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035B1 -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 Google Patents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035B1
KR102642035B1 KR1020210101671A KR20210101671A KR102642035B1 KR 102642035 B1 KR102642035 B1 KR 102642035B1 KR 1020210101671 A KR1020210101671 A KR 1020210101671A KR 20210101671 A KR20210101671 A KR 20210101671A KR 102642035 B1 KR102642035 B1 KR 10264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napkin
adhesive
release paper
adhesive tap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9751A (ko
Inventor
손지수
Original Assignee
손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지수 filed Critical 손지수
Priority to KR102021010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0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2013/55195Packaging for dispensing and dispo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하는 내부면(2d)에 부착된 제1이형지(210); 상기 제1이형지(210) 상에 부착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 및 상기 내부면(2d)의 반대쪽인 외부면(2c)의 상단 부분에 부착된 점착테이프(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생리대 포장지에 구비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날개형 생리대를 팬티에 부착할 때 날개 부분을 서로 연결시켜 붙임으로써 날개형 생리대를 팬티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생리대를 사용 후 버릴 때에는 생리대를 돌돌 말은 상태에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겉에 붙여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생리대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Sanitary pad wrapper having fixing means for more convenient use of the sanitary pad}
본 발명은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날개형 생리대의 날개 부분이 팬티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이 끝나서 버린 생리대가 펼쳐지지 않게끔 생리대의 말린 상태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는 사춘기 이상의 여성의 월경시 분비되는 출혈이나 혹은 치질, 요실금 등 관련 수술 환자들의 출혈과 분비물이 밖으로 새지 않게 도와주는 여성용품으로, 월경대라고도 한다. 꼭 월경이 아니더라도 냉대하증으로 인하여 분비물이 많이 나오는 여성들도 사용하기도 한다. 생리대는 크기를 달리하여 여러 가지로 판매되고 있으므로, 여성들은 월경시 생리 양에 맞게 생리대의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생리기간 중 생리의 양이 많이 나오는 날은 대형의 제품을 사용하고, 다른 날은 중형이나 소형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생리대의 구조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97096호 (2005. 9. 22. 등록; 고안의 명칭 "1회용 생리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34738호 (2019. 10. 15. 등록; 발명의 명칭 "면생리대 커버")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34214호 (2014. 8. 20. 등록; 발명의 명칭 "생리대 구조")에 소개되어 있다.
생리대는 크게 사용형태에 따라 패드형 생리대와 삽입형 생리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패드형 생리대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흡수층의 반대쪽 면(밑면)에 형성된 점착면을 팬티의 안쪽 면에 붙여서 사용한다. 시중에 판매하는 생리대는 모두 일회용으로 한 번만 사용한다.
도1은 일반적인 형태의 패드형 생리대(3)의 포장지(2)를 개봉하고 생리대(3)를 꺼내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패드형 생리대(3)의 포장제품(1)은 종이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생리대 포장지(2)와 그 생리대 포장지(2)의 내부면(2d)에 점착 방식으로 부착된 생리대(3)로 구성되어 있으며(도1의 그림<a>참조), 생리대 포장지(2)의 외부면(2c)에 붙어 있는 점착테이프(4) 부분을 분리해서 포장지(2)를 펼치면, 포장지(2)의 내부면(2d)에 부착된 생리대(3)가 드러나게 된다(도1의 그림<b> 및 <c> 참조).
도2는 종래의 패드형 생리대 중 일반형 생리대(3)를 도시한다. 일반형 생리대(3)는 흡수면(31)의 좌우 양쪽이 날개 모양으로 삐죽 나와 있지 않은 생리대이다.
도2를 참고하면, 일반형 생리대(3)의 전면은 흡수면(31)으로서,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31')가 흡수면(31)의 커버(32) 밑으로 내장되어 있고, 흡수면(31)의 둘레에는 테두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형 생리대(3)는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생리대의 위치가 변할 수 있고, 생리혈이 밖으로 샐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3 및 도4는 종래의 패드형 생리대 중 날개형 생리대(30)를 도시한다. 날개형 생리대(30)는 흡수면(31)의 좌우 양쪽이 날개 모양으로 삐죽 나와 있는 생리대인데, 날개(34) 부분은 접어서 팬티 밑부분(13; 도6 참조)의 겉면에 부착할 수 있고, 이렇게 날개(34) 부분을 팬티 밑부분(13)의 겉면에 부착함으로써 생리대(30)를 고정시키고 생리혈이 밖으로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날개형 생리대(30)는 일반형 생리대(3)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도5 내지 도7은 팬티(10)에 날개형 생리대(30)를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들로서, 이 중 도5는 위쪽에서 팬티(10)를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은 측면에서 팬티(10)를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7은 아래쪽에서 팬티(10)를 올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날개형 생리대(30)는 날개(34)를 양옆으로 접어서 팬티(10) 밑부분(13)의 겉면에 붙이게 되는데, 이런 날개(34) 부분이 없다면 일반형 생리대(3)와 같은 모양이 된다.
도5에서 도면부호 12는 팬티(10)의 안쪽 부분을 가리키며, 11은 팬티(10)의 다리넣은 부분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6에서 도면부호 13은 팬티(10)의 밑부분을 가리킨다.
날개형 생리대(30)는 일반형 생리대(3)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것이지만, 현재 판매되고 있는 날개형 생리대(30)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날개형 생리대(30)를 포장지에서 떼어낸 후 팬티에 부착할 때 고정이 되도록 만들어진 날개(34)의 끈적한 부분(점착성분)이 서로 달라붙어서 날개(34) 부분의 면적이 줄어들어 팬티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었다.
도8은 상기 날개형 생리대(30)를 포장지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날개(34)의 밑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 인해 날개 부분이 서로 달라붙게 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왼쪽에 위치한 날개(34)의 면적("A"부분)이 오른쪽에 위치한 날개(34)에 비해 많이 줄어들어 있다. 도8은 날개형 생리대(30)의 밑면(35')을 도시한 것으로서, 밑면(35')에는 점착면(35)이 형성되어 있다.
날개형 생리대(30)에서 날개(34) 부분의 점착면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심한 경우에는 날개 부분의 면적이 더 작아져서 팬티 밑부분(13)의 바깥면을 제대로 감싸지 못하고 양 옆으로만 튀어나오는 형태가 되어서 허벅지와 마찰을 일으키게 되며, 그 결과 허벅지에 상처가 생기는 일도 발생한다.
둘째로, 날개형 생리대(30)의 붙어버린 날개(34) 부분을 힘으로 떼어내면 도9와 같이 날개 부분이 찢어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B"부분 참고). 이런 경우 팬티(10)에 날개형 생리대(30)가 붙을 수 있는 고정력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날개형 생리대(30)의 끈적한 부분의 고정력은 팬티에 붙이는 순간부터 감소되어서 생리대가 팬티(10) 안에서 움직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불편한 경험을 호소하는 여성들이 상당히 많으며, 이것이 삽입형의 탑폰 생리대를 사용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된다.
셋째로, 생리대를 사용한 후 버릴 때에는 도10과 같이 생리대(3')를 돌돌 말은 다음, 도11과 같이 생리대 포장지(2)로 감싸서 버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돌돌 말린 상태로 버려진 생리대가 나중에 저절로 펼쳐지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사용후의 생리대(3')를 감싸서 버리는데 사용되는 생리대 포장지(2)라는 것은, 대개의 경우 새로 개봉해서 교체 착용하게 되는 생리대의 포장지를 말한다. 즉, 새 생리대의 포장을 뜯은 다음 그 새 생리대를 팬티에 부착해서 착용하고, 이때 나온 포장지(2)로 사용후의 생리대(3')를 감싸서 버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포장지(2) 안에 감싸져 있는 돌돌 말린 상태의 생리대(3a)는 원래의 형상대로 펴지려는 성질이 크고, 또 팬티(10)에 부착되었던 것을 떼어낸 후라서 생리대의 점착력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쓰레기통 안에서 펼쳐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도12 참조).
도12에는, 도11의 상태에서 점착테이프(4)의 점착력 저하로 생리대 포장지(2)도 풀리고, 그 안의 사용후 생리대(3')도 펼쳐져 버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생리대 포장지(2)에 원래 붙어 있는 점착테이프(4)는 사용후의 생리대(3')를 포장지(2)로 감싸서 버릴 때 포장지(2)를 붙일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지만, 점착테이프(4)의 점착력이 약해서 생리대의 펼쳐지려는 힘을 제대로 막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12에서 도면부호 "C"는 생리대 포장지(2)의 외부면(2c)의 상단부에 점착테이프(4)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공중화장실에 가면 도12와 같이 펼쳐져 있는 생리대를 가끔 보게 되는데, 비록 버린 사람이 일부러 생리대를 펴서 버린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타인이 사용하고 버린 생리대가 펼쳐진 것을 보게 되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또한 그로 인해 공중화장실의 위생 상태가 비위생적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날개형 생리대의 날개 부분이 팬티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게끔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점착테이프를 고정수단으로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이 끝나서 버린 생리대가 펼쳐지지 않게끔 생리대의 말린 상태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서 다목적 점착테이프를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하는 내부면(2d)에 부착된 제1이형지(210); 상기 제1이형지(210) 상에 부착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 및 상기 내부면(2d)의 반대쪽인 외부면(2c)의 상단 부분에 부착된 점착테이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는, 다목적 점착테이프(40)가 제1이형지(210)의 면적 중 일부에 위치하며, 밑면에는 점착층(4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이형지(42)가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41)은 상기 제1이형지(210) 위에 접촉하고 있어서 점착성분이 유지되고, 상기 제2이형지(42)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촉하였을 때, 점착면(35)의 점착성분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는,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흡수체가 내장된 흡수층(310)과, 상기 흡수층(310)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점착물질이 도포된 점착층(35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350)의 점착면(35)이 상기 제1이형지(210) 및 제2이형지(42) 위에 접촉된 상태로 생리대 포장지 안에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는 좌우에 날개들(34)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날개형 생리대(30)이고, 상기 날개형 생리대(30)를 팬티에 부착하였을 때 날개들(34)은 팬티의 밑부분(13)의 겉면 쪽으로 접혀서 부착되는데,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상기 날개들(34)을 서로 연결하여 팬티의 밑부분(13)에 고정시킴으로써, 날개형 생리대(30)가 팬티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는, 상기 생리대를 사용한 후에 버릴 경우, 생리대를 돌돌 말아서 버리며, 이때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상기 돌돌 말린 상태의 생리대에 붙임으로써 생리대의 말린 상태가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돌돌 말린 상태의 생리대는 생리대 포장지로 감싸서 버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실시예로는 생리대 포장지 안에 점착성분을 가지고 부착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으로 제시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사용하면, 날개형 생리대의 사용시에 날개 부분을 팬티에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팬티에 더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서 생리대 착용시에 생리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착용감과 활동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생리대를 버릴 때에는 생리대를 돌돌 말은 상태에서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겉에 붙여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 다음 버릴 수 있으므로, 생리대가 쓰레기통 속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공중화장실의 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형태의 패드형 생리대(3)의 포장제품(1) 상태와 그 포장지(2)를 개봉하고 안쪽에 든 생리대(3)를 꺼내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의 패드형 생리대 중 일반형 생리대(3)를 도시한다.
도3 및 도4는 종래의 패드형 생리대 중 날개형 생리대(30)를 도시한다.
도5 내지 도7은 팬티(10)에 날개형 생리대(30)를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상기 날개형 생리대(30)를 포장지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날개(34)의 밑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 인해 날개 부분이 서로 달라붙게 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날개(34) 부분이 달라붙은 것을 떼어내려고 했을 때, 날개 부분이 일부 찢겨져 떨어져나간 모습을 나타낸다.
도10은 사용후의 생리대(3')를 돌돌 만 상태(3a)를 나타내고, 도11은 도10의 사용후의 생리대(3')를 생리대 포장지(2)로 감싼 다음, 생리대 포장지(2)에 원래 붙어 있던 점착테이프(4)로 생리대 포장지(2)의 감싼 상태를 서로 붙여서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다.
도12는, 도11의 상태에서 점착테이프(4)의 점착력 저하로 생리대 포장지(2)도 풀리고, 그 안의 사용후 생리대(3')도 돌돌 만 상태가 풀어져버린 모습을 도시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200)를 도시한다.
도14는 도13에 도시된 생리대 포장지(200)의 구조적 단면상태를 도시하고, 아울러 생리대(3, 30)를 생리대 포장지(200) 위에 적층했을 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포장지(200)에 구비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사용해서 날개형 생리대(30)의 날개들(34)을 서로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포장지(200)를 활용해서 사용후의 생리대(3')를 위생적으로 버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200)를 도시한다. 도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포장지(200)는 내부면(2d)에 제1이형지(21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이형지(210)의 면적 중의 일부에 다목적 점착테이프(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이형지(210)는 포장된 생리대 제품에서 사용전 생리대의 점착면(35)이 부착되는 곳으로서, 생리대를 포장지(200)로부터 떼어낼 때 점착면(35)이 손상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날개형 생리대의 날개(34) 부분들을 팬티와 함께 서로 연결함으로써 생리대를 팬티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 및 생리대를 포장지로 감싸 버릴 때 포장지가 펼쳐지지 않도록 확실히 붙이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패드형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날개형 생리대의 날개 부분이 팬티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게끔 하는 고정수단을 제공한다는 것과, 사용이 끝나서 버린 생리대가 펼쳐지지 않게끔 생리대의 말린 상태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제공한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수단의 실시예로서 생리대 포장지(200)에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부가하였다.
도13에 도시된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그 밑면에 형성된 점착층(41)과 상기 점착층(41)의 상면에 마련된 제2이형지(42)로 구성되어 있다(도14 참조).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의 밑면에 형성된 점착층(41)은 제1이형지(21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그 점착층(41)의 점착성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면에 마련된 제2이형지(42)로 인해, 그 위로 생리대의 점착면(35)이 닿더라도, 다목적 점착테이프(40)와 생리대의 점착면(35)은 서로 달라붙지 않고 쉽게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이형지(210)와 제2이형지(42)에 도포된 이형제의 성분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3에서는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가 제1이형지(210)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D"부분), 생리대 포장지(200)의 내부면(2d) 전체가 이형제로 코팅이 되어 있거나 혹은 이형제 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반드시 제1이형지(210) 위에다만 배치시킬 필요는 없고, 제1이형지(210) 밖의 어느 위치에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리대 제품을 생산할 때, 생리대 포장지(200)의 이형지가 부착된 영역, 즉 제1이형지(210)의 위에다가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추가해서 부착시킨 상태로 생산하면, 다목적 점착테이프(40)의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1이형지(210)로부터 깔끔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팬티(10)에 날개형 생리대(30)를 부착할 때, 팬티의 밑부분(13)의 겉면쪽으로 접혀서 부착된 좌우의 날개들(34)을 서로 연결해서 붙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날개형 생리대(30)의 날개들(34)이 팬티(10)에 확실히 부착되고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생리대(30)가 팬티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14는 도13에 도시된 생리대 포장지(200)의 구조적 단면상태를 도시하고, 아울러 생리대(3, 30)를 생리대 포장지(200) 위에 적층했을 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다. 도14를 참고하면, 생리대 포장지(200)의 내부면(2d)에 제1이형지(210)가 부착되는데, 상기 제1이형지(210)의 표면에는 점착물질에 대해서 쉽게 떼어질 수 있게끔 하는 이형제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형지(210)의 면적 중 일부에는 다목적 점착테이프(40)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밑면에 마련된 점착층(41)과, 그 반대쪽인 상면에 이형제가 코팅되어서 형성된 제2이형지(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의 점착층(41)은 제1이형지(210)에 접촉하게 되므로 점착력이 손상되지 않으며, 사용할 때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생리대 포장제품에서는 상기 제1이형지(210)와 다목적 점착테이프(40)의 위로 생리대(30)의 점착층(350)이 접촉하게 되는데, 다목적 점착테이프(40)의 제2이형지(42)의 이형제 성분이 제1이형지(210)의 이형제 성분과 동일하므로, 다목적 점착테이프(40)의 존재로 인해 생리대(3, 30)의 점착층(350)의 점착력이 감소된다거나 혹은 포장지(200)로부터 분리할 때 다목적 점착테이프(40)가 같이 떨어져 나온다든가 하는 등의 문제는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도14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10은 생리혈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물질(흡수체(310'))이 내장된 흡수층을 가리키고, 320은 상기 흡수층(310)과 점착층(350)의 경계를 이루는 베이스층을 가리킨다.
도15는 팬티(10)에 날개형 생리대(30)를 부착시킬 때,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포장지(200)에 구비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날개형 생리대(30)의 날개들(34)을 서로 연결해서 붙임으로써 날개들(34)을 팬티(1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다.
도15와 같이 팬티(10)의 밑부분(13)에 붙는 날개들(34)을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서로 붙여서 연결하면, 팬티 착용 중 움직임에 의해 날개들(34)이 팬티 밑부분(13)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포장지(200)를 활용해서 사용후의 생리대(3')를 위생적으로 버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도시하는데, 우선 도16은 새 제품을 뜯어서 나온 생리대 포장지(200)로부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떼어낸 다음, 상기 생리대 포장지(200) 위에 사용후의 생리대(3')를 말아서 안치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새 제품의 생리대 포장지(200)로부터 떼어낸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새로 교체 착용하게 되는 날개형 생리대(30)를 도15와 같이 팬티(10)에 고정시킬 때, 날개들(34)을 연결해서 붙이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보다 앞서서, 지금 버려야 할 날개형 생리대(30)를 팬티로부터 떼어낼 때는 날개들(34)을 연결하고 있었던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조심해서 잘 떼어내야 한다. 이렇게 떼어낸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이제 버리게 되는 사용후의 생리대(3')의 돌돌 만 상태를 고정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도17 참조).
도17은 사용후의 생리대(3')를 돌돌 말은 것을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붙여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16에 도시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새 포장지(200)로부터 떼어낸 것이므로, 새 생리대를 팬티에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도록 하고(도15 참조), 기존에 사용한 생리대(3')에 붙어있었던 다목적 점착테이프는 지금 버리는 생리대를 돌돌 말았을 때 그 말린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도록 한다(도17 참조). 사용후의 생리대(3')를 돌돌 만 것을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붙여서 고정시키고 난 다음에는(도17 참조), 그 말린 생리대(3a)를 생리대 포장지(200)로 감싸서 버리면 된다. 이때는 생리대 포장지(200)에 기존에도 붙어 있었던 점착테이프(4)를 이용해서, 생리대 포장지(200)의 감싼 상태를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날개가 없는 일반형 생리대(3)를 버릴 때에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날개가 없는 일반형 생리대(3)는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날개를 연결해서 붙일 수는 없지만, 일반형 생리대(3)를 다 쓴 후에 버릴 때에는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이용해서 생리대의 돌돌 만 상태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날개형 생리대(30)를 버릴 때와 마찬가지로, 생리대 포장지(200)로 일반형 생리대(3)의 돌돌 말린 것을 감싸서 쓰레기통에 버리면 된다. 이때도 역시 생리대 포장지(200)에 기존에 붙어 있었던 점착테이프(4)를 이용해서, 생리대 포장지(200)의 감싼 상태를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포장지(200)의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사용해서 생리대의 돌돌 말린 상태를 고정시켰을 경우, 그 말린 생리대가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단단히 고정됐기 때문에, 생리대가 펼쳐지려는 힘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며, 생리대 포장지(200)의 점착테이프(4)는 포장지(200) 자체의 풀리는 것만을 막으면 되므로,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물론,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도15의 경우와 같이 날개형 생리대(30)의 날개들(34)을 팬티(10)에 고정시키고 서로 연결하는데 한 번 사용되었었기 때문에, 이것을 떼어내서 재사용할 경우 점착력이 원래보다는 약해질 수 있지만, 제품 생산시에 최초의 점착력을 충분히 강하게 만들어 두면, 재사용할 경우에도 사용후 생리대(3')의 말린 상태를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만큼의 점착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생리대 포장지(200)에 원래 붙어 있었던 점착테이프(4)를 사용해서, 말려진 상태의 생리대(3a)를 감싼 포장지(200)를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도, 한번 떼어낸 점착테이프(4)를 재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역시 점착력이 감소되었을 수는 있지만, 이미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생리대의 말린 상태(3a)를 단단하게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그 겉의 포장지(200)만을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기존의 점착테이프(4)의 점착력으로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를 이용하면, 상기 고정수단으로 제시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를 사용해서, 날개형 생리대의 사용시에 날개 부분을 팬티에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팬티에 더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서 생리대 착용시에 생리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착용감과 활동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생리대를 버릴 때에는 생리대의 돌돌 말린 상태를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로 고정시켜서 버릴 수 있으므로, 생리대가 쓰레기통 속에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공중화장실의 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생리대 포장제품 2: 생리대 포장지
2a: 상단선 2b: 하단선
2c: 포장지 외부면 2d: 포장지 내부면
3, 30: 생리대 3': 사용후 생리대
3a: 생리대를 말은 상태 4: 점착테이프
10: 팬티 11: 다리넣는 부분
12: 팬티 안쪽 부분 13: 팬티 밑부분
21: 이형지 31: 흡수면
31': 흡수체 32: 커버
33: 테두리부 34: 날개
35: 점착면 35': 생리대 밑면
40: 다목적 점착테이프 41: 점착층
42: 제2이형지 210: 제1이형지
310: 흡수층 310': 흡수체
320: 베이스층 350: 점착층

Claims (5)

  1. 생리대를 감싼 생리대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 포장지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하는 내부면(2d)에 부착된 제1이형지(210);
    상기 제1이형지(210) 상에 부착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 및
    상기 내부면(2d)의 반대쪽인 외부면(2c)의 상단 부분에 부착된 점착테이프(4);를 포함하고,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제1이형지(210)의 면적 중 일부에 위치하며, 밑면에는 점착층(4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이형지(42)가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41)은 상기 제1이형지(210) 위에 접촉하고 있어서 점착성분이 유지되고,
    상기 제2이형지(42)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촉하였을 때, 점착면(35)의 점착성분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생리대는,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흡수체가 내장된 흡수층(310)과, 상기 흡수층(310)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점착물질이 도포된 점착층(35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350)의 점착면(35)이 상기 제1이형지(210) 및 제2이형지(42) 위에 접촉된 상태로 생리대 포장지 안에 포장되며,
    상기 생리대는 좌우에 날개들(34)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날개형 생리대(30)이고, 상기 날개형 생리대(30)를 팬티에 부착하였을 때 날개들(34)은 팬티의 밑부분(13)의 겉면 쪽으로 접혀서 부착되는데,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상기 제1이형지(210)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날개들(34)을 서로 연결하여 팬티의 밑부분(13)에 부착됨으로써, 날개형 생리대(30)가 팬티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생리대를 감싼 생리대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 포장지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하는 내부면(2d)에 부착된 제1이형지(210);
    상기 제1이형지(210) 상에 부착된 다목적 점착테이프(40); 및
    상기 내부면(2d)의 반대쪽인 외부면(2c)의 상단 부분에 부착된 점착테이프(4);를 포함하고,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제1이형지(210)의 면적 중 일부에 위치하며, 밑면에는 점착층(4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이형지(42)가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41)은 상기 제1이형지(210) 위에 접촉하고 있어서 점착성분이 유지되고,
    상기 제2이형지(42)는 생리대의 점착면(35)과 접촉하였을 때, 점착면(35)의 점착성분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생리대는,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흡수체가 내장된 흡수층(310)과, 상기 흡수층(310)의 반대쪽에 형성되며 점착물질이 도포된 점착층(35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350)의 점착면(35)이 상기 제1이형지(210) 및 제2이형지(42) 위에 접촉된 상태로 생리대 포장지 안에 포장되며,
    상기 생리대를 사용한 후에 버릴 경우, 생리대를 돌돌 말아서 버리며, 이때 상기 다목적 점착테이프(40)는 상기 제1이형지(210)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돌돌 말린 상태의 생리대의 겉면에 부착됨으로써 생리대의 말린 상태가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돌돌 말린 상태의 생리대는 생리대 포장지로 감싸서 버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KR1020210101671A 2021-08-02 2021-08-02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KR10264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71A KR102642035B1 (ko) 2021-08-02 2021-08-02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71A KR102642035B1 (ko) 2021-08-02 2021-08-02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751A KR20230019751A (ko) 2023-02-09
KR102642035B1 true KR102642035B1 (ko) 2024-02-27

Family

ID=8522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71A KR102642035B1 (ko) 2021-08-02 2021-08-02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0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236B1 (ko) 1992-09-30 2000-01-1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의류 부착용 패널을 가진 생리대
KR100899206B1 (ko) 2001-10-02 2009-05-2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200486204Y1 (ko) 2016-09-22 2018-04-13 주식회사 29일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JP6412726B2 (ja) * 2014-06-30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362A (ko) * 2009-10-28 2011-05-04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흡수용품을 패키징하고 흡수용품을 내의에 부착하는 방법
KR20140075494A (ko) * 2012-12-11 2014-06-19 금 이 생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236B1 (ko) 1992-09-30 2000-01-1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의류 부착용 패널을 가진 생리대
KR100899206B1 (ko) 2001-10-02 2009-05-2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JP6412726B2 (ja) * 2014-06-30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
KR200486204Y1 (ko) 2016-09-22 2018-04-13 주식회사 29일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751A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1884B2 (en) A prepackaged article
FI101594B (fi) Terveysside
JP3181626B2 (ja) 吸収性物品
KR100271177B1 (ko) 세정용 와이프와 함께 개별적으로 포장된 생리대
US4917675A (en) Folded flange sealed sanitary napkin
US8900210B2 (en)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wrapper
JP4018902B2 (ja) 吸収体製品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取り扱い方法なら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内袋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下ばき
JPH08504638A (ja) 便利な処理を供する生理用パッドのための折り畳み包装パッケージ
HU218747B (hu) Szárnyas egészségügyi betét és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AU2008227750B2 (en)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body
US5358499A (en) Sanitary napkin with disposal means
CA1303797C (en) Sanitary napkin with disposal means
JP5150281B2 (ja) 吸収性物品
JP2000083997A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2642035B1 (ko)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JP2002336296A (ja) 生理用ナプキン
JPH11504838A (ja) 引き出しウイングを備えている使い捨て吸収体
JP2004113590A (ja) 吸収性物品
JP3745799B2 (ja) ウイング付吸収性物品
JP6228823B2 (ja)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体
JPH11504545A (ja) 出荷用配置に固定された引き出しウイングを備えている使い捨て吸収体
JP4308173B2 (ja) ウイング付吸収性物品
JP7296230B2 (ja) 包装構造体、及び包装吸収性物品
WO2021125356A1 (ja) 吸収性物品包装体
CN219230395U (zh) 一种口袋式便携丢弃卫生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