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089B1 -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089B1
KR102640089B1 KR1020230115674A KR20230115674A KR102640089B1 KR 102640089 B1 KR102640089 B1 KR 102640089B1 KR 1020230115674 A KR1020230115674 A KR 1020230115674A KR 20230115674 A KR20230115674 A KR 20230115674A KR 102640089 B1 KR102640089 B1 KR 10264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pe
connector
coupled
calib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주)재원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원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재원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23011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21D37/147Tool exchange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4Recont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교정유닛에 적용되는 몰드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용 몰드를 교정유닛측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선회테이블의 로테이팅 회전동작을 이용하여 몰드의 장착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대차에 대한 상부 대차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부 대차에 탑재된 연결구 및 연결구에 결합된 몰드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몰드 및 연결구의 중심 위치를 교정유닛의 센터 위치에 일치시켜 몰드의 분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가 결합되는 연결구에 대한 몰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키를 연결구측에 구비함으로써, 몰드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MOLD CHANGING APPARATUS FOR PIPE CALIBRATION PRESS/RCP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용 교정유닛에 적용되는 몰드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용 몰드를 교정유닛측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선회테이블의 로테이팅 회전동작을 이용하여 몰드의 장착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대차에 대한 상부 대차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부 대차에 탑재된 연결구 및 연결구에 결합된 몰드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몰드 및 연결구의 중심 위치를 교정유닛의 센터 위치에 일치시켜 몰드의 분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가 결합되는 연결구에 대한 몰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키를 연결구측에 구비함으로써, 몰드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인발 가공방법과 포밍 가공방법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통해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후자의 포밍 가공방법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26241 호(자동 파이프 성형기)(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소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소재가 성형기에 투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이송부와, 상기 소재이송부에서 이송된 소재가 좌, 우 비틀림없이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세팅하는 소재세팅부와, 상기 소재세팅부에서 세팅된 소재를 포밍부가 순차적으로 절곡시키면서 소망하는 형태의 파이프 모양으로 성형하는 소재포밍부와, 상기 소재포밍부에서 성형된 소재의 형태 유지 및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음매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외주면을 압착시키는 롤러가 구비되는 이음매압착부와, 소재의 이음매 부위를 자동용접기로 접합시키는 용접부와, 완성된 파이프를 성형기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을 거쳐 원형의 형상으로 성형된 파이프는 용접머신으로 이송된 후, 그 양단부에 형성된 홈부를 용접으로 접합 처리하여 가용접된 파이프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용접 접합방식은 파이프를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고정 상태의 용접기구로 통과시켜 가며 파이프의 홈부를 순차적으로 용접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성형되는 파이프는 성형과정에서 그 외경을 따라 응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됨으로서 부분적인 왜곡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파이프를 성형하는 생산공장에는 원통 형상으로 파이프를 성형한 후, 성형된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7986호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등록일자 : 2009.05.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장치의 구동으로 파이프의 직경크기에 맞추어 승, 하강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구비한 피딩유닛과, 상기 피딩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틸팅플레이트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켜 파이프에 형성된 용접부를 정위치시키는 터닝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의 동작으로 이송된 파이프의 좌, 우면을 가압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클램핑된 파이프를 수평 이동시키는 대차로 구성되어 파이프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의 동작으로 단계적으로 공급된 파이프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통과구멍으로 공급된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변형을 교정하는 프레싱장치로 구성한 교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싱 장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인출 동작하는 램과, 상기 램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며 상기 램의 인출동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여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된 왜곡변형을 교정시키게 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위라이너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실린더의 외부에는 키커실린더가 장착되며, 상기 키커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가압실린더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램에 연결 구성하여 상기 램에 연결되어 있는 단위라이너를 파이프의 외경에 접촉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기존 코펜더 머신과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518호 "코펜더 머신"(등록일자 : 2021.01.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변형을 교정하는 코팬더 머신에 있어서, 파이프가 올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가지는 피딩유닛; 상기 피딩유닛의 입구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에 올려진 파이프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된 파이프를 상기 롤러를 타고 교정유닛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공급유닛; 상기 피딩유닛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유닛을 통해 이동된 파이프의 외경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형라이너를 포함하는 교정유닛; 상기 피딩유닛의 출구에 위치하며 이동레일의 구동으로 상기 피딩유닛의 출구쪽 롤러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구동으로 상기 교정유닛의 금형라이너로 진입하여 상기 금형라이너를 상기 피딩유닛의 전방으로 빼내 교체시키는 금형 교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교정유닛은; 중앙으로 파이프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 ,하로 배치되는 상, 하부기대; 상기 상, 하부기대 및 상기 상, 하부기대의 공간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실린더의 동력으로 가압 동작을 수행하는 가압대로 구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싱 장치; 상기 가압대의 내면에 일단이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파이프의 외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대의 압력으로 상기 파이프의 내경을 가압하여 굴곡변형을 교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형 라이너로 구성하며; 상기 가압대의 외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1, 2브라켓; 상기 제 1브라켓에 제 1힌지로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핀 결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제 2브라켓과 제 2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2힌지를 기점으로 틸팅 동작하며 상기 금형라이너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로커홈에 걸려지는 로커로 구성한 금형라이너 클램핑수단이 더 설치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종래 선행기술들은 파이프의 교정 작업을 위해 피딩, 터닝, 공급, 교정, 배출 등의 작업 순서대로 진행하고 있으나, 직경이 다른 파이프의 교정작업시에는 교정유닛측으로 공급되는 파이프의 공급을 위해 교정작업 전의 공정을 직경이 달라짐에 따른 파이프의 중심 높이 변위에 맞춰서 다시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파이프 직경에 따라 조정해야 하는 교정유닛의 복수개로 구성된 금형라이너의 교체작업이 오래 걸리게 되는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기존 파이프 교정유닛은 프레스 압력으로 파이프를 교정하는 몰드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일정 높이에 위치한 몰드를 교체시키기 위한 교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몰드 교체장치는 파이프의 이송에 간섭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몰드의 교체작업을 위해 몰드의 분해 및 새로운 몰드를 교정유닛에 장착시키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조건이 요구된다.
또한, 몰드 교체장치는 몰드의 틈새 사이로 파이프의 용접 심 부위가 통과되도록 몰드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몰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7986호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등록일자 : 2009.05.0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518호 "코펜더 머신"(등록일자 : 2021.01.1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의 이송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파이프를 교정하는 교정유닛의 몰드를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몰드 교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터조정볼트를 이용하여 교정유닛의 몰드에 대한 연결구의 센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몰드가 조립된 연결구에 회전방지키가 구비됨에 따라 몰드의 회전을 방지하여 몰드를 교정유닛에 정위치로 조립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구가 탑재된 선회테이블이 로테이팅 회전되어 몰드의 분해 및 조립시 파이프의 이송시 간섭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몰드의 분해 분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몰드를 통해 프레스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를 교정하는 교정유닛측으로 몰드를 근접시키는 몰드 교체수단을 구비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 교체수단은, 상기 교정유닛과 근접된 위치에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연결되고 이송레일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이동실린더가 조절볼트를 구비한 고정클램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실린더를 이용하여 대차 지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 지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의 상측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하부 대차와, 상기 하부 대차의 상측에 안착되고 조절기구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회전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선회테이블이 로테이팅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대차 및 상기 상부 대차를 상기 하부 대차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구의 단부를 교정유닛의 몰드 중심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구비한 대차 지그; 및 상기 선회테이블의 상측에 마련되고 단부에 몰드가 결합되는 연결구를 갖는 회동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몰드의 중앙에 형성된 파이프 이송공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상기 파이프 이송공이 형성된 몰드의 내주면과 간섭되어 상기 몰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대차는 하부에 상기 이송레일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대차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방지용바퀴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하부 대차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에 각각 체결되도록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대차의 좌,우 양측면에 접촉되는 센터조정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선회테이블과 상부 대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테이블의 로테이팅 회전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회베어링과 서포팅롤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동암부재는 상기 선회테이블의 상측면과 결합되는 하단부와 상기 연결구가 마련된 상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클램프는 이동실린더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전,후 양측에 단부가 접촉되어 조절너트와의 체결력으로 상기 이동실린더가 결합된 고정클램프의 전,후 위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교정유닛에 설치된 몰드의 교체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연결구가 마련된 회동암부재를 선회테이블을 이용하여 로테이팅 회전시켜 파이프의 이송방향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연결구를 배치할 수 있으며, 몰드의 교체시에는 다시 연결구를 파이프의 이송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회동암부재를 회전시킨 후에 이동실린더로 연결구 및 회동암부재를 전,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몰드의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조정볼트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에 대해 상부 대차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구의 중심 위치를 몰드의 센터 중심에 위치하도록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고정클램프와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이동실린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므로, 교정유닛에 대한 몰드의 정 위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대차가 이송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바퀴 및 전도방지용바퀴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회동암부재 및 연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회동암부재가 선회테이블에 의해 회전동작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회동암부재와 이동실린더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조절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연결구가 교정유닛의 몰드를 통해 이송되는 파이프의 이송방향에 위치할 때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이동실린더에 의해 하부 대차가 전진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하부 대차가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 교정유닛에 몰드를 조립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몰드(110)를 통해 프레스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10)를 교정하는 교정유닛(100)측으로 몰드(110)를 근접시키는 몰드 교체수단을 구비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 교체수단은, 상기 교정유닛(100)과 근접된 위치에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받침대(2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이송레일(270)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이동실린더(350)가 조절볼트(374)를 구비한 고정클램프(3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250)와; 상기 받침대(200)와 지지대(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실린더(350)를 이용하여 대차 지그(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 지그(3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받침대(200)와 지지대(250)의 상측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이송레일(270)과; 상기 이송레일(270)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실린더(35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하부 대차(320)와,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조절기구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회전모터(450)의 회전 구동력으로 선회테이블(400)이 로테이팅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대차(310) 및 상기 상부 대차(310)를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구(510)의 단부를 교정유닛(100)의 몰드(110) 중심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구비한 대차 지그(300); 및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상측에 마련되고 단부에 몰드(110)가 결합되는 연결구(510)를 갖는 회동암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교정유닛(100)의 후방측에 근접되고 지면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상부에 지지대(250)를 연결하며, 상측에 이송레일(270)의 일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받침대(200)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사이를 연결하는 트러스부재, 및 상기 수직대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대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레일(270)은 상기 받침대(200)의 수평대 상측과 상기 지지대(25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측에 이송레일(270)이 결합된다.
상기 대차 지그(300)는 도 1과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270)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실린더(35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하부 대차(320)와,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조절기구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선회테이블(400)이 로테이팅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대차(31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대차(32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바퀴(325)를 통해 상기 이송레일(27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또 상기 하부 대차(320)는 하부에 상기 이송레일(27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대차(32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방지용바퀴(322)가 구비된다.
상기 구름바퀴(325)는 상기 이송레일(270) 상에서 상기 하부 대차(320)의 전,후 이동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도방지용바퀴(322)는 상기 하부 대차(32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이송레일(27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 대차(320)가 좌,우측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대차(310)는 상측에 선회테이블(400)의 로테이팅 회전을 지지하는 선회베어링(610)과 서포팅롤러(620)가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선회테이블(400)은 상부대차(3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회전모터(450)에 의해 로테이팅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대차 지그(300)는 상기 상부 대차(310)를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구(510)의 단부를 교정유닛(100)의 몰드(110) 중심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조절기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너트(710)와, 상기 고정너트(710)에 각각 체결되도록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대차(310)의 좌,우 양측면에 접촉되는 센터조정볼트(7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너트(710)는 하부 대차(320)의 좌,우 양 외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센터조정볼트(720)는 상기 고정너트(710)에 각각 체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단부가 상부 대차(310)의 좌,우 양측면에 접촉되므로, 상기 좌,우측의 고정너트(710)에 체결되는 상기 센터조정볼트(720)의 체결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 대차(310)를 하부 대차(320)에 대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센터조정볼트(720)는 상기 상부 대차(310)에 탑재된 선회테이블(400) 및 회동암부재(5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연결구(510)의 센터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회동암부재(500)는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상측에 고정되어 파이프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연결구(510)에 새로운 몰드(110)를 장착하거나,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로테이팅 회전동작시 연결구(510)를 파이프의 이송방향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이동실린더(350)에 의해 전진동작됨에 따라 교정유닛(100)측의 몰드(110)를 분해 후 연결구(510)에 장착하거나 혹은 새로운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에 조립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암부재(500)는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상측면과 결합되는 하단부와 상기 연결구(510)가 마련된 상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구(510)는 상기 몰드(110)의 중앙에 형성된 파이프 이송공(112)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510)의 외주면에 상기 파이프 이송공(112)이 형성된 몰드(110)의 내주면과 간섭되어 상기 몰드(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키(515)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방지키(515)는 상기 연결구(510)에 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이동실린더(350)는 상기 지지대(250) 상에 결합된 고정클램프(370)에 의해 상기 지지대(25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클램프(37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실린더(350)의 전,후 방향으로 장공(371)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371)을 통해 상기 지지대(250)에 체결볼트(372)가 체결되고, 상기 고정클램프(370)의 전,후 양측에 단부가 접촉되어 조절너트(373)와의 체결력으로 상기 이동실린더(350)가 결합된 고정클램프(370)의 전,후 위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볼트(374)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실린더(350)는 상기 장공(371) 내에서 조절볼트(374)의 위치 조정으로 상기 이동실린더(35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교정유닛(100)의 몰드(110)를 교체하기 위해 먼저 연결구(510)를 교정유닛(100)에 부착된 몰드(110)측에 근접시키고 몰드(110)측에 근접된 연결구(510)를 이용하여 교정유닛(100)으로부터 몰드(110)를 분해하고, 분해된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으로부터 이격된 외측으로 인출한 후에, 새로운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측으로 근접시키고 교정유닛(100)측에 근접된 새로운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측에 조립하는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교정유닛(100)측에 부착된 몰드(110)를 분해하는 작업은 회동암부재(500)의 연결구(510)가 교정유닛(100)의 몰드(110)를 통해 파이프가 이송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암부재(500)를 선회테이블(400)로 로테이팅 회전시키고, 상기 회동암부재(500)가 로테이팅 회전된 후에 로드의 단부가 하부 대차(320)와 연결된 이동실린더(350)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320)를 이송레일(270) 상에서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연결구(510)를 교정유닛(100)의 몰드(110)측에 근접되게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구(510)를 상기 파이프 이송공(112)이 형성된 몰드(110)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시키고, 몰드(110)를 연결구(510)에 결합시킨 후에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이동실린더(350)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320)를 후진 이동시키고, 연결구(510)를 파이프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선회테이블(400)을 로테이팅 회전시킨 후에 연결구(510)와 결합된 몰드(110)를 분해하여 외부로 인출한다.
한편, 새로운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에 교체하는 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파이프의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연결구(510)에 새로운 몰드(110)를 결합시킨 후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테이블(400)을 연결구(510)가 파이프의 이송방향을 향하도록 정방향으로 로테이팅 회전시키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350)를 이용하여 연결구(510) 및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측으로 전진 이동시킨다.
이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510)에 결합된 몰드(110)를 교정유닛(100)측에 결합시키고 몰드(110)와 연결구(510)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후에 이동실린더(350)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320)를 후진 이동시킨 후에, 선회테이블(400)을 연결구(510)가 파이프의 이송방향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역방향으로 로테이팅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구(510)는 몰드(110) 교체 대기 위치(파이프의 이송방향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몰드(110) 교체작업시 연결구(510)의 센터 위치를 파이프 이송공(112)의 센터 위치에 일치시키기 위해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대차(310)를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서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조절기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너트(710)에 각각 체결되도록 결합된 센터조정볼트(7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고정너트(710)와 체결된 센터조정볼트(720)가 상부 대차(310)의 좌,우측 중 하나를 밀어서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구(510)의 센터 위치를 파이프 이송공(112)의 중심 위치에 일치시키도록 상부 대차(310)의 좌,우측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대차(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350)에 의해 이송레일(270) 상에서 전,후로 이동되며, 고정클램프(370)와 조절볼트(374)를 이용하여 이동실린더(350)의 전,후 이동을 미세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실린더(350)의 미세 이동시 하부 대차(320) 및 연결구(510)의 미세한 전,후 이동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조절볼트(374)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50)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판(375)에 고정되는 조절너트(373)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클램프(370)의 전,후면 단부가 각각 접촉되어 있으므로, 장공(371)의 범위 내에서 고정클램프(37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클램프(370)에 의해 클램핑된 이동실린더(350)를 미세하게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대차(32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좌,우 양측에 각각 이송레일(27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전도방지용바퀴(32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부 대차(320)의 전,후방 이동시 하부 대차(320)가 좌,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정유닛(100)에 설치된 몰드(110)의 교체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연결구(510)가 마련된 회동암부재(500)를 선회테이블(400)을 이용하여 로테이팅 회전시켜 파이프의 이송방향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연결구(51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몰드(110)의 교체시에는 다시 연결구(510)를 파이프의 이송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회동암부재(500)를 회전시킨 후에 이동실린더(350)로 연결구(510) 및 회동암부재(500)를 전,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몰드(110)의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조정볼트(720)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320)에 대해 상부 대차(31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구(510)의 중심 위치를 몰드(110)의 센터 중심에 위치하도록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고정클램프(370)와 조절볼트(374)를 이용하여 이동실린더(35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므로, 교정유닛(100)에 대한 몰드(110)의 정 위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대차(320)가 이송레일(27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구름바퀴(325) 및 전도방지용바퀴(322)를 이용하여 하부 대차(32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교정유닛 110 : 몰드
112 : 파이프 이송공 200 : 받침대
250 : 지지대 270 : 이송레일
300 : 대차 지그 310 : 상부 대차
320 : 하부 대차 322 : 전도방지용바퀴
325 : 구름바퀴 350 : 이동실린더
370 : 고정클램프 371 : 장공
372 : 체결볼트 373 : 조절너트
374 : 조절볼트 400 : 선회테이블
450 : 회전모터 500 : 회동암부재
510 : 연결구 515 : 회전방지키
610 : 선회베어링 620 : 서포팅롤러
710 : 고정너트 720 : 센터조정볼트

Claims (6)

  1. 몰드(110)를 통해 프레스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10)를 교정하는 교정유닛(100)측으로 몰드(110)를 근접시키는 몰드 교체수단을 구비한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 교체수단은, 상기 교정유닛(100)과 근접된 위치에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받침대(2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이송레일(270)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이동실린더(350)가 고정클램프(3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250)와;
    상기 받침대(200)와 지지대(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실린더(350)를 이용하여 대차 지그(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 지그(3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받침대(200)와 지지대(250)의 상측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이송레일(270)과;
    상기 이송레일(270)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실린더(35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하부 대차(320)와,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조절기구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회전모터(450)의 회전 구동력으로 선회테이블(400)이 로테이팅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대차(310) 및 상기 상부 대차(310)를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구(510)의 단부를 교정유닛(100)의 몰드(110) 중심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구비한 대차 지그(300); 및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상측에 마련되고 단부에 몰드(110)가 결합되는 연결구(510)를 갖는 회동암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램프(370)는 이동실린더(35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371)과, 상기 장공(371)을 통해 상기 지지대(25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372)와, 상기 지지대(250)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판((375)에 고정된 조절너트(373)와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클램프(370)의 전,후 양측에 단부가 접촉되어 조절너트(373)와의 체결력으로 상기 이동실린더(350)가 결합된 고정클램프(370)의 전,후 위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볼트(374)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하부 대차(320)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너트(710)와, 상기 고정너트(710)에 각각 체결되도록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대차(310)의 좌,우 양측면에 접촉되는 센터조정볼트(72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510)는 상기 몰드(110)의 중앙에 형성된 파이프 이송공(112)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510)의 외주면에 상기 파이프 이송공(112)이 형성된 몰드(110)의 내주면과 간섭되어 상기 몰드(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키(515)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대차(320)는 하부에 상기 이송레일(27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대차(32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방지용바퀴(3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테이블(400)과 상부 대차(3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로테이팅 회전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회베어링(610)과 서포팅롤러(6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부재(500)는 상기 선회테이블(400)의 상측면과 결합되는 하단부와 상기 연결구(510)가 마련된 상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6. 삭제
KR1020230115674A 2023-08-31 2023-08-31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KR10264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674A KR102640089B1 (ko) 2023-08-31 2023-08-31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674A KR102640089B1 (ko) 2023-08-31 2023-08-31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89B1 true KR102640089B1 (ko) 2024-02-23

Family

ID=9004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674A KR102640089B1 (ko) 2023-08-31 2023-08-31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80A (ja) * 1991-10-17 1993-04-27 Shitara Seisakusho:Kk ドラム缶の開封天板整形機
JPH106345A (ja) * 1996-06-22 1998-01-13 Bridgestone Corp 金型交換装置
JP4153432B2 (ja) * 2002-03-25 2008-09-24 協和マシン株式会社 板材曲げ加工機における押え金型交換装置
KR100897986B1 (ko) 2009-02-16 2009-05-18 주식회사 현대알비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101604518B1 (ko) 2013-12-16 2016-03-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메타크릴계 투명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고유동성메타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KR102185908B1 (ko) * 2019-07-08 2020-12-02 주식회사대불용접산업 파이프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80A (ja) * 1991-10-17 1993-04-27 Shitara Seisakusho:Kk ドラム缶の開封天板整形機
JPH106345A (ja) * 1996-06-22 1998-01-13 Bridgestone Corp 金型交換装置
JP4153432B2 (ja) * 2002-03-25 2008-09-24 協和マシン株式会社 板材曲げ加工機における押え金型交換装置
KR100897986B1 (ko) 2009-02-16 2009-05-18 주식회사 현대알비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101604518B1 (ko) 2013-12-16 2016-03-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메타크릴계 투명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고유동성메타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KR102185908B1 (ko) * 2019-07-08 2020-12-02 주식회사대불용접산업 파이프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5197B (zh) 用于制造纵向接缝焊接的空心型材的方法和装置
KR100897986B1 (ko) 네방향 축압 파이프 잔류 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US5115658A (en) Shaping machine for cylindrically bending a plate
CN110216424B (zh) 箱体焊接生产线及生产方法
KR101555968B1 (ko) 파이프 밴딩장치
KR101511336B1 (ko) 강관 성형 중 스프링 백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관기의 i-스페셜 성형 장치
KR101886407B1 (ko) 용접용 지그
CN211192684U (zh) 一种钢管焊缝成型调节装置
WO2014104096A1 (ja) 車体の組立方法及び同組立装置
KR101642984B1 (ko) 롤 포밍 시스템
KR102241656B1 (ko) 파이프 관단 및 진직도 교정장치
CN113732585B (zh) 一种厚壁金属直缝焊管焊缝自动对齐快速焊接装置及方法
KR101712807B1 (ko) 스테인레스 빔 제조장치
KR102640089B1 (ko) 파이프 교정유닛용 몰드 교체장치
KR102286046B1 (ko) 강관 가용접 장치
JPS6154487B2 (ko)
KR101288431B1 (ko)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101709052B1 (ko) 휠 접합을 위한 마찰 교반 용접장비
KR102538622B1 (ko) 파이프 성형용 교정장치
CN105268780A (zh) 用于校正金属管的端部的方法和装置
KR20200098044A (ko) 코팬더 머신
KR20120005302U (ko) 강관가공장치
JP2010260088A (ja) 四角形鋼管の製造設備
KR101528623B1 (ko) 코팬더 머신
CN110977230A (zh) 一种薄壁件的柔性组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