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173B1 - 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173B1
KR102639173B1 KR1020190048826A KR20190048826A KR102639173B1 KR 102639173 B1 KR102639173 B1 KR 102639173B1 KR 1020190048826 A KR1020190048826 A KR 1020190048826A KR 20190048826 A KR20190048826 A KR 20190048826A KR 102639173 B1 KR102639173 B1 KR 10263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negative electrode
holes
active material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082A (ko
Inventor
강호림
Original Assignee
엘에스머트리얼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머트리얼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머트리얼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7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되,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홀들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이 개선된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는 전지(battery)와 캐패시터(capacitor)가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 중 울트라 캐패시터(Ultra-Capacitor, UC)는 슈퍼 캐패시터(Super Capacitor, SC) 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라고도 불리며, 전해 콘덴서와 이차전지의 중간적인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써 높은 효율, 반영구적인 수명 특성으로 인해 이차전지와의 병용 및 대체 가능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울트라 캐패시터는, 유지보수(Maintenance)가 용이하지 않고 장기간의 사용 수명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해서는 축전지 대체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울트라 캐패시터는 빠른 충/방전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정보기기인 핸드폰, 노트북, PDA 등의 보조 전원뿐만 아니라, 고 용량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야간 도로 표시등,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등의 주 전원 혹은 보조 전원으로 매우 적합하며, 이와 같은 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울트라 캐패시터(5)의 전극 조립체(1)는 양극(10), 분리막(Separator, 30) 및 음극(20)으로 구성되어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권취되어, 전해액과 함께 울트라 캐패시터(5)의 하우징(또는 바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극 조립체(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0), 분리막(Separator, 30) 및 음극(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서, 권취 구조 또는 스택 구조를 갖는다. 양극(10)은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11)와 상기 양극 집전체(11)의 양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13)로 구성된다. 음극(20)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21)와 상기 음극 집전체(21)의 양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23)로 구성된다. 분리막(30)는 양극(10)과 음극(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10)과 음극(20)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전해액은 울트라 캐패시터의 충/방전 시, 양극 활물질(13) 및 음극 활물질(23)에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전해질 이온을 제공한다.
울트라 캐패시터의 고속 충/방전 특성 및 고 출력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해액의 전해질 이온들을 전극 조립체의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로 원활히 제공하여야 하므로, 상기 전해질 이온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한 전해액의 흐름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전극 조립체(1)는 양극 집전체(11) 및 음극 집전체(21)에 의해 전해액의 흐름이 제한적이고, 양극(10)과 음극(20)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들이 양극(10) 또는 음극(20)과 하우징(housing)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들보다 더 빨리 소모되어 전해질 이온의 불균형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0) 및 음극(20)을 동일 수직선 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홀들(holes)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2)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2)는 전해액이 복수의 홀들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전해질 이온의 공급 불균형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극 조립체(2)는 복수의 홀들에 의한 전극 손실로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홀의 크기가 상당히 큰 경우, 전극 조립체(2)의 권취 시, 복수의 홀들에 의해 양극 집전체(11) 및 음극 집전체(21)의 금속 박막이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이 개선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및 음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되,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홀들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5% 내지 10% 범위의 조면화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20㎛ 내지 3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1.3 kg/㎝ 이상의 장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홀들은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들은 집전체의 표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홀들은 양극 집전체에 형성된 제1 홀들과 음극 집전체에 형성된 제2 홀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홀들과 제2 홀들은 분리막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홀들은 음극 집전체에 형성된 제2 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홀들은 양극 집전체에 형성된 제1 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의 최상부에 양극이 배치된 경우, 상기 복수의 홀들은 양극의 양극 조립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의 최상부에 음극이 배치된 경우, 상기 복수의 홀들은 음극의 음극 조립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들은,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의 가장 바깥쪽 영역(A)에 대응하는 집전체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및 음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조립체들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를 펼쳐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집전체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이 개선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및 음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를 펼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집전체의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전극 조립체(110), 상기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되어 전극 조립체(110)를 함침하는 전해액(미도시), 상기 하우징(120) 외부로 돌출된 전극단자(130), 상기 전극 조립체(110)와 전극단자(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리드선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111), 분리막(separator, 113) 및 음극(112)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111), 분리막(113) 및 음극(11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원통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양극(111)은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구성된 양극 집전체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그 일 측에는 하나 이상의 양극 리드선들이 연결된다. 상기 양극 리드선들이 연결되는 집전체 부분에는 활물질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112)은 금속 박막으로 구성된 음극 집전체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그 일 측에는 하나 이상의 음극 리드선들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음극 리드선들이 연결되는 집전체 부분에는 활물질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전체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에는 활물질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구조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11) 및 음극(112)을 구성하는 집전체(1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홀들(11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홀들(115)은 서로 동일한 크기(또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극(111)과 음극(112) 사이에는 전하의 전도를 제한하기 위한 분리막(113)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20) 내에는 전해액이 충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극(111) 및 음극(112)에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면, 전해액에 포함된 양이온 및 음이온이 양극(111) 및 음극(112)으로 각각 이동하여 다공성 활물질의 세부 기공으로 침투하게 된다.
하우징(120)은 상부 하우징(122)과 하부 하우징(124)으로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24)은 전극 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부 하우징(122)은 하부 하우징(124)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또는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하우징(122)은 합성 고무 재질 및 합성 수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하우징(122)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층과 베크라이트(bakelite)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24)은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하우징(124)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2)에는 하나 이상의 양극 리드선들이 연결되는 양극단자(132)와 하나 이상의 음극 리드선들이 연결되는 음극단자(134)를 구비하는 전극단자(130)가 결합된다. 전극단자(130)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Al), 강철(steel)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극단자(130)의 표면에 니켈(Ni) 또는 주석(Tin) 등을 코팅하여 납땜 등에 의한 접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극단자(130)는 상부 하우징(122)의 외부에서 양극단자(132)와 음극단자(134)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는 외력에 의한 굽힘 모멘트가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리드선들은 하나 이상의 양극 리드선들과 하나 이상의 음극 리드선들로 구성되며, 레이저 용접 공정 또는 리벳 압입 공정 등을 통해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와 연결될 수 있다. 양극 리드선들은 양극 집전체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음극 리드선들은 음극 집전체 상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드선들은 레이저 용접 공정 또는 리벳 압입 공정 등을 통해 전극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양극 리드선들은 상부 하우징(122)에 결합된 양극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음극 리드선들은 상부 하우징(122)에 결합된 음극단자(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500)는 양극(510), 분리막(separator, 530) 및 음극(5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500)는 젤리-롤(Jelly-Roll) 형태의 권취 구조 또는 스택 구조로 가공되어 전해액(550)과 함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분리막(separator, 530)은 양극(510)과 음극(5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510)과 음극(520)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리막(530)은 펄프(pulp) 계열 또는 폴리머(polymer) 계열의 단위 섬유를 멜트 브라운(Melt-Blown) 공정에 의해 부정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펄프는 목재나 그 밖의 섬유 식물에서 기계적/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얻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상기 폴리머 계열의 합성수지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분리막(530)이 양극(510) 및 음극(5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양극(510) 및 음극(5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양극(510) 및 음극(520)의 외부에 분리막(53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양극(510)은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51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양극 활물질(5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510)은 분리막(530)을 사이에 두고 음극(520)과 대향한다.
양극 집전체(511)는 양극 활물질(513)로부터 방출되거나 양극 활물질(513)로 공급되는 전하의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511)는 예컨대, 알루미늄 박막(Aluminum Foil) 또는 구리 박막(Copper Foil) 등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구성된다.
양극 활물질(513)은, 활성 탄소(Activated Carbon)로서, 상기 양극 집전체(511)의 양면에 활물질 슬러리를 코팅 및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양극 활물질(513)은 양극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극(520)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52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음극 활물질(523)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음극(520)은 분리막(530)을 사이에 두고 양극(510)과 대향한다.
음극 집전체(521)는 음극 활물질(523)로부터 방출되거나 음극 활물질(523)로 공급되는 전하의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음극 집전체(521)는 예컨대, 알루미늄 박막(Aluminum Foil) 또는 구리 박막(Copper Foil) 등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구성된다.
음극 활물질(523)은, 활성 탄소로서, 상기 음극 집전체(31)의 양면에 활물질 슬러리를 코팅 및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음극 활물질(523)은 음극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전기 도금법으로 전해금속박을 제조하는 제박공정과 금속박에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후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후처리 공정을 통해 금속 박막을 표면 처리하여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신뢰성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적합한 물리적/전기적 특성을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에 부여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전기/화학적 에칭(etching)법 또는 샌딩(sanding)법 등에 의하여 그 표면이 조면화(粗面化) 처리된다. 여기서, 조면화란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표면에 치상돌기 또는 앵커패턴을 인위적으로 형성시켜, 그 표면적을 늘림으로써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기/화학적 에칭법은 압연된 금속 박막의 표면을 전기적 또는 화학적 방식으로 에칭하여 그 실효 면적을 증가시키는 공정이고, 샌딩법은 금속 박막의 표면에 미세한 입자를 물리적으로 충돌시켜 그 실효 면적을 증가시키는 공정이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약 5% 내지 10% 범위의 조면화 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조면화 비율은 해당 집전체(511, 521)의 전체 표면 영역 중에서 조면화 처리된 영역의 비율을 의미한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표면에 대한 조면화 처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면, 집전체(511, 521)의 전체 면적이 감소하여, 전하의 이동 공간이 작아지게 되므로, 집전체(511, 521)의 전기적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표면에 대한 조면화 처리가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면,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이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표면에 코팅되었다가 쉽게 박리될 수 있어 전체적인 전기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조면화 비율 저항(mΩ) 용량(F/cm3)
실시예 1 5% 14.5 24.2
실시예 2 7% 14.9 24.5
실시예 3 10% 15.2 24.9
비교예 1 3% 23 18
비교예 2 15% 25 19
비교예 3 20% 26 20
표 1은 집전체의 조면화 비율에 따른 전기적 저항 및 용량 변화를 측정한 표이다.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체의 조면화 비율이 약 5% 내지 10% 범위를 갖는 경우, 해당 집전체의 전기적 저항은 작은 반면 전체 용량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약 20㎛ 내지 3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두께가 너무 크면, 전극 조립체(500)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인장 강도 및 절곡 강도의 감소로 인해 전극 조립체(500)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1.3 kg/㎝ 이상의 장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99.4% 내지 99.9%의 순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는 약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또는 개구, 540)들을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에 형성된 홀(540)의 크기가 너무 크면, 인장 강도의 감소로 인해 전극 조립체(500)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홀(540)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전해액(550)의 양이온 및 음이온이 홀을 통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홀(㎛) 저항(mΩ) 용량(F/cm3)
실시예 1 10 14.4 24.1
실시예 2 100 14.8 24.5
실시예 3 200 15.2 25
비교예 1 5 24 19
비교예 2 250 26 19.5
비교예 3 300 27 20
표 2는 집전체의 홀 크기에 따른 전기적 저항 및 용량 변화를 측정한 표이다.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체의 홀 크기가 약 10㎛ 내지 200㎛ 범위를 갖는 경우, 해당 집전체의 전기적 저항은 작은 반면 전체 용량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540)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표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들(540)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표면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홀들(540)은 격자 패턴 또는 매트릭스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들(540)은 양극 집전체(511)에 형성된 제1 홀들(540)과 음극 집전체(521)에 형성된 제2 홀들(540)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집전체(511)에 형성된 제1 홀들(540)과 음극 집전체(521)에 형성된 제2 홀들(540)은 분리막(53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은 금속 산화물과 바인더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양면에 넓게 코팅하기 위해 수계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양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54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활물질의 코팅 및 건조 공정 시,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의 양 표면에 활물질(513, 523)을 코팅한 다음 집전체(511, 52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활물질을 복수의 홀들(54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홀 삽입 공정을 통해 양극(510) 및 음극(520)에 존재하는 활물질(513, 523)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전극 조립체(500)의 에너지 밀도는 증가하게 된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은 마이크로적으로 거의 원형에 가까운 기공들을 통해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상기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의 각 표면이 전해액(550)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극 및 음극(510, 520)에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면, 전해액(550)에 포함된 양이온 및 음이온이 각각 양극(510)과 음극(520)으로 이동하여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의 세부 기공으로 침투하게 된다.
전해액(550)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충/방전 시, 전극 조립체(500)의 양극 및 음극 활물질(513, 523)에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전해질 이온(즉, 양이온/음이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550)은 다공성 활물질 및 분리막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극 및 음극 집전체(511, 52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540)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양극(510)과 음극(520)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와 양극(510) 또는 음극(520)과 하우징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 사이의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500)는 복수의 홀들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양극 및 음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한 전해액의 흐름을 유도하여 에너지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의 양을 증가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600)는 양극(610), 분리막(630) 및 음극(6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600)는 젤리-롤(Jelly-Roll) 형태의 권취 구조 또는 스택 구조로 가공되어 전해액(650)과 함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600)의 양극(610), 분리막(630) 및 음극(620)은 상술한 도 8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500)의 양극(510), 분리막(530) 및 음극(52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양극(610), 분리막(630) 및 음극(6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상기 양극(510), 분리막(530) 및 음극(52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양극(610)은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61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양극 활물질(613)을 포함하고, 음극(620)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62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음극 활물질(623)을 포함한다.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는 약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64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640)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의 표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들(640)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의 표면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들(640)은 양극 집전체(611)에 형성된 제1 홀들(640)과 음극 집전체(621)에 형성된 제2 홀들(640)이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양극 집전체(611)에 형성된 제1 홀들(640)은 음극 집전체(621)에 형성된 제2 홀들(6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음극 집전체(621)에 형성된 제2 홀들(640)은 양극 집전체(611)에 형성된 제1 홀들(6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활물질(613, 623)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의 양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64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활물질의 코팅 및 건조 공정 시,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의 양 표면에 활물질(613, 623)을 코팅한 다음 집전체(611, 62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활물질을 복수의 홀들(64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홀 삽입 공정을 통해 양극(610) 및 음극(620)에 존재하는 활물질(613, 623)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전극 조립체(600)의 에너지 밀도는 증가하게 된다.
전해액(650)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충/방전 시, 전극 조립체(600)의 양극 및 음극 활물질(613, 623)에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전해질 이온(즉, 양이온/음이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650)은 다공성 활물질 및 분리막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극 및 음극 집전체(611, 62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640)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양극(610)과 음극(620)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와 양극(610) 또는 음극(620)과 하우징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 사이의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600)는 복수의 제1 홀들이 형성된 양극 집전체, 상기 제1 홀들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2 홀들이 형성된 음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한 전해액의 흐름을 유도하여 에너지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의 양을 증가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700)는 양극(710), 분리막(730) 및 음극(7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700)는 젤리-롤(Jelly-Roll) 형태의 권취 구조 또는 스택 구조로 가공되어 전해액(750)과 함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700)의 양극(710), 분리막(730) 및 음극(720)은 상술한 도 8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500)의 양극(510), 분리막(530) 및 음극(52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양극(710), 분리막(730) 및 음극(7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상기 양극(510), 분리막(530) 및 음극(52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양극(710)은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71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양극 활물질(713)을 포함하고, 음극(720)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72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음극 활물질(723)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700)의 최상부에 양극(710)이 배치된 경우(즉, 음극, 상기 음극 위에 분리막, 상기 분리막 위에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 상기 양극(710)의 양극 집전체(711)에는 약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7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740)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극 집전체(711)의 표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홀들(740)은 양극 집전체(711)의 표면 상에 미리 결정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700)의 최상부에 음극(720)이 배치된 경우(즉, 양극, 상기 양극 위에 분리막, 상기 분리막 위에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 상기 음극(720)의 음극 집전체(721)에는 약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7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음극 활물질(723)은 음극 집전체(721)의 양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양극 활물질(713)은 양극 집전체(711)의 양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양극 집전체(71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74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활물질의 코팅 및 건조 공정 시, 양극 집전체(711)의 양 표면에 활물질(713)을 코팅한 다음 집전체(71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활물질을 복수의 홀들(74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홀 삽입 공정을 통해 양극(710)에 존재하는 활물질(713)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전극 조립체(700)의 에너지 밀도는 증가하게 된다.
전해액(750)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충/방전 시, 전극 조립체(700)의 양극 및 음극 활물질(713, 723)에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전해질 이온(즉, 양이온/음이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750)은 다공성 활물질 및 분리막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극 집전체(71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740)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양극(710)과 음극(720)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와 양극(710)과 하우징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 사이의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700)는 복수의 홀들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활물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한 전해액의 흐름을 유도하여 에너지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물질의 양을 증가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800)는 양극(810), 분리막(830) 및 음극(8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800)는 젤리-롤(Jelly-Roll) 형태의 권취 구조 또는 스택 구조로 가공되어 전해액(850)과 함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800)의 양극(810), 분리막(830) 및 음극(820)은 상술한 도 8에 도시된 전극 조립체(500)의 양극(510), 분리막(530) 및 음극(52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양극(810), 분리막(830) 및 음극(8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상기 양극(510), 분리막(530) 및 음극(52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양극(810)은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81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양극 활물질(813)을 포함하고, 음극(820)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821)와 다공성 활성탄으로 구성된 음극 활물질(823)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800)의 최상부에 양극(810)이 배치된 경우(즉, 음극, 상기 음극 위에 분리막, 상기 분리막 위에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 상기 양극(810)의 양극 집전체(811)에는 약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8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840)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극 집전체(811)의 표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들(840)은 양극 집전체(811)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홀들(811)은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800)의 가장 바깥쪽 영역, 즉 하우징과 마주보고 있는 양극 집전체 영역(A)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800)의 최상부에 음극(820)이 배치된 경우(즉, 양극, 상기 양극 위에 분리막, 상기 분리막 위에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 상기 음극(820)의 음극 집전체(821)에는 약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84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840)은 음극 집전체(821)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집전체에서 홀이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적인 용량 및 충방전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집전체 전체적으로 홀을 형성하기 어렵다면, 적어도 최외곽 집전체면에는 홀을 형성하여, 이온들의 고갈이 비교적 적게 발생하는 최외곽 집전체면과 하우징 사이의 전해질 이온들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전해질의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710)과 음극(720)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와 최외곽 집전체면과 하우징 사이의 전해질 농도의 불균형을 해결 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823)은 음극 집전체(821)의 양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양극 활물질(813)은 양극 집전체(811)의 양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양극 집전체(81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84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활물질의 코팅 및 건조 공정 시, 양극 집전체(811)의 양 표면에 활물질(813)을 코팅한 다음 집전체(811)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활물질을 복수의 홀들(84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홀 삽입 공정을 통해 양극(810)에 존재하는 활물질(813)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전극 조립체(800)의 에너지 밀도는 증가하게 된다.
전해액(850)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충/방전 시, 전극 조립체(800)의 양극 및 음극 활물질(813, 823)에 흡착하거나 탈착하는 전해질 이온(즉, 양이온/음이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850)은 다공성 활물질 및 분리막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극 집전체(811)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840)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양극(810)과 음극(820)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와 양극(810)과 하우징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이온의 농도 사이의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800)는 복수의 홀들이 일부 영역에 형성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홀들에 삽입되는 양극 활물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한 전해액의 흐름을 유도하여 에너지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물질의 양을 증가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에너지 저장장치 110: 전극 조립체
111: 양극 112: 음극
113: 분리막 120: 하우징
122: 상부 하우징 124: 하부 하우징
130: 전극단자 132: 양극단자
134: 음극단자

Claims (11)

  1.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되,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5% 내지 10% 범위의 조면화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홀들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 및 건조 공정 시, 해당 집전체의 양 표면에 해당 활물질을 코팅한 다음 해당 집전체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해당 활물질을 상기 복수의 홀들에 삽입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원통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최상부에 양극이 배치된 경우, 상기 양극 집전체만이 상기 복수의 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홀들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전체 영역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20㎛ 내지 3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1.3 kg/㎝ 이상의 장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들은 10㎛ 내지 200㎛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들은 집전체의 표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금속 박막(Metal Foil)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되,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5% 내지 10% 범위의 조면화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범위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홀들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 및 건조 공정 시, 해당 집전체의 양 표면에 해당 활물질을 코팅한 다음 해당 집전체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해당 활물질을 상기 복수의 홀들에 삽입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원통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최상부에 음극이 배치된 경우, 상기 음극 집전체만이 상기 복수의 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홀들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전체 영역에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11. 삭제
KR1020190048826A 2019-04-26 2019-04-26 에너지 저장장치 KR10263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26A KR102639173B1 (ko) 2019-04-26 2019-04-26 에너지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26A KR102639173B1 (ko) 2019-04-26 2019-04-26 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82A KR20200125082A (ko) 2020-11-04
KR102639173B1 true KR102639173B1 (ko) 2024-02-22

Family

ID=7357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826A KR102639173B1 (ko) 2019-04-26 2019-04-26 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386B1 (ko) 2020-09-25 2022-11-10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터빈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4199B2 (ja) * 2007-09-18 2013-06-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US9269984B2 (en) * 2009-11-16 2016-02-23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1157553B1 (ko) * 2009-12-18 2012-06-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착력이 우수한 집전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집전체용 금속박
KR20130077734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899호(2011.05.24.) 1부.*
인용발명 2: 등록특허공보 제10-1157553호(2012.06.18.) 1부.*
인용발명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77734호(2013.04.25.) 1부.*
인용발명 4: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624호(2009.03.2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82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4324B2 (en) Electrode material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30003261A1 (en) Lithium plate, method for lithiation of electrode and energy storage device
US8310810B2 (en)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including holes penetrat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WO2021147409A1 (zh) 厚电极组件以及厚电极片的制备方法
KR102062123B1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KR20100106310A (ko) 전기 화학적 배터리를 위한 접시형상의 압력 균등화 전극
KR100646551B1 (ko) 음극 및 양극 일체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2639173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20180113417A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0919105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전극소자 권취 방법
EP1039566B1 (en) Alkaline storage battery with two separators
KR20190030973A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1097704B1 (ko) 원통형 에너지 저장장치
KR101157553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집전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집전체용 금속박
KR100969405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2451540B1 (ko) 미코팅부 형성용 코팅 다이를 구비한 전극 코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2445805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US10204746B2 (en) Separation membrane for super capacitor, super capacitor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0024205A (zh) 镍氢蓄电池用双极电极和镍氢蓄电池
KR101022308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1357137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20190136783A (ko) 에너지 저장장치
EP3923308A2 (en) Cover for a wound electrodes energy storage device
KR101744528B1 (ko) 초고용량 커패시터
KR20170096704A (ko) 에너지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