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70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709A
KR20220114709A KR1020210018038A KR20210018038A KR20220114709A KR 20220114709 A KR20220114709 A KR 20220114709A KR 1020210018038 A KR1020210018038 A KR 1020210018038A KR 20210018038 A KR20210018038 A KR 20210018038A KR 20220114709 A KR20220114709 A KR 2022011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ver
terminal
pump housing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백규
박래영
김민형
나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709A/ko
Priority to CN202280007175.8A priority patent/CN116457522A/zh
Priority to PCT/KR2022/001973 priority patent/WO2022173216A1/ko
Priority to EP22752976.5A priority patent/EP4202110A4/en
Priority to US17/703,568 priority patent/US20220251754A1/en
Publication of KR2022011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펌프, 서비스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서비스 단자, 및 상기 배수펌프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펌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CING MACHINE}
본 발명은 서비스 단자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펌프 및 서비스 단자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류, 수건, 침구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제품이다. 세탁기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와, 드럼이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동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세탁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세탁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세탁물이 수용된 터브에 세제수를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터브에 헹굼수를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어 내는 헹굼 행정, 및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상술한 행정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제어부의 업데이트 및/또는 에러(error) 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서비스 단자는 세탁기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후면에 위치하여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비스 단자로의 접근성이 개선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서븟 단자로의 접근성이 개선되되, 외관을 해치지 않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서비스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펌프, 서비스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서비스 단자, 및 상기 배수펌프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펌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에 형성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펌프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커버가 상기 펌프 하우징에 결합된 때, 상기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서비스 단자가 위치하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는 펌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상기 펌프 손잡이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하우징 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배수펌프의 상기 펌프 손잡이 이외의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서비스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장착부는 상기 서비스 단자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연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탄성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장착부는 상기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단자 장착부와 후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단자의 상기 서비스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일 단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의해 상기 터브와 분리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과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펌프 손잡이를 갖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배수펌프의 상기 펌프 손잡이 이외의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하우징, 상기 펌프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커버,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서비스 단자, 및 상기 서비스 단자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단자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커버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커버는 상기 펌프 하우징에 결합된 때, 상기 서비스 단자를 커버하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터브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서비스 단자가 위치하는 공간을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상기 펌프 손잡이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하우징 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서비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단자에 서비스 장치가 연결된 때,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받는 정보를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에러 코드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서비스 단자가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하는 펌프 하우징에 위치하므로, 서비스 단자로의 접근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서비스 단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 서비스 단자가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되도록 마련되므로, 서비스 단자로의 접근성이 개선되되,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서비스 단자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를 포함하므로, 서비스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배수펌프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 부분의 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탁기의 펌프 하우징이 위치하는 일 부분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펌프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서비스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단자에 서비스 장치가 연결된 때, 서비스 장치와, 서비스 단자와,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단자가 펌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배수펌프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와, 드럼(3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급수밸브(56)와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함(52)과 연결된다.
세제함(52)은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함(52)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7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70)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드럼(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90)가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모터(40)는 샤트프(90)를 통해 연결되는데 샤프트(90)와 구동모터(40)의 연결 형태에 따라, 샤프트(90)가 구동모터(40)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타입과 구동모터(40)와 샤프트(90) 사이에 풀리(91)를 연결하여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세탁기(1)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구동 타입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 가능하다.
샤프트(90)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샤프트(90)의 타단은 터브(20)의 후측부(2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90)의 타단은 구동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얻기 위해 풀리(91)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40)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4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풀리(41)와 샤프트 풀리(91) 사이에는 구동벨트(92)가 마련되어 구동벨트(92)에 의해 샤프트(90)가 구동할 수 있다.
구동모터(40)는 터브(20)의 하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벨트(92)가 터브(20)의 상하 방향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터브(20)의 후측부(21)에는 샤프트(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96)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96)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측부(21)에 인서트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80)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8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8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82)와, 배수펌프(8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84)가 마련된다.
한편,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세탁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4)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 부분의 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탁기의 펌프 하우징이 위치하는 일 부분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펌프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서비스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단자에 서비스 장치가 연결된 때, 서비스 장치와, 서비스 단자와,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단자가 펌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표시된 B-B' 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펌프 하우징(101)과, 펌프 하우징(101)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커버(106)와, 펌프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서비스 단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1)은 캐비닛(10)에 장착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1)은 배수펌프(80)를 커버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1)은 배수펌프(80)를 커버하되, 펌프 손잡이(86)는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개구(102)를 통해 노출되는 펌프 손잡이(86)를 통해 작업자는 배수펌프(80)를 유지 및/또는 보수할 수 있다.
펌프 커버(106)는 펌프 하우징(101)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펌프 커버(106)는 하우징 개구(102)를 통해 노출되는 펌프 손잡이(8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펌프 커버(106)는 펌프 하우징(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펌프 커버(106)는 캐비닛(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펌프 커버(106)는 펌프 하우징(101)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할 때, 캐비닛(1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커버(106)를 개방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배수펌프(80)의 펌프 손잡이(86)에 접근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는 펌프 하우징(101)에 장착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1)은 서비스 단자(110)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단자 장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장착부(103)는 펌프 커버(106)에 의해 커버되는 펌프 하우징(101)의 일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 장착부(103)는 펌프 하우징(101)의 우측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 장착부(103)는 서비스 단자(110)가 서비스 장치(160)와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개구(103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개구(103a)를 통해 서비스 단자(110)는 일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단자(110)는 단자 와이어(119)에 의해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개구(103a)를 통해 노출되는 서비스 단자(110)는 일 부분은 서비스 장치(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펌프 하우징(101)은 좌측 외면에 서비스 단자(1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04)는 단자 장착부(103)의 연결 개구(103a)가 위치하는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단자(110)의 서비스 장치(160)와 연결되는 일 단은 연결 개구(103a)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서비스 단자(110)의 단자 와이어(119)가 연장되는 타 단은 결합부(104)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서비스 단자(110)는 단자 장착부(103)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는 단차부(11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 장착부(103)는 단자 걸림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가 단자 장착부(103)에 장착된 때, 단자 걸림부(103b)는 단차부(110a)를 지지하며 서비스 단자(110)가 단자 장착부(10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커버(106)가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작업자는 펌프 하우징(101)에 위치하는 서비스 단자(110)에 서비스 장치(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에 연결된 서비스 장치(160)는 제어부(150)가 세탁기(1)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세탁기(1)의 에러(error) 코드를 확인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서비스 단자(110)가 캐비닛(10)의 후면이 아니라, 전면에 배치되는 펌프 하우징(101)에 위치하므로, 서비스 단자(110)로의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단자(110)가 세탁기(1)의 전면에서 접근 가능하므로, 서비스 단자(110)에 접근하기 위해 세탁기(1)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기(1)의 유지 및/또는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서비스 단자(110)는 일반적인 경우, 펌프 커버(106)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세탁기(1)의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의 펌프 하우징(101)을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는 서비스 단자(110)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230)를 포함한다. 단자 커버(230)는 서비스 단자(110)가 배치되는 펌프 하우징(101)의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하우징 개구(1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개구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구부(231)가 하우징 개구(1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펌프 손잡이(86)는 펌프 커버(106)가 개방된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펌프 하우징(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펌프 커버(106)가 개방된 때에도 서비스 단자(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서비스 단자(110)를 커버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서비스 단자(110)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자 커버(230)는 서비스 단자(110)에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자는 세탁기(2)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세탁기(2)의 에러 코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배수 커버(106)를 개방하고 단자 커버(230)를 펌프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한 후, 서비스 단자(110)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의 펌프 하우징(101)을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3)는 서비스 단자(110)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단자 장착부(103)의 연결 개구(103a)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탄성에 의해 연결 개구(103a)에 핏하게 결합되어 서비스 단자(110)를 커버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서비스 단자(11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 커버(230)는 서비스 단자(110)가 수분 또는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세탁기(3)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세탁기(3)의 에러 코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배수 커버(106)를 개방하고 단자 커버(230)를 펌프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한 후, 서비스 단자(110)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4)의 펌프 하우징(401)을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4)의 펌프 하우징(401)은 좌측 내면에 배치되는 단자 장착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단자(110)는 펌프 하우징(401)의 좌측 외면으로부터 단자 장착부(403)로 삽입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는 단자 장착부(403)의 연결 개구(403a)를 통해 펌프 커버(106)가 개방된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5)의 펌프 하우징(501)을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5)의 펌프 하우징(501)은 상측 내면에 배치되는 단자 장착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단자(110)는 펌프 하우징(501)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단자 장착부(503)로 삽입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는 단자 장착부(503)의 연결 개구(503a)를 통해 펌프 커버(106)가 개방된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6)의 펌프 하우징(601)을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6)의 펌프 하우징(601)은 후측 내면에 배치되는 단자 장착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단자(110)는 펌프 하우징(601)의 후측 외면으로부터 단자 장착부(603)로 삽입될 수 있다. 서비스 단자(110)는 단자 장착부(603)의 연결 개구(603a)를 통해 펌프 커버(106)가 개방된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80; 배수펌프
83; 펌프 손잡이
101; 펌프 하우징
103; 단자 장착부
104; 결합부
106; 펌프 커버
110; 서비스 단자
150; 제어부
160; 서비스 장치
230, 330; 단자 커버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펌프;
    서비스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서비스 단자; 및
    상기 배수펌프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펌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에 형성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커버가 상기 펌프 하우징에 결합된 때, 상기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커버는 상기 펌프 하우징을 커버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비닛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자가 위치하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일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펌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상기 펌프 손잡이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하우징 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개구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배수펌프의 상기 펌프 손잡이 이외의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서비스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장착부는 상기 서비스 단자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 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탄성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장착부는 상기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단자 장착부와 후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자의 상기 서비스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일 단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의해 상기 터브와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는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과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세탁기.
  14.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펌프 손잡이를 갖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배수펌프의 상기 펌프 손잡이 이외의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펌프 하우징;
    상기 펌프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 커버;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기 펌프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서비스 단자; 및
    상기 서비스 단자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세탁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커버는 상기 펌프 하우징에 결합된 때, 상기 서비스 단자를 커버하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터브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서비스 단자가 위치하는 공간을 분리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상기 펌프 손잡이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하우징 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개구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자는 상기 펌프 커버가 개방된 때,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단자에 서비스 장치가 연결된 때,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달받는 정보를 기초로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에러 코드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KR1020210018038A 2021-02-09 2021-02-09 세탁기 KR20220114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38A KR20220114709A (ko) 2021-02-09 2021-02-09 세탁기
CN202280007175.8A CN116457522A (zh) 2021-02-09 2022-02-09 洗衣机
PCT/KR2022/001973 WO2022173216A1 (ko) 2021-02-09 2022-02-09 세탁기
EP22752976.5A EP4202110A4 (en) 2021-02-09 2022-02-09 WASHING MACHINE
US17/703,568 US20220251754A1 (en) 2021-02-09 2022-03-24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38A KR20220114709A (ko) 2021-02-09 2021-02-09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09A true KR20220114709A (ko) 2022-08-17

Family

ID=8283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38A KR20220114709A (ko) 2021-02-09 2021-02-09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4709A (ko)
WO (1) WO20221732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092B1 (ko) * 2002-11-28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필터 커버 개폐장치
KR101100188B1 (ko) * 2004-12-30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EP2317000A1 (de) * 2009-10-27 2011-05-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chmaschine mit einem Flusensieb
KR101709480B1 (ko) * 2010-05-17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311056B1 (ko) * 2015-12-24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펌프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3216A1 (ko)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39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8239844B (zh) 洗衣机
US20060053842A1 (en) Washing machine
CN107923102B (zh) 洗衣机
EP2295625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feeding device thereof
KR102410219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282418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care apparatus
CN108239843B (zh) 洗衣机
US11174580B2 (en) Washing machine
KR20220114709A (ko) 세탁기
US11479899B2 (en) Washing machine
KR102543851B1 (ko) 세탁기
EP4202110A1 (en) Washing machine
KR20180074484A (ko) 세탁기
US2004010774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thereof
KR20190034175A (ko) 세탁기
KR102514106B1 (ko) 세탁기
KR20230105099A (ko) 세탁기 및 의류 처리 장치
US20230108390A1 (en) A laundry washing machine
US11926953B2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30212809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963249B1 (ko) 세탁기
KR20230127795A (ko) 세탁기 및 의류 처리 장치
US20220403581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washing performances
KR20230103202A (ko) 세탁기 및 의류 처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