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023B1 -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023B1
KR102641023B1 KR1020230091910A KR20230091910A KR102641023B1 KR 102641023 B1 KR102641023 B1 KR 102641023B1 KR 1020230091910 A KR1020230091910 A KR 1020230091910A KR 20230091910 A KR20230091910 A KR 20230091910A KR 102641023 B1 KR102641023 B1 KR 10264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ration
water
pipe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용
김경민
한현자
박광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9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수조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를 침전조와 생물여과조로 순차 유입시켜 사육수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토록 한 순환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침전조를 깔때기형 수조로 하여 양식수조로부터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수조의 바닥판 하측에서 유입수조와 연통되게 연결 설치하고, 상기 생물여과조는 유입수조의 외부측에서 유입수조와 동심원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하며, 상기 유입수조의 내부 중앙측에는 바닥판을 거쳐 침전조와 연통되는 살균조를 설치하고, 상기 살균조가 수로파이프에 의하여 생물여과조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살균조의 내부에 자외선이나 오존 등에 의한 살균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내부에는 미생물 여과매질의 부상(浮上)과 교반(攪拌)을 위한 폭기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사육수의 여과처리에 필요한 침전조와 생물여과조가 살균조와 함께 하나의 통합수조를 이루도록 일체화 된 순환여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순환여과시스템의 구축에 필요한 수조의 개수와 배관라인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서 그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통합수조를 수조받침대와 함께 양식수조의 내부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순환여과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실내 양식장의 공간적 제약성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Portable circulative filtration system with united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양식수조로부터 유입된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을 침강시켜 제거하는 침전조와,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수행하는 생물여과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순환여과시스템에 있어, 상기 침전조와 생물여과조를 사육수의 유입수조 및 살균조와 함께 하나의 통합수조 개념으로 일체화시킨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서는 한정된 공간 및 수량(水量)을 기준으로 비교적 많은 량의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료의 찌꺼기나 양식어류의 배설물과 같은 각종 고형물 성분 뿐만 아니라, 양식어류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단백질 성분이나 암모니아 성분 및 이산화탄소 성분 등이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사육수에 축적되어 사육수가 쉽게 오염된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는 수중에서 비이온성 암모니아(NH3) 또는 이온성 암모니아(NH4 +)와 결합된 NH3-N, NH4 +-N의 2가지 형태로 존재하게 되며, 비이온성 암모니아와 결합되어 생성되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어류의 세포벽을 통과하여 2mg/L (또는 2ppm) 수준의 농도에서도 양식어류에게 치명적인 독성과 피해를 입히게 됨은 물론이고, 그 자체가 아질산성 질소나 질산성 질소로 산화되면서 사육수중의 용존산소를 고갈시키게 된다.
따라서,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서는 사료의 찌꺼기나 양식어류의 배설물이 포함된 각종 고형물 성분의 여과처리와 더불어, 사육수의 사용량과 배출수량을 줄이고 사육수중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한 생물학적 여과처리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하며, 미국 환경보호청 기준에 의하면, 장기적인 암모니아의 독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양식수조의 사육수중에 포함된 암모니아성 질소 성분을 0.02mg/L 이하로 제거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서는 양식수조로부터 배출된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을 침강(沈降)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성분을 탈기(脫氣)시키는 침전조와, 사육수중의 암모니아 성분과 질소 성분을 미생물에 의하여 제거시키는 생물여과조가 포함된 사육수의 순환여과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형물 여과처리를 일차 수행한 이후 미생물 여과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의 순서로 여과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 적용되었던 종래의 순환여과시스템은 양식수조로부터 공급된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을 제거하는 침전조와, 사육수중에 포함된 암모니아 성분과 질소 성분을 미생물 여과매질로 제거하는 생물여과조를 양식수조의 외부공간에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양식수조로부터 공급펌프를 거쳐 연장되는 사육수공급관을 침전조와 연결시키고, 침전조로부터 연장되는 사육수공급관을 생물여과조와 연결시키는 한편, 생물여과조로부터 연장되는 처리수배출관을 해당 양식수조나 다른 양식수조와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순환여과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실내 양식장의 좁은 공간에 침전조와 생물여과조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소의 확보 자체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양식수조와 침전조 및 생물여과조의 입구와 출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각각의 입구와 출구를 복잡한 순환식 배관라인으로 연결시키는 작업 역시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 순환여과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으로서, 영세한 양식업자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내 양식장의 공간적인 제약으로 말미암아 필수 여과장치로서의 침전조와 생물여과조 이외에 사육수의 살균조와 같은 다른 보조적인 장치를 배관라인과 함께 추가로 적용시키는 것도 쉽지 않게 됨으로서 사육수의 정화성능을 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기설비된 순환여과시스템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교체시키거나, 기설비된 순환여과시스템을 다른 실내 양식장으로 이전하여 설치하는 작업 또한 그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불합리하기 때문에, 순환여과시스템의 노후화를 유발시킴은 물론이고 그 경제적인 재사용도 불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962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침전조를 깔때기형 수조로 하여 양식수조로부터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수조의 바닥판 하측에서 유입수조와 연통되게 연결 설치하고, 상기 생물여과조는 유입수조의 외부측에서 유입수조와 동심원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하며, 상기 유입수조의 내부 중앙측에는 바닥판을 거쳐 침전조와 연통되는 살균조를 설치하고, 상기 살균조가 수로파이프에 의하여 생물여과조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살균조의 내부에 자외선이나 오존 등에 의한 살균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내부에는 미생물 여과매질의 부상과 교반을 위한 폭기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사육수의 여과처리에 필요한 침전조와 생물여과조가 살균조와 함께 하나의 통합수조를 이루도록 일체화 된 순환여과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순환여과시스템의 구축에 필요한 수조의 개수와 배관라인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서 그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살균조의 추가 적용에 따른 사육수 정화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상기 통합수조를 수조받침대와 함께 양식수조의 내부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순환여과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실내 양식장의 공간적 제약성도 완전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주된 기술적 과제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조와 생물여과조를 하나의 수로파이프로 연통시키는 한편, 해당 수로파이프의 출구와 생물여과조를 거친 처리수의 배출관이 유입수조와 생물여과조 사이의 수직 격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함으로서, 살균조로부터 생물여과조로 유입된 사육수가 생물여과조의 둘레 방향 전체를 경유토록 하여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보다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격판과 함께 다공판 또는 메쉬판으로서의 수직형 칸막이판을 이용하여 유입수조와 생물여과조 사이의 내부공간을 다수 개의 여과매질 투입공간으로 구획시킨 다음, 수로파이프의 출구가 놓이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의 배출관이 연결되는 투입공간측으로 갈수록 동일 체적당의 여과매질 투입량을 점차적으로 줄이는 방식을 적용시킴으로서,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가 한층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이며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입수조의 바닥판상에 침전조로 유입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의 선회류로 조성시키는 배출통로를 제공함으로서, 사육수중에 포함된 고형물 성분의 침강식 제거성능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콤펙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육수의 여과성능은 매우 우수하게 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기술적 과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양식수조로부터 유입된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을 침강시켜 제거하는 침전조와,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수행하는 생물여과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순환여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깔때기 형상의 수조로 하여 양식수조로부터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수조의 바닥판 하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조의 바닥판에는 침전조로 사육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제공되며, 상기 유입수조의 내측 중앙부에는 유입수조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침전조와 연통되는 살균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생물여과조는 유입수조의 외곽측에서 유입수조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살균조와 생물여과조의 내부에는 살균수단과 폭기수단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하단측과 생물여과조의 외측 상부에는 드레인배관과 처리수배출관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살균조와 생물여과조는 최소 1개 이상의 수로파이프에 의하여 연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순환여과시스템은 침전조의 하부측 가장자리가 놓여지는 수조받침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받침대의 상부면은 침전조의 깔때기형 몸통이 삽입되는 개구부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개구부의 외측 둘레 방향에 걸쳐 최소 2개 이상의 방사상 지지다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로파이프는 살균조의 상측부에서 유입수조의 수조벽체를 거쳐 생물여과조와 연통되는 방식으로 한 개만 설치되며, 상기 생물여과조를 통한 수로파이프의 출구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입수조와 생물여과조의 수조벽체 사이에 걸쳐 수직 방향의 격판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관은 해당 격판을 사이에 두고 수로파이프의 출구과 인접한 위치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입수조와 생물여과조의 수조벽체 사이에는 다공판 또는 메쉬판으로서의 수직형 칸막이판이 최소 1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과 격판에 의하여 생물여과조의 내부공간이 최소 2개 이상의 여과매질 투입공간으로 구획되는 한편, 상기 수로파이프의 출구측이 놓이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배출관이 연결되는 투입공간측으로 갈수록 동일 체적당의 여과매질 투입량을 줄이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입수조의 바닥판에 제공되는 사육수의 배출통로는 침전조로 유입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의 선회류로 조성시키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육수의 배출통로는 유입수조의 바닥판 가장자리에 걸쳐 동일 방향을 따라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최소 3개 이상의 방사상 수류파이프가 되며, 상기 각각의 수류파이프 상단측 입구가 바닥판을 거쳐 유입수조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살균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육수의 살균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살균램프가 되고, 상기 살균조의 상부측에는 커버판이 설치되며, 상기 살균램프의 램프튜브 부분이 살균조의 커버판을 거쳐 소정의 깊이만큼 살균조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살균램프의 상단측 전기접속부는 커버판을 거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살균조의 상측부에는 생물여과조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오버플로우관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내부 하측에는 폭기수단의 지지와 미생물 여과매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다공판 또는 메쉬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처리수배출관의 내부에도 미생물 여과매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다공판 또는 메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폭기수단은 미세기포의 조성이 가능한 기포분산기가 되고, 상기 기포분산기가 생물여과조의 수조벽체를 수밀 가능하게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에어주입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물여과조의 바닥판 부분은 깔때기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바닥판 하단측을 따라서는 최소 2개 이상의 드레인배관이 일정한 각도범위를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여과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적용방식으로서는, 해당 순환여과시스템을 수조받침대와 함께 양식수조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수조받침대의 내측에 수중펌프로서의 공급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연장되는 사육수공급관이 생물여과조의 외부측을 선회하여 유입수조의 상부측까지 연장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드레인배관은 해당 양식수조의 외부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처리수배출관은 해당 양식수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다른 양식수조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육수공급관의 출구측에는 링 형태의 사육수분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육수분배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최소 3개 이상의 분사파이프가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는 유입수조를 통한 사육수의 공급경로가 소용돌이 형태의 선회식 경로를 이루도록 사육수분배관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육수의 여과처리에 필요한 침전조와 생물여과조를 살균조와 함께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하나의 통합수조를 이루도록 일체화 된 순환여과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 순환여과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수조의 개수와 배관라인 등을 최소화시켜 그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단축 및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침전조와 생물여과조에 의한 기본적인 여과기능에 살균조의 살균기능을 더하여 사육수의 정화성능을 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통합수조를 수조받침대와 함께 양식수조의 내부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순환여과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실내 양식장의 공간적 제약성도 완전하게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기설비된 순환여과시스템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교체시키거나, 기설비된 순환여과시스템을 다른 실내 양식장으로 이전하여 설치하는 등의 작업도 매우 합리적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여과시스템의 노후화를 방지하고 그 경제적인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조와 생물여과조를 하나의 수로파이프로 연통시킨 다음, 해당 수로파이프의 출구와 처리수배출관의 입구가 격판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함으로서, 살균조로부터 생물여과조로 유입된 사육수가 생물여과조의 둘레 방향 전체를 경유토록 하여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보다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유입수조로부터 침전조로 배출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 선회류로 조성시켜 고형물 성분의 침강식 제거성능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격판과 칸막이판을 이용하여 생물여과조의 내부공간을 다수 개의 여과매질 투입공간으로 구획시킨 다음, 수로파이프의 출구가 놓이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배출관이 연결되는 투입공간측으로 갈수록 동일 체적당의 여과매질 투입량을 점차 줄이도록 한 경우에는,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한층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이며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매우 콤펙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육수의 여과 및 정화성능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처리수배출관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수류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유입수조 바닥판의 요부 발췌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여과시스템이 양식수조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사육수의 처리구조를 중심으로 한 도 7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사육수의 여과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 7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10은 사육수공급관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평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수조로부터 사육수가 유입 및 임시 저장되는 유입수조(1)와, 상기 유입수조(1)의 바닥판(6) 하부측에서 깔때기 형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침전조(2)와, 상기 유입수조(1)의 바닥판(6)을 관통하여 침전조(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살균조(3)와, 상기 유입수조(1)의 외곽측에서 유입수조(1)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생물여과조(4)를 베이스로 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순환여과시스템(10)을 하부에서 떠받치는 수조받침대(20)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수조(1)의 바닥판(6)에는 양식수조로부터 유입수조(1)로 공급된 사육수를 침전조(2)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제공되는 바, 해당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배출통로의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하게 조정 및 선택이 가능하지만, 사육수중에 포함된 고형물 성분을 침전조(2)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유입수조(1)로부터 침전조(2)로 배출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의 선회류(旋回流)로 조성시키는 방식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수조(1)로부터 침전조(2)로 배출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 선회류로 조성시키기 위한 배출통로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도 3과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유입수조(1)의 바닥판(6) 가장자리에 걸쳐 동일 방향을 따라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다수 개(최소 3개 이상, 도면상 총 9개)의 방사상 수류파이프(7)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수류파이프(7) 상단측 입구가 바닥판(6)을 거쳐 유입수조(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류파이프(7)를 대신하여 동일 방향을 따라 하부로 경사지는 통로구멍을 바닥판(6)상에 직접 형성시키는 방식도 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수류파이프(7)나 통로구멍을 거쳐 침전조(2)로 유입된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이 깔때기형 침전조(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식 선회류를 따라 침전조(2)의 바닥측으로 가라앉는 침강식(沈降式) 여과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침전조(2)의 하단측에는 침강 처리된 고형물 성분의 배출을 위한 드레인배관(8)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조(3)는 그 개구된 하단측이 유입수조(1)의 바닥판(6) 중앙측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소정 직경의 스탠드파이프(Stand pipe) 구조가 바람직하고, 해당 살균조(3)의 내부에는 사육수중에 포함된 병원균 등의 사멸을 위한 살균수단이 적용될 것이며, 상기 살균수단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자외선이나 오존 등을 발산시키는 소정 길이의 살균램프(9)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손쉽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이라 볼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9)는 공지된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관이나 석영관이 되는 밀폐형 램프튜브의 내부에 자외선의 방사를 유도하기 위한 네온(Ne)이나 아르곤(Ar) 등의 충전가스를 액체수은과 함께 투입시키고, 상기 램프튜브의 상단측과 하단측 내부에는 음극선 및 양극선과 각각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설치한 다음, 해당 필라멘트가 램프튜브 상단측의 전기접속부(11)를 거쳐 전원과 접속되게 함으로서, 필라멘트를 통하여 전계(電繼)되는 전자(電子)(Electron,e-)가 수은(Hg) 입자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램프튜브의 외부로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살균램프(9)의 램프튜브 부분을 소정의 깊이만큼 살균조(3)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한편, 살균램프(9)의 상단측 전기접속부(11)는 살균조(3)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살균조(3)의 상단측에는 해당 수조의 덮개 기능과 살균램프(9)의 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커버판(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튜브가 커버판(12)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상단측 전기접속부(11)가 덮개판(12)의 상부면에 걸리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기접속부(11)는 미도시된 케이블라인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과 접속될 것이다.
도면상 총 4개의 살균램프(9)가 살균조(3)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살균램프(9)의 적용갯수 및 그 배치상태는 임의대로 선택 및 조정이 가능한 사항이며, 도 2와 도 3 및 도 5를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살균조(3)의 상측부에 생물여과조(4)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오버플로우관(19)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바, 해당 오버플로우관(19)은 침전조(2)를 거쳐 살균조(3)로 상승되는 사육수의 수위를 여과처리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생물여과조(4)의 경우에도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에 필요한 미생물 여과매질이 폭기수단과 함께 제공될 것이고, 해당 수조벽체의 상측 외부에 처리수배출관(17)이 연결 설치될 것이며, 상기 미생물 여과매질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다공성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등의 표면에 암모니아 성분과 질소 성분의 제거를 위한 미생물을 배양시켜 놓은 것이고, 상기 폭기수단은 미생물 여과매질의 부상(浮上)과 교반(攪拌: 휘저어 뒤섞음) 및 용존산소의 확보에 필요한 공기를 사육수중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5에서는 상기 폭기수단으로서 미세기포의 조성이 가능한 에어스톤(Air stone) 등의 기포분산기(15)가 생물여과조(4)의 수조벽체 하측부를 수밀(水密) 가능하게 관통하는 에어주입관(16)과 연결 설치된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도시하였고, 상기 에어주입관(16)이 미도시된 에어펌프나 블로워 또는 압축공기탱크 등과 연결 설치될 것이며, 도 5를 기준으로 할 경우 총 4개의 기포분산기(15)가 90도 각도범위를 두고 분산 배치되어 있으나, 링프레임 또는 "C"자형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기포분산기(15)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생물여과조(4)의 내부 하측에 기포분산기(15)의 지지와 미생물 여과매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다공판(18) 또는 메쉬판 등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처리수배출관(17)의 내부에도 미생물 여과매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다공판(18) 또는 메쉬판 등을 설치하고, 상기 생물여과조(4)의 바닥판 부분은 깔때기형 단면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 하단측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드레인배관(8)을 일정한 각도범위를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생물여과조(4)의 안정적인 작동과 사육수의 손쉬운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유입수조(1)의 수조벽체를 내부벽체로 하여 생물여과조(4)를 설치하는 대신에,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생물여과조(4)의 내부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수조케이싱(5)을 별도 제작한 다음, 상기 수조케이싱(5)을 따라 유입수조(1)를 끼움식으로 조립시키는 방식도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수조케이싱(5)의 하단측 내주연부에 유입수조(1)의 지지를 위한 테두리 프레임 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조케이싱(5)을 매개로 한 생물여과조(4)와 유입수조(1)간의 끼움 조립 방식은 유입수조(1)와 생물여과조(4)를 일체로 연결시킨 방식과 비교하여 그 제작비용은 다소 상승될 수 있으나, 순환여과시스템(10)의 설치와 그 수리 및 유지보수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측면과, 순환여과시스템(10)을 이루는 통합수조의 강도를 보강하는 측면에서는 보다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여과시스템(10)이 정상적인 여과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유입수조(1)로부터 침전조(2)를 거쳐 살균조(3)로 공급된 사육수를 생물여과조(4)로 배출시키는 통로구조가 제공되어야 하는 바, 해당 통로구조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살균조(3)로부터 유입수조(1)를 거쳐 생물여과조(4)까지 연장되는 수로파이프(13)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수로파이프(13)의 개수와 그 위치 또한 임의대로 선택 및 조정이 가능한 사항이고, 상기 수조케이싱(5)이 적용된 경우에는 수로파이프(13)의 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맞추어 수조케이싱(5)상에 통로구멍이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로파이프(13)를 이용하여 살균조(3)와 생물여과조(4)를 단순한 방식으로 연결(연통)시키게 되면, 살균조(3)로부터 수로파이프(13)를 거쳐 생물여과조(4)로 유입된 사육수가 수로파이프(13)의 출구측 위치로부터 처리수배출관(17)이 설치된 위치를 향하여 편향적으로 몰려 들어가기 때문에, 살균조(3)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를 생물여과조(4)로 투입된 미생물 여과매질과 골고루 혼합 및 접촉시켜 생물학적 여과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는 측면에서 다소 불합리한 상황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로파이프(13)를 이용하여 살균조(3)와 생물여과조(4)를 연통시키되, 해당 수로파이프(13)가 살균조(3)의 상측부에서 유입수조(1)의 수조벽체를 거쳐 생물여과조(4)와 연통되게 하고, 상기 생물여과조(4)를 통한 수로파이프(13)의 출구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입수조(1)와 생물여과조(4)의 수조벽체 사이에 걸쳐 수직 방향의 격판(14)을 설치하며, 상기 처리수배출관(17)은 해당 격판(14)을 사이에 두고 수로파이프(13)의 출구과 인접한 위치에 연결 설치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시킴에 따라, 살균조(3)로부터 생물여과조(4)로 유입된 사육수가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생물여과조(4)의 둘레 방향 전체를 경유하여 처리수배출관(17)으로 빠져 나가게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생물여과조(4)를 따라 흐르는 사육수가 생물여과조(4)의 내부에 저장된 미생물 여과매질과 충분히 혼합 및 접촉되게 함으로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도 생물여과조(4)의 내부로 투입된 다량의 미생물 여과매질이 수로파이프(13)로부터 처리수배출관(17)을 향하는 수류에 편승되어 처리수배출관(17)측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여과처리가 생물여과조(4)의 내부공간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 수행되지 못하고 처리수배출관(17)과 인접한 생물여과조(4)의 출구공간에서 편중 수행됨에 따라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처리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우려가 높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수조(1)와 생물여과조(4)의 수조벽체 사이에 걸쳐 다공판(18) 또는 메쉬판으로서의 수직형 칸막이판을 최소 1개 이상(도면상 총 3개)의 개수로 설치하고, 상기 칸막이판과 격판(14)에 의하여 생물여과조(4)의 내부공간을 최소 2개 이상(도면상 총 4개)의 여과매질 투입공간으로 구획시키는 한편, 상기 수로파이프(13)의 출구측이 놓이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배출관(17)이 연결되는 투입공간측으로 갈수록 동일 체적당의 여과매질 투입량을 줄이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칸막이판과 격판(14)에 의하여 구획된 투입공간을 통해서는 미생물 여과매질간의 이동 및 교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정된 투입공간 내부에서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는 해당 공간으로 투입된 미생물 여과매질의 량에 비례하여 수행되는 바, 사육수의 처리부하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수로파이프(13)측 투입공간에 많은 량의 여과매질을 투입하고, 사육수의 처리부하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처리수배출관(17)측 투입공간에는 상대적으로 소량의 여과매질을 투입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적용을 통하여, 생물여과조(4)의 내부에서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가 한층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이며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바, 도 5에서와 같이 총 4개의 투입공간이 구획된 경우 각각의 투입공간을 통한 미생물 여과매질의 투입량은 생물여과조(4)의 전체 투입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로파이프(13)의 출구가 위치하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배출관(17)이 연결된 투입공간으로 갈수록 40%→30%→20%→10% 정도로 순차 감소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투입비율 역시 투입공간의 개수나 해당 공간의 치수 등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순환여과시스템(10)에 적용되는 상기 수조받침대(20)는 도 1 내지 도 3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면 중앙부에 침전조(2)의 깔때기형 몸통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침전조(2)의 가장자리측 하부면이 유입수조(1)와 살균조(3) 및 생물여과조(4)와 함께 안착되는 것이며, 상기 개구부의 외측 둘레 방향에 걸쳐서는 순환여과시스템(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최소 2개 이상(도면상 총 3개)의 지지다리(21)가 방사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수조받침대(20)의 내부에 제공된 공간과 각각의 지지다리(21) 사이에 제공된 간격이 펌프기구의 설치와 배관라인의 연결 등을 위한 작업공간(22)을 제공할 것이고, 이러한 방식의 수조받침대(20)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순환여과시스템(10)을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원통형 받침대나 골조식 받침대와 같은 다른 어떠한 형태의 받침대가 제공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순환여과시스템(10)을 수조받침대(20)와 함께 양식수조(25)의 내부 중앙에 설치하여 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수조받침대(20)의 내측에 수중펌프로서의 공급펌프(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펌프(23)로부터 연장되는 사육수공급관(24)이 생물여과조(4)의 외부측을 선회하여 유입수조(1)의 상부측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조(2)의 드레인배관(8)은 해당 양식수조(25)의 외부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생물여과조(4)의 처리수배출관(17)은 해당 양식수조(25)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해당 양식수조(25)로부터 또 다른 양식수조측으로 연장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전자의 경우는 해당 양식수조(25)에 저장된 사육수를 독립적으로 순환 여과시키는 방식이 되고, 후자의 경우는 다수 개의 양식수조가 설치된 실내 양식장에 있어 각각의 양식수조를 통한 사육수 교환방식이 된다.
상기와 같이 침전조(2)로부터 연장되는 드레인배관(8)과 생물여과조(4)로부터 연장되는 처리수배출관(17)에는 배출량 제어를 위한 밸브기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생물여과조(4)의 드레인배관(8)에도 밸브기구를 설치하되, 수조의 청소작업과 같은 경우에만 해당 밸브기구를 개방시켜 생물여과조(4)에 저장된 사육수를 양식수조(25)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펌프(23)로부터 연장되는 사육수공급관(24)에도 밸브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순환여과시스템(10)에 의한 사육수의 정화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공급펌프(23)로부터 사육수공급관(24)을 거쳐 유입수조(1)로 공급된 사육수가 침전조(2)의 내부로 하강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조성되는 사육수의 선회식 흐름에 의하여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이 침전조(2)의 하단측으로 침강되는 한편, 고형물 성분이 제거된 사육수는 살균조(3)의 내부를 통하여 상승 유입되며, 침전조(2)의 하단으로 침강 및 누적된 고형물 성분은 소량의 사육수(순환수의 5% 미만)와 함께 드레인배관(8)을 거쳐 양식수조(25)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침전조(2)로부터 살균조(3)의 내부로 상승 유입된 사육수는 살균램프(9)에 의한 살균 처리가 수행된 상태에서 수로파이프(13)를 거쳐 생물여과조(4)의 내부로 투입되고, 생물여과조(4)로 투입된 사육수는 격판(14)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처리수배출관(17)이 설치된 위치까지 생물여과조(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한편, 기포분산기(15)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에 의하여 미생물 여과매질과 골고루 혼합 및 접촉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물학적 여과처리까지 최종 수행된 사육수가 처리수배출관(17)을 거쳐 해당 양식수조(25) 또는 다른 양식수조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은 공급펌프(23)로부터 사육수공급관(24)을 거쳐 유입수조(1)로 공급되는 사육수의 분사경로를 소용돌이 형태의 선회식 경로로 조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사육수공급관(24)의 출구측에 링 형태의 사육수분배관(27)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육수분배관(27)의 내주면(또는 외주면)에는 최소 3개 이상(도면상 총 6개)의 분사파이프(28)가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28)가 사육수분배관(27)을 따라 반시계(또는 시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수조(1)로 공급되는 사육수의 분사경로를 소용돌이 형태의 선회식 경로로 조성시킨 경우에는, 사육수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등의 탈기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입수조(1)의 바닥판(6)을 거쳐 침전조(2)로 배출되는 사육수의 선회식 흐름을 보다 더 강한 와류식 흐름으로 조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의 분사파이프(28)를 통한 사육수의 선회식 분사 방향은 침전조(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육수의 선회식 흐름과 동일한 방향이 되어야 하며, 해당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도 10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의 분사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살균조(3)로부터 생물여과조(4)측으로 갈수록 각 수조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수조로 유입된 사육수의 수위가 해당 수조의 높이를 넘어 불필요하게 흘러 내리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각 수조의 직경과 높이는 도면에 도시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유입수조(1)와 생물여과조(4)의 상부면에도 살균조(3)와 같은 커버판(12)이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기포분산기(15)의 작동에 따라 단백질 등의 성분이 기포에 포집된 스컴(Scum)이 발생하여 생물여과조(4)에 저장된 사육수의 수면위로 부상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스컴의 배출을 위하여 생물여과조(4)의 상단측에 스키머(Skimmer)식 배출관이나 배출덕트 등을 추가로 연결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생물여과조(4)에 저장되는 사육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유입수조(1) 벽체상에 스키머식 배출통로를 제공함에 따라, 생물여과조(4)에서 발생한 스컴이 유입수조(1)를 거쳐 침전조(2)의 내부에서 재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육수의 여과처리에 필요한 침전조(2)와 생물여과조(4)를 살균조(3)와 함께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하나의 통합수조를 이루도록 일체화 된 순환여과시스템(10)을 제공함으로서, 육상의 실내 양식장에 순환여과시스템(10)을 구축하기 위한 수조의 개수와 배관라인 등을 최소화시켜 그 설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단축 및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침전조(2)와 생물여과조(4)에 의한 기본적인 여과기능에 살균조(3)의 살균기능을 더하여 사육수의 정화성능을 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통합수조를 수조받침대(20)와 함께 양식수조(25)의 내부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순환여과시스템(10)의 구축에 따른 실내 양식장의 공간적 제약성도 완전하게 극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기설비된 순환여과시스템(10)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교체시키거나, 기설비된 순환여과시스템(10)을 다른 실내 양식장으로 이전하여 설치하는 등의 작업도 매우 합리적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여과시스템(10)의 노후화를 방지하고 그 경제적인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조(3)와 생물여과조(4)를 하나의 수로파이프(13)로 연통시킨 다음, 해당 수로파이프(13)의 출구와 처리수배출관(17)의 입구가 격판(14)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함으로서, 살균조(3)로부터 생물여과조(4)로 유입된 사육수가 생물여과조(4)의 둘레 방향 전체를 경유토록 하여 미생물 여과매질(26)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보다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수조(1)로부터 침전조(2)로 배출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 선회류로 조성시켜 고형물 성분의 침강식 제거성능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격판(14)과 다공판(18)으로서의 칸막이판을 이용하여 생물여과조(4)의 내부공간을 다수 개의 여과매질(26) 투입공간으로 구획시킨 다음, 수로파이프(13)의 출구가 놓이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배출관(17)이 연결되는 투입공간측으로 갈수록 동일 체적당의 여과매질(26) 투입량을 점차 줄이도록 한 경우에는, 미생물 여과매질(26)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한층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이며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매우 콤펙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육수의 여과 및 정화성능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유입수조 2 : 침전조 3 : 살균조
4 : 생물여과조 5 : 수조케이싱 6 : 바닥판
7 : 수류파이프 8 : 드레인배관 9 : 살균램프
10 : 순환여과시스템 11 : 전기접속부 12 : 커버판
13 : 수로파이프 14 : 격판 15 : 기포분산기
16 : 에어주입관 17 : 처리수배출관 18 : 다공판
19 : 오버플로우관 20 : 수조받침대 21 : 지지다리
22 : 작업공간 23 : 공급펌프 24 : 사육수공급관
25 : 양식수조 26 : 여과매질 27 : 사육수분배관
28 : 분사파이프

Claims (13)

  1. 양식수조로부터 유입된 사육수중의 고형물 성분을 침강시켜 제거하는 침전조와, 미생물 여과매질에 의한 사육수의 생물학적 여과처리를 수행하는 생물여과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순환여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깔때기 형상의 수조로 하여 양식수조로부터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입수조의 바닥판 하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조의 바닥판에는 침전조로 사육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제공되며,
    상기 유입수조의 내측 중앙부에는 유입수조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침전조와 연통되는 살균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생물여과조는 유입수조의 외곽측에서 유입수조와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살균조와 생물여과조의 내부에는 살균수단과 폭기수단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하단측과 생물여과조의 외측 상부에는 드레인배관과 처리수배출관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살균조와 생물여과조는 살균조의 상측부에서 유입수조의 수조벽체를 거쳐 생물여과조로 연장되는 하나의 수로파이프에 의하여 연통 설치되며,
    상기 생물여과조를 통한 수로파이프의 출구와 인접한 위치에는 유입수조와 생물여과조의 수조벽체 사이에 걸쳐 수직 방향의 격판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관은 해당 격판을 사이에 두고 수로파이프의 출구과 인접한 위치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여과시스템은 침전조의 하부측 가장자리가 놓여지는 수조받침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받침대의 상부면은 침전조의 깔때기형 몸통이 삽입되는 개구부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개구부의 외측 둘레 방향에 걸쳐 최소 2개 이상의 방사상 지지다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조와 생물여과조의 수조벽체 사이에는 다공판 또는 메쉬판으로서의 수직형 칸막이판이 최소 1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과 격판에 의하여 생물여과조의 내부공간이 최소 2개 이상의 여과매질 투입공간으로 구획되는 한편, 상기 수로파이프의 출구측이 놓이는 투입공간으로부터 처리수배출관이 연결되는 투입공간측으로 갈수록 동일 체적당의 여과매질 투입량을 줄이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조의 바닥판에 제공되는 사육수의 배출통로는 침전조로 유입되는 사육수의 흐름을 소용돌이식의 선회류로 조성시키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의 배출통로는 유입수조의 바닥판 가장자리에 걸쳐 동일 방향을 따라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최소 3개 이상의 방사상 수류파이프가 되고, 상기 각각의 수류파이프 상단측 입구가 바닥판을 거쳐 유입수조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육수의 살균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살균램프가 되고, 상기 살균조의 상부측에는 커버판이 설치되며, 상기 살균램프의 램프튜브 부분이 살균조의 커버판을 거쳐 소정의 깊이만큼 살균조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살균램프의 상단측 전기접속부는 커버판을 거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조의 상측부에는 생물여과조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오버플로우관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여과조의 내부 하측에는 폭기수단의 지지와 미생물 여과매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다공판 또는 메쉬판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관의 내부에도 미생물 여과매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다공판 또는 메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수단은 미세기포의 조성이 가능한 기포분산기가 되고, 상기 기포분산기가 생물여과조의 수조벽체를 수밀 가능하게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에어주입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여과조의 바닥판 부분은 깔때기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바닥판 하단측을 따라서는 최소 2개 이상의 드레인배관이 일정한 각도범위를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여과시스템은 수조받침대와 함께 양식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받침대의 내측에 수중펌프로서의 공급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연장되는 사육수공급관이 생물여과조의 외부측을 선회하여 유입수조의 상부측까지 연장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드레인배관은 해당 양식수조의 외부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생물여과조의 처리수배출관은 해당 양식수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다른 양식수조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공급관의 출구측에는 링 형태의 사육수분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육수분배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최소 3개 이상의 분사파이프가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분사파이프는 유입수조를 통한 사육수의 공급경로가 소용돌이 형태의 선회식 경로를 이루도록 사육수분배관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KR1020230091910A 2023-07-14 2023-07-14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KR10264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910A KR102641023B1 (ko) 2023-07-14 2023-07-14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910A KR102641023B1 (ko) 2023-07-14 2023-07-14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023B1 true KR102641023B1 (ko) 2024-02-28

Family

ID=9005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910A KR102641023B1 (ko) 2023-07-14 2023-07-14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02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835A (ja) * 1997-01-16 1998-09-29 Masasada Yokota 水 槽
KR20040012322A (ko) * 2002-08-02 2004-02-11 남직현 일체형 수처리기
KR101185811B1 (ko) * 2012-05-30 2012-09-27 대한민국 탈기겸용 다회류 고형물 여과장치
KR101247990B1 (ko) * 2012-08-23 2013-04-08 대한민국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KR101289688B1 (ko) * 2012-03-30 2013-07-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KR101444206B1 (ko) * 2014-06-12 2014-10-08 대한민국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KR101682589B1 (ko) * 2015-10-20 2016-12-06 대한민국 고형물 수집 겸용 쌍방향 회류식 생물여과조
KR101996238B1 (ko) 2019-04-11 2019-07-08 대한민국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2407391B1 (ko) * 2021-12-07 2022-06-13 대한민국 양식수조를 생물여과조로 활용하기 위한 수조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여과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835A (ja) * 1997-01-16 1998-09-29 Masasada Yokota 水 槽
KR20040012322A (ko) * 2002-08-02 2004-02-11 남직현 일체형 수처리기
KR101289688B1 (ko) * 2012-03-30 2013-07-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KR101185811B1 (ko) * 2012-05-30 2012-09-27 대한민국 탈기겸용 다회류 고형물 여과장치
KR101247990B1 (ko) * 2012-08-23 2013-04-08 대한민국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KR101444206B1 (ko) * 2014-06-12 2014-10-08 대한민국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KR101682589B1 (ko) * 2015-10-20 2016-12-06 대한민국 고형물 수집 겸용 쌍방향 회류식 생물여과조
KR101996238B1 (ko) 2019-04-11 2019-07-08 대한민국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2407391B1 (ko) * 2021-12-07 2022-06-13 대한민국 양식수조를 생물여과조로 활용하기 위한 수조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여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799A (en) Super ozonating water purifier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US9486751B2 (en) Mixing apparatus
KR102641023B1 (ko) 여과장치 일체형 이동식 순환여과시스템
KR102220582B1 (ko) 유입관과 유출관이 동일 배관라인을 이루는 이중배관 어셈블리식 생물여과조
CN209964991U (zh) 一种离子净化养殖系统
KR102133411B1 (ko) 수산용수 복합 처리장치
ES2616861T3 (es) Reactor biológico para la purificación de aguas residuales
CN205387525U (zh) 一体化医院污水处理设备
CN108249708A (zh) 一种高效率的畜牧养殖水处理系统
CN212222717U (zh) 一种含甘油废水处理一体化装置
KR101531087B1 (ko) 하수 침전조의 하수 배출구조
CN207775026U (zh) 低产泥的生活污水处理装置以及生活污水处理系统
CN105594650A (zh) 一种鱼菜共养高效循环水养殖箱
CN207862070U (zh) 一种环境工程废水处理装置
CN212076762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20317560U (zh) 一种水体杀菌除藻增氧装置
LV15092B (lv) Zivju audzēšanas komplekss un ūdens reģenerēšanas paņēmiens tajā
WO2018151587A1 (es) Mecanismo autónomo flotante para airear cuerpos de agua
CN219409506U (zh) 一种农村污水处理池
KR20120004511U (ko) 스크류결합식 오수정화용 필터케이스
CN213537552U (zh) 一种高效大水体污染处理控制装置
CN220684887U (zh) 一种医疗污水处理装备
CN214383749U (zh) 一种新型医疗废水处理装置
CN220799643U (zh) 基于水循环的水产养殖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