide optical security feature
KR102635334B1 (ko) 발광소자의 빛의 직진 및 반사 현상을 이용한 카드 및 그 방법
EP3547726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process
KR102642828B1 (ko) 카드의 모서리를 발광시키는 카드 및 그 방법
JP6514638B2 (ja) 近距離無線通信を用いたステッカー型発光装置
CN206907075U (zh) 一种带有液晶调光膜的ic卡
KR101315251B1 (ko) 카드의 발광장치
TWI785471B (zh) 具有窗或窗圖案及可選背光之金屬、陶瓷或陶瓷塗佈交易卡片
US20090107869A1 (en) Liquid-filled suspended-particle-scene gift card holder
WO2006095978A1 (en) Keyboard for a forgery discrimination
KR101196140B1 (ko) 인레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205015498U (zh) 一种三维动感防伪制品
WO2024062119A1 (en) Data carrier with independent light source and method of producing it
US20240104330A1 (en) Transparent transaction card
CN220290234U (zh) 具非接触感应充电的发光卡片
TWI779733B (zh) 發光智慧卡
US20230214627A1 (en) Illuminating transaction card
CN107516034A (zh) 一种移动终端
CN209609974U (zh) 一种隐藏标识的资产不可逆防护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