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781B1 -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781B1
KR102640781B1 KR1020210100958A KR20210100958A KR102640781B1 KR 102640781 B1 KR102640781 B1 KR 102640781B1 KR 1020210100958 A KR1020210100958 A KR 1020210100958A KR 20210100958 A KR20210100958 A KR 20210100958A KR 102640781 B1 KR102640781 B1 KR 102640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der
mounting
whe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913A (ko
Inventor
주종규
김삼엽
김성필
박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7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이동수단의 회전기둥을 지지하는 제1거치부와, 제1거치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개인용 이동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는 제2거치부 및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를 연결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제2거치부는, 제2거치부의 고정몸체에서 바퀴의 이동경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바퀴의 측면을 가압하는 안내돌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MOUNTING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
본 발명은 개인용 이동수단의 바퀴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이동수단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이동수단으로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초소형 전기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이동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전동 퀵보드는, 스케이트 보드 모양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와, 지지바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와, 몸체부와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근래 개인용 이동수단은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개인용 이동장치를 사용한 후 길거리에 방치하므로 보행자와 차량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인용 이동장치의 사용 후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5964호 (2020.07.16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 킥보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이동장치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이동장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앞바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는, 제2거치부가 개인용 이동장치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용 이동수단의 앞바퀴가 제2거치부를 따라 이동된 후 제2거치부에 구비된 안내돌기부재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앞바퀴의 흔들림이 구속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가 개인용 이동장치의 흔들림을 구속하여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거치부가 개인용 이동장치의 회전기둥을 고정하고, 제2거치부가 개인용 이동장치의 앞바퀴의 흔들림을 구속하여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는, 개인용 이동수단의 회전기둥을 지지하는 제1거치부와, 제1거치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개인용 이동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는 제2거치부 및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를 연결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제2거치부는, 제2거치부의 고정몸체에서 바퀴의 이동경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바퀴의 측면을 가압하는 안내돌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는, 개인용 이동수단의 회전기둥을 지지하는 제1거치부와, 제1거치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개인용 이동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는 제3거치부 및 제1거치부와 제3거치부를 연결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제3거치부는, 거치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며 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는, 개인용 이동수단의 회전기둥을 지지하는 제1거치부와, 제1거치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개인용 이동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는 제4거치부 및 제1거치부와 제4거치부를 연결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제4거치부는, 거치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며 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형성하는 제4베이스부재 및 제4베이스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며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는, 제2거치부에 구비된 안내돌기부재가 앞바퀴의 좌우 측면을 탄성 가압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무선충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거치부에 구비된 바퀴안내홈부를 따라 앞바퀴의 이동이 안내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4거치부에 구비된 안내홈부를 따라 앞바퀴의 이동이 안내되며, 받침프레임이 앞바퀴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개인용 이동수단의 앞바퀴가 진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내돌기부재가 앞바퀴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의 내측에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의 내측으로 개인용 이동수단의 앞바퀴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의 내측에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의 내측에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의 내측으로 개인용 이동수단의 앞바퀴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의 내측에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의 내측에 앞바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이 제1거치모드로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이 제2거치모드로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이 제3거치모드로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받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은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에 의해 직립식 거치가 안내된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거치작업과 충전작업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 제1거치부(100)와 제2거치부(200)가 개인용 이동수단(900)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1충전부(800)와 제2충전부(940)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진다.
거치프레임(30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거치프레임(300)의 하측에 제2거치부(200)가 설치되고 거치프레임(300)의 상측에 제1거치부(100)가 설치된다. 제1거치부(1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을 지지하며, 제2거치부(2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를 지지하거나 이동을 안내한다.
거치프레임(300)을 향하여 이동된 개인용 이동수단(900)은 제1거치부(100)와 제2거치부(200)에 회전기둥(902)과 바퀴가 안착되므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무선충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300)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전파나 자기장을 송신하는 제1충전부(800)가 설치되며, 개인용 이동수단(900)에는 무선충전용 수신 모듈인 제2충전부(940)가 설치된다. 제1충전부(800)와 제2충전부(940)가 마주하지 않고 틀어지는 경우 충전 효율 저하되고, 제1충전부(800)와 제2충전부(940)의 편심량이 일정 이상 증가하면 충전이 중단된다.
[제1거치부]
제1거치부(1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을 지지하며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직립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1거치부(100)는 회전기둥(902)이 통과할 때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가 밀려서 후퇴한 후 다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가 이동되어 회전기둥(902)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거치부(100)의 동작으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을 거치하는 사용자는 도킹이 완료됨을 인지할 수 있다.
제1거치부(100)가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설치 환경 및 사용자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장착 위치의 편차와는 무관하게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고정 위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을 위한 안정적인 무선 충전 성능을 제공한다.
제1거치부(100)에 구비된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가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거치부(200)가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를 지지하므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직립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부(100)는, 제1프레임(110)과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와 제1인장부(140)와 제1스토퍼(150)와 제1싱크기어부(160)를 포함한다.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이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로 진입할 때, 회전기둥(902)에 밀려서 이동된 후 다시 제1인장부(140)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다시 회전기둥(902)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동된다. 회전기둥(902)이 거치될 때, 제1인장부(140)에 연결된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의 이동에 의해 장착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1거치부(100)는, 제1스토퍼(150)와 힌지구조를 갖는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를 포함하므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이동시 틀어진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은 거치프레임(300)에 고정되며, 제1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회전안내부(120)는 제1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프레임(110)의 폭방향(W)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회전안내부(130)는 제1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프레임(110)의 폭방향(W)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인장부(140)는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에 양측이 연결되며, 탄성을 구비하며 제1프레임(110)의 폭방향(W)으로 설치된다.
제1스토퍼(150)는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회전안내부(120)와 상기 제2회전안내부(130)의 단부를 통과한 회전기둥(902)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스토퍼(150)는 제1거치부(100)에 고정되거나 거치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제1싱크기어부(160)는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에 각각 고정되며,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서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의 회전을 동기화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싱크기어부(160)는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맞물린 한 쌍의 기어이다. 제1싱크기어부(160)가 맞물리며 회전하므로,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의 회전각도가 같으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가해지는 힘을 동일하게 하므로 회전기둥(902)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싱크기어부(160)가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에 설치되어서,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가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회전안내부(120)와 제2회전안내부(130)를 통과하며 제1스토퍼(150)로 이동하는 회전기둥(902)이, 제1거치부(100)의 폭방향(W)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폭방향(W)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싱크기어부(160)는, 제1기어부(162)와 제2기어부(166)를 포함한다. 제1기어부(162)는 제1회전안내부(120)에 고정되며, 제2회전안내부(130)를 향한 측면에 기어가 구비되는 판 형상이다. 제2기어부(166)는 제2회전안내부(130)에 고정되며, 제1회전안내부(120)를 향한 측면에 기어가 구비되는 판 형상이다.
[제2거치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2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200)의 내측으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가 진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 중 앞바퀴(910)는 제2거치부(200)의 내측에 안착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제2거치부(2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를 고정시켜, 장시간 무선 충전을 위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위치와 자세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200)는, 제2거치케이스(210)와 내측고정부(220)와 보관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거치케이스(210)는 제1베이스부재(320)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바퀴의 이동경로를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제2거치케이스(210)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설치된다. 제2거치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된 바퀴가 정지되는 보관홈부(230)의 양측에 제2거치케이스(210)가 위치한다.
제2거치케이스(210)의 하단은 거치프레임(300)의 제1베이스부재(320)에 고정된다. 제2거치케이스(210)는 제1베이스부재(320)의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거치케이스(210)는, 바퀴의 진입을 안내하는 제1안내프레임(212) 및 보관홈부(230)의 내측에 고정된 바퀴의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제2안내프레임(216)을 포함한다. 제2안내프레임(216)은 제1안내프레임(212)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안내프레임(212)은 거치프레임(300)의 전방에 위치하며, 바퀴의 이동경로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어 바퀴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안내프레임(216)은 거치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안내프레임(212)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바퀴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내측고정부(220)는 제2거치케이스(2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거치케이스(210)와 함께 제1베이스부재(320)에 고정된다. 그리고 내측고정부(220)는 제2거치케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앞바퀴(910)의 측면을 가압하여 앞바퀴(9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안내돌기부재(2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측고정부(220)는, 측면연결부재(222)와 고정패널(224)과 안내돌기부재(226)를 포함한다.
측면연결부재(222)는 안내돌기부재(226)에 연결되며, 제2거치케이스(2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측면연결부재(222)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금속편이며, 제2거치케이스(210)의 길이방향(D)을 따라 연장된다. 안내돌기부재(226)는 측면연결부재(222)의 일부가 절개되어 프레스 작업에 의해 제작된다.
고정패널(224)은 측면연결부재(222)에 연결되며, 제1베이스부재(32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고정패널(224)은 제2거치케이스(210)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며, 고정패널(224)의 폭방향(W) 양측에는 측면연결부재(222)가 설치된다.
안내돌기부재(226)는 제2거치케이스(210)에 구비된 측면홀부(218)를 통해 바퀴가 정지되는 보관홈부(230)를 향하여 연장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내돌기부재(226)는, 직선안내편(227)과 가압편(228)을 포함한다.
직선안내편(227)은 측면연결부재(222)에 연결되며, 측면연결부재(222)에서 보관홈부(230)를 향하여 연장된다. 직선안내편(227)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프링강과 같이 탄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직선안내편(227)은 바퀴에 밀려서 측면연결부재(222)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압편(228)은 직선안내편(227)의 단부에 연결되며, 측면연결부재(222)를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가압편(228)은 "ㄱ"자 형상으로 굽어지며 보관홈부(230)를 따라 이동하는 앞바퀴(910)에 밀려서 이동된 후 정지된 앞바퀴(910)의 측면을 가압하여 앞바퀴(910)의 흔들림과 이동을 구속한다.
보관홈부(23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거치할 때 앞바퀴(910)가 위치하는 장소이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제2거치케이스(2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보관홈부(230)는 제1베이스부재(320)의 상측에 위치하며, 보관홈부(230)의 폭방향(W) 양측에는 제2거치케이스(210)가 위치한다. 따라서 앞바퀴(910)는 제2거치케이스(210)의 사이에 형성된 보관홈부(230)를 따라 이동된 후 보관홈부(230)의 내측에 정지한다.
[거치프레임]
거치프레임(300)은 제1거치부(100)와 제2거치부(20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거치프레임(300)은 제1거치부(100)와 제2거치부(200)를 연결하며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300)은, 프레임몸체(310)와 제1베이스부재(320)와 상부지지프레임(330)을 포함한다.
프레임몸체(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레임몸체(310)의 상측에는 제1거치부(100)가 지지되고 프레임몸체(310)의 하측에는 제1베이스부재(320)가 설치된다.
프레임몸체(310)는 2개의 판 형상의 패널이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거치부(1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몸체(310)의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베이스부재(320)는 프레임몸체(310)의 하측에 연결되며, 제2거치부(200)가 상측에 고정된다. 제1베이스부재(320)는 판 형상이며, 제1베이스부재(320)의 상측면에 제2거치부(200)가 고정된다.
상부지지프레임(330)은 프레이몸체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거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부지지프레임(330)의 하측에 제1거치부(100)가 설치되며, 제1거치부(100)의 제1프레임(110)은 상부지지프레임(330)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지지프레임(330)의 상측에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충전상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표시부(1000)가 설치된다.
표시부(1000)는 설정된 색상으로 발광되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충전이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장착이나 탈착 동작의 용이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며, 장착과 탈착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구조이다.
[제1충전부]
제1충전부(800)는 거치프레임(300)에 설치되며 무선충전용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충전부(800)에서 발생된 무선 충전용 자기장은 개인용 이동수단(900)에 설치된 제2충전부(940)로 전달되어 개인용 이동수단(9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므로,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충전부(800)는 거치프레임(300)의 프레임몸체(3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위치로 변경이 가능한 가변지지부에 설치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도 있다.
제1충전부(800)가 가변지지부에 설치된 경우, 개인용 이동수단(900)에 설치된 제2충전부(940)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제2충전부(940)에 맞게 제1충전부(800)의 위치가 변경되어 제1충전부(800)와 제2충전부(940)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충전부(800)는 마주하며 접하는 제2충전부(940)의 위치에 따라 장착 위치가 가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인용 이동수단(900)을 보관홈부(230)에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하는 경우, 제1충전부(800)의 위치가 제2충전부(940)의 위치에 따라 이동되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충전부(940)의 위치가 다른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모델이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에 거치되는 경우에도, 제1충전부(800)의 위치가 제2충전부(940)의 위치에 따라 이동되므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개인용 이동수단]
개인용 이동수단(900)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핸들(901)과, 핸들(901)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핸들(90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기둥(902)을 포함한다. 회전기둥(902)에는 제1충전부(800)가 고정된다.
핸들(901)의 하측에는 앞바퀴(9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둥(902)과 연결된 발판부(930)에는 뒷바퀴(9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에 구비된 바퀴는 앞바퀴(910)와 뒷바퀴(92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바퀴가 추가될 수도 있다.
앞바퀴(910)와 뒷바퀴(9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모터는 발판부(930)에 설치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배터리는 제2충전부(94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인출과 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충전부(800)와 제2충전부(940)가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충전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누전이나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차단할 수 있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으로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자전거를 포함한 다른 종류의 이동장치도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900)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는, 제1거치부(100)와 제2거치부(200)에 의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충전부(800)와 제2충전부(940)에 의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거치부(100)와 제2거치부(200)의 지지위치가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형상에 따라 가변되므로, 다른 형상을 갖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에도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동작]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 중 앞바퀴(910)가 제2지지부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앞바퀴(910)는 제2거치부(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거치홈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안내돌기부재(226)는 보관홈부(23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앞바퀴(910)가 안내돌기부재(226)에 접하면서 안내돌기부재(226)는 내측고정부(22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내돌기부재(226)가 앞바퀴(91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부(200)의 내측에 앞바퀴(9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부재(226)를 밀어내며 이동된 앞바퀴(910)는 제2거치부(200)의 내측에서 정지된다. 이때 안내돌기부재(226)가 앞바퀴(910)의 양측면을 가압하므로 앞바퀴(91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안내돌기부재(226)는 판 스프링 구조이며, 앞바퀴(910)의 유동이나 기울어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가 제2거치부(200)를 따라 이동된 후 제2거치부(200)에 구비된 안내돌기부재(226)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앞바퀴(910)의 흔들림이 구속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바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지된 앞바퀴(910)의 양측에는 제2안내프레임(216)이 위치하므로, 앞바퀴(910)가 폭방향(W)으로 이동하려 할 때 제2안내프레임(216)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은 제1거치부(100)에 안착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거치프레임(300)에 설치된 제1충전부(8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에 설치된 제2충전부(940)를 통해 무선충전이 이루어진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에 구비된 회전기둥(902)과 앞바퀴(910)의 고정을 통해, 개인용 이동수단(900)인 전동 킥보드가 고정된 상태로 자립할 수 있다. 즉 제1거치부(100)가 개인용 이동장치의 회전기둥(902)을 고정하고, 제2거치부(200)가 개인용 이동장치의 앞바퀴(910)의 흔들림을 구속하여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는, 제2거치부(200)에 구비된 안내돌기부재(226)가 앞바퀴(910)의 좌우 측면을 탄성 가압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무선충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앞바퀴(910)를 제2거치부(200)에서 빼내는 경우, 안내돌기부재(226)의 가압력 보다 큰 힘으로 앞바퀴(910)를 이동시킨다.
[제2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2)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4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400)의 내측으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2)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부에 제3거치부(400)가 설치된다. 거치프레임(5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거치부(100)와 제3거치부(400)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2)는, 제3거치부(400)에 구비된 바퀴안내홈부(420)를 따라 앞바퀴(910)의 이동이 안내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프레임(500)에 연결된 제1거치부(100)와 제1충전부(8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제3거치부]
제1거치부(1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을 지지하는 장치이며, 제3거치부(400)는 제1거치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를 지지한다. 제3거치부(400)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부를 지지하며 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400)는, 제3베이스부재(410)와 바퀴안내홈부(420)와 발판보강부재(430)를 포함한다.
제3베이스부재(410)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베이스부재(410)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며, 거치프레임(5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3베이스부재(410)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홈부(412)를 포함한다. 거치프레임(500)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인 장착홈부(412)가 제3베이스부재(410)에 구비된다. 제3베이스부재(410)는 하측을 향하여 개구되며, 종단면의 형상은 "ㄷ"자로 이루어진다.
거치프레임(500)의 하부는 장착홈부(412)를 통해 제3베이스부재(410)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3베이스부재(4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부는 발판보강부재(430)에 고정된다.
바퀴안내홈부(420)는 제3베이스부재(410)에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며,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 중 앞바퀴(9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안내홈부(420)는, 지지패널(422)과 연결부재(424)와 측면보강부(426)를 포함한다.
지지패널(422)은 제3베이스부재(410)의 상측면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바퀴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널(42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베이스부재(410)의 상측면과 단차를 이루며 하측에 위치하는 패널 형상이다.
지지패널(422)은 앞바퀴(910)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패널 형상이다. 제3거치부(400)의 입구에 위치한 지지패널(422)은 폭방향(W)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제3거치부(400)의 입구를 통과한 앞바퀴(910)를 안내하는 지지패널(422)은 앞바퀴(910)의 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결부재(424)는 지지패널(422)과 제3베이스부재(410)를 연결하는 판 형상이며, 상하 방향이나 경사진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측면보강부(426)는 지지패널(422)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지지패널(422)과 제3베이스부재(41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보강부(426)는 제1보강부재(427)와 제2보강부재(428)를 포함한다.
제1보강부재(427)는 "U"자 형상으로 굽어지며, 지지패널(422)과 제3베이스부재(410) 사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이다. 제1보강부재(427)는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패널(422)과 제3베이스부재(410) 사이의 구조강성을 높인다.
제2보강부재(428)는 제1보강부재(427)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점차로 입구의 폭이 증가한다. 따라서 바퀴안내홈부(420)의 입구는 폭의 좌우 길이가 넓게 형성되며, 바퀴안내홈부(420)의 내측은 입구에 비해 폭의 길이가 좁게 형성된다.
발판보강부재(430)는 제3베이스부재(410)의 내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보강부재(430)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발판보강부재(430)는 제3베이스부재(4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제3베이스부재(410)의 구조강성을 보강한다.
[거치프레임]
거치프레임(500)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거치부(100)와 제3거치부(40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500)의 하단은 장착홈부(412)를 통해 제3거치부(400)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발판보강부재(430)에 체결된다.
제3거치부(400)의 하측에 위치하는 거치프레임(500)의 하단은 발판보강부재(430)와 마주하는 상태에서, 체결볼트(510)의 체결로 상호간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400)의 내측에 앞바퀴(9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3거치부(400)의 내측에 앞바퀴(9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거치부(400)의 바퀴안내홈부(420)를 통해 진입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는 지지패널(422)을 따라 이동된 후 거치프레임(500)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된다.
거치프레임(500)에는 앞바퀴(9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정지된 앞바퀴(910)의 좌우 양측에는 제3베이스부재(410)가 위치하므로 앞바퀴(910)의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6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600)의 내측으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3)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부에 제4거치부(600)가 설치된다. 거치프레임(7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거치부(100)와 제4거치부(600)를 연결한다.
거치프레임(700)에 연결된 제1거치부(100)와 제1충전부(8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제4거치부]
제1거치부(100)는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회전기둥(902)을 지지하는 장치이며, 제4거치부(600)는 제1거치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바퀴를 지지한다. 제4거치부(600)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부를 지지하며 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600)는, 제4베이스부재(610)와 받침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제4베이스부재(610)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4베이스부재(610)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며, 거치프레임(7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4베이스부재(610)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부를 지지하며, 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61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베이스부재(610)는, 안내홈부(612)와 연결홀부(615)와 구속홈부(616)를 포함한다.
제4베이스부재(610)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연결홀부(615)를 포함한다. 거치프레임(700)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인 연결홀부(615)가 제4베이스부재(610)에 구비된다. 제4베이스부재(610)는 하측을 향하여 개구되며, 종단면의 형상은 대략 "ㄷ"자로 이루어진다.
제1거치부(100)와 제4거치부(600)를 연결하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부는 연결홀부(615)를 통해 제4베이스부재(610)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받침프레임(620)에 고정된다. 거치프레임(700)의 하부는 볼트 형상의 락킹부재(720)에 의해 받침프레임(620)에 고정된다.
안내홈부(612)는 제4베이스부재(61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앞바퀴(9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의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내홈부(612)는 제1홈부(613)와 제2홈부(614)를 포함한다.
안내홈부(612)는 앞바퀴(910)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홈부이며, 제4거치부(600)의 입구에 위치한 제2홈부(614)는 폭방향(W)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제4거치부(600)의 입구를 통과한 앞바퀴(910)를 안내하는 제1홈부(613)는 앞바퀴(910)의 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홈부(613)는 바퀴의 폭에 대응하는 홈부를 형성하며 직선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홈부(614)는 제1홈부(613)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홈부(613)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점차로 입구의 폭이 증가한다. 따라서 안내홈부(612)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앞바퀴(910)의 위치가 틀어진 경우에도 제2홈부(6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정위치로 교정된 후 제1홈부(613)를 따라 이동되어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한편 거치프레임(7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속돌기(710)가 거치프레임(700)의 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구속돌기(710)에 대응하는 구속홈부(616)가 제4베이스부재(610)에 형성된다. 구속홈부(616)는 연결홀부(615)와 연통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구속돌기(710)는 구속홈부(616)에 삽입되어 거치프레임(700)의 이동을 구속한다.
받침프레임(620)은 제4베이스부재(610)의 하측에 결합되며, 안내홈부(612)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프레임(620)은 휠프레임(622)과 윙부재(624)를 포함한다.
휠프레임(622)은 안내홈부(612)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바퀴를 지지하는 판 형상이다. 윙부재(624)는 휠프레임(622)의 폭방향(W)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거치프레임(700)에 연결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700)의 하단은 연결홀부(615)를 통해 제4거치부(600)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받침프레임(620)에 체결된다.
제4거치부(600)의 하측에 위치하는 거치프레임(700)의 하단은 받침프레임(620)과 마주하는 상태에서, 구속돌기(710)의 체결로 상호간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600)의 내측에 앞바퀴(9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4거치부(600)의 내측에 앞바퀴(9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부(612)를 따라 이동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는 안내홈부(612)의 단부에 걸려서 이동이 정지된다.
제4거치부(600)의 안내홈부(612)를 통해 진입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앞바퀴(910)는 안내홈부(612)를 따라 이동된 후 거치프레임(700)에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된다. 정지된 앞바퀴(910)의 좌우 양측에는 제4베이스부재(610)가 위치하므로 앞바퀴(910)의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3)는, 제4거치부(600)에 구비된 안내홈부(612)를 따라 앞바퀴(910)의 이동이 안내되며, 받침프레임(620)이 앞바퀴(910)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개인용 이동장치의 거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방식]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제1거치모드로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경우, 거치되는 개인용 이동수단(900)도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의 폭방향(W)으로 복수의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거치되며, 거치된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핸들(901)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제2거치모드로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는 기울어진 상태의 경사배치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차도와 구분되는 인도에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1)가 설치되는 경우, 인도를 따라 비스듬하게 사각판 형상의 제1베이스부재(320)가 설치된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의 거치도 인도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다.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인도와 수직으로 교차하며 거치되는 방법 대비 인도에서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통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제3거치모드로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재(320)는 사각형 패널을 형성하며, 직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개인용 이동수단(900)은 제1베이스부재(320)와 경사를 이루며 비스듬하게 거치된다.
따라서 제1베이스부재(320)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제1베이스부재(320)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방법 대비 보행자가 다닐 수 있는 인도의 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이동장치도 비스듬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거치되므로, 인도에서 개인용 이동수단(900)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의 통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2,3: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100: 제1거치부
110: 제1프레임 120: 제1회전안내부 130: 제2회전안내부 140: 제1인장부 150: 제1스토퍼 160: 제1싱크기어부 162: 제1기어부 166: 제2기어부
200: 제2거치부
210: 제2거치케이스 212: 제1안내프레임 216: 제2안내프레임 218: 측면홀부
220: 내측고정부 222: 측면연결부재 224: 고정패널 226: 안내돌기부재 227: 직선안내편 228: 가압편 230: 보관홈부
300: 거치프레임 310: 프레임몸체 320: 제1베이스부재 330: 상부지지프레임
400: 제3거치부
410: 제3베이스부재 412: 장착홈부 420: 바퀴안내홈부 422: 지지패널 424: 연결부재 426: 측면보강부 427: 제1보강부재 428: 제2보강부재 430: 발판보강부재
500: 거치프레임 510: 체결볼트
600: 제4거치부
610: 제4베이스부재 612: 안내홈부 613: 제1홈부 614: 제2홈부
615: 연결홀부 616: 구속홈부 620: 받침프레임 622: 휠프레임 624: 윙부재
700: 거치프레임 710: 구속돌기 720: 락킹부재
800: 제1충전부
900: 개인용 이동수단 901: 핸들 902: 회전기둥 910: 앞바퀴 920: 뒷바퀴 930: 발판부 940: 제2충전부
1000: 표시부
W: 폭방향 D: 길이방향

Claims (20)

  1. 개인용 이동수단의 회전기둥을 지지하는 제1거치부;
    상기 제1거치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개인용 이동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는 제2거치부; 및
    상기 제1거치부와 상기 제2거치부를 연결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부는, 제2거치부의 고정몸체에서 상기 바퀴의 이동경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바퀴의 측면을 가압하는 안내돌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송신하는 제1충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충전부에서 발생된 무선 충전용 자기장은 상기 회전기둥에 고정된 제2충전부로 전달되어 상기 개인용 이동수단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바퀴의 이동경로를 따라 나란히 설치되는 제2거치케이스; 및
    상기 제2거치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돌기부재가 연결되는 내측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돌기부재는 상기 제2거치케이스에 구비된 측면홀부를 통해 상기 바퀴가 정지되는 보관홈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바퀴에 밀려서 상기 내측고정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회전안내부;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2회전안내부;
    상기 제1회전안내부와 상기 제2회전안내부에 양측이 연결되며, 탄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인장부; 및
    상기 제1회전안내부와 상기 제2회전안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회전안내부와 상기 제2회전안내부의 단부를 통과한 상기 회전기둥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거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몸체;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거치부가 상측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케이스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제2거치케이스와 함께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케이스는,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기 바퀴가 정지되는 보관홈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케이스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바퀴의 이동경로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안내프레임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퀴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2안내프레임;을 포함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고정부는, 상기 안내돌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거치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연결부재; 및
    상기 측면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부재는, 상기 측면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측면연결부재에서 상기 보관홈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직선안내편; 및
    상기 직선안내편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면연결부재를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바퀴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0100958A 2021-07-30 2021-07-30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KR10264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58A KR102640781B1 (ko) 2021-07-30 2021-07-30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58A KR102640781B1 (ko) 2021-07-30 2021-07-30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13A KR20230018913A (ko) 2023-02-07
KR102640781B1 true KR102640781B1 (ko) 2024-02-23

Family

ID=8525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958A KR102640781B1 (ko) 2021-07-30 2021-07-30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7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968A (ja) * 2004-11-18 2006-06-08 Sumitomo Heavy Ind Ltd 二輪車格納装置及び機械式駐輪場
JP2012112144A (ja) * 2010-11-24 2012-06-14 Iwase:Kk 駐輪機における車輪係止装置
CN108639195A (zh) 2018-06-04 2018-10-12 珠海优特物联科技有限公司 车桩锁及具有其的车桩锁系统
CN210478890U (zh) * 2019-08-02 2020-05-08 广东潇湘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向固定的自行车锁桩
KR102256807B1 (ko) * 2020-08-18 2021-05-28 (주)그린파워 무선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335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968A (ja) * 2004-11-18 2006-06-08 Sumitomo Heavy Ind Ltd 二輪車格納装置及び機械式駐輪場
JP2012112144A (ja) * 2010-11-24 2012-06-14 Iwase:Kk 駐輪機における車輪係止装置
CN108639195A (zh) 2018-06-04 2018-10-12 珠海优特物联科技有限公司 车桩锁及具有其的车桩锁系统
CN210478890U (zh) * 2019-08-02 2020-05-08 广东潇湘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向固定的自行车锁桩
KR102256807B1 (ko) * 2020-08-18 2021-05-28 (주)그린파워 무선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13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778A (en) Folding window rack
CN201922236U (zh) 汽车尾门安装工具
KR101686749B1 (ko)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102640781B1 (ko)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KR102596550B1 (ko)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거치장치
CN113534385A (zh) 一种光通信系统的光学天线
CN211642234U (zh) 一种板车用折叠式把手结构体
NZ536095A (en) Road barrier element
CN216040856U (zh) 一种三波型护栏巡检设备
KR200484143Y1 (ko)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CN107482998B (zh) 可调式太阳能支架
KR102049210B1 (ko) 2단 자전거 보관대
JP2001186938A (ja) 移動棚
CN216553071U (zh) 一种模板施工用行走支撑结构
CN218115629U (zh) 翼子板挂具及带有该翼子板挂具的翼子板电泳器具
CN210089160U (zh) 一种稳定且可快速安装的太阳能支架
CN215377574U (zh) 一种电池模块的导轨、一种电池架和一种储能系统
CN217583980U (zh) 一种工字梁上快速安装摄像头的安装结构
KR101467958B1 (ko) 자전거가 거치되는 펜스
CN219192250U (zh) 车厢
CN112855010B (zh) 爬梯结构
CN217835897U (zh) 一种具有停车支架的独轮车
CN216286712U (zh) 一种移动机器人
CN220163771U (zh) 一种车载挂架
CN216921991U (zh) 一种电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