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637B1 -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637B1
KR102638637B1 KR1020220168929A KR20220168929A KR102638637B1 KR 102638637 B1 KR102638637 B1 KR 102638637B1 KR 1020220168929 A KR1020220168929 A KR 1020220168929A KR 20220168929 A KR20220168929 A KR 20220168929A KR 102638637 B1 KR102638637 B1 KR 10263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rosswalk
light emitting
dang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철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to KR102022016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 보도에서 차량의 과속 주행으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 보도의 차량 정지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선택된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측하고 계측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하는 계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신호의 속도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초과하면 위험신호를 출력 및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 보도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위험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Smart Pedestrian Safety System}
본 발명은 횡단 보도에서 차량의 과속 주행으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도로 상에 보행자가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횡단 보도가 설치되어 있고, 야간에는 횡단 보도가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주의 신호등을 켜거나, 횡단 보도를 조명하여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 보도가 있음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 중에는 횡단 보도를 통과 중인 보행자가 없으면,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횡단 보도를 주행하는 운전자가 존재하며, 이러한 운전자는 특히 이른 새벽이나 늦은 밤과 같이 인적이 드문 시간에 더욱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횡단 보도 중에는 주변에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어두운 곳이 있으며, 이런 곳에서는 운전자가 횡단 보도를 통과 중인 보행자를 쉽게 파악하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횡단 보도를 주행하게 되면,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보행자의 횡단 여부와 상관없이 횡단 보도에 가상 보행자 영상을 출력하고, 아울러 횡단 보도 주변에는 적절한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횡단 보도를 통과중인 보행자가 운전자에게 쉽게 인식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가로등과 같은 별도의 조명장치를 신호등 주위마다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인 부담이 크므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최근 들어 보행자의 경우 음악을 듣거나 통화 및 인터넷 사용 등과 같이 자신이 횡단 보도를 보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차량의 움직임 여부를 주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595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횡단 보도를 향하여 과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사전 감지하고 이를 횡단 보도 영역에서 보행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행자의 교통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횡단 보도의 차량 정지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선택된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측하고 계측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하는 계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신호의 속도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초과하면 위험신호를 출력 및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 보도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위험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위험알림부는, 상기 횡단 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 작동되는 복수의 LED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위험알림부는, 하나 이상의 경고음이 저장되고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경고음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한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 보도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위험알림볼라드가 더 구성되되, 상기 위험알림볼라드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모듈은 양측에 상기 체결홀에 슬라이드 되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홈테두리가 형성되는 모듈몸체와, 상기 모듈몸체 내부에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발광모듈의 내측면에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복수의 발광모듈의 각 체결후크에는 탄성재질로 일측에 비연결부가 형성되어 직경을 달리하여 장착됨으로써 체결시 각 발광모듈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링이 더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전도성 재질로서 방열핀 형상으로 돌출되면서 상단에 체결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링은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결요홈은 수직부와 수직부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홈형상의 수평부가 구성되도록 하여 체결요홈에서 체결링의 장착시 체결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부에서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시스템은, 횡단 보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횡단 보도를 향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감지하고, 횡단 보도의 차량정지선 등을 통해 과속 여부가 시청각적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의 사전 인지를 유도하여 위험 상황으로부터 보행자의 회피 시간을 확보하는 등 교통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위험알림볼라드가 더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위험알림볼라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위험알림볼라드의 측단면도.
도 6은 위험알림볼라드에 있어 몸체에 발광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위험알림볼라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위험알림볼라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횡단 보도를 향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에서 계측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위험신에 연동하여 위험상황을 시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알림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는 횡단 보도(1)의 차량 정지선(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a)에서 선택된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측하고 계측신호를 송신한다.
일 예로 상기 센서부(10)는 각 차로에 매립 설치되어 주행 차량의 속도를 계측할 수 있는 속도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센서부(10)는 차로에 인접 설치되는 지주 구조물에 장착되어 주행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10)는 상기 횡단 보도(1)의 차량 정지선(2)에서 충분히 이격되는 위치(a)에 설치되어, 차량의 제동 거리 확보는 물론 보행자가 위험을 인지하여 회피 활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횡단 보도(1)의 차량 정지선(2)에서 50m 내지 70m 사이의 차로 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횡단 보도(1)를 향하여 주행하는 양방향 차로에 대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인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주행 방향의 차로에 설치되는 제 1센서부(10-1)와 반대 방향인 제 2주행 방향의 차로에 설치되는 제 2센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부(10)에서 송신하는 계측신호 즉 주행 차량의 속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신호의 속도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초과하면 위험신호를 출력 및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독립된 제어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횡단 보도(1)의 보행자 신호등(3)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제어기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한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위험신호의 출력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횡단 보도(1)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한 속도는 30Km/h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횡단 보도(1)가 노인 보호 구역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한 속도는 50Km/h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원격지의 관제 서버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관제 서버의 원격 접속 및 설정값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한 속도가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위험알림부(30)는 상기 횡단 보도(1)에 인접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 보도(1)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시청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횡단 보도(1)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과속 차량의 접근 등을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위험알림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단 보도(1)의 차량 정지선(2)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 작동되는 복수의 발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은 저전력 및 시인성이 우수한 LED(Llight Emitting Eiode)모듈(3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ED모듈(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선택된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LED소자와 상기 복수의 LED소자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LED소자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정지선(2)에 매립 또는 돌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로 보강되는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ED모듈(300)은 새벽 및 야간 시간대에도 식별이 가능하고, 위험 상황에 대한 주의를 명확히 줄 수 있도록 적색의 광원 표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LED모듈(300)은 횡단 보도(1)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접근 중인 차량의 과속 사실을 안내하는 것은 물론, 횡단 보도(1)를 향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과속 여부를 인지시킴으로써 감속 운전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위험알림부(30)는 상기 LED모듈(300)을 점멸 작동시킴에 있어 주간 및 야간에 따른 일반 보행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절별로 주간 및 야간 시간대를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대에 연동하여 상기 LED모듈(300) 휘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험알림부(30)는 하나 이상의 경고음이 저장되고,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경고음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310)를 더 포함하여, 보행자에게 차량의 과속으로 인한 위험 상황을 청각적으로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310)는 출력되는 경고음이 보행자에게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횡단 보도(1)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피커(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 보도(1)의 보행자 신호등(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경고음은 도심의 생활 소음과 구별될 수 있는 신호음이라면 어떠한 것을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며, 보행자에게 소음으로 작용하지 않을 정도의 불륨으로 스피커(310)을 통해 출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험알림부(30) 역시 제 1위험알림부(30-1)와 제 2위험알림부(3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부(10)와 마찬가지로 양방향 차로에 대한 위험 알림을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센서부(10-1)의 계측 결과에 따라 작동되는 제 1위험알림부(30-1)와, 제 2센서부(10-2)의 계측 결과에 따라 작동되는 제 2위험알림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횡단 보도(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횡단 보도(1)를 향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감지하고, 횡단 보도(1)의 차량정지선(2) 등을 통해 과속 여부가 시청각적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의 사전 인지를 유도하여 위험 상황으로부터 보행자의 회피 시간을 확보하는 등 교통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단보도(1)에 위험알림볼라드(40)가 더 구성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위험알림볼라드(40)의 경우도 상기 제어부(20)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보도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위험알림볼라드(40)의 경우도 위험알림부(30)와 같이 센서부(10)가 횡단 보도를 향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측하고, 제어부(20)가 상기 센서부(10)에서 계측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며, 이러한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위험신호에 연동하여 위험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 작동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광모듈(42)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험알림볼라드(40)가 더 구성되어 보행자 등에 대한 위험인지를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험알림볼라드(40)는 도 4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고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홀(411)이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41); 상기 체결홀(411)에 체결되는 발광모듈(42); 상기 상면에 체결되며 태양광모듈(431)이 장착된 덮개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4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형상으로 상면이 개구된 형상이며, 개구에서 하방향으로 복수의 체결홀(41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41)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발광모듈(42)은 상기 체결홀(411)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41)에서 복수가 체결되어 다방향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발광모듈(42)은 양측에 상기 체결홀(411)에 슬라이드 되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홈테두리(421-1)가 형성되는 모듈몸체(421)와, 상기 모듈몸체(421) 내부에 광원(422)과, 상기 광원(422)으로부터 연결되는 복수의 광섬유(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몸체(421)는 상기 몸체(41)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에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광원(422)으로부터 전달된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는 광섬유(423)를 통해 빛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특히 야간에 보행자 등은 본 발명의 위험알림볼라드(40)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광섬유(423)는 복수의 다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광원(4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발광이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모듈몸체(421)는 상기 몸체(41)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에 투명재질의 커버부가 더 구성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광섬유(423) 단부를 충격이나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발광모듈(42)은 광섬유(423)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태양광모듈(431)에 의한 축전만으로도 충분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43)는 도 4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모듈(42)의 내주연과 접하도록 하는 삽입단(432)과, 상기 삽입단(432)의 상단에서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41)를 개폐하고 내부에 태양광모듈(431)이 구성되는 머리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41)의 체결홀(411)에 상기 발광모듈(42)이 체결된 상태에서 각 발광모듈(42)의 상단부를 상기 삽입단(432)이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몸체(41)에 발광모듈(42)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태양광모듈(431)은 태양광패널과 태양광패널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발광모듈(42)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축전된 전기를 각 발광모듈(42)에 인가함으로써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축전지와, 태양발전에 의한 전력에 의해 발광모듈(4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점등부와, 주간, 야간을 구별하여 축전지에 축전된 전력을 발광모듈(42)에 전달시키는 충,방전제어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어부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모듈(42)의 내측면에는 체결후크(424)가 형성되며, 복수의 발광모듈(42)의 각 체결후크(424)에는 탄성재질로 일측에 비연결부(441)가 형성되어 직경을 달리하여 장착됨으로써 체결시 각 발광모듈(42)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링(44)이 더 포함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체결후크(424)는 상기 모듈몸체(421)의 후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후크(424)의 상단에는 걸림머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후크(424)에 체결링(44)의 체결시 체결된 체결링(44)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탈리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체결링(44)은 일측에 비연결부(441)가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복수의 발광모듈(42)의 각 체결후크(424)에 체결시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복원력에 의해 각 모듈몸체(421)를 외측으로 가압토록 하여 상기 몸체(41)에서 각 발광모듈(42)이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몸체(41)에 각 발광모듈(42)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삽입단(432)에 의해 각 발광모듈(42)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각 발광모듈(42)의 하방향에서는 상기 체결링(44)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하여 시공후 외력 등에 의한 충격에도 각 발광모듈(42)이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체결링(44)의 탄성에 의해 외력에 의한 완충작용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체결링(44)은 몸체(41)에서 각 발광모듈(42)의 고정과 각 발광모듈(42)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을 완충하는 효과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체결후크(424)가 도 8에서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후크(424)는 상기 광원(422)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전도성 재질로서 방열핀 형상으로 돌출되면서 상단에 체결요홈(424-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링(44)은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후크(424)는 방열핀 형상으로서 복수의 돌출단(424-2)이 형성되며 돌출단(424-2)의 상부에는 체결요홈(424-1)이 형성되어 체결요홈(424-1)에 체결링(44)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후크(424)는 모듈몸체(421)에서 광원(422)의 위치와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바, 광원(42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소자(422-1)와 LED소자(422-1)가 실장된 기판(422-2)으로 구성되는데 체결후크(424)가 기판(422-2)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LED소자(422-1)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체결후크(424)를 통해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각 체결후크(424)를 연결하는 체결링(44)에 의해서도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체결후크(424)를 통해 점단위로 방열이 이루어지는데 각 체결후크(424)가 체결링(44)을 통해 연결되어 선단위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열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후크(424)와 상기 체결링(44)의 재질은 한정이 없으나 열전도성이 있어야 하며, 체결링(44)은 열전도성에 더하여 탄성이 있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요홈(424-1)은 수직부(424-11)와 수직부(424-11)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홈형상의 수평부(424-12)가 구성되도록 하여 체결요홈(424-1)에서 체결링(44)의 장착시 체결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부(424-12)에서 장착이 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서 체결링(44)이 탈착되는 것을 제어토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센서부 20 : 제어부
30 : 위험알림부 40 : 위험알림볼라드
300 : LED모듈 310 : 스피커

Claims (9)

  1. 횡단 보도의 차량 정지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선택된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계측하고 계측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하는 계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신호의 속도가 기설정된 제한 속도를 초과하면 위험신호를 출력 및 송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 보도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위험알림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험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횡단 보도 영역 내에서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위험알림볼라드;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알림볼라드는,
    상면이 개구되고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관형의 몸체와,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은,
    양측에 상기 체결홀에 슬라이드 되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홈테두리가 형성되는 모듈몸체와, 상기 모듈몸체 내부에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모듈의 내측면에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복수의 발광모듈의 각 체결후크에는 탄성재질로 일측에 비연결부가 형성되어 직경을 달리하여 장착됨으로써 체결시 각 발광모듈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알림부는,
    상기 횡단 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점멸 작동되는 복수의 LED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알림부는,
    하나 이상의 경고음이 저장되고 상기 위험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경고음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한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열전도성 재질로서 방열핀 형상으로 돌출되면서 상단에 체결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링은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요홈은 수직부와 수직부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홈형상의 수평부가 구성되도록 하여 체결요홈에서 체결링의 장착시 체결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부에서 장착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KR1020220168929A 2022-12-06 2022-12-06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KR10263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929A KR102638637B1 (ko) 2022-12-06 2022-12-06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929A KR102638637B1 (ko) 2022-12-06 2022-12-06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637B1 true KR102638637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929A KR102638637B1 (ko) 2022-12-06 2022-12-06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6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227B1 (ko) * 2010-12-22 2012-01-11 한국광기술원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145955B1 (ko) 2011-06-16 2012-05-1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426B1 (ko) * 2019-04-04 2020-09-21 안치훈 도로용 탄성 볼라드
KR102263867B1 (ko) * 2020-11-09 2021-06-11 송다인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2356084B1 (ko) * 2021-07-15 2022-02-08 안재욱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227B1 (ko) * 2010-12-22 2012-01-11 한국광기술원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145955B1 (ko) 2011-06-16 2012-05-15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426B1 (ko) * 2019-04-04 2020-09-21 안치훈 도로용 탄성 볼라드
KR102263867B1 (ko) * 2020-11-09 2021-06-11 송다인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2356084B1 (ko) * 2021-07-15 2022-02-08 안재욱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9564049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102117043B1 (ko) 사고예방을 위한 도로 경계석 커버
US9875653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US20100182164A1 (en) Electronic traffic signage
US20100207788A1 (en) Flashing beacon
US20070001872A1 (en)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KR101408029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US20190103022A1 (en) Portable remotely operated traffic control signals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2638637B1 (ko) 스마트 보행 안전 시스템
WO2012074201A2 (ko) 도로 표지병
KR102106380B1 (ko) 다기능 교통 표지판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JP2008127979A (ja)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KR20170014998A (ko) 교통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20042209A (ko) 야간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JP2006113659A (ja) 注意喚起方法
KR102151974B1 (ko) 무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 알림장치
KR102651234B1 (ko) 운전자 과속 및 신호위반 예방을 위한 신호 알림 시스템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JP2009127415A (ja) 警告表示装置を用いた警告表示システム及び警告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