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156B1 -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156B1
KR102642156B1 KR1020230106666A KR20230106666A KR102642156B1 KR 102642156 B1 KR102642156 B1 KR 102642156B1 KR 1020230106666 A KR1020230106666 A KR 1020230106666A KR 20230106666 A KR20230106666 A KR 20230106666A KR 102642156 B1 KR102642156 B1 KR 10264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flaw detection
thickness
tes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이건영
도경윤
양윤식
정명기
Original Assignee
서울검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검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검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87Directing probes, e.g. a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30Arrangements for calibrating or comparing, e.g. with standard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은 기설정된 제1 두께로 마련되되,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의 얇은 두께로 마련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보조 플레이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A REFERENCE BLOCK FOR NONDESTRUCTIVE TESTING AND THE SENSITIVITY CALIBRATION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 탐촉자의 감도를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두께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범용으로 활용 가능한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 감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배관 및 구조물 등의 배관의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비파괴 검사 기술이 다양한 방법으로 꾸준히 활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비파괴 검사 기술 중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은 초음파 탐상검사와 방사선 검사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중 초음파 탐상검사는 다른 비파괴 검사방법에 비하여 검사결과가 감사자의 기량, 장비, 절차서 및 경험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탐상기를 이용하여 피검체를 다양한 목적으로 탐상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탐상기와 초음파 탐촉자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가를 시험해야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초음파 검사용 비교 시험편이 사용되고 있다. 즉, 초음파 탐상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검사하고자 하는 재질과 두께에 따라 초음파 탐상기의 세팅을 맞추어주어야만 결함의 크기와 위치를 제대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모든 초음파 탐상기는 펄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딜레이 조정 노브와 반사되는 초음파의 진행 거리를 보정하는 음속 조정 노브 및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게인 컨트롤(Gain Control)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딜레이 조정 노브로는 CRT 또는 LCD에 표시되는 파형의 축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음속 조정 노브로는 파형 간의 간격 조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게인 컨트롤 기능을 사용하여 수신 감도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파형의 높이를 조정한다. 게인을 먼저 대략적으로 맞춘 후에는 초음파 탐상기를 세팅하는데 두 개의 노브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초음파 탐상기에서 거리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비교 시험편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초음파 탐촉자에 있어서는 수직 탐촉자의 경우 송수신 소자의 표면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모 지연재를 접착하게 되는 바, 이 두께는 모든 탐촉자가 다르게 제작되어 있으며 또한 같은 탐촉자라 할지라도 사용 중 마모 정도에 따라 실제 검사물과 송수신 소자와의 거리가 달라지므로 이를 보정해 주어야하며 경사각 탐촉자의 경우 표면에 아크릴이나 루사이트를 사용하여 경사각을 조정하고 검사물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 지연재의 마모에 따라 입사점이 변하게 되고 또한 입사각과 수신각이 다르게 되어 검사시 실제 결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 기준점과 경사각을 반드시 확인하여 아날로그 탐상기의 경우는 이를 기록하여 계산시 참조하고 디지털 장비인 경우는 이를 장비에 입력하여 내장된 계산기능을 사용하여 결함이 표면에서 어떤 깊이와 거리에 있는지를 자동으로 표시하게 하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096호는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반사체(홀 및 노치)가 가공되어 비파괴검사를 위한 교정 시험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3769호는 비파괴 검사에 사용되는 초음파 탐상기를 세팅하는 초음파 탐상용 비교 시험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 모든 과학 분야의 저변 기술이 발전함은 물론 전자 회로의 발전으로 인해 비파괴검사에 사용되는 초음파 탐상기의 기술 수준도 현저히 상승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반면에 신소재의 개발과 제조 공법의 발달로 인해 산업에 소요되는 재료는 더욱 소형화 및 경량화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비파피검사에서 한 장비에 분석을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장비로 검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많은 장비의 휴대가 보편화되었으므로 가능하면 휴대하는 장비와 부속품을 감소시키려는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초음파 검사의 성능 및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초음파 검사용 비교 시험편에 대한 연구를 경주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두께로 마련되고,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이 마련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용이하게 탐상 탐촉자를 교정할 수 있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은 기설정된 제1 두께로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제1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제2 플레이트의 두께의 얇은 두께로 마련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제3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제3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보조 플레이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 및 제1 관통홀과 기설정된 거리 이격배치되어 마련되고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이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제2 직경의 제3 관통홀이 마련되며, 제2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제3 직경의 제4 관통홀이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제1 직경의 제5 관통홀이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관통홀은, 제1 플레이트의 두께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되고, 제5 관통홀은, 제2 플레이트의 두께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플레이트는, 제3 플레이트보다 얇은 두께의 보조 플레이트 적어도 하나 포함하되,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가 n개(단, n>1)인 경우, 제3 플레이트의 두께를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로 나눈 몫이 보조 플레이트의 최소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탐상 탐촉자를 이용하여 스캔 대상을 스캔하여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기설정된 비파괴 검사 시스템의 제어부가 탐상 탐촉자의 초기 탐상감도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표면에 탐상 탐촉자가 배치되는 제2 단계, 제어부가 시험편에 마련되는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통홀을 선택하는 제3 단계, 제3 단계에서 선택된 관통홀을 향해 탐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부가 탐상 탐촉자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 단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탐상 탐촉자를 통해 탐상 신호가 시험편에 조사되고, 시험편으로부터 반사되어 탐상 탐촉자에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제어부가 수집하는 제5 단계, 수집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탐상 탐촉자의 탐상감도를 산출하는 제6 단계 및 제어부가 제1 단계에서 설정된 탐상 탐촉자의 탐상감도를 보정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은 다양한 두께로 마련되고,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이 마련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용이하게 탐상 탐촉자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의 구성도 이다.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의 보조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자화력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의 구성도 이고,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의 보조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자화력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례 1>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100)은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제3 플레이트(130) 및 제4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0)는 기설정된 두께로 마련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2 플레이트(120), 상기 제3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4 플레이트(140)보다 두꺼운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110)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50%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2 플레이트(12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120)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50%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110)는, 일측면에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111) 및 상기 제1 관통홀(111)과 기설정된 거리 이격배치되어 마련되고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112)이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직경의 제3 관통홀(11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120)는, 일측면에 제3 직경의 제4 관통홀(121)이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1 직경의 제5 관통홀(122)이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3 관통홀(113)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두께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제5 관통홀(122)은,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두께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관통홀(113) 및 상기 제5 관통홀(122)이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두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되는 홀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홀이 추가로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플레이트는 세로 길이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가로 길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 상기 제3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4 플레이트(140)가 연장되는 가로 길이는 작업 환경 및 상기 탐촉자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깊이는 최소 상기 시험편(100) 세로 길이의 약 48% 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편(100)의 폭이 80mm인 경우, 상기 관통홀의 최소 깊이는 38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4 플레이트(140)는 상기 제3 플레이트(13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3 플레이트(130)의 두께보다 얇은 보조 플레이트(141, 142, 142, 144)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가 n개(단, n>1)인 경우, 상기 제3 플레이트(130)의 두께를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로 나눈 몫이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최소 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플레이트(130)의 두께가 10mm이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가 4인 경우,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최소 두께는 2mm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례 2>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100)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탐상 탐촉자를 이용하여 스캔 대상을 스캔하여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기설정된 비파괴 검사 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탐상 탐촉자의 초기 탐상감도를 설정하는 제1 단계(610),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100) 표면에 상기 탐상 탐촉자가 배치되는 제2 단계(62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험편(100)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통홀을 선택하는 제3 단계(630), 상기 제3 단계(630)에서 선택된 상기 관통홀을 향해 탐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탐상 탐촉자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 단계(640),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탐상 탐촉자를 통해 상기 탐상 신호가 상기 시험편에 조사되고, 상기 시험편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탐상 탐촉자에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수집하는 제5 단계(650), 상기 수집된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탐상 탐촉자의 탐상감도를 산출하는 제6 단계(660)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단계(610)에서 설정된 상기 탐상 탐촉자의 탐상감도를 보정하는 제7 단계(6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탐상 탐촉자를 이용하 스캔 대상을 작업하기 전에 작업자는 상기 시험편(100)을 이용하여, 상기 탐상 탐촉자의 탐상 감도를 설정하되, 상기 스캔 대상의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110), 상기 제2 플레이트(120), 상기 제3 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4 플레이트(14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탐상 탐촉자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편(100)에 마련되는 관통홀을 향해 상기 탐상 탐촉자가 탐상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탐상 탐촉자의 탐상 감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탐상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탐상 탐촉자의 탐상 감도를 보정한 다음, 상기 탐상 탐촉자를 스캔 대상에 위치시켜 상기 스캔 대상에 대한 비파괴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편(110)의 상기 제1 플레이트(1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상 탐촉자(1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는 상기 제3 관통홀(1131, 1132)을 향하여 탐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험편(100) 및 상기 제3 관통홀(1131, 1132)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반사 신호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관통홀(1131, 1132)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 상기 탐상 탐촉자(10)의 탐상 감도 보정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편(100)에 마련되는 다양한 두께(Step wedge)를 활용하여 두께 측정을 위한 탐상 교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플레이트(110)는 40mm, 상기 제2 플레이트(120)는 20mm, 상기 제3 플레이트(130)는 10mm, 상기 제4 플레이트(140)의 보조 플레이트(141, 142, 143, 144)는 8mm, 6mm, 4mm, 2mm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30mm 두께의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에 대한 두께 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시험편(100)에 마련되는 다양한 두께 중 상기 30mm와 가장 근접한 상기 제1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대한 탐상 교정을 수행한 뒤, 상기 30mm 두께의 스틸 플레이트에 대한 두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시험편(100)은 ISO 규격, ASW D1.1 등에서 요구되는 두께, 관통홀의 직경 등의 조건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산업규격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하다.
또 다른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편(100)은 4.5kg 이상의 무게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AC 요크(YOKE) 장비(810)를 이용하여 인상력(자화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표준시험편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시험편(100)은 상기 탐상 탐촉자(10)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노이즈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탐상 탐촉자(10)가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센서 오류 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초음파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에는 센서 측정값이 무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일 것이며,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나아가 센서 오류 판단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오류 모니터링부(미도시)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측정된 다수의 센서값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값들 중 평균에서 표준편차를 벗어난 센서값(이하, '노이즈 데이터'라 함)이 기설정된 개수(ex. 5개)이상 존재하는 경우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노이즈 데이터 각각의 측정된 시간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라면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인지 여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최대 차이값(Md)이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되는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평균값(Tav)을 상수배(ex. 2) 이상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Md는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최대 차이값, Nmax는 노이즈 데이터 시간간격의 최대값, Nmin은 노이즈 데이터 시간간격의 최소값을 각각 의미함.
[수학식 2]
여기서, Tav는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평균값, T(i-1) to i는 i-1번째 노이즈 데이터와 i번째 노이즈 데이터 사이의 시간간격, T0 to 1은 센서 동작 시점과 첫번째 노이즈 데이터가 나타난 시점과의 시간간격, n은 노이즈 데이터의 개수를 각각 의미함.
일례로, 하기 <표 1>과 같이T0부터 T20까지 데이터가 9, 10, 11, 12, 14, 18, 9, 9, 6, 13, 2, 8, 9, 9, 10, 17, 9, 10, 3, 12인 경우 평균은 10, 표준편차는 3.42가 되므로, 노이즈 데이터는 14, 18, 6, 2, 17, 3으로 6개이다. 노이즈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인 5개 이상이므로 우선은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표 1>
이후 노이즈가 불규칙하게 나타난 것인지를 [수학식 1],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면,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최대 차이값(Md)는 8-1=7이 되고,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평균값(Tav)은 3.5가 된다.
<표 2>
따라서,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최대 차이값(Md) 7이 노이즈 데이터간의 시간간격 평균값(Tav) 3.5의 2배 이상이므로, 본 사안의 경우는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센서 오류 모니터링부를 통해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할 수 있어 초음파 탐촉자의 정상상태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로 마련되고,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이 마련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용이하게 탐상 탐촉자를 교정할 수 있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파괴 검사 시스템에 마련되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을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탐상 탐촉자
100 : 시험편
110 : 제1 플레이트 111 : 제1 관통홀
112 : 제2 관통홀
113 : 제3 관통홀
120 : 제2 플레이트 121 : 제4 관통홀
122 : 제5 관통홀
130 : 제3 플레이트
140 : 제 4 플레이트 141, 142, 143, 144 : 보조 플레이트

Claims (5)

  1. 기설정된 제1 두께로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의 얇은 두께로 마련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보조 플레이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플레이트보다 얇은 두께의 보조 플레이트 적어도 하나 포함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가 n개(단, n>1)인 경우, 상기 제3 플레이트의 두께를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개수로 나눈 몫이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최소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제1 직경의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기설정된 거리 이격배치되어 마련되고 제2 직경의 제2 관통홀이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직경의 제3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제3 직경의 제4 관통홀이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1 직경의 제5 관통홀이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두께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제5 관통홀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의 중앙 일지점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4. 삭제
  5. 삭제
KR1020230106666A 2023-08-16 2023-08-16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KR10264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666A KR102642156B1 (ko) 2023-08-16 2023-08-16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666A KR102642156B1 (ko) 2023-08-16 2023-08-16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156B1 true KR102642156B1 (ko) 2024-02-29

Family

ID=9004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666A KR102642156B1 (ko) 2023-08-16 2023-08-16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1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96Y1 (ko) * 2005-10-28 2006-11-17 한국전력공사 위상배열 초음파 비파괴검사용 교정 시험편
CN212514423U (zh) * 2020-06-23 2021-02-09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声相控阵小角度纵波探头用校准/对比试块
CN114397372A (zh) * 2021-10-29 2022-04-26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相控阵超声检测用试块装置及超声波灵敏度校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96Y1 (ko) * 2005-10-28 2006-11-17 한국전력공사 위상배열 초음파 비파괴검사용 교정 시험편
CN212514423U (zh) * 2020-06-23 2021-02-09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声相控阵小角度纵波探头用校准/对比试块
CN114397372A (zh) * 2021-10-29 2022-04-26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相控阵超声检测用试块装置及超声波灵敏度校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acho et al. Ultrasonic crack evaluation by phase coherence processing and TFM and its application to online monitoring in fatigue tests
CN1243978C (zh) 奥氏体焊缝的超声波探伤方法及设备
CN104501750B (zh) 一种超声相控阵测量u肋焊缝熔深的方法
CN106324095B (zh) 一种纵波直探头全声程无盲区探伤方法
CN105973990B (zh) 一种基于几何关系的倾斜裂纹tofd定量检测方法
KR20100045284A (ko) 위상배열 초음파 탐상을 위한 보정(대비)시험편 및 보정절차
US7672807B2 (en) Ultrasonic color imaging characterizing ultra-fine structures and continuously distributed physical conditions
JP5208625B2 (ja) 構造物の品質種別の判別方法
KR101830461B1 (ko) 기계 부품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CN106017763B (zh) 一种可修正微观组织差异影响的超声波残余应力测量方法
KR102642156B1 (ko) 다용도 비파괴 검사용 시험편 및 이를 이용한 탐상감도 교정 방법
KR20100124238A (ko) 위상배열 초음파 탐상을 위한 보정(대비)시험편 및 보정절차
JP5450177B2 (ja) グラウト充填度の非破壊検査方法及び非破壊検査装置
JP2899699B1 (ja) 岩盤の損傷度診断方法
JP4371364B2 (ja) 厚肉構造物の自動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自動超音波探傷方法
CN115930851A (zh) 一种t型电子束焊缝熔宽的检测方法及装置
JPH0616030B2 (ja) 物品の劣化診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313115A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装置
Pullin et al. Novel acoustic emission source location
KR102642161B1 (ko) 탐촉자 웨지의 마모를 개선한 paut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12535B2 (ja) 敷設鋳鉄管の材質判定方法及び敷設鋳鉄管材質判定システム
CN103792280B (zh) 一种铁磁材料接触损伤反演的磁无损检测方法
JP2006313110A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装置
US4171644A (en) Means for ultrasonic testing when material properties vary
US11578971B2 (en) Ultrasonic testing using a phased ar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