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570B1 -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570B1
KR101589570B1 KR1020140113545A KR20140113545A KR101589570B1 KR 101589570 B1 KR101589570 B1 KR 101589570B1 KR 1020140113545 A KR1020140113545 A KR 1020140113545A KR 20140113545 A KR20140113545 A KR 20140113545A KR 101589570 B1 KR101589570 B1 KR 10158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istory
category
group
men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830A (ko
Inventor
김우재
Original Assignee
김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재 filed Critical 김우재
Priority to KR102014011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5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a) 서버가, 제1 단체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는, 상기 멘토 후보군 중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PROVIDING ON-LINE MENTORING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체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단체에 적합한 멘토를 효율적으로 추천하기 위한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멘토링(Mentoring)이란 정보 제공자, 멘토(Mentor) 및 정보 요청자(Mentee) 간에 일정한 관계를 통하여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 과정을 뜻한다. 최근 ‘멘토 열풍’이라고 할 정도로 젊은 세대 사이에 멘토 찾기 움직임이 활발하다. 안철수 박경철의 ‘희망공감 청춘 콘서트’는 인기몰이 속에 27개 지역의 4만 5000여 명 청년들 참여하였고, 저자 김난도 서울대 교수가 멘토로써의 청년들의 길잡이가 되어준 「아프니까 청춘이다」책은 최근 비소설 부문 사상 최단기간으로 100만부 판매를 돌파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도를 넘어선 경쟁사회에서 멘토를 찾아 위로 받고 싶어 하는 마음이 세대적 특성으로 자리 잡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이다. 멘토를 만나는 일이 순간의 위안에 머물지 않고 삶의 방향을 잡아가는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멘토 열풍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가입자별 개인 블로그를 통한 멘토 검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입자 간 멘토-멘티 관계가 설정되도록 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901호와 같은 온라인 멘토-멘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멘토 열풍은 멘토링의 범위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 대 개인 멘토링 뿐만 아니라 기업 대 기업 멘토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기업을 위한 멘토링이 활발하지 않고, 신생기업이 멘토의 도움을 받고자 하더라도 해당 신생기업에 적절한 멘토를 찾는 것 또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을 위한 멘토를 효율적으로 연결시켜 멘토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업이 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체가 그 동안 수행한 다양한 업무 등으로부터 추출되는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단체에 적합한 멘토를 추천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특징에 따르면, (a) 서버가, 제1 단체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는, 상기 멘토 후보군 중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특징에 따르면, (a) 서버가, 복수의 단체 각각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특정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멘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단체 중 상기 특정 토픽과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의 특정 단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멘토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특징에 따르면, 제1 단체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이력 분석부,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멘토 후보군 모집부 및 상기 멘토 후보군 중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인터랙션 지원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서버를 제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기술적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단체 각각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이력 분석부, 특정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멘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멘토 후보군 모집부 및 상기 복수의 단체 중 상기 특정 토픽과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단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멘토에게 제공하는 인터랙션 지원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서버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을 위한 멘토를 효율적으로 연결시켜 멘토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업이 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체가 그 동안 수행한 다양한 업무 등으로부터 추출되는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단체에 적합한 멘토를 추천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멘토링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픽이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픽의 세부 항목이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멘토링공간에서 단체와 멘토 사이에 멘토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체와 특정 멘토 사이에 수행된 멘토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멘토링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사용자의 단말 장치(300) 및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란, 단체에 대응된 관리자(단체에 대응된 관리자는 단체에 속해 있는 사람 중 해당 단체에 대한 관리자로 설정된 사람이거나 단체에 속해있지 않더라도 단체에 대한 관리자로 설정된 사람을 의미하며, 관리자는 복수 명을 의미할 수도 있음), 단체의 구성원,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 및 종속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공받는 개인 등 본 발명에 따른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서비스와 연관될 수 있는 자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체란, 기업, 기업의 계열사, 기업에 속한 부서, 비즈니스 모임, 정치적 모임, 스터디 모임, 친목 모임, 기타 모임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양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이동 통신망, 인공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IEEE 802.11,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기술에 의하여 구현되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300)로부터 단체의 관련 정보, 특히,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와 관련된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해당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가령, 해당 단체의 관리자가 후술할 도 3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기록해 온 단체의 히스토리의 상의 각종 이력(본 발명에서 이력이란 용어는 단체가 수행한 업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함) 또는 각종 목표가 속하는 다양한 특성 카테고리(가령, 경영/전략/기획, 교육, 디자인, 마케팅, 영업/판매, 법률/법무, 연구/개발/엔지니어링, 제조, 컨설팅, 회계/세무/재무 카테고리 등등)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멘토 후보군 중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단체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멘토는 스타트업 기업 등을 멘토링할 수 있는 대기업, 중소기업 등과 같은 단체 또는 기업양성전문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추후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서버(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는 서버(200)가 제공하는 온라인 멘토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browser) 관련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단체 이력 분석부(210),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 인터랙션 지원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체 이력 분석부(210),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 인터랙션 지원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가 전부 서버(200)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서버(200)와 연동하는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체 이력 분석부(210),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 인터랙션 지원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체 이력 분석부(210)는 단체의 관리자로부터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체 이력 분석부(210)는 단체의 관리자에게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계열적 의미를 포함하는 기준선(310) 및 내용이 비어 있는 단위 영역(도 3에서는 단위 영역이 육각형인 것을 예시로서 상정함, 320)이 표시된 템플릿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영역(320)은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가 입력된 경우,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가 입력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기본 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내용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와 관련된 시계열적 시작점 또는 시계열적 종료점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특정 단위 영역을 통해,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은, 단체의 기본적인 이력으로서 기존의 이력과는 다른 새로운 이력에 대한 입력이 추가될 시에 생성되는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 및 기존에 입력된 소정의 기본적인 이력에 종속되는 세부 이력에 대한 입력이 추가될 시에 생성되는 종속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와 관련된 시계열적 시작점 또는 종료점이란 이력이 수행된 기간과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력되는 이력이 단체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것을 경우 상기 업무가 수행된 기간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목표가 입력되는 경우, 목표와 관련된 시계열적 정보란 목표 설정 시점 및/또는 단체가 희망하는 목표 달성 시점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계열적 의미를 가지는 기준선은 참조번호(310)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도 3에서는 기준선(310)의 제일 밑 부분이 해당 단체가 설립 또는 생성된 날짜를 나타내고, 기준선(310)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시간이 현재의 시점에 가까워진다. 또한, 특정 시기에 해당되는 이력이나 목표 등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기준선(310)의 특정 시기에 해당되는 위치에 근접한 단위 영역을 통해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320)은 템플릿에 포함되어 있는 육각형의 단위 영역을 의미하며,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은 기준선(31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단위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서, 기준선(310)과 바로 밀착해 붙어 있는 영역이 이에 해당할뿐만 아니라, 기준선(310)에 의해 짤린 육각형이 위치한 시계열적 위치에서는 상기 짤린 육각형과 밀착해 붙어 있는 영역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붙어 있는 단위 영역을 통해 종속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40)이 노출될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템플릿은 기준선(310), 복수의 단위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기 전에는 기준선(310) 및 내부가 비어 있는 것으로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는 복수의 단위 영역(320)만이 표시될 수 있으며(물론, 단위 영역(320)이 반드시 화면 상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 신규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거나, 이미 생성된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에 해당되는 이력의 종속 이력(즉, 세부 이력)과 관련된 내용이 입력되면, 비어 있는 상태의 단위 영역들 중 소정의 적절한 위치의 단위 영역을 통해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또는 종속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40)이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체의 관리자의 의해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특정 이력 또는 특정 목표에 대한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을 템플릿을 통해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에 해당되는 이력 또는 목표와 관련되어 획득되는 시계열적 시작점 또는 시계열적 종료점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특정 단위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이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 각각의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에 해당되는 이력 또는 목표와 관련된 시계열적 시작점 또는 시계열적 종료점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고 기준선의 시계열적 정보도 같이 참조로 하여, 양측의 시계열적 정보가 매칭되는 기준선의 해당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단위영역에 해당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복수의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이 기준선의 시계열적 흐름을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체의 관리자에 의해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는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논하면, 도 3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별도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 등에 대해 텍스트 등으로 입력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고, 다른 예로서, 도 3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단위 영역 중 특정 단위 영역을 단체의 관리자가 직접 선택(가령, 마우스 클릭)하여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 등에 대한 입력을 시도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단체 이력 분석부(210)가 단체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등을 분석하여 시계열적 시작점 또는 시계열적 종료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해 낸 후, 이와 같이 추출해 낸 정보를 참조로 결정되는 특정 단위 영역을 통해 기본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 또는 종속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며, 후자의 경우, 단체의 관리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특정 단위 영역 자체에 이미 시계열적 위치 정보(앞서 설명했듯이, 기준선의 어느 지점에 근접해 있는 단위 영역인지에 따라 시계열적 위치가 결정됨)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단체의 관리자에 의해 직접 선택된 해당 특정 단위 영역을 통해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은 이력 또는 목표의 특성 카테고리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시각적 효과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특성 카테고리를 가지는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과 차별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력의 특성 카테고리에 따라 해당 영역 내의 색깔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특성 카테고리의 예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당 단체의 관리자가 어느 특성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이력 등을 입력하는지에 따라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의 색깔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 각각에 대응되는 이력과 관련하여 해당되는 이력을 증빙하기 위한 콘텐츠를 첨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체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관련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이력을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체가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의 캡쳐 화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사, 어플리케이션 동작 영상 등과 같은 콘텐츠를 첨부하여 단체의 이력을 증빙할 수 있다. 참고로,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특정 이력과 관련된 증빙서류를 첨부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나머지의 특정 이력과 관련된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과는 다른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빙서류를 첨부하지 않은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에 대하여는 특성 카테고리에 상관없이 회색으로 디스플레이되게끔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단체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이력 또는 목표 중 n 개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해서는 중요한 이력 또는 중요한 목표인 것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상술한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330, 340) 각각에 대응되는 이력과 관련하여 해당되는 이력을 증빙하기 위한 콘텐츠가 첨부되었는지 여부 또는 단체의 관리자에 의하여 중요한 이력 또는 목표인 것으로 선택되었는지 여부는 단체 이력 분석부(210)가 후술할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을 결정하는 데에 참조로 사용될 수 있다.
단체 이력 분석부(210)는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가 복수 개 입력되면 이들로부터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이력 또는 목표를 제1 항목, 제2 항목, … , 제k 항목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2 카테고리, 상기 제k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k 카테고리라고 할 때, 각각의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해당 단체의 제1 ~ 제k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의 종류가 연구/개발/엔지니어링 카테고리 및 경영/전략/기획 카테고리이고, 그 중 연구/개발/엔지니어링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항목이 (k-1)개이고 경영/전략/기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항목이 1개일 때, 해당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은 연구/개발/엔지니어링 카테고리에 대해 (k-1/k)에 해당되는 가중치를, 경영/전략/기획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1/k)에 해당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나, 가중치로서 곱해지는 수치가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또한,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1 ~ 제k 항목 각각에 대하여 단체의 관리자가 중요도를 부여했는지에 대한 정보 또는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증빙서류를 첨부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증빙서류가 첨부된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특성 카테고리이거나 단체의 관리자가 중요도를 부여한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특성 카테고리에 대하여는 가중치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반대로, 증빙서류가 첨부되지 않은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특성 카테고리이거나, 단체의 관리자가 중요도를 부여하지 않은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특성 카테고리에 대하여는 가중치를 낮게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단체 이력 분석부(210)에 의해 추출된 단체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에 따라 해당 입력내용존재표시영역의 색채를 다른 특성 카테고리를 가지는 영역들과 차별되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바,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색채 및 상기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부여된 가중치를 참조로 하여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를 분석한 결과, 단체가 주력하는 업무분야는 연구/개발/엔지니어링 분야라면, 도 4와 같이 연구/개발/엔지니어링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색채인 가령 파란색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단체의 이력 정보를 시각적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특히, 단체의 특기 또는 주요업무분야를 멘토가 효율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이 색채의 띠 형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색채를 통하여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알아보기 쉽다면 어느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는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토픽은 멘토가 단체(멘티)에게 수행할 멘토링에 대한 내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멘토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하여 멘토링을 하고자 한다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내용이 토픽이 될 수 있다.
이때,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멘토링 제공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된 일반 회원 중에서 온라인멘토링공간을 개설한 단체(해당 단체에 대응되어 지정되어 있는 관리자를 포함함) 또는 개인사용자를 멘토 후보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일반 회원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이 보유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전달하는 멘토로서 활동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토픽을 선정하여 온라인멘토링공간을 개설할 수 있고, 온라인멘토링공간을 개설한 회원은 상기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응되는 특정 토픽에 있어서는 멘토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는 특정 단체 또는 개인사용자가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응되는 토픽에 관한 정보, 특히 상기 토픽에 대한 특성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온라인멘토링공간을 개설한 단체 또는 개인사용자의 기본 정보(예를 들어, 단체인 경우에는 단체의 산업군, 단체의 직원수, 상장여부, 자본금, 매출액 등일 수 있으며, 개인사용자인 경우, 학력사항 또는 경력사항)를 함께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멘토링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된 일반 회원 중 온라인멘토링공간을 개설한 회원을 멘토 후보군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채택하지 않고,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별도로 모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분야에 있어서 저명한 인사 또는 단체의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에 가입하여 자신의 기본 사항을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멘토로서 활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지원부(230)는 멘토 후보군 중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단체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랙션 지원부(230)는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 및 각 특성 카테고리에 부여된 가중치와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비교하여, 단체에게 추천할 특정 멘토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랙션 지원부(230)는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에 포함된 텍스트 및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에 포함된 텍스트를 자연어처리에 의해 분석하여 비교하거나,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 및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포함 관계를 분석하여 비교하여 특정 멘토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특성 카테고리 중 가중치가 높게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에 속하는 토픽을 선정하여, 상기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를 추천할 수 있다. 한편, 같은 특성 카테고리에 포함된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멘토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멘토를 모두 단체에게 추천할 특정 멘토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복수의 멘토 중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 유사한 속성을 갖는 멘토를 선정하여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반적으로 해당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이 복수의 특성 카테고리를 가지게 마련이므로,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 및 이들의 가중치로 이루어지는 소위 "카테고리 조합비율"과 유사한 조합비율을 가지는 멘토를 해당 단체에게 추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멘토의 카테고리 조합비율은 해당 멘토가 그동안 온라인멘토링공간을 개설하고 멘토링을 했던 토픽들이 속하는 카테고리 및 이들 카테고리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를 대상으로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며(가령,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토픽들에 대해 멘토링을 많이 한 경우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대해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음), 다른 예로서, 온/오프라인에서 그동안 멘토링했던 이력 등을 증빙서류와 함께 검증하여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특정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멘토에게 단체(즉, 멘티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특정 토픽과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단체(즉, 멘티 후보군)를 상기 멘토에게 추천할 수 있다. 멘토와 단체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특정 멘토, 단체 또는 제3자에 의해 개설된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멘토링을 위한 토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소정 기간 동안 상기 토픽에 대하여 단체 또는 상기 단체의 관리자 및 특정 멘토 사이에서 멘토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 및 특정 멘토 사이에 멘토링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토픽이 썸네일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를 참조번호(510)로 표시하였으며, 각각의 썸네일을 선택하면 해당 토픽에 대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마우스 커서를 참조번호(510) 상에 허버링(hovering)하는 경우, 참조번호(510)에 대응되는 토픽의 특성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특성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특성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색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특정 토픽이 선택(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특정 토픽에 관한 상세 정보가 특정 멘토에 의해 개설된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 및 특정 멘토 사이에서 멘토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특정 토픽과 관련된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토픽이 상기 토픽에 종속된 내용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부 항목(소위, 챕터)을 포함할 경우, 상기 세부 항목을 상기 특정 멘토에 의해 개설된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픽의 세부 항목이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란 토픽에 ‘1. 기업의 사회공헌이란?’, ‘2. 기업의 사회공헌은 꼭 필요한가?’, ‘3.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치기 위한 조건’ 에 관한 세부 항목이 포함된 경우, 각각의 세부 항목은 도 6의 참조번호(610, 612, 614)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610, 612, 614)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 선택되었음을 감지하면 선택된 세부 항목에 대응되어 있는 상세 내용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토픽에 세부 항목이 포함된 경우에는 세부 항목에 대하여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 및 특정 멘토 사이에서 멘토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멘토가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토픽 또는 상기 토픽에 종속된 세부 항목을 개설하는 경우, 상기 멘토에게 상기 토픽 자체 또는 세부 항목에 대한 일정(예를 들어, 멘토링이 시작되는 날짜 및 종료되는 날짜)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멘토에 의하여 설정된 일정 동안에만 멘토링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멘토링 일정이 멘토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멘티 또는 서비스 관리자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멘토에게는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토픽 또는 상기 토픽에 종속된 세부 항목을 개설하는 경우 그 일정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 외에 세부 항목을 편집 및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더 부여할 수도 있다. 다만, 세부 항목에 대한 멘토링이 진행 중이거나 멘토가 설정한 일정이 경과하여 세부 항목에 대한 멘토링이 종료된 경우에는 세부 항목을 편집 및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멘토링이 진행 중인 것과 관련하여, 상기 멘토의 멘티로부터 세부 항목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이 등록된 시점으로부터 멘토링이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멘토링공간에서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와 멘토 사이에 멘토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는 토픽 또는 세부 항목에 대하여 의견 또는 질문을 등록할 수 있으며, 참조번호(710)이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가 등록한 의견 또는 질문에 해당한다. 이에 멘토는 상기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가 등록한 의견 또는 질문에 대하여 참조번호(720)와 같은 의견을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멘토링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는 멘토에게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거나 궁금한 사항을 질문하고, 멘토는 이에 대하여 자신이 보유한 지식을 바탕으로 조언 등을 함으로써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와 멘토 간에 멘토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멘토에게는 온라인멘토링공간을 통해 멘토링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토픽 또는 세부 항목에 대하여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의 의견 또는 질문이 등록되는 회수를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즉, 멘토가 설정한 회수만큼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의 의견 또는 질문이 등록되면, 멘토가 다시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의 의견 또는 질문이 등록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전까지 더 이상 의견 또는 질문이 등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멘토링의 내용을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 및 특정 멘토에게만 공개할지 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공개할지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단체, 단체의 관리자 또는 특정 멘토에게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멘토링이 이루어질 때 비용에 대한 언급이 없었지만, (i) 무료 멘토링, (ii) 멘토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비용에 의한 유료 멘토링, (iii) 멘티가 알아서 결정하는 소정의 비용에 의한 유료 멘토링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료 멘토링에 해당하는 (ii), (iii)의 경우에는 유료 멘토링에 의한 멘토 비용의 소정의 비율(가령, 멘토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비율)만큼이 멘토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단체에 기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와 특정 멘토 사이에 수행된 멘토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와 특정 멘토 사이에 수행된 멘토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북(e-book)을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상기 이북을 단체, 단체의 관리자 또는 특정 멘토의 선택에 의해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8과 같은 이북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이북에는 멘토가 작성한 토픽 또는 세부 항목에 대한 상세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토픽 또는 세부 항목에 대한 멘티들의 질문 또는 의견, 이에 대한 멘토의 조언 등에 관한 내용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에 의하여 생성된 이북은 복제 방지 기능이 삽입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는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와 특정 멘토 사이에 수행된 멘토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북을, 상기 멘토링에 멘티로서 참여한 단체, 단체의 관리자 또는 상기 멘토링에 멘티로서 참여하지 않은 타단체 또는 타사용자가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가 이북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멘토의 경험, 지식, 노하우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타단체 또는 타사용자가 이북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멘토링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멘토의 경험, 지식, 노하우 등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체, 단체의 관리자, 타단체 또는 타사용자가 이북을 구매한 경우, 상기 구매한 이북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또 다른 단체 또는 또 다른 사용자에게 중고로 판매하거나, 상기 또 다른 단체 또는 또 다른 사용자가 보유한 이북(이때, 또 다른 단체 또는 또 다른 사용자가 보유한 이북은 상기 단체 또는 단체의 관리자가 구매한 이북과 다른 것에 해당함)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40)에는, 단체의 관리자가 입력한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와 관련된 내용, 단체의 인생 스펙트럼 정보,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 특정 멘토가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40)가 서버(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는 서버(20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4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40)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단체 이력 분석부(210),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 인터랙션 지원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 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서버(20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단체 이력 분석부(210),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 인터랙션 지원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서버(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단체 이력 분석부(210), 멘토 후보군 모집부(220), 인터랙션 지원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멘토와 멘티 사이의 멘토링이라 함은 기업과 기업 사이에서의 멘토링, 기업과 부서 사이에서의 멘토링, 부서와 부서 사이에서의 멘토링, 기업과 모임 사이에서의 멘토링, 부서와 모임 사이에서의 멘토링, 모임과 모임 사이에서의 멘토링 등 다양한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또한, 멘토라는 개념이 기본적으로는 일 개인인 경우를 상정하기 쉽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하였던 "조합비율" 개념을 생각해 보면, 멘티(기업, 부서, 모임 등)의 조합비율과 기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조합비율을 보유하고 있는 멘토(기업, 부서, 모임 등)를 찾는 과정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따르면 멘토가 반드시 일 개인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일단 멘토(기업, 부서, 모임 등)가 조합비율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 후, 해당 멘토(기업, 부서, 모임 등)에 속해 있는 관리자(개인)가 멘티(기업, 부서, 모임 등) 또는 멘티(기업, 부서, 모임 등에 속해 있는 개인)를 상대로 멘토링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서버
210: 단체 이력 분석부
220: 멘토 후보군 모집부
230: 인터랙션 지원부
240: 데이터베이스
250: 통신부
260: 제어부

Claims (8)

  1. (a) 서버가, 제1 단체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는, 상기 멘토 후보군 중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단체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 및 각 특성 카테고리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과 상기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이 속하는 카테고리 및 이들에 대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특정 멘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가 복수 개 입력되고, 이를 제1 항목, 제2 항목, …, 제k 항목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2 카테고리, 상기 제k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k 카테고리라고 할 때,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증빙서류를 첨부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2. 삭제
  3. (a) 서버가, 복수의 단체 각각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특정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멘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단체 중 상기 특정 토픽과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한 명의 특정 단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멘토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 및 각 특성 카테고리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과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이 속하는 카테고리 및 이들에 대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을 비교하여 특정 멘토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멘토에 대한 정보로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이력 또는 목표가 복수 개 입력되고, 이를 제1 항목, 제2 항목, …, 제k 항목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2 카테고리, 상기 제k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k 카테고리라고 할 때,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증빙서류를 첨부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 단체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이력 분석부;
    소정의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멘토 후보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멘토 후보군 모집부; 및
    상기 멘토 후보군 중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을 멘토링 분야로서 설정한 특정 멘토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토픽에 대한 멘토링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멘토링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체 또는 상기 제1 단체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인터랙션 지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랙션 지원부는,
    상기 제1 단체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 및 각 특성 카테고리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과 상기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이 속하는 카테고리 및 이들에 대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특정 멘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단체 이력 분석부는,
    상기 제1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가 복수 개 입력되고, 이를 제1 항목, 제2 항목, …, 제k 항목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2 카테고리, 상기 제k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k 카테고리라고 할 때,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증빙서류를 첨부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서버.
  6. 삭제
  7. 복수의 단체 각각에 관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단체의 이력 또는 목표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각각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이력 또는 목표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이력 분석부;
    특정 토픽에 관하여 멘토링을 수행하기 위한 멘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멘토 후보군 모집부; 및
    상기 복수의 단체 중 상기 특정 토픽과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단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멘토에게 제공하는 인터랙션 지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상기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카테고리 및 각 특성 카테고리에 부여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과 멘토 후보군 각각이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토픽이 속하는 카테고리 및 이들에 대한 가중치로 결정되는 조합 비율을 비교하여 특정 멘토가 결정되면, 상기 인터랙션 지원부는, 상기 특정 멘토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단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단체 이력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단체 각각의 이력 또는 목표가 복수 개 입력되고, 이를 제1 항목, 제2 항목, …, 제k 항목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1 카테고리, 상기 제2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2 카테고리, 상기 제k 항목에 대응되는 특성 카테고리를 제k 카테고리라고 할 때,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증빙서류를 첨부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특성 카테고리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특성 카테고리를 참조로 하여 상기 복수의 단체의 히스토리 스펙트럼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멘토링 제공 서버.
  8. 삭제
KR1020140113545A 2014-08-28 2014-08-28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8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45A KR101589570B1 (ko) 2014-08-28 2014-08-28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45A KR101589570B1 (ko) 2014-08-28 2014-08-28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564A Division KR101517306B1 (ko) 2013-12-20 2013-12-20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830A KR20150073830A (ko) 2015-07-01
KR101589570B1 true KR101589570B1 (ko) 2016-02-01

Family

ID=5378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545A KR101589570B1 (ko) 2014-08-28 2014-08-28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5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70B1 (ko) 2020-12-24 2021-08-20 최철만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전문가 매칭 시스템
KR20240016477A (ko) 2022-07-29 2024-02-06 (주)박스레더 Ai를 이용한 자동 답변 서비스 시스템
KR20240030474A (ko) 2022-08-31 2024-03-07 (주)박스레더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성향분석 기반 창업자-전문가 매칭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53B1 (ko) 2021-02-08 2023-10-26 주식회사 타임리 기업과 투자자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99A (ko) * 2000-07-14 2000-10-05 탁충실 컴퓨터 기반의 멘토링시스템 및 그 적용 방법
KR20100107179A (ko) * 2009-03-25 2010-10-05 유비벨록스(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멘트링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70B1 (ko) 2020-12-24 2021-08-20 최철만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전문가 매칭 시스템
KR20240016477A (ko) 2022-07-29 2024-02-06 (주)박스레더 Ai를 이용한 자동 답변 서비스 시스템
KR20240030474A (ko) 2022-08-31 2024-03-07 (주)박스레더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성향분석 기반 창업자-전문가 매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830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306B1 (ko)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144622B2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138299B2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Nave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ramework to track consumer sentiments in social media
US20180232751A1 (en) Internet system and method with predictive modeling
US11568334B2 (en) Adaptive workflow definition of crowd sourced tasks and quality control mechanisms for multiple business applications
US10061756B2 (en) Media annotation visualization tools and techniques, and an aggregate-behavior visualization system utilizing such tools and techniques
US20030182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apacity planning and deployment
JP66356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319314A1 (en) Methods of collecting and visualizing group information
US202001432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knowledge management
US8352301B1 (en) Sales opportunity no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589570B1 (ko)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461343B1 (en) Prescriptive analytics platform and polarity analysis engine
US99965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ynamic themes for social data
JP2011248435A (ja) 分析支援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732084B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US20140136256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Subject Matter Expertise Across An Organization Hierarchy
US20130275329A1 (en) Sales opportunity no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Van Kleek et al. Carpé data: supporting serendipitous data integration i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KR101423890B1 (ko) 온라인 멘토링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145222B2 (ja) ユーザの関連情報を記録および管理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提供方法、サーバー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220318236A1 (en) Libra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arra et al. Comparison of Online Platforms for the Review Process of Conference Paper
JP2010055241A (ja) アンケート結果解析支援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