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187B1 -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187B1
KR102638187B1 KR1020180063983A KR20180063983A KR102638187B1 KR 102638187 B1 KR102638187 B1 KR 102638187B1 KR 1020180063983 A KR1020180063983 A KR 1020180063983A KR 20180063983 A KR20180063983 A KR 20180063983A KR 102638187 B1 KR102638187 B1 KR 102638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inlet
port
nozzle
nozz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993A (ko
Inventor
이정훈
임명훈
정환진
김재현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187B1/ko
Priority to US16/430,949 priority patent/US11680351B2/en
Priority to PCT/KR2019/006726 priority patent/WO2019235814A1/en
Priority to CN201980051871.7A priority patent/CN112543825B/zh
Priority to AU2019283481A priority patent/AU2019283481B2/en
Priority to EP19178232.5A priority patent/EP3578708A3/en
Publication of KR2019013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4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2049/701Ej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형의 캐비티 내에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원재를 압출하여 중공을 갖는 용융상태의 파리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파리손이 상기 하형의 캐비티에 놓여지는 단계와, 상형과 상기 하형을 합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 내에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WASHING MACHINE WITH A CONDUIT FOR SUPPLYING WATER TO NOZZLES AT GAS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IT}
본 발명은 터브의 입구를 수밀하는 환형의 개스킷에 구비된 노즐 급수관에 복수의 순환 노즐이 형성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되는 드럼을 구비한 세탁기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터브 내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개스킷이 상기 터브의 투입구 둘레에 설치된다. 상기 개스킷에는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된 물을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기 위한 순환 노즐들이 형성된다.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순환 노즐들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이 상기 개스킷의 둘레에 결합된다.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관로로부터 복수개의 포트들이 연장되어 각각이 상기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한다.
이러한 형태의 노즐 급수관은 통상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9의 (A)는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압출성형)에 따라 금형이 합형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B)는 개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노즐 급수관을 종래의 방식으로 압출하고자 하는 경우, 용융 상태의 한 쌍의 파리슨(parison) 시트(810, 820)를 맞대어 좌형(910)과 우형(920) 사이에 놓고 합형을 한 후, 상기 한 쌍의 파리슨 시트 사이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렇게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파리슨이 팽창하여 금형(910 920)에 형성된 캐비티(상기 노즐 급수관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와 같은 형태로 성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은 금형(910, 920)으로부터 성형물을 취출한 이후에, 양쪽 금형(910, 920)이 맞닿는 부분을 파리슨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절단하거나 파리슨들의 접합부를 다듬는 가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금형 단차 및 파팅 라인의 스크랩으로 인해 누수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도 9의 (B)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파리슨의 버려지는 부분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의 제조공정을 개선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노즐 급수관이 제조 불량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 과정에서 재료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된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순환 노즐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 환형의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 관로와, 상기 이송 관로를 따라 안내된 물을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로 분배하는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관로에는 유입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이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다. 상기 이송 관로는,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양방향으로 분지시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안내한다.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은상기 이송 관로 상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 관로의 내경부에는,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연통구의 둘레에는 상기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부가 삽입되는 포트 연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부는 상기 포트 열결 홈 내에서 상기 내경부와 접합된다.
상기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부는, 상기 연통구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입구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 연결홈은 상기 플랜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트 연결홈 내에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내경부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내주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이송 관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가 상기 개스킷을 상기 외주부로부터 상기 내주부로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과 각각 유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관로와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는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하형의 캐비티(cavity) 내에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원재를 압출하여 중공을 갖는 용융상태의 파리손(parison)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파리손이 상기 하형의 캐비티에 놓여지는 단계와, 상형과 상기 하형을 합형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 내에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리즌의 압출 온도는 섭씨 195도 내지 205도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내에 기체가 주입되기 시작될 시, 상기 파리손의 온도는 섭씨 180 내지 1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을 여는 단계와, 상기 캐비티로부터 상기 파리손과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가 형합된 성형물을 취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 내의 파리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취출된 성형물에서 상기 파리손의 중공과 연통하는 유입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파리손이 상기 하형의 캐비티에 놓여지기 전에, 상기 하형의 캐비티 내에 유입포트를 더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에 적용되는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은, 첫째,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 과정에서 버려지는 재료를 줄여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예초에 중공을 갖는 관상의 파리슨을 이용하여 상기 노즐 급수관을 성형하기 때문에, 최종 성형물에서 상기 중공에 의해 형성된 관로의 누수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셋째, 미리 성형된 노즐 급수포트들을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중공 성형을 하기 때문에, 상기 노즐 급수포트들이 상기 노즐 급수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노즐 급수포트들의 미성형 또는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노즐 급수관의 규격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노즐 급수포트는 공통의 부품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노즐 급수관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품의 공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노즐 급수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고, (B)는 도 5의 B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는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금형이 합형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B)는 개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개스킷과 노즐 급수관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노즐 급수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고, (B)는 도 5의 B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h)가 형성된다. 케이싱(10)은 전면이 개방되고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갖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투입구(12h)가 형성된 전면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의 저면과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수평한 베이스(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캐비닛(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탑플레이트(13)와,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물이 담기는 터브(31)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31)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입구가 형성된다. 캐비닛(11)과 터브(31)는 환형의 개스킷(60)에 의해 연결되어,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통로가 상기 터브(31)의 입구로부터 투입구(12h)에 이르는 구간에 형성된다.
투입구(12h)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고, 전면 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프레임(21)의 개구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2)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분이 개스킷(60)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 내로 위치될 수 있다.
개스킷(60)은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후단부로 연장되는 관상의 형태이다. 개스킷(60)의 전단부는 케이싱(10)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터브(31)의 입구 둘레에 고정된다. 개스킷(60)은 유연한 또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스킷(60)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개스킷(60)의 전단부는 도어(20)의 배면과 밀착되어, 터브(31) 내의 물이 개스킷(60)의 입구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개스킷(60)의 관상의 형태의 내측을 한정하는 부분을 개스킷(60)의 내주부(또는, 내주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 부분을 개스킷(60)의 외주부(또는, 외측면)이라고 한다.
터브(31) 내에는 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32)은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수평한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로써 사용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축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축이 수직보다는 수평에 근접한 경우 실질적으로 수평하다고 할 수 있다. 터브(31) 내의 물이 드럼(3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드럼(32)에는 다수의 통공(32h)이 형성된다.
드럼(3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리프터(32a)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터(32a)는 드럼(32)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32a)에 의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되는 것을 반복한다.
드럼(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driving shaft, 미도시)이 터브(31)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드럼(32)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직결식 세탁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탁 모터는 터브(31)의 후방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터브(31)는 베이스(15)에 설치된 댐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2)의 회전시 유발되는 터브(31)의 진동이 댐퍼(16)에 의해 감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브(31)를 케이싱(10) 내에 매다는 헹거(예를 들면, 스프링)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후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급수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31) 또는 드럼(32) 내로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5)에는 첨가제들이 그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5)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미도시)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유연제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디스펜서(35)의 각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을 각각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공급관(34a, 34b, 34c)은,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 1 급수공급관(34a)과, 상기 냉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상기 섬유 유연제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급수공급관(34b)과, 온수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온수를 상기 세제 수용부로 공급하는 제 3 급수공급관(34c)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60)에는 드럼(32) 내로 물을 분사하는 직수 노즐(42)이 구비될 수 있고, 급수부(33)를 통해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42)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관(39)이 구비될 수 있다. 직수 노즐(42)은 와류 노즐 또는 분무 노즐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펜서(35)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 밸로우즈(37)를 통해 터브(31)로 공급된다. 터브(31)의 측면에는 급수 밸로우즈(37)와 연결된 급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31)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 밸로우즈(17)가 상기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터브(31)로부터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9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단속하는 배수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은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펌프(90)는 배수 밸로우즈(17)를 통해 배출된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압송하는 배수기능과, 순환관(18)으로 압송하는 순환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배수와 순환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은 이미 여러 가지가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순환관(18)과 연결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와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어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펌프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펌프(90)에 의해 압송되어 순환관(18)을 따라 안내되는 물을 순환수라고 한다.
펌프(90)는 유량(또는, 토출 수압)이 가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 모터가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한 가변속 모터일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펌프 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모터에 입력한다.
상기 펌프 모터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펌프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상기 펌프 모터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개스킷(60)에는 드럼(32) 내로 물(순환수)을 분사하는 복수의 순환 노즐(610)이 구비된다. 복수의 순환 노즐(610)은 개스킷(60)의 내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60)을 정면에서 바라볼 시, 복수의 순환 노즐(610)은 개스킷(60)의 좌우측에 각각 2개씩이 대칭으로 구비된다.
개스킷(60)의 일측에 구비된 두 개의 순환 노즐(610) 중, 아래쪽에 있는 제 1 순환 노즐(610, 예를 들어, 후술하는 노즐 급수포트(72b)와 연결된 순환 노즐)은 상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하며, 위쪽에 있는 제 2 순환 노즐(610, 예를 들어, 후술하는 노즐 급수포트(72a)와 연결된 순환 노즐)은 하방으로 순환수를 분사한다.
노즐 급수관(70)은 펌프(90)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복수의 순환 노즐(610)로 안내하는 것으로 개스킷(60)에 고정된다. 노즐 급수관(70)은 유입포트(75)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 관로(71)와, 이송 관로(71)를 따라 안내되는 물을 개스킷(60)에 구비된 복수의 순환 노즐(610)로 각각 분배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포함한다. 이송 관로(71)는 유입포트(75)를 통해 유입된 물을 양방향으로 분지시켜 안내할 수 있다. 이송 관로(71)는 개스킷(6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대략 원주 방향(또는, 개스킷(60)의 외주부가 이루는 환형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순환수를 안내할 수 있다.
이송 관로(71)는 순환수가 유동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관로는 유입포트(75)의 출구와 유로 연결되어 있다. 이송 관로(71)는 유입포트(75)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 중 제 1 부분류(FL1)를 제 1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관로부(71a)와, 유입포트(75)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 중 제 2 부분퓨(FL2)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2 관로부(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로부(71a)와 제 2 관로부(71b)는 서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관로부(71a)와 제 2 관로부(71b)는 각각, 유입포트(75)로부터 순환수가 유입되는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막혀 있다.
노즐 급수관(70)은 이송 관로(71)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는 복수의 순환 노즐(610)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포트(75)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이 배치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순환 노즐(610)의 수와 그에 따른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의 수는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각각의 노즐(610)은 개스킷(60)의 내주부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노즐 유입관(611)과, 노즐 유입관(611)과 연결된 노즐 헤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입관(611)은 개스킷(60)의 내주부와 연결된 일단에 포트 통과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대응하는 노즐(610)과 연결되어 있다.
개스킷(60)은, 노즐 유입관(611)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스킷(6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포트 삽입관(6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 삽입관(650)은 대응하는 노즐 유입관(611)과 연통되고,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대응하는 포트 삽입관(650) 내로 삽입된다. 노즐 급수포트들(72a, 72b, 72c, 72d)로부터 토출된 순환수가, 노즐 유입관(611)을 통해 노즐 헤드(612)로 공급된다.
이송 관로(71)는 제 1 부분류(FL1)가 안내되는 제 1 관로부(71a)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즐 급수포트(72a, 72b)가 형성된다. 제 1 노즐 급수포트(72a, 72b)들은 대응하는 순환 노즐들(610, 실시예에서 개스킷(60)을 정면에서 바라볼 시 좌측에 있는 순환 노즐)로 각각 순환수를 토출한다.
제 1 관로부(71a)는, 이송 관로(71)에 의해 형성된 유로 중에서, 연결포트(75) 의 출구로부터 제 1 방향(실시예에서는 전방에서 바라볼 시 시계방향)으로 순환수를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이송 관로(71)는 제 2 부분류(FL2)가 안내되는 제 2 관로부(71b)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즐 급수포트(72c, 72d)가 형성된다. 제 2 노즐 급수포트(72c, 72d)는 대응하는 제 2 순환 노즐들(610, 실시예에서 개스킷(60)을 정면에서 바라볼 시 우측에 있는 순환 노즐들)로 각각 순환수를 토출한다.
제 2 관로부(71b)는, 이송 관로(71)에 의해 형성된 유로 중에서, 연결포트(75) 의 출구로부터 제 2 방향(실시예에서는 전방에서 바라볼 시 시계반대방향)으로 순환수를 안내한다.
이송 관로(71)는 개스킷(60)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개스킷(60)을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통과하여 복수의 순환 노즐(610)과 각각 유로 연결된다.
이송 관로(71)의 내경부(714도 5와 같이 이송 관로(71)를 정면에서 바라볼 시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연결되는 내주 부분)에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71h)가 형성되고, 각각의 연통구(71h)의 둘레에는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의 입구부가 삽입되는 포트 연결홈(71r)이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의 입구부는 포트 열결 홈(71r) 내에서 내경부(714)와 접합된다.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의 입구부는 연통구(71h)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입구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7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경부(714)의 포트 연결홈(71r)은 플랜지(7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트 연결홈(71r) 내에서 플랜지(722)가 내경부(714)와 접합될 수 있다. 특히, 플랜지(722)는 포트 연결홈(71r)의 바닥과 접하는 제 1 면(722a) 상에 입구가 형성되고, 제 1 면(722a)으로부터 이격되어 플랜지(722)의 두께를 정의하는 제 2 면(722b)의 외경이 제 1 면(722a)의 외경 보다는 작아, 제 2 면(722b)의 외주와 제 1 면(722a)의 외주를 연결하는 원추형의 경사면(722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플랜지(722)가 포트 연결홈(71r)과 쇄기 구조로 걸리게 하기 때문에,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이송 관로(7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면(722b)은 이송 관로(71)의 내경부(714)의 연장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이송 관로(71)를 구성하는 용융된 재질 내에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인서트하여 노즐 급수관(70)을 제조하는 경우 경사면(722c)이 상기 융용된 재질 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이송 관로(71)와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공고하게 접합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노즐 급수관(70)은 파리손(parason)을 이용하여 이송 관로(71)를 형성하는 중공성형(Blow Mold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는 별도의 사출물로 형성된 후 상기 파리손에 인서트될 수 있다. 상기 파라손은,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density polyethylene),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상기 파리손 또는 이송 관로(71)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상기 파리손 또는 이송 관로(71)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세탁기의 개스킷(60)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610)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70)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미리 준비된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들을 금형 내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파리손(710)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을 통해 이송 관로(71)를 형성한다.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는 사출물일 수 있으며, 그 재질은 파리손(710)과 동종일 수도 이종일 수도 있다.
상기 금형은 하형(930)과 상형(9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형(930)에는 수평으로 놓인 노즐 급수관(70)의 아래쪽 일부분(바람직하게는, 대략 아래 쪽 절반부)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태의 제 1 캐비티(cavity)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는 후술하는 파리손(710)이 위쪽으로부터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형태이다.
상형(940)은 하형(930)의 상측에서 하형(930)과 합형되는 것으로, 하형(930)에 형성된 캐비티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노즐 급수관(70)의 나머지 부분(대략, 윗쪽의 절반부)과 대응하는 형태의 제 2 캐비티가 형성된다.
도 8의 (A)는 금형(930, 940)이 개형된 상태에서 하형(930)의 제 1 캐비티(cavity) 내에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를 위치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S1). 여기서,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는 미리 성형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출물이다.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는 후술하는 S3단계에서 캐비티 내에 투입되는 용융 상태의 파리손(710) 내에 매립되는 일종의 인서트에 해당한다. 실시예에 따라, 유입포트(75)도 S3단계 이전에 미리 성형된 상태에서 하형(930)의 캐비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원재 또는 이송 관로(71)를 이루는 재료를 압출하여 중공을 갖는 용융상태의 파리손(710)을 형성한다(S2). 압출기(extruder, 미도시)로부터 관상의 형태로 길게 출력되는 것으로써, 상기 압출기로부터 출력 시점의 온도는 대략 섭씨 195도 내지 205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00도이다.
상기 압출기로부터 출력된 파리손(710)이 S1단계에서 인서트(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 및/또는 유입포트(75))를 위치시킨 캐비티 내에 놓여질 수 있다. S2단계에서 상기 압출기로부터 출력된 파리손(710)이 적당한 길이로 절단된 후, 상기 캐비티 내에 놓여질 수 있다. 파리손(710)의 절단과 상기 캐비티 내로의 투입은 설비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인력에 의한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파리손(710)이 하형(930)의 캐비티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형(940)과 하형(930)이 합형된다(S3).이때, 파리손(710)의 개방된 양단은 상형(940)과 하형(9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금형(930, 940)에 형성된 기체 주입로(95)를 통해 고압의 기체가 주입된다(S5). 상기 기체는 공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압의 기체를 주입하는 과정은 중공압출성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기체가 주입되기 시작되는 시점에 파리손(710)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섭씨 180 내지 190도에 이른다.
기체가 주입되면서 파리손(710) 내의 중공이 팽창되기 때문에 파리손(710)이 금형(930, 940)의 캐비티 내면에 밀착되며 이송 관로(71)를 형성한다. 파리손(710) 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주입할 경우, 기체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파리손(710)의 온도도 자연스럽게 하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금형을 개형하기 전에 파리손(710)의 온도를 강제로 냉각시키는 단계가 더 실시되거나 자연 냉각되도록 대기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다.
이후, 상형(940)과 하형(930)을 여는 개형이 실시되고(S6), 캐비티로부터 파리손(710)과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가 형합된 성형물(실시예에 따라, 유입포트(75)가 별도의 인서트로 구성되는 경우, 유입포트(75)까지 포함하는 성형물)이 취출된다(S7).
이렇게 취출된 성형물은, S5단계에서 기체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팽창된 파리손(710)이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의 관로 내에까지 침범하기 때문에, 상기 관로가 파리손(71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폐색된 관로를 뚫는 가공 단계(S8)가 실시된다. 자동 타공 설비를 이용하거나 수동작업을 통해 상기 폐색된 관로가 통관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유입포트(75)가 인서트된 경우,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유입포트(75)도 통관될 수 있다.
한편, 유입포트(75)가 별도의 인서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 금형(930, 940)으로부터 취출된 성형물(복수의 노즐 급수포트(72a, 72b, 72c, 72d)와 파리손(710)이 형합된 형태)에서 파리손(710)의 중공과 연통하는 유입포트(75)를 가공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다.
금형(930, 940)의 캐비티는 유입포트(75)와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기체의 주입(S5) 과정에서 상기 부분에도 파리손(710)이 팽창과정에서 침투하여 유입포트의 외형을 이루는 돌기부를 구성하나, 상기 돌기부는 이송 관로(7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기는 하나 관로가 폐색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에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관로를 타공하는 단계에 의해 유입포트(75)가 가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된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물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입구를 연통시키고, 상기 드럼 내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순환 노즐을 구비한 환형의 개스킷;
    상기 개스킷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로 안내하는 노즐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급수관은,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안내하는 이송 관로; 및
    상기 이송 관로를 따라 안내되는 물을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로 각각 분배하는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관로의 내경부에는,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연통구의 둘레에는 상기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부가 삽입되는 포트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부는 상기 포트 연결 홈 내에서 상기 내경부와 접합되고,
    상기 각각의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부는,
    상기 연통구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는 입구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포트 연결홈의 내측에 접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은:
    상기 노즐 급수포트의 입구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트 연결홈의 바닥에 접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의 두께를 정의하고, 상기 포트 연결홈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해 기울어져 연장되어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포트 연결홈의 내측에 접합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이송 관로의 내경부의 연장면 상에 위치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연결홈은 상기 플랜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트 연결홈 내에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내경부와 접합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내주부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 급수관은,
    상기 이송 관로가 상기 개스킷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가 상기 개스킷을 상기 외주부로부터 상기 내주부로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순환 노즐과 각각 유로 연결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관로는,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물을 양방향으로 분지시켜 안내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관로와 상기 복수의 노즐 급수포트는 재질이 상이한 세탁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63983A 2018-06-04 2018-06-04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KR102638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983A KR102638187B1 (ko) 2018-06-04 2018-06-04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US16/430,949 US11680351B2 (en) 2018-06-04 2019-06-04 Washing machine with conduit for supplying water to nozzles at gas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it
PCT/KR2019/006726 WO2019235814A1 (en) 2018-06-04 2019-06-04 Washing machine with conduit for supplying water to nozzles at gas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it
CN201980051871.7A CN112543825B (zh) 2018-06-04 2019-06-04 具有用于向垫圈处的喷嘴供水的导管的洗衣机以及该导管的制造方法
AU2019283481A AU2019283481B2 (en) 2018-06-04 2019-06-04 Washing machine with conduit for supplying water to nozzles at gas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it
EP19178232.5A EP3578708A3 (en) 2018-06-04 2019-06-04 Washing machine with conduit for supplying water to nozzles at gas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d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983A KR102638187B1 (ko) 2018-06-04 2018-06-04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993A KR20190137993A (ko) 2019-12-12
KR102638187B1 true KR102638187B1 (ko) 2024-02-16

Family

ID=6677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983A KR102638187B1 (ko) 2018-06-04 2018-06-04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80351B2 (ko)
EP (1) EP3578708A3 (ko)
KR (1) KR102638187B1 (ko)
CN (1) CN112543825B (ko)
AU (1) AU2019283481B2 (ko)
WO (1) WO2019235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5331B2 (en) 2020-11-20 2023-08-1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recirculation assembly for a laundry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810A (ja) * 2010-09-28 2012-04-12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704622D0 (sv) * 1987-11-23 1987-11-23 Horda Ab Sett och anordning att tillverka foremal samt foremal framsstellt genom forfarandet och anordningen
JPH03143616A (ja) * 1989-10-31 1991-06-19 Toyoda Gosei Co Ltd ブロー製品の製造方法
JPH05212776A (ja) 1990-11-30 1993-08-24 Tokai Rubber Ind Ltd 開口部を有するブロ−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品
JPH06285963A (ja) 1993-03-31 1994-10-11 Tsuchiya Mfg Co Ltd パイプ付ブロー成形品の製造方法
JPH08192457A (ja) * 1995-01-20 1996-07-30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パイプ状インサート付ブロー成形品のパイプ状インサートの構造
GB2358157B (en) 2000-01-05 2004-09-29 Draftex Ind Ltd Blow-moulded articles and blow-moulding methods for producing them
EP1788138A1 (de) 2005-11-21 2007-05-23 MIELE & CIE. KG Stirnseitig 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oder Waschtrockner
CN103547724B (zh) * 2011-04-14 2016-05-04 Lg电子株式会社 洗涤方法
ES2446115B1 (es) * 2012-09-06 2015-03-06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Junta anular de embocadura para una máquina lavadora de carga frontal con sistema de remojado de colada y máquina lavadora de carga frontal que comprende la junta
EP2719814A1 (en) * 2012-10-09 2014-04-16 Candy S.p.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etergent activation
KR20150053608A (ko) 2013-11-08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6515005B2 (ja) 2015-09-29 2019-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20180063983A (ko) 2016-12-03 2018-06-14 유채영 한글로 소통하는 커플케이스필름
CN107604603B (zh) 2017-09-25 2019-11-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用于衣物处理装置的喷嘴和喷淋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810A (ja) * 2010-09-28 2012-04-12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83481B2 (en) 2022-11-24
AU2019283481A1 (en) 2021-01-28
EP3578708A2 (en) 2019-12-11
KR20190137993A (ko) 2019-12-12
CN112543825B (zh) 2023-08-18
WO2019235814A1 (en) 2019-12-12
US20190368113A1 (en) 2019-12-05
US11680351B2 (en) 2023-06-20
CN112543825A (zh) 2021-03-23
EP3578708A3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7598A1 (en) Washing machine having circulation nozzles
KR102638187B1 (ko)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노즐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노즐 급수관의 제조방법
ITTO20110942A1 (it) Macchina lavastoviglie
US20230265594A1 (en) Washing machine
KR102638188B1 (ko) 개스킷에 형성된 복수의 순환 노즐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순환수 급수관을 구비한 세탁기 및 상기 순환수 급수관의 제조방법
US11377775B2 (en) Washing machine
US11692296B2 (en) Washing machine
US1146639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00001525A (ko) 세탁기
KR102655311B1 (ko) 세탁기
US11346038B2 (en) Washing machine
KR10247794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131893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