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70B1 -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 Google Patents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70B1
KR102638970B1 KR1020220160599A KR20220160599A KR102638970B1 KR 102638970 B1 KR102638970 B1 KR 102638970B1 KR 1020220160599 A KR1020220160599 A KR 1020220160599A KR 20220160599 A KR20220160599 A KR 20220160599A KR 102638970 B1 KR102638970 B1 KR 10263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elastic
passage portion
passag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진
이창환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티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티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티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16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70B1/ko
Priority to PCT/KR2023/018624 priority patent/WO20241120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8Wall construction hollow-walled, e.g. double-walled with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6Gates or closures operating by deformation of flexi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구조를 이용하여 이중탱크에 초저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수축변위를 흡수하도록 하는,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Double wall tank having displacement absorp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유체가 탱크 내로 유입될 때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축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맨홀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에 관한 것이다.
압력탱크는 압력을 가진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액체 또는 기체를 저장, 반응, 분리 등의 목적으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임계온도가 -50℃ 이하인 산소, 질소, 아르곤 및 천연가스 등을 액체 상태로 운반 또는 저장할 때 이용된다. 특히 액화가스는 -150℃ 이하의 초저온 상태이므로 초저온 용기는 외부에서의 열침에 의한 액온의 상승 즉, 용기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이 실시되어야 하고, 용기의 재료는 저온 취성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 용기와는 달리 초저온 용기는 내조와 외조를 갖는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된다. 내조는 저온의 유체가 저장되는 저온탱크이고, 저온탱크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외조는 저온탱크를 보호하는 보호탱크로, 보호탱크와 저온탱크의 외주면에는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개폐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중 압력탱크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탱크는, 내조(10)가 외조(20)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용되는 형태로서 이중구조로 형성되되, 내조(10) 및 외조(20) 각각에는 내조통공(15) 및 외조통공(25)이 형성되며, 내조통공(15) 둘레에는 내조(10) 내부공간 및 외부환경을 연통시키는 통로부(30)가 형성된다. 이 때 통로부(30)의 외면 및 외조통공(25)이 연결됨으로써 내조(10) 및 외조(2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게 된다. 내조(10) 및 외조(20) 사이의 공간은 진공을 유지함으로써 단열층을 형성한다.
평상시에는 도 1 전체적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조통공(15) 및 상기 외조통공(25)은 별도의 뚜껑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나, 유체 유입 등과 같은 경우 도 1 점선타원 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들이 개방된다. 이 때 통로부(30)의 일단은 내조(10) 외면에 결합되고 또한 통로부(30)의 측면이 외조통공(25)을 관통하면서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들이 모두 개방되어도 내조(10) 및 외조(20) 사이의 공간은 여전히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내조(10) 내부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될 때에는, 유체가 -150℃의 초저온 상태로 유입되기 때문에 내조(10)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내조(10)의 수축이 발생한다. 내조(10)가 수축되면 통로부(30)가 내조(10) 중심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부(30)의 측면이 외조통공(25)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조(10) 수축 시 이 통로부(30) 및 외조통공(25) 간의 결합부위에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이는 당연히 크랙 발생을 유발하며, 이렇게 되면 내조(10) 및 외조(20) 사이의 공간의 진공 및 단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큰 문제가 생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1372호 ("LNG 탱크", 2014.11.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구조를 이용하여 이중탱크에 초저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수축변위를 흡수하도록 하는,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내조(110); 내부공간에 상기 내조(110)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용되는 외조(120); 상기 내조(110)로부터 상기 외조(120)를 관통하여 외부환경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조(110)의 내부공간 및 외부환경을 연통시키는 통로부(130); 상기 통로부(130) 측면하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조(120)와 고정결합되는 내측연결부(121); 상기 통로부(130) 측면상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130)와 고정결합되는 외측연결부(122);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140); 상기 내조(110) 및 상기 외조(120) 사이의 공간이 진공화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층(150);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중탱크(100)는, 온도변화에 따른 상기 내조(11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통로부(130)에서 상기 통로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발생되는 변위가 상기 탄성부(140)에 인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탱크(100)는,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가 서로 고정결합되되,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내측연결부(121)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조(11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통로부(130)에서 발생되는 변위는 상기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 사이의 간격변화로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탱크(100)는, 상기 외조(120) 상에서 상기 통로부(130)가 상기 외조(120)를 관통하는 부분에 외조통공(125)이 형성되되, 상기 외조통공(125) 내주면 및 상기 통로부(130)의 측면이 밀착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탱크(100)는, 상기 내측연결부(121)가 상기 외조통공(125)을 둘러싸면서 상기 외조(120) 외면으로부터 외부환경 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140)는, 일단이 상기 내측연결부(121)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통로부(130)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연장부(141), 타단이 상기 외측연결부(122)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통로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연장부(142), 상기 내측연장부(141) 및 상기 외측연장부(142) 사이에 연결형성되며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변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탄성부(140)가 형상적으로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탄성변형부(145)가 상기 통로부(13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내측연장부(141) 및 상기 외측연장부(142)보다 돌출된 지점을 포함하는 볼록한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탄성부(140)의 좌굴변형을 억제하도록, 상기 탄성변형부(145) 내주면이 상기 통로부(130) 측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내측연장부(141), 상기 외측연장부(142) 및 상기 탄성변형부(145)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탱크에 초저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수축변위를 탄성구조를 가지는 맨홀이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탱크와 연결부에서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큰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크랙 발생 억제효과로 인하여 이중탱크 벽간 진공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축변위흡수를 위한 맨홀구조 자체가 대단히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게 실현가능하여, 제작에 드는 시간, 비용, 인력 등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더불어 기존의 이중탱크에 본 발명의 맨홀구조를 교체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탱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탱크 주요부분의 외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구조.
도 4는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온도구배.
도 5는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열변형에 의한 변위.
도 6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열변형에 의한 응력.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탱크 주요부분의 외면도(도 2 상측도면) 및 단면도(도 2 하측도면)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탱크(100)는, 기본적으로 내조(110), 외조(120), 통로부(130), 탄성부(140), 단열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외조(120)에는 내측연결부(121) 및 외측연결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140)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하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내조(110), 상기 외조(120), 상기 단열층(150)은 종래의 이중탱크의 내조, 외조, 단열층과 동일하다. 즉 상기 내조(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연료 등과 같은 유체를 저장한다. 상기 외조(120)는 내부공간에 상기 내조(110)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조(110) 및 상기 외조(120)를 구비하여 벽면을 이중구조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내조(110)로의 외열침입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내조(110) 및 상기 외조(120) 사이의 공간이 진공화됨으로써 상기 단열층(15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통로부(130)는, 상기 내조(110)로부터 상기 외조(120)를 관통하여 외부환경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조(110)의 내부공간 및 외부환경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통로부(130)의 일단은 상기 내조(110)에 형성된 내조통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조(110)에 고정결합되게 된다. 또한 도 2 하측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조(120) 상에서 상기 통로부(130)가 상기 외조(120)를 관통하는 부분에 외조통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외조통공(125) 내주면 및 상기 통로부(130)의 측면이 밀착형성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조통공(125) 내주면 및 상기 통로부(130)의 측면이 고정결합되었으며, 이로써 상기 단열층(150)의 밀폐가 유지되었다. 한편 상기 내조(110)에 매우 낮은 온도의 저온유체가 유입되어 채워짐으로써 상기 내조(110)가 수축되는 등과 같은 열변형이 일어난다. 이 때 상기 통로부(130)의 일단이 상기 내조(110)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조(110)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통로부(130)에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통로부(130) 측면이 상기 외조통공(125) 내주면과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통로부(130)의 내조결합부위 / 외조결합부위 사이에 인장력이 집중되며, 특히 상기 통로부(130)의 외조결합부위에 응력이 첨예하게 집중되게 된다. 이는 당연히 해당 부분의 파손원인이 되며, 이 부분이 파손되면 상기 단열층(150)의 밀폐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저온탱크(110)에 저장된 유체의 저장불안정성이 크게 높아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내조(110) / 상기 외조(120) / 상기 통로부(130)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탄성부(140)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140)에 변위가 집중인가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로부(130) 측면하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조(120)와 고정결합되는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통로부(130) 측면상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130)와 고정결합되는 외측연결부(122)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탄성부(1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 사이에 구비된다.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내조(110)의 수축 또는 팽창이 일어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부(130)에서 상기 통로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변위가 발생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형상변형이 가능한 상기 탄성부(140)의 구비로 인하여 이렇게 발생되는 변위가 상기 탄성부(140)에 집중되어 인가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가 서로 고정결합되되,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내측연결부(121)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조(11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통로부(130)에서 발생되는 변위는 상기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 사이의 간격변화로서 발생된다. 그런데 이들 사이에는 실제로 형상변형이 가능한 상기 탄성부(14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140)에 이 변위가 그대로 인가된다. 이처럼 상기 탄성부(140)가 변위를 모두 담당하여 흡수함에 따라 다른 부품에는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이에 따라 다른 부품에 과도한 응력집중 발생 자체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가 서로 고정결합되되,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내측연결부(121)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연결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조통공(125)을 둘러싸면서 상기 외조(120) 외면으로부터 외부환경 측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미끄러짐 가능하다는 것은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상기 내측연결부(121) 부근까지는 상기 단열층(150)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측연결부(122)는 상기 통로부(130)와 고정결합되며, 여기에서 틈새는 완전하게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층(150)은 결과적으로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의 고정결합에 의해 완전한 밀폐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140)는 물론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만 형성되어도 되지만, 상기 탄성부(140)가 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성부(140)는, 도 2 하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내측연결부(121)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통로부(130)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연장부(141), 타단이 상기 외측연결부(122)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통로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연장부(142), 상기 내측연장부(141) 및 상기 외측연장부(142) 사이에 연결형성되며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변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145)는 특히, 상기 탄성변형부(145)가 상기 통로부(13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내측연장부(141) 및 상기 외측연장부(142)보다 돌출된 지점을 포함하는 볼록한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변형부(145)의 반경방향 외측형상은 도넛외측형상에 가깝게 형성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재질적으로 뿐만 아니라 형상적으로도 변위를 보다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탄성변형부(145)는, 도 2 하측도면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부(145) 내주면이 상기 통로부(130) 측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탄성변형부(145)의 내측/외측의 끝단이 각각 상기 내측연장부(141) / 상기 외측연장부(142)에 직접 연결되어도 되지만, 이와 같이 될 경우 좌굴(buckling)방향으로의 원치않은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2 하측도면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부(145) 내주면에 상기 통로부(130) 측면에 접촉지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지지부가 일종의 다리(leg) 역할을 함으로써 이러한 좌굴방향으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물론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내측연장부(141), 상기 외측연장부(142) 및 상기 탄성변형부(14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40)는 일반적으로 탄성재질로서 널리 사용되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140)를 일체형으로 쉽게 만들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조(110)가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등의 열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통로부(130)의 내조연결부위/외조연결부위 간에 상기 탄성부(140)가 개재구비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140)가 변위를 모두 흡수함으로써 응력집중을 억제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실제로 이러한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열변형 구조해석을 실제로 실행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온도구배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유체를 저장하는 이중탱크의 경우, 외조 부분은 실온환경이므로 약 300K 정도, 내조 부분은 저온유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20K 정도로 세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열변형에 의하여 발생된 변위를 비교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조는 저온으로 내려가면서 상당한 수축이 발생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경우(상측도면) 통로부가 탄성부에 의해 외조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조의 수축에 따라 통로부도 자연스럽게 내조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면 상에서는 하강방향). 그러나 종래의 경우(하측도면), 통로부가 외조와 고정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외조에서는 형상변형이 없기 때문에, 구조물의 강성에 의하여 통로부는 외조에 단단히 붙들려있는 셈이 되므로, 결국 통로부에서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주요부분 열변형에 의하여 발생된 응력을 비교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조의 수축이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통로부에서 변위가 발생하고, 이 변위는 형상변형이 가능한 탄성부로 흡수된다. 이에 따라 도 5 상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거의 전체적으로 응력이 0에 가깝게 형성되며, 즉 구조물에 응력집중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종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부 입장에서는 양쪽에서 단단히 붙들고 잡아당기는 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에, 통로부터 상당한 응력이 발생한다. 특히 도 5 하측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통로부 및 외조연결부 간의 연결부위 중 외측끝단 부분에서는 200MPa이 넘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통로부 재질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304의 허용응력이 205MPa인 점을 고려할 때, 종래의 경우 본 발명과 같은 탄성부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매우 큰 파손위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이중탱크
110 : 내조 120 : 외조
121 : 내측연결부 122 : 외측연결부
125 : 외조통공
130 : 통로부 140 : 탄성부
141 : 내측연장부 142 : 외측연장부
145 : 탄성변형부 150 : 단열층

Claims (9)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내조(110);
    내부공간에 상기 내조(110)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용되는 외조(120);
    상기 내조(110)로부터 상기 외조(120)를 관통하여 외부환경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조(110)의 내부공간 및 외부환경을 연통시키는 통로부(130);
    상기 통로부(130) 측면하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조(120)와 고정결합되는 내측연결부(121);
    상기 통로부(130) 측면상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130)와 고정결합되는 외측연결부(122);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140);
    상기 내조(110) 및 상기 외조(120) 사이의 공간이 진공화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층(150);
    을 포함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상기 내조(11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통로부(130)에서 상기 통로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발생되는 변위가 상기 탄성부(140)에 인가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140)는, 일단이 상기 내측연결부(121)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통로부(130)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연장부(141), 타단이 상기 외측연결부(122)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통로부(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연장부(142), 상기 내측연장부(141) 및 상기 외측연장부(142) 사이에 연결형성되며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변형부(14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140)가 형상적으로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탄성변형부(145)가 상기 통로부(13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내측연장부(141) 및 상기 외측연장부(142)보다 돌출된 지점을 포함하는 볼록한 곡면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40)의 좌굴변형을 억제하도록, 상기 탄성변형부(145) 내주면이 상기 통로부(130) 측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탱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탱크(100)는,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가 서로 고정결합되되, 상기 통로부(130) 및 상기 내측연결부(121)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조(11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상기 통로부(130)에서 발생되는 변위는 상기 내측연결부(121) 및 상기 외측연결부(122) 사이의 간격변화로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탱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탱크(100)는,
    상기 외조(120) 상에서 상기 통로부(130)가 상기 외조(120)를 관통하는 부분에 외조통공(125)이 형성되되,
    상기 외조통공(125) 내주면 및 상기 통로부(130)의 측면이 밀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탱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탱크(100)는,
    상기 내측연결부(121)가 상기 외조통공(125)을 둘러싸면서 상기 외조(120) 외면으로부터 외부환경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탱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내측연장부(141), 상기 외측연장부(142) 및 상기 탄성변형부(14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탱크.
KR1020220160599A 2022-11-25 2022-11-25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KR102638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599A KR102638970B1 (ko) 2022-11-25 2022-11-25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PCT/KR2023/018624 WO2024112022A1 (ko) 2022-11-25 2023-11-20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599A KR102638970B1 (ko) 2022-11-25 2022-11-25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970B1 true KR102638970B1 (ko) 2024-02-22

Family

ID=9005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599A KR102638970B1 (ko) 2022-11-25 2022-11-25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8970B1 (ko)
WO (1) WO20241120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9710B2 (ja) * 2006-04-19 2011-11-09 大阪瓦斯株式会社 低温液化ガス貯留設備
KR101264889B1 (ko) * 2011-05-12 2013-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의 구조
KR20140131372A (ko) 2012-02-29 2014-11-12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Lng 탱크
KR101607828B1 (ko) * 2014-11-20 2016-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수용탱크
KR101658283B1 (ko) * 2014-08-04 2016-09-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용 연료 공급 출구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7398A (ja) * 1982-11-29 1984-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低温液体用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9710B2 (ja) * 2006-04-19 2011-11-09 大阪瓦斯株式会社 低温液化ガス貯留設備
KR101264889B1 (ko) * 2011-05-12 2013-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의 구조
KR20140131372A (ko) 2012-02-29 2014-11-12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Lng 탱크
KR101658283B1 (ko) * 2014-08-04 2016-09-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용 연료 공급 출구부 구조
KR101607828B1 (ko) * 2014-11-20 2016-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수용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2022A1 (ko)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032B1 (ko) 탱크 돔 플랜지부의 구조
KR20120138756A (ko) 저온 탱크
WO2018092651A1 (ja) 低温液化ガスポンプ用断熱容器
JP2018194117A (ja) 低温液化ガス貯蔵タンク
KR20180106682A (ko) 액화가스의 이중저장탱크
KR102638970B1 (ko) 변위흡수구조를 가지는 이중탱크
KR20070095941A (ko) 초전도 케이블의 단말 구조체
JP3978021B2 (ja) シールリング並びに複合材タンク、及び配管等のフランジ継手のシール構造
JP2013238285A (ja) 液体貯蔵タンク
KR20110051407A (ko) 이중 단열층을 가지는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
EP4230902A1 (en) Double-walled heat insulation piping unit for liquefied gas, and liquefied gas storage vessel comprising same
KR10257620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29112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단열구조
KR102147650B1 (ko) 초저온용 맨홀
CN108061243B (zh) 低温压力容器
KR101599284B1 (ko) 액화연료 저장탱크
EP3760910B1 (en) Double-shell tank and liquefied gas carrier ship
KR102490347B1 (ko) 멤브레인 주름 보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저장 탱크
KR20220134282A (ko) 수축 변위 흡수가 가능한 맨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탱크
WO2018092650A1 (ja) 低温液化ガスポンプ用断熱容器
KR102351594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및 그 제작 방법
WO2024019015A1 (ja) 極低温流体収容機器
US20230341090A1 (en) Fluid storage container
CN220416997U (zh) 中型容积立式深冷压力容器支撑结构
KR102640355B1 (ko) 목부에 단열구조를 갖는 극저온 고압가스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