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69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69B1
KR102640669B1 KR1020220049880A KR20220049880A KR102640669B1 KR 102640669 B1 KR102640669 B1 KR 102640669B1 KR 1020220049880 A KR1020220049880 A KR 1020220049880A KR 20220049880 A KR20220049880 A KR 20220049880A KR 102640669 B1 KR102640669 B1 KR 10264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binet
fixed
hole
touch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812A (ko
Inventor
신중일
이규철
이현승
진율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8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투입구 및 패널 관통홀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패널 관통홀에 고정되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며, 제어회로 및 램프가 구비된 회로기판;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윈도우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램프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바디를 향하는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터치필름; 및 상기 터치필름을 향하는 상기 바디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필름과 상기 확산판은 기 설정된 기준간격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처리대상물(의류 등의 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장치의 총칭이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인터페이스는 버튼 형태의 입력부, 또는 노브(knob) 형태의 입력부, 또는 터치패널 형태의 입력부가 일반적이었다.
터치패널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에 고정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윈도우, 윈도우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필름, 및 상기 터치필름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구조의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에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였다. 따라서, 물이 상기 캐비닛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면 상기 터치패널을 통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안되거나 오류가 발생 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캐비닛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투입구 및 패널 관통홀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패널 관통홀에 고정되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며, 제어회로 및 램프가 구비된 회로기판;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윈도우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램프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바디를 향하는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터치필름; 및 상기 터치필름을 향하는 상기 바디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필름과 상기 확산판은 기 설정된 기준간격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기준간격을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잇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윈도우 또는 상기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필름과 상기 확산판 사이의 간격을 상기 기준간격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윈도우를 향해 연장되는 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의 타단은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은 상기 윈도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의 타단은 상기 바디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상기 패널 관통홀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간격은 1.5m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캐비닛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캐비닛(1)은 캐비닛 바디(11),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결합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2),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결합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는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패널 투입구(131)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3)에는 입력부(135, 136, 13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입력부가 선택부(135), 전원공급부(136), 및 실행요청부(137)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택부(135)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이고, 상기 전원공급부(136)는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전력의 공급이 필요한 구성요소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수단이며, 상기 실행요청부(137)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처리대상물(의류 등)의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2, 3)가 구비된다. 도 2는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수용부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비된다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럼(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2)을 통해 상기 패널 투입구(131)에 연결된다. 상기 가스켓(212)은 주름관 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패널 투입구(131)로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가스켓(212)을 통과하여 상기 터브 투입구(211)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스프링이나 댐퍼 등으로 구비된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2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 바디(21)를 연결하거나, 급수원과 상기 가스켓(212)을 연결하는 급수관(231), 및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터브 바디(21)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드로워 하우징(241), 및 상기 드로워 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24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유체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43)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구비된 드로워 투입구(133)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에서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45)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노즐(232)을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은 연결관(242)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 또는 가스켓(21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펌프(252),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펌프(252)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251), 및 상기 펌프(252)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21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상기 드럼 바디(31)의 일면에는 드럼 투입구(311)가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31)의 원주면과 후방면 등에는 상기 터브 바디와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3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구동부(32)를 통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21),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 및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322)와 드럼 바디(31)를 연결하는 회전축(3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페이스(4)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4)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에 위치하는 윈도우(4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하우징(42), 및 상기 하우징(42)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며 제어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41)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411) 및 체결부(412)를 통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1)는 상기 윈도우(41)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리브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412)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13)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43)에는 빛을 방출하는 다수의 램프(431)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램프(431)가 LED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42)은 바디 체결부(4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윈도우(41)와 상기 회로기판(43)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42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421)의 후방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2)에는 상기 바디(4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램프(431)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윈도우(41)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관통홀(425, 램프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41)에는 터치필름(44)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42)에는 확산판(4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필름(44)은 상기 바디(421)를 향하는(캐비닛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윈도우(41)의 일면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윈도우(41)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상기 회로기판(43)의 제어회로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상기 확산판(45)은 상기 터치필름(44)을 향하는(패널 관통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상기 바디(421)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램프(431)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터치필름(44)은 커넥터(441)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43)의 제어회로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회로기판(43)에 고정된 전도체(433)를 통해 제어회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필름(44)이 상기 커넥터(411)를 통해 제어회로에 연결될 경우, 상기 바디(421)에는 상기 커넥터(411)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426, 커넥터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터치필름(44)이 상기 전도체(433)를 통해 제어회로에 연결될 경우, 상기 바디(421)에는 상기 전도체(433)가 관통하는 전도체 제1관통홀(428)이 구비되고, 상기 확산판(45)에는 상기 전도체(433)가 관통하는 전도체 제2관통홀(451)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바디(421)에는 상기 확산판(45)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확산판(45)과 상기 터치필름(44)의 간격(G1)을 좁게 유지시키는 가압부(427)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확산판(45)과 상기 터치필름(44)의 간격(G1)을 너무 좁게 유지하면, 상기 패널 관통홀(134)과 상기 윈도우(4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된 물(W)이 상기 확산판(45)과 상기 터치필름(44) 사이의 공간(G1)을 따라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물의 장력에 의해 상기 상기 패널 관통홀(134)과 상기 윈도우(41) 사이에 형성된 틈(G1)을 따라 물이 이동하면, 상기 터치필름(44)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필름(44)과 상기 확산판(45)은 기 설정된 기준간격(G2)을 유지하도록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기준간격(G2)은 1.5m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장력에 의해 상기 터치필름과 확산판 사이의 공간(G2)을 따라 물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터치필름(44)과 상기 확산판(45) 사이의 간격(G2)을 상기 기준간격 이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중 하나는, 상기 바디(421)의 고정위치를 상기 기준간격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윈도우(41)와 상기 바디(421)의 간격을 충분히 늘리면 상기 터치필름(44)과 상기 확산판(45) 사이의 간격(G2)을 기준간격 이상으로 유지 가능할 것이다.
상기 터치필름(44)과 상기 확산판(45) 사이의 간격(G2)을 상기 기준간격 이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또 다른 방법은, 상기 윈도우(41) 또는 상기 바디(4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스페이서(5)를 구비시키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스페이서(5)가 일단은 상기 바디(4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윈도우(41)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바의 타단은 상기 윈도우(41) 또는 상기 터치필름(44)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의 타단(스페이서의 자유단)이 상기 윈도우(41)나 터치필름(44)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되면, 사용자가 상기 윈도우(41)를 누를 때 상기 터치필름(44)과 확산판(45) 사이의 간격에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필름(44)과 확산판(45) 사이의 간격변화는 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요인, 및 내구성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5)의 자유단은 상기 윈도우(41)나 터치필름(44)에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터치필름(44)의 내구성 저하의 위험의 고려할 때, 상기 스페이서(5)의 자유단은 상기 윈도우(41)에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5)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의 너비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바(bar)들은 상기 바디(421)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윈도우(41)의 하부공간을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스페이서(5)는 일단은 상기 윈도우(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421)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5)의 자유단은 상기 바디(421)에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 관통홀(134)과 상기 윈도우(4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된 물(W)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자연 배수되도록 하려면, 상기 윈도우(41)의 가장자리와 상기 패널 관통홀(134)이 밀착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51)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41)의 가장자리와 상기 패널 관통홀(134)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관통홀(134)과 상기 윈도우(41)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상기 기준간격과 동일하게 설정하면, 장력에 의해 물이 상기 패널 관통홀(134)과 상기 윈도우(41) 사이의 틈에 잔류하는 현상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구조 및 제어방법으로 한정될 수 없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3: 프론트 패널
131: 패널 투입구 132: 도어 133: 드로워 투입구
134: 패널 관통홀 135: 선택부 136: 전원 공급부
137: 실행요청부 2: 터브 3: 드럼
4: 인터페이스 41: 윈도우 411: 지지부
412: 체결부 42: 하우징 421: 바디
422: 바디 체결부 423: 장착부 425: 제1관통홀
426: 제2관통홀 43: 회로기판 431: 램프
433: 전도체 44: 터치필름 441: 커넥터
45: 확산판 5: 스페이서

Claims (9)

  1. 투입구 및 패널 관통홀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패널 관통홀에 고정되는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며, 제어회로 및 램프가 구비된 회로기판;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윈도우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램프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바디를 향하는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터치필름; 및
    상기 터치필름을 향하는 상기 바디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필름과 상기 확산판은 기 설정된 기준간격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기준간격을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또는 상기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필름과 상기 확산판 사이의 간격을 상기 기준간격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윈도우를 향해 연장되는 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타단은 상기 윈도우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은 상기 윈도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타단은 상기 바디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상기 패널 관통홀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간격은 1.5m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49880A 2021-12-07 2022-04-22 의류처리장치 KR102640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037 2021-12-07
KR20210174037 2021-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812A KR20230085812A (ko) 2023-06-14
KR102640669B1 true KR102640669B1 (ko) 2024-02-27

Family

ID=8674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880A KR102640669B1 (ko) 2021-12-07 2022-04-2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421A (ja) 2014-06-19 2016-01-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2017042407A (ja) 2015-08-27 2017-03-0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20200257385A1 (en) 2019-02-08 2020-08-13 Diehl Ako Stiftung & Co. Kg Touch- and/or proximity-sensitive input device, method of using the input devce and sensor fil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045A (ko) * 2007-06-20 200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421A (ja) 2014-06-19 2016-01-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2017042407A (ja) 2015-08-27 2017-03-0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20200257385A1 (en) 2019-02-08 2020-08-13 Diehl Ako Stiftung & Co. Kg Touch- and/or proximity-sensitive input device, method of using the input devce and senso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812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015B1 (ko) 세탁기의 컨트롤 장치
KR20130039457A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US1190563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4066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23788B1 (ko) 컨트롤패널 및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00052214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20010477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KR20230085814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85813A (ko) 의류처리장치
EP4365353A1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EP4365357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P4365359A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EP436536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52A1 (en)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interface
EP436535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4365347A1 (en) Interface an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interface
KR10261960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23447A (ko)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US2021025426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12000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4013309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01231A (ko) 의류처리장치
KR20050047771A (ko) 세탁기
KR20220114709A (ko) 세탁기
KR20230001234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