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447A -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447A
KR20190023447A KR1020170109241A KR20170109241A KR20190023447A KR 20190023447 A KR20190023447 A KR 20190023447A KR 1020170109241 A KR1020170109241 A KR 1020170109241A KR 20170109241 A KR20170109241 A KR 20170109241A KR 20190023447 A KR20190023447 A KR 20190023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ircuit pattern
mounting
mounting porti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447A/ko
Priority to US16/103,054 priority patent/US10681809B2/en
Publication of KR2019002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제1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1PCB와, 제2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2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상기 제2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PCB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Composite printed circuit board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직접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인쇄회뢰기판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현재 제조되고 있는 많은 분야의 전자 제품에서 기초가 되는 부품들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에는 저항이나 축전기와 같은 많은 전자 부품이 장착되어 있고, 각 전자 부품간의 연결이니 신호나 전압 등을 입출력하기 위한 많은 배선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집약적으로 실장되어 있어 각종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이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마이컴이나, 컨트트롤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표시부, 터치패널이나 키입력부 등의 전자부품의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1은 인쇄회로 기판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단면에만 회로 패턴을 실장하여 구비하는 단면PCB와(도1(a) 참조), 양면에 회로패턴을 실장하여 구비하는 양면 PCB(도1(b) 참조), 내부에도 회로패턴을 적층 하여 구비되하는 적층 PCB(도1(c)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기 적층pcb는 바디 양면에 회로패턴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크게 양면pcb라고 볼 수도 있다.
도1(a)를 참조하면, 상기 단면 PCB는 본체를 이루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211)으로 구비된다. 상기 바디(210)는 전류가 통하지 않는 수지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회로패턴(211)은 전류나 전기신호가 흐를 수 있도록 구리 등의 동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편PCB는 바디(21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나, 일면과 타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바디(210)는 베이스의 역할을 수행하면 되므로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회로패턴(211)의 밀도나 면적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요구되는바 바디(110)의 면적이 넓어져야 하므로 설치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양면 PCB는 본체를 이루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의 양면에 형성되는 회로패턴(111)로 구비된다. 이때, 바디(110) 양면에 구비되는 회로패턴(21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111a)이 더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11a) 내부에는 상기 회로패턴(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이 실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 pcb는 상기 양면pcb의 바디(110) 내부에 삽입되거나 적층되어 구비되는 회로패턴(211b)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부에 적층된 회로패턴(111b)과 양면에 실장된 회로패턴(111)은 관통홀(111a)로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면PCB는 단면 PCB보다 더 작은 면적의 바디로(110)로도 집약적인 전산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작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단면pcb의 장점과 양면pcb의 장점을 모두 활용하기 위해, 단면pcb와 양면pcb 중 어느하나만 사용하는 것보다 양자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구비되며, 상기 전자부품마다 필요한 부하나, 연산처리 능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비용 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제품에는 단면PCB를 사용하되, 특정 전자제품을 위해서는 양면 Pcb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마이컴이나 컨트롤패널은 회로패턴이 집약되어 있을수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pcb와 단면pcb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연산처리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이나 단면으로 구비되는 메인 pcb에, 특정 목적으로 제작된 양면 또는 단면 pcb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도 있다.
도2는 Pcb와 pcb가 서로 결합되어 구비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의 종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복합인쇄회로기판은 메인pcb와, 상기 메인pcb에 결합하는 보조pcb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메인pcb는 단면pcb(200)로 구비될수 있고, 보조pcb는 양면pcb(10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뿐, 상기 메인pcb는 양면pcb(100)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보조pcb는 단면pcb(200)로 구비될 수도 있다.
종래 복합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단면pcb(200)에 양면pcb(100)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면pcb(1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240)를 구비하였다. 다만, 상기 결합부(240)는 pcb의 높이 또는 부피가 확장되는 결과가 발생하여 복합인쇄회로기판의 설치공간 필요이상으로 확장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양면pcb(100)에서 회로패턴(111)의 노출부에 결합핀(140)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핀(140)과 단면PCB(200)와 결합을 유도할 수 있었다. 상기 결합핀(140)은 솔더링(soldering)할 수 있는 면적을 확장시켜 결합부(240)가 구비되지 않아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결합핀(140)을 설치하는 공정 및 상기 결합핀(140)을 단면pcb(200)에 결합하는 공정이 추가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결합하여 별도의 결합수단이 없어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될 때 일발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결합하도록 유도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연산이 필요한 부분에만 양면pcb를 적용하고, 부하가 낮은 곳에는 단면pcb를 적용하도록 하여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1PCB와, 제2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2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상기 제2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PCB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PCB에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부와, 상기 제1회로패턴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노출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PCB는 상기 제2회로패턴이 구비되는 제2바디와,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리드와 연결 가능한 연결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장착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1장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장착홀과, 상기 제2장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장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서로 길이 또는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홀은 상기 제1장착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장착홀은 상기 제2장착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장착홀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제2PCB에 정위치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장착부가 같은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고정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상기 장착부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고정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기판이 상기 제1바디의 양면에 실장되고, 상기 제2PCB는 상기 제2회로기판이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만 실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PCB는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결합하여 별도의 결합수단이 없어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될 때 일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결합하도록 유도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다른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각도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합연산이 필요한 부분에만 양면pcb를 적용하고, 부하가 낮은 곳에는 단면pcb를 적용하도록 하여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쇄회로기판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복합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복합인쇄회로기판의 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6과 도7은 복합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가전제품은 복수의 전자부품이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로기판의 성능은 각각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회로기판 전체를 양면 pcb로 구성하게 되면 비용이 상승하며, 단면pcb로 구성하게 되면 크기나 부피가 필요이상으로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과부하나 복잡한 연산처리가 요구되는 전자부품에는 양면pcb로 제어하며, 상대적으로 단순한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전자부품에는 단면pcb로 제어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가정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전기로 구동되는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전제품은 의류처리장치,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가전제품의 예로서 의류처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합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다양한 가전제품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류처리장치(1)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 복합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20),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모터(40), 터브(2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70), 및 터브(20)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2)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가 출입 가능한 투입구(12) 및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3)는 캐비닛(10)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어(13)의 회전에 따라 투입구(12)가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투입구(12) 및 도어(13)가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입구(12) 및 도어(13)가 캐비닛(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투입구(12) 및 도어(13)가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브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20)는 급수관(70)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배수관(72)을 통해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급수를 위한 급수밸브 및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는 상기 마이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브(20)는 의류의 인출입이 가능한 터브 투입구(21) 및 터브(20)를 캐비닛(10) 내부에 고정하는 터브 지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투입구(21)는 투입구(12)에 연통할 수 있다. 터브 지지부(23)는 터브(20) 하방에 구비되며, 터브(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브 지지부는 댐퍼,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의 인출입이 가능한 드럼 투입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드럼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 투입구(31)는 투입구(12) 및 터브 투입구(21)에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는 투입구(12), 터브 투입구(21) 및 드럼 투입구(31)를 순차적으로 거쳐 드럼(3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투입구(12)와 터브(20)의 터브 투입구(21) 사이에는 가스켓(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19)은 터브(20) 내부의 세탁수가 캐비닛(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터브(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켓은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터브(20)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33)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는 관통홀들(33)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드럼(30) 내부의 세탁수는 관통홀들(33)을 통해 터브(20)로 배출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30)에 발생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밸런서들(51, 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런서들(51, 53)은 드럼(30) 내부에서 의류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발생하는 드럼(30)의 편심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밸런서들(51, 53)은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특정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드럼(30)의 언밸런스를 감쇠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런서는 드럼(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거나, 또는 드럼(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밸런서는 드럼(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 밸런서(51) 및 후방 밸런서(5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서들(51, 53)은 볼 밸런서, 액체 밸런서 등일 수 있다.
모터(40)는 터브(20) 외부에 구비되며, 터브(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0)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40)는 터브(20)의 배면에 고정되며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40)는 자계(magnetic field)를 생성하는 스테이터(41), 스테이터(41) 내부에서 상기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3), 및 터브(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0)과 로터(43)를 연결하는 회전축(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는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41)는 코일로 구성되며 로터(43)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바닥면에는 회전축(4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베어링(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에 의류를 투입하고, 상기 터브(20)에 물을 급수한 뒤, 모터(40)를 구동하여 상기 드럼(30)을 좌우로 교반시키거나,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드럼(30)에 의류를 투입하고 상기 모터(40)를 구동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모터(40)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 제어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 구조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세제박스(14)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16)은 복합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제박스(14) 및 컨트롤 패널(16)은 투입구(12)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박스(14)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가루세제 또는 액체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제박스는 드로워 타입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은 세제박스(14)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은 사용자로부터 세탁코스 및 세탁에 관련된 옵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8) 및, 상기 입력된 정보들 및 세탁 진행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는 액정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비될 수 있고, 터치패널로 구비되어 입력부(18)의 역할을 적어도 일부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8)는 버튼 타입 또는 로터리 놉 타입으로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명령은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과, 의유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헹굼 행정과,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일 수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6)은 의류처리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컨트로패널(16)은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비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의류처리장치(1)의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장부품(이하, 부하부)들은 상기 컨트롤패널(16)에 병렬로 연결되므로, 각 입력부(18), 표시부(17), 모터(40) 등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도4은 상기 컨트롤패널(16)이 표시부(17)를 제어하고 입력부(18)가 설치되는 제1PCB(100)과, 상기 입력부(18)를 제어하는 제2PCB(200)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표시부(17)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연산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컨트롤패널(16)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제1PCB(100)은 단면pc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7)는 세탁코스나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제어가 필요한 다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된 신호를 정확히 인지하고 처리해야 하므로 양면pcb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PCB(100)은 양면pcb로 구비되고, 상기 제2PCB(200)은 단면pcb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상기 모터(40)나, 급수관에 연결된 급수밸브,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 입력부(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연산처리가 가 요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성들에 입력되는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의 크기, 횟수 등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PCB(100)도 상기 모터(40), 급수밸브, 배수펌프를 제어하기 위해 양면pcb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본 발명 복합인쇄회로기판은 양면pcb와 양면pcb의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하에서는 본원발명의 컨트롤패널(16)이 복합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되고, 표시부(17)를 제어하는 제2PCB(200)과, 입력부(18)를 제어하는 제1 PCB(100)이 결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복합인쇄회로기판의 종류나 성질이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인쇄회로기판은 집약적으로 구비될수록 성능과 연산처리능력이 향상되므로 상기 pcb는 서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복합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pcb가 결합될 때 pcb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부와, pcb의 노출동판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결합핀을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복합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pcb가 직접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pcb를 결합하는 부재를 생략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며, 단가를 절약할 수 있고, 복합인쇄회로기판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pcb가 단면pcb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pcb가 양면pcb로 구비되는 경우 이를 결합시켜 용도에 맞는 pcb를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다.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복합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5는 본원발명의 복합인쇄회로기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복합인쇄회로기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복합인쇄회로기판(16)은 제1회로패턴(111)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1PCB(100)와, 제2회로패턴(211)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2PCB(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1회로패턴(111)이 상기 제2회로패턴(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PCB(200)에 관통하여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원발명은 상기 제1PCB(100)와 상기 제2PCB(200)가 결합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이 상기 제1PCB(100)와 상기 제2 PCB(200)이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1회로패턴(111)이 구비되는 제1바디(110)와, 상기 제1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PCB(200)에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제1회로패턴(111)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노출리드(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제1PCB(100)를 제2 PCB에 결합시키며, 상기 노츨리브(120a)을 통해 상기 제1PCB(100)의 제1회로패턴(111)을 상기 제2PCB(200)의 제2회로패턴(211)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노출리드(120a)는 얇은 동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PCB(200)는 상기 제2회로패턴(211)이 구비되는 제2바디(210)와, 상기 장착부(12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바디(2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장착홀(220)과, 상기 장착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리드(120a)와 연결 가능한 연결리드(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21)는 상기 제1노출리드(12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부(122)는 상기 제2노출리드(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리드(120a)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리드(120a)는 서로 이격된 간격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홀(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연결리드(22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홀(2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연결리드(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홀(220)을 통해 상기 제1PCB(100)가 상기 제2PCB(200)에 직접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리드(220a)를 통해 상기 노출리드(120a)와 납땜(soldering)을 통해 상기 제1PCB(100)와 상기 제2PCB(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리드(220a)는 상기 제2회로패턴(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바디(2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노출된 동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리드(220a)는 상기 노출리드(120a)의 두께, 이격된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제1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장착부(121)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장착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장착부(122)를 포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홀(220)은 상기 제1장착부(12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장착홀(221)과, 상기 제2장착부(12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장착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120)는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장착부(120)가 하나로 구비될 때 보다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pcb(100)을 상기 제2pcb(200)에 결합시키는 힘을 절약하거나, 상기 제1pcb의 결합된 높이가 일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PCB(100)는 상기 제2 PCB(200)와 결합할 때 결합되는 방향이나 위치가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PCB(100)가 상기 제2 PCB(200)와 결합할 때 좌우가 반전되어 결합하면 결합이 되지 않을 뿐더러, 결합되더라도 합선, 누전, 소손, 연산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PCB(100)와 상기 제2 PCB가 결합할 때, 작업자가 결합되는 위치와 방향을 올바르게 인지시킬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장착부(121)와 상기 제2장착부(122)는 서로 길이 또는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장착홀(221)은 상기 제1장착부(121)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장착홀(222)은 상기 제2장착부(122)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기 장착부(120)와 상기 장착홀(220)의 대응되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pcb(100)와 상기 제2pcb(200)의 오조립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제1바디(110)의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210)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120)의 돌출된 길이(A)는 제2바디(210)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pcb(100)가 상기 제2pcb(2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pcb(100)가 상기 제2pcb(200)를 충분히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길이(A)는 상기 제2pcb(200)의 반대편으로 5mm이상 관통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솔더링팟(soldering pot)에서 납땜등으로 상기 노출리드오(120a)와 상기 연결리드(220a)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2pcb(200)에 완전히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노출리드(120a)와 상기 연결리드(220a)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2pcb(200)를 관통하여 결합할 때, 상기 장착부(120)는 모두 동일한 깊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장착홀(220)에 삽입되는 각도, 방향, 힘이 불균형, 마찰력 등에 의해 상기 장착부(120)가 동일한 깊이로 삽입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 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장착부(122)가 상기 제1장착부(121)보다 삽입이 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2PCB(200)에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제1PCB(100)가 상기 복수의 장착부(120)가 같은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수평고정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장착부(121)와 상기 제2장착부(122)를 결합할 때, 상기 수평고정부(131)도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장착부(121)와 상기 제2장착부(122)가 동일한 높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pcb는 상기 수평고정부(1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수평고정부(130)가 상기 제1장착부(121)나 상기 제2장착부(122)보다 덜 삽입되어 있거나, 더 삽입되어 있는 경우를 확인하여 직관적으로 상기 제1장착부(121)가 상기 제2장착부(122)가 동일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고정부(131)는 상기 제1바디(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상기 장착부(120)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210)를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평고정부(131)는 상기 제1바디(100)의 끝단에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복수의 장착부(120)의 삽입된 길이를 확인할 필요 없이 상기 수평고정부(131)의 삽입정도를 판단하여 직관적으로 상기 제1바디(110)의 삽입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평고정부(130)는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바디(110)가 상기 제1바디(11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2pcb(200)와 결합할 때 별도의 결합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PCB(100)가 상기 제2PCB(200)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었어도 두께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리드(220a)와 상기 노출리드(120a)의 결합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상기 제1PCB(100)와 상기 제2PCB(200)의 결합에 불완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제1바디(110)가 상기 제2바디(120)에서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고정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부(132)는 상기 제2바디(210)의 일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2바디(210)를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110)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부(132)는 상기 제2바디(21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지만, 상기 제2바디(120)의 일면에 접촉 또는 지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부(132)까지 상기 제2바디(210) 삽입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2바디(210)의 강성이 문제될 수 있고, 제2회로패턴(211)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수직고정부(132)가 상기 제2바디(210)에 지지되어야 상기 제1바디(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부(132)는 상기 제1바디(11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바디(210)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바디(110)의 양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바디(210)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직고정부(132)는 상기 제1바디(110)가 상기 제2바디(210)에 삽입되는 길이를 결정할 수 도 있다.
도7은 상기 복합인쇄회로기판의 뒷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장착부(121)는 상기 제1장착홀(2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장착부(122)는 상기 제2장착홀(221)에 삽입되며, 상기 노출리드(120a)는 상기 연결리드(220a)와 납땜(soldering)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평고정부(131)는 별도로 상기 제2바디(210)의 제2회로패턴(211)에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납땜되지 않고 삽입된 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제1회로패턴(111)이 상기 제1바디(110)의 양면에 실장되는 양면pcb로 구비되고, 상기 제2PCB(200)는 상기 제2회로패턴(221)이 상기 제2바디(210)의 일면에만 실장되어 구비되어 있는 단면pc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면pcb가 상대적으로 길이나 면적이 크게 구비되므로 상기 양면pcb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데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1PCB(100)는 상기 입력부(18)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PCB(200)는 상기 표시부(17)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의류처리장치 및 가전제품 등의 사정에 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0 제1PCB 110 제1바디 111 제1회로패턴
120 장착부 121 제1장착부 122 제2장착부
120a 노출리드 121a 제1노출리드 122a 제2노출리드
130 고정부 131 수평고정부 132 수직방지부
A 삽입유도길이
200 제2PCB 210 제2바디 211 제2회로패턴
220 장착홀 221 제1장착홀 222 제2장착홀
220a 연결리드 221a 제1연결리드 222a 제2연결리드
230 고정홀

Claims (12)

  1. 제1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1PCB와,
    제2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는 제2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상기 제2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PCB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PCB에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착부와,
    상기 제1회로패턴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노출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PCB는
    상기 제2회로패턴이 구비되는 제2바디와,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리드와 연결 가능한 연결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되 제1장착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은
    상기 제1장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장착홀과, 상기 제2장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장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서로 길이 또는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홀은 상기 제1장착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장착홀은 상기 제2장착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장착홀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제2PCB에 정위치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장착부가 같은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고정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단 또는 양단에서 상기 장착부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서 두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상기 제1바디의 양면에 실장되고,
    상기 제2PCB는 상기 제2회로패턴이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만 실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인쇄회로기판.
  1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작동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제1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PCB;
    제2회로패턴이 실장되어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를 제2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1PCB는 상기 제1회로패턴이 상기 제2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PCB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109241A 2017-08-29 2017-08-29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90023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41A KR20190023447A (ko) 2017-08-29 2017-08-29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US16/103,054 US10681809B2 (en) 2017-08-29 2018-08-14 Composite printed circuit board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41A KR20190023447A (ko) 2017-08-29 2017-08-29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47A true KR20190023447A (ko) 2019-03-08

Family

ID=6543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241A KR20190023447A (ko) 2017-08-29 2017-08-29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81809B2 (ko)
KR (1) KR201900234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4503B2 (en) * 2020-09-23 2023-09-19 Victor Tikhonov PCB external devic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587A (en) * 1970-02-09 1971-11-30 Litton Systems Inc Clinched-wire interconnection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496384B1 (en) * 2001-09-21 2002-12-1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3901501B2 (ja) * 2001-12-12 2007-04-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回路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0630960B1 (ko) * 2004-10-05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Pcb조립체
US7940530B2 (en) * 2006-10-02 2011-05-10 Deere & Company Circuit board arrangement and method of mounting circuit boards in a work machine
DE102008001557A1 (de) * 2008-05-05 2009-11-12 Robert Bosch Gmbh Messerleisten-Kontaktierung über Zwischenleiterplatten
GB2494919B (en) * 2011-09-23 2015-06-17 Control Tech Ltd Method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9780471B2 (en) * 2014-05-22 2017-10-0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unting a product to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81809B2 (en) 2020-06-09
US20190069405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893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3355841B (zh) 堆叠式衣物处理装置
KR20130039457A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30065374A (ko)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210105683A (ko) 의류처리장치
WO2006126812A2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KR20190023447A (ko)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2101056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44465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컨트롤 장치
KR20210105798A (ko) 의류처리장치
US20050262886A1 (en) Base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KR102204611B1 (ko)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EP436536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61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W202012732A (zh) 洗衣機
KR20220049874A (ko) 의류처리장치
RU2363788C1 (ru) Стиральная или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о сменным положением
KR20120108473A (ko) 세탁기
CN113279198B (zh) 衣物处理装置
WO2022249628A1 (ja) 洗濯機
US2021025426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550610A (zh) 洗衣机
KR2021010579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492A (ko) 모터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230001239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