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132B1 -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132B1
KR102638132B1 KR1020230093962A KR20230093962A KR102638132B1 KR 102638132 B1 KR102638132 B1 KR 102638132B1 KR 1020230093962 A KR1020230093962 A KR 1020230093962A KR 20230093962 A KR20230093962 A KR 20230093962A KR 102638132 B1 KR102638132 B1 KR 10263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anel
base fixing
fixing pane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성
임상문
임태강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항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항측 filed Critical (주)아세아항측
Priority to KR102023009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hock-absorbers or springs
    • B64C25/62Spring shock-absorber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80Arrangement of on-board electronics, e.g. avionics systems or wiring
    • B64U20/87Mounting of imaging devices, e.g. mounting of gimb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을 부유하도록 된 드론에 마련되어, 촬영이미지들을 합성하기 위해 다중 촬영하도록 된 촬영장치로서, 상기 드론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고정패널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지지샤프트들로 이루어진 가이드연결부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연결된 상기 연결지지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브라켓과, 상기 연결지지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연결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작동회전모터와, 상기 작동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작동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샤프트와,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에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 촬영카메라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져, 드론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패널에 다수의 연결지지샤프트와 촬영카메라를 마련하여 다양한 각도를 동시에 촬영가능하게 되므로,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촬영영상의 합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Shooting device for composite processing of captured images}
본 발명은 항공촬영 기술 분야 중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패널에 다수의 연결지지샤프트와 촬영카메라를 마련하여 다양한 각도를 동시에 촬영가능하게 되므로,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촬영영상의 합성이 용이하게 되는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는 인간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 작동에 의하여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하며 최근에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형태의 것을 드론(drone)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이 개발된 초기의 용도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를 대신하여 표적 대상물로 사용되는 등 군사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무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정찰기의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근래에는 화물수송은 물론 농업에서 농약살포에도 활용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는 점차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고,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갖는 드론이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촬영에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드론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촬영을 위해 드론을 회전시켜야하므로 드론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도나 움직임에 의해 균일한 품질의 촬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등록 제176292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패널에 다수의 연결지지샤프트와 촬영카메라를 마련하여 다양한 각도를 동시에 촬영가능하게 되므로,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촬영영상의 합성이 용이하게 되는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중을 부유하도록 된 드론에 마련되어, 촬영이미지들을 합성하기 위해 다중 촬영하도록 된 촬영장치로서, 상기 드론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고정패널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지지샤프트들로 이루어진 가이드연결부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연결된 상기 연결지지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브라켓과, 상기 연결지지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연결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작동회전모터와, 상기 작동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작동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샤프트와,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에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 촬영카메라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는 상기 드론이 착륙시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체결된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완충브라켓들과,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체결된 상기 완충브라켓에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완충지지실린더와,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의 이송축에 상면이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연동승강패널과,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에 체결된 상기 연동승강패널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과, 상기 연동승강패널에 연결된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승강패널과, 상기 지지승강패널의 저면에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마찰패널과,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는, 설치과정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는 드론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패널에 다수의 연결지지샤프트와 촬영카메라를 마련하여 다양한 각도를 동시에 촬영가능하게 되므로,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촬영영상의 합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착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의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의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의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착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의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의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의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촬영장치라 명명함)는 공중을 부유(비행)하도록 된 통상의 드론(100)에 마련되어, 촬영이미지들을 합성하기 위해 다중 촬영하도록 된 촬영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촬영장치(10)는 베이스고정패널(20)과 가이드연결부(30)와 연결고정브라켓(40)와 작동회전모터(50)와 회전가이드샤프트(60)와 송,수신기(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은 드론(100)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패널구조로 형성되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은 상기 드론(100)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드론(100)은 날개를 갖는 모터들이 마련되어 부유함과 아울러 비행하도록 된 통상의 드론(100)이다.
상기 가이드연결부(30)는 베이스고정패널(20)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지지샤프트(3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지지샤프트(31)들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지지샤프트(31)는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유지하며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의 형상으로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결지지샤프트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정브라켓(40)는 베이스고정패널(20)에 연결된 상기 연결지지샤프트(3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고정브라켓(40)은 상기 연결지지샤프트(31)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재질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회전모터(50)는 연결지지샤프트(31)에 체결된 상기 연결고정브라켓(4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작동회전모터(50)는 상기 연결고정브라켓(4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60)는 작동회전모터(5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작동회전모터(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60)는 상기 회전축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작동회전모터(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작동회전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60) 및 상기 촬영카메라(70)가 회전하면서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촬영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촬영카메라(70)로 다양한 방향을 촬영하게 되므로, 단일촬영카메라(70)를 회전시키거나 드론(100)을 회전시켜 촬영하는 것에 비해,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촬영카메라(70)는 회전가이드샤프트(60)에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다.
상기 촬영카메라(70)는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6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60)들에 촬영카메라(70)가 연결되어, 다수의 카메라가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의 방향을 동시에 촬영가능하여, 동일 고도에서 촬영된 촬영정보들을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송신받은 단말기에서 촬영된 촬영정보들을 합성하여 정밀한 하나의 촬영정보로 편집시 정밀한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단일 촬영카메라(70)로 촬영시 촬영카메라(70) 또는 드론(100)을 회전시키면서 촬영해야하므로 촬영정보들을 하나의 촬영정보(사진)으로 편집시 정밀한 편집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회전되면서 드론(100)이 기류나 바람에 의해 승강시 촬영정보들의 배율(크기)이 변경되어 하나의 촬영정보로 편집시 정밀한 편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송,수신기(21)는 베이스고정패널(20)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카메라(70)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게 된다.
상기 송,수신기(21)는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촬영카메라(70)들에서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외부에 송출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는 상기 드론(100)이 착륙시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8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80)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 체결된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완충브라켓(81)들과,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 체결된 상기 완충브라켓(81)에 일단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완충지지실린더(82)와, 상기 완충지지실린더(82)의 이송축에 상면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완충지지실린더(82)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연동승강패널(83)과, 상기 완충지지실린더(82)에 체결된 상기 연동승강패널(83)의 저면에 상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84)과, 상기 연동승강패널(83)에 연결된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84)의 하단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승강패널(85)과, 상기 지지승강패널(85)의 저면에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마찰패널(86)과,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완충지지실린더(82)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87)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드론(100)이 지면이나 구조물에 착륙이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비행시 상기 완충지지실린더(82)의 구동에 의해 연동승강패널(83), 탄성완충코일스프링(84), 지지승강패널(85) 및 탄성마찰패널(86)을 드론(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영카메라(70)가 촬영하거나 이동시 가리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착륙시 위치감지센서(87)가 근접되는 지면이나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완충지지실린더(82)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연동승강패널(83), 탄성완충코일스프링(84), 지지승강패널(85) 및 탄성마찰패널(86)를 지면이나 대상물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영카메라(70)가 지면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84)과 상기 탄성마찰패널(86)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브라켓(81)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의 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마찰패널(86)의 저면에는 지면에 착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마찰돌기들이 돌출되게 일체로 더 형성시키켜, 지면에 걸림되거나 마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마찰패드(86)에는 저면에 통수홀들을 더 형성시켜, 착륙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물기가 일부 유입됨과 아울러 지면에 걸림되어, 물기에 의해 수막이 형성되면서 미끄러지는 것일 방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는 저면에 송풍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착륙시 지면의 이물질이나 물기 이동시시켜, 착륙시 이물질을 지지하여 기울어 지면서 쓰러지거나, 물기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는 저면에 바이브레이터인 탈거진동기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탈거진동기의 진동이 촬영카메라(70)에 전달되어, 렌즈에 달라붇은 이물질이나 물기를 탈거시키고, 드론(100) 및 베이스고정패널(2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회전가이드샤프트(60)가 회전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지지샤프트(31)에 지지코일스프링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다른 연결지지샤프트(31)에 상기 지지코일스프링의 타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지지샤프트(31)가 이동시 상기 지지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는 고정샤프트의 상단부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샤프트의 하단부를 상기 지지코일스프링에 나사체결하여 상기 지지코일스프링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승강패널(85)의 외측면에는 경사걸림샤프트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경사결림샤프트은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탄성마찰패널(86)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걸림샤프트의 타단이 탄성마찰패널(86)의 저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착륙시 지면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착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는, 설치과정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9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90)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지면에 배치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촬영장치 20 : 베이스고정패널
21 : 송,수신기 30 : 가이드연결부
31 : 연결지지샤프트 40 : 연결고정브라켓
50 : 작동회전모터 60 : 회전가이드샤프트
70 : 촬영카메라 80 :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
81 : 완충브라켓 82 : 완충지지실린더
83 : 연동승강패널 84 : 탄성완충코일스프링
85 : 지지승강패널 86 : 탄성마찰패널
87 : 위치감지센서
90 :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드론

Claims (2)

  1. 삭제
  2. 공중을 부유하도록 된 드론에 마련되어, 촬영이미지들을 합성하기 위해 다중 촬영하도록 된 촬영장치로서,
    상기 드론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고정패널;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지지샤프트들로 이루어진 가이드연결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연결된 상기 연결지지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브라켓;
    상기 연결지지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연결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작동회전모터;
    상기 작동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작동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샤프트;
    상기 회전가이드샤프트에 마련되어, 촬영하도록 된 촬영카메라; 및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는 상기 드론이 착륙시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착륙충격완충수단은,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체결된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완충브라켓들과,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체결된 상기 완충브라켓에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완충지지실린더와,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의 이송축에 상면이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연동승강패널과,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에 체결된 상기 연동승강패널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과,
    상기 연동승강패널에 연결된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승강패널과,
    상기 지지승강패널의 저면에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마찰패널과,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완충지지실린더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고정패널에는, 설치과정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작업상태감시연속상황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KR1020230093962A 2023-07-19 2023-07-19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KR10263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962A KR102638132B1 (ko) 2023-07-19 2023-07-19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962A KR102638132B1 (ko) 2023-07-19 2023-07-19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132B1 true KR102638132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962A KR102638132B1 (ko) 2023-07-19 2023-07-19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1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348B1 (ko) * 2009-10-29 2010-06-10 (주)새한지오텍 항공촬영 이미지의 편집 및 도화처리를 위한 영상처리용 필터링 시스템
KR20170045022A (ko) * 2015-10-16 2017-04-26 김제욱 자동 항공촬영 시스템
KR101762927B1 (ko) 2016-12-30 2017-07-2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
KR101830296B1 (ko) * 2017-09-06 2018-02-20 (주)원지리정보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KR101929846B1 (ko) * 2018-06-11 2018-12-17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027932B1 (ko) * 2019-06-18 2019-10-04 주식회사 엔지엘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348B1 (ko) * 2009-10-29 2010-06-10 (주)새한지오텍 항공촬영 이미지의 편집 및 도화처리를 위한 영상처리용 필터링 시스템
KR20170045022A (ko) * 2015-10-16 2017-04-26 김제욱 자동 항공촬영 시스템
KR101762927B1 (ko) 2016-12-30 2017-07-2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
KR101830296B1 (ko) * 2017-09-06 2018-02-20 (주)원지리정보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KR101929846B1 (ko) * 2018-06-11 2018-12-17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KR102027932B1 (ko) * 2019-06-18 2019-10-04 주식회사 엔지엘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3976B2 (en) UAV arresting hook for use with UAV recovery system
US7219856B2 (en) UAV recovery system
US20230126449A1 (en) Rotary wing aircraft
US7510145B2 (en) UAV recovery system II
WO2020030919A1 (en) Drone docking system
US20090216394A1 (en) Turret assemblies for small aerial platforms, including unmanned aircraft, and associated methods
US7562847B2 (en) Autonomous in-flight refueling system
KR20190116748A (ko)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US11518511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recovery
US10753714B2 (en) Non-motorized type flying unit for observation
DE102015008255A1 (de) Abwehrdrohne zum Abfangen einer Kleindrohne
KR102638132B1 (ko) 촬영이미지 합성처리를 위한 촬영장치
KR102135939B1 (ko)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KR101838734B1 (ko) 고정밀 이미지 획득을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KR102638133B1 (ko) 고해상도를 구현을 위한 항공 촬영장치
KR102638134B1 (ko) 지피에스 위성 촬영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촬영 장치
KR102381007B1 (ko) 이중 폴딩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CN205405272U (zh) 一种无人机抓捕系统
KR20220074647A (ko) 충돌 저감 외부 장치를 가지는 자이로볼드론
US11199388B2 (en) Payload activation device
KR101924041B1 (ko) 항공촬영용 스테레오 카메라의 수직방향 고정브라켓
US6328263B1 (en) Parachute assembly
KR200197612Y1 (ko) 무선 영상 촬영장치의 랜딩스키드구조
KR102371104B1 (ko) 관측장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드론
KR102536280B1 (ko) 탈부착 가능한 vr 카메라 무진동 짐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