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041B1 -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041B1
KR102642041B1 KR1020220173845A KR20220173845A KR102642041B1 KR 102642041 B1 KR102642041 B1 KR 102642041B1 KR 1020220173845 A KR1020220173845 A KR 1020220173845A KR 20220173845 A KR20220173845 A KR 20220173845A KR 102642041 B1 KR102642041 B1 KR 10264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iew
input
user
scenario
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숙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22017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06K9/62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06Q30/021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based on s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음식 또는 서비스의 리뷰(review)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하는 유형 식별부; 상기 대상 유형에 따라 상기 리뷰의 입력 방식 및 순서를 정의하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시나리오 결정부;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관한 전용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리뷰를 수신하는 리뷰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리뷰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리뷰 작성에 관한 보상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SCENARIO-BASED REVIEW INPUT DEVICE}
본 발명은 리뷰 입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다양한 방식의 리뷰로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이 직접 자신의 배달 업체 이용을 통해 배달받은 음식을 먹고 자신의 경험을 남기는 '리뷰(review)'는 배달앱의 핵심 기능이자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올 수 있었던 주요 동력이다. 소비자는 리뷰를 통해 음식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 및 불만을 표현할 수 있고 이는 다른 소비자들에게 배달을 주문할 때 중요한 정보 로 활용되고, 업주 또한 리뷰를 고객과의 소통 창구로 활용하며 특히 개선 및 보완해야 할 점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리뷰는 그 중요성만큼 부작용도 증가하고 있다. 리뷰가 지닌 영향력이 상당하여 이를 둘러싼 갑질 논란이 끊이지 않으며, 이용자가 리뷰라는 무기를 앞세워 다소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해코지하고, 업주 측이 평점을 높게 조작하거나 경쟁 업체의 평점을 '테러'하는 등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신규 업체같이 리뷰와 평점이 거의 없는 업체는 소비자에게 노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좀더 많은 노출의 기회를 얻고자 과도한 광고비 지출로 인한 배달 식당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0395호 (2007.02.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다양한 방식의 리뷰로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음식 또는 서비스의 리뷰(review)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하는 유형 식별부; 상기 대상 유형에 따라 상기 리뷰의 입력 방식 및 순서를 정의하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시나리오 결정부;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관한 전용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리뷰를 수신하는 리뷰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리뷰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리뷰 작성에 관한 보상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나리오 결정부는 상기 대상 유형에 따라 포토 리뷰, 텍스트 리뷰, 숫자 평점 리뷰, 등급 평점 리뷰, 동영상 리뷰 및 그림 리뷰를 포함하는 복수의 입력 방식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된 입력 방식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화면 제공부는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따라 각 입력 방식에 관한 부분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용 화면 내에 배치하여 제공하면서 상기 해당 사용자의 평균 보상 등급에 따라 상기 부분 인터페이스의 배치에 관한 편집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리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리뷰와 함께 상기 부분 인터페이스에 관한 배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리뷰에 포토 리뷰 및 텍스트 리뷰가 포함된 경우 해당 포토와 해당 텍스트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보상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보상 등급이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해당 포토에 태그를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 리뷰를 갱신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해당 포토에 대해 이미지 기반 태그 예측 모델을 적용한 결과 생성되는 제1 태그와 상기 해당 텍스트에 대해 키워드 추출 모델을 적용한 결과 생성되는 제2 태그 간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며, 만약 상기 제1 태그와 상기 제2 태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태그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 리뷰의 숫자 평점 또는 등급 평점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다양한 방식의 리뷰로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뷰 입력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뷰 입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뷰 입력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직접 광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리뷰 입력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을 포함할 수 있다. 직접 광고 시스템(100)은 온라인 배달 앱 사용자를 위한 리뷰 기반의 직접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리뷰를 큐레이션하여 직접 광고 기반의 리뷰 컨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리뷰 컨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리뷰 컨텐츠 중 특정 사용자 리뷰의 선택이 수신되면 특정 사용자 리뷰의 제공 과정에서 음식점 또는 서비스 매장에 대한 직접 주문수단을 생성한 다음 직접 주문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배달주문 또는 서비스주문을 음식점 또는 서비스 매장의 주문접수 단말에 직접 연결하여 음식 또는 서비스에 관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접 광고 시스템(100)은 최근 구간에 가장 많은 사용자 리뷰를 수신한 음식점 또는 서비스 매장을 선별하고 선별된 음식점 또는 서비스 매장에 대한 사용자 리뷰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리뷰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직접 광고 시스템(100)은 리뷰 입력 장치(130)를 통해 리뷰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뷰 입력 장치(130)는 리뷰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독립된 기능적 구성으로서 리뷰 컨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접 광고 시스템(100)는 리뷰 컨텐츠 생성부를 통해 최근 구간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리뷰를 수신한 음식점을 선별하고 선별된 음식점에 대한 사용자 리뷰를 인공지능 기반의 감성적 분석을 통해 감성레벨을 측정하며 사용자 리뷰에 대한 감성레벨에 따른 음식 호감도를 결정하고 사용자 리뷰에 대한 음식 호감도가 특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리뷰 컨텐츠의 특정 섹션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공지능 기반의 감성적 분석은 감성 분석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감성 분석 모델은 사용자 리뷰의 텍스트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해당 텍스트의 감정을 좋음, 중립, 싫음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좋음 또는 싫음의 정도를 감성레벨로 출력하도록 사전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섹션은 가장 상단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해당할 수 있거나, 또는, 오른쪽 또는 왼쪽의 특정 메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접 광고 시스템(100)는 리뷰 컨텐츠 생성부를 통해 직접 결제수단을 사용자 리뷰의 디스플레이 윈도우 상에 플로팅 되고 사용자 리뷰의 스크롤 과정에서 디밍되는 플로팅 윈도우로 구현하며, 사용자 리뷰의 감성레벨에 따라 특정 내용을 하이라이팅 하여 사용자 리뷰의 가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뷰 컨텐츠 생성부는 좋음 또는 싫음의 정도에 관한 감성레벨에 따라 연관 키워드를 붉은색 또는 푸른색으로 하이라이팅하여 소비자의 가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 ..., 제n(상기 n은 자연수) 사용자는 제n 사용자 단말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광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직접 광고 시스템(100)은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리뷰 입력 장치(130)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포함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10)은 적어도 하나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리뷰 입력을 위한 입력 도구(tool)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은 리뷰 입력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리뷰 입력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리뷰 입력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리뷰 입력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LT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뷰 입력 장치(130)는 독립된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뷰 입력 장치(130)는 음식 주문이 가능한 음식 주문 플랫폼, 음식 및 서비스에 관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달 플랫폼 및 결제를 위한 결제 서버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리뷰 입력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음식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 리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뷰 입력 장치(130)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150)는 리뷰 입력 장치(130)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논리적인 저장장치로서 리뷰 입력 장치(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리뷰 입력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뷰 입력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리뷰 입력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리뷰 입력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리뷰 입력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리뷰 입력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리뷰 입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뷰 입력 장치(130)는 요청 수신부(310), 유형 식별부(320), 시나리오 결정부(330), 입력 화면 제공부(340), 리뷰 수신부(350), 등급 결정부(360) 및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음식 또는 서비스의 리뷰(review)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식을 주문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해당 음식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리뷰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리뷰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리뷰 입력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요청 수신부(310)에게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이 전달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310)는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동작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310)는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과 함께 사용자 단말(110)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 중 일부를 사용자 동의 하에 수집할 수도 있다.
유형 식별부(32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 식별부(32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음식별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음식별 식별코드는 음식점 내 메뉴의 각 음식마다 부여되는 고유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QR 코드 및 바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유형 식별부(320)는 사용자의 음식 또는 서비스 구매이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시점에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에 관한 제안을 먼저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여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시나리오 결정부(330)는 대상 유형에 따라 리뷰의 입력 방식 및 순서를 정의하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리뷰 입력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음식 또는 서비스에 관한 리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방식과 순서를 사전에 정의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시나리오 결정부(330)는 다양한 입력 방식들의 조합과 순서로 배치된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사전에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의 유형이나 서비스의 유형이 식별되면 해당 유형에 따라 복수의 리뷰 입력 시나리오들 중에서 특정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나리오 결정부(330)는 대상 유형에 따라 포토 리뷰, 텍스트 리뷰, 숫자 평점 리뷰, 등급 평점 리뷰, 동영상 리뷰 및 그림 리뷰를 포함하는 복수의 입력 방식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된 입력 방식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순서를 결정하여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포토 리뷰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음식의 포장 상태, 조리 상태, 취식 후 상태 등을 촬영한 사진으로 표현하는 리뷰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텍스트 리뷰는 사용자가 음식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을 글(text)로서 표현하는 리뷰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숫자 평점 리뷰는 사용자가 음식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을 기초로 특정 범위 내의 숫자로 표현하는 리뷰 방식에 해당할 수 있고, 등급 평점 리뷰는 사전에 정의된 등급으로 표현하는 리뷰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동영상 리뷰 및 그림 리뷰는 사용자가 촬영한 동영상 또는 사용자가 그린 그림으로 표현하는 리뷰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 결정부(3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입력 방식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방식들의 입력 순서를 결정한 후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 결정부(330)는 다른 사용자들의 리뷰 입력 패턴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입력 방식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나리오 결정부(330)는 다른 사용자들의 리뷰 입력 패턴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에서 사용자들이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입력 방식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입력 화면 제공부(340)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관한 전용 화면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용 화면은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맞춰 구현된 리뷰 입력을 위한 전용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는 전용 화면 내에 구성된 입력 방식과 순서에 따라 리뷰들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화면 제공부(340)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가 결정되면 해당 입력 방식과 순서를 반영하여 각 입력 방식에 따른 입력 도구를 배치하여 전용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전용 화면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와 구분되는 별도의 화면 또는 별도의 페이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화면 제공부(340)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따라 각 입력 방식에 관한 부분 인터페이스를 전용 화면 내에 배치하여 제공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평균 보상 등급에 따라 부분 인터페이스의 배치에 관한 편집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리뷰의 경우 사진을 업로드하기 위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는 도구와 사진 미리보기 기능이 구현된 부분 인터페이스가 전용 화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텍스트 리뷰의 경우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부분 인터페이스가 전용 화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숫자 평점 리뷰 또는 등급 평점 리뷰의 경우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 또는 기 정의된 등급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옵션들을 포함하는 부분 인터페이스가 전용 화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 화면 제공부(340)는 해당 사용자의 이전 리뷰 기록을 기초로 전용 화면 내의 부분 인터페이스에 대한 배치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작성한 리뷰들이 평균적으로 높은 보상 등급을 획득한 경우 입력 화면 제공부(340)는 전용 화면에 대한 편집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입력한 리뷰들을 전용 화면 내에서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사용자 리뷰를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
리뷰 수신부(3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용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리뷰를 수신할 수 있다. 리뷰 수신부(35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리뷰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 리뷰 내용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와 연관지어 사용자 리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리뷰 수신부(350)는 사용자 리뷰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뷰 수신부(350)는 음식 유형의 포토 리뷰에 대해 음식과 연관된 사진인지를 기초로 유효성을 결정할 수 있다. 리뷰 수신부(350)는 사용자 리뷰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게 사용자 리뷰의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뷰 수신부(3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리뷰와 함께 부분 인터페이스에 관한 배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편집 권한이 부여된 경우 사용자는 전용 화면 내에서 부분 인터페이스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뷰 수신부(35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리뷰를 수신하면서 전용 화면 내의 부분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배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360)는 사용자 리뷰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리뷰 작성에 관한 보상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결정된 보상 등급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리뷰 작성에 따른 보상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뷰 작성에 대한 보상은 할인 쿠폰, 포인트, 상품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360)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 리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는 사전 정의된 등급으로 분류되거나 특정 범위 내의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이후, 등급 결정부(360)는 평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리뷰 작성에 대한 보상(reward)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보상 등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의 유형 및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급 결정부(360)는 사용자 리뷰에 포토 리뷰 및 텍스트 리뷰가 포함된 경우 해당 포토와 해당 텍스트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를 기준으로 보상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포토와 텍스트가 서로 유사할수록 사용자가 리뷰를 보다 충실히 작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등급 결정부(360)는 포토와 텍스트 간의 유사도가 높은 사용자 리뷰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보상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포토와 텍스트 간의 유사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와 텍스트 간의 유사도는 포토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와 텍스트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 간의 거리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포토와 텍스트 간의 유사도는 포토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텍스트에서 추출된 키워드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급 결정부(360)는 보상 등급이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포토에 태그를 추가하여 사용자 리뷰를 갱신할 수 있다. 즉, 등급 결정부(360)는 보상 등급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 사용자 리뷰의 포토에 대해 자동 태그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태그는 해당 포토에 대해 이미지 기반 태그 예측 모델을 적용한 결과 생성되는 제1 태그와 해당 텍스트에 대해 키워드 추출 모델을 적용한 결과 생성되는 제2 태그 간의 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기반 태그 예측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기초로 구축될 수 있으며, 이미지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해당 이미지의 태그를 출력으로 생성하도록 사전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추출 모델은 자연어 언어 모델인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기초로 구축될 수 있으며, 텍스트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해당 텍스트의 키워드를 출력으로 생성하도록 사전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추출 모델은 KeyBERT 모델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제1 태그와 제2 태그가 동일한 경우 제1 및 제2 태그들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 리뷰의 숫자 평점 또는 등급 평점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등급 결정부(360)는 포토에서 추출된 태그와 텍스트에서 추출된 태그가 서로 동일한 경우, 동일한 태그를 중복 결합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태그 대신에 사용자 리뷰에 포함된 숫자 평점 또는 등급 평점을 대신 추가하여 포토에 관한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해당 경우에도 사용자 리뷰에 숫자 평점 및 등급 평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등급 결정부(360)는 사용자 리뷰와 연관된 음식 또는 서비스의 평균 평점 정보(숫자 또는 등급)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태그들 중 어느 하나를 대체할 수 있다.
제어부(도 3에 미도시함)는 리뷰 입력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요청 수신부(310), 유형 식별부(320), 시나리오 결정부(330), 입력 화면 제공부(340), 리뷰 수신부(350) 및 등급 결정부(36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뷰 입력 장치(130)는 요청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음식 또는 서비스의 리뷰(review)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리뷰 입력 장치(130)는 유형 식별부(3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단계 S420). 리뷰 입력 장치(130)는 시나리오 결정부(330)를 통해 대상 유형에 따라 리뷰의 입력 방식 및 순서를 정의하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리뷰 입력 장치(130)는 입력 화면 제공부(340)를 통해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관한 전용 화면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40). 리뷰 입력 장치(130)는 리뷰 수신부(3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용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리뷰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50). 리뷰 입력 장치(130)는 등급 결정부(360)를 통해 사용자 리뷰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리뷰 작성에 관한 보상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6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뷰 입력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뷰 입력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리뷰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리뷰 입력 장치(130)는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으며, 대상 유형에 따라 리뷰의 입력 방식 및 순서를 정의하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결정한 후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관한 전용 화면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는 전용 화면 내에서 사용자 리뷰를 작성할 수 있다. 즉, 음식과 연관된 리뷰인 경우 사용자는 전용 화면에 표시된 각 항목에 따라 주문시간, 텍스트 및 포토(사진)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포토 리뷰는 음식 유형, 주문시간 및 리뷰 광고비(즉, 리뷰 보상) 등에 따라 입력 가능한 포토의 개수, 촬영 방식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방식은 음식의 경우 전체 음식의 촬영, 특정 음식의 클로즈업 촬영, 포장 상태 촬영, 배달 상태 촬영, 식사 전후 촬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직접 광고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리뷰 입력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요청 수신부 320: 유형 식별부
330: 시나리오 결정부 340: 입력 화면 제공부
350: 리뷰 수신부 360: 등급 결정부

Claims (5)

  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음식 또는 서비스의 리뷰(review)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리뷰의 대상이 되는 음식 또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하는 유형 식별부;
    상기 대상 유형에 따라 상기 리뷰의 입력 방식 및 순서를 정의하는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시나리오 결정부;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관한 전용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입력 화면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리뷰를 수신하는 리뷰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리뷰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리뷰 작성에 관한 보상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리뷰에 포토 리뷰 및 텍스트 리뷰가 포함된 경우 해당 포토와 해당 텍스트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유사도를 기준으로 상기 보상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보상 등급이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해당 포토에 태그를 추가하여 상기 사용자 리뷰를 갱신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해당 포토에 대해 이미지 기반 태그 예측 모델을 적용한 결과 생성되는 제1 태그와 상기 해당 텍스트에 대해 키워드 추출 모델을 적용한 결과 생성되는 제2 태그 간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며, 만약 상기 제1 태그와 상기 제2 태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태그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 리뷰의 숫자 평점 또는 등급 평점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결정부는
    상기 대상 유형에 따라 포토 리뷰, 텍스트 리뷰, 숫자 평점 리뷰, 등급 평점 리뷰, 동영상 리뷰 및 그림 리뷰를 포함하는 복수의 입력 방식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된 입력 방식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면 제공부는
    상기 리뷰 입력 시나리오에 따라 각 입력 방식에 관한 부분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용 화면 내에 배치하여 제공하면서 상기 해당 사용자의 평균 보상 등급에 따라 상기 부분 인터페이스의 배치에 관한 편집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리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리뷰와 함께 상기 부분 인터페이스에 관한 배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20173845A 2022-12-13 2022-12-13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KR102642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845A KR102642041B1 (ko) 2022-12-13 2022-12-13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845A KR102642041B1 (ko) 2022-12-13 2022-12-13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041B1 true KR102642041B1 (ko) 2024-02-27

Family

ID=9005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845A KR102642041B1 (ko) 2022-12-13 2022-12-13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0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41A (ja) * 2001-04-27 2002-1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ータ入力画面設計方法およびその支援システム
JP2006171817A (ja) * 2004-12-10 2006-06-29 Gomez Kk ウェブサイト評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10395A (ko)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키 인식 장치
KR20200075114A (ko) * 2018-12-12 2020-06-26 주식회사 인공지능연구원 이미지와 텍스트간 유사도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186A (ko) * 2019-01-16 2020-07-24 이갑 리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41A (ja) * 2001-04-27 2002-11-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ータ入力画面設計方法およびその支援システム
JP2006171817A (ja) * 2004-12-10 2006-06-29 Gomez Kk ウェブサイト評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10395A (ko)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키 인식 장치
KR20200075114A (ko) * 2018-12-12 2020-06-26 주식회사 인공지능연구원 이미지와 텍스트간 유사도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186A (ko) * 2019-01-16 2020-07-24 이갑 리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2525A1 (en) Multi-service business platform system having event systems and methods
US11301939B2 (en) System for generating shareable user interfaces using purchase history data
US11429673B2 (en) Displaying sort result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219344B1 (ko) 자동 광고 대행 서버, 자동으로 광고 매체를 위한 캠페인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의 집행을 대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7208595B2 (ja) 映画成功指数の予測
KR102191486B1 (ko) 자동 광고 대행 서버, 자동으로 광고 매체를 위한 캠페인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의 집행을 대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3246690A (zh) 标签继承
US11803872B2 (en) Creating meta-descriptors of marketing messages to facilitate in delivery performance analysis, delivery performance prediction and offer selection
KR20170030570A (ko) 이모티콘들을 식별 및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64765A1 (en) Method for managing item recommendation using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language unit and usage history
KR102458510B1 (ko) 실시간 보완 가능한 마케팅 시스템
KR101958773B1 (ko) 웹툰 기반의 상품 상세 페이지 제작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7629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thesizing adaptive data visualizations
US9940315B2 (en) Previewing inline authoring of web content
KR102362836B1 (ko) 웹진 제작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3015A (ko) 창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89570B1 (ko)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42041B1 (ko) 시나리오 기반의 리뷰 입력 장치
Cohen et al. Ethical issues in corpus linguistics and annotation: Pay per hit does not affect effective hourly rate for linguistic resource development on amazon mechanical turk
US11140256B1 (en)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an unintentional action from being performed on a device
Tekin et al. Big data concep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ow big data effects productivity
CN112948602A (zh) 一种内容显示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20035240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KR102375770B1 (ko) 인플루언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9171B1 (ko) 포인트 점수 기반 아이템 검색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