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053B1 -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053B1
KR102638053B1 KR1020210156355A KR20210156355A KR102638053B1 KR 102638053 B1 KR102638053 B1 KR 102638053B1 KR 1020210156355 A KR1020210156355 A KR 1020210156355A KR 20210156355 A KR20210156355 A KR 20210156355A KR 102638053 B1 KR102638053 B1 KR 10263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valve
sealing
ga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607A (ko
Inventor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이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운 filed Critical 이지운
Priority to KR102021015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05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26Neck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43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comprising threads, e.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기실을 갖도록 튜브로 형성한 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구성형공정과; 부구밸브제조공정과; 차단판성형공정과; 가스튜브제조공정과; 가스튜브투입공정과; 차단판설치공정과; 팽창가스주입공정과; 밀폐밸브밀폐공정과; 부구밸브결합공정과; 공기주입공정과; 부구밸브밀폐공정과; 보호캡결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제조방법으로, 속이 빈 중공의 부구에 밸브장착용의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을 일체로 성형하여 튜브투입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부구 내부에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을 차단하도록 양방향 밀폐밸브를 구성한 가스튜브를 투입한 것과; 상기 부구의 튜브투입구를 막도록 차단판을 구성한 것과; 상기 가스튜브 내부에 공기보다 팽창력이 큰 가스를 주입한 것과; 상기 부구의 시트링에 체크밸브를 구성한 부구밸브를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를 통하여 가스튜브 외부와 부구 내부 사이에 부구의 부력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층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A buoy hav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buoyancy in case of breakag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굴, 김 등의 수산물 양식하기 위한 양식장을 설치하거나 가두리양식장을 설치하기 위하여 물에 띄우는 양식장용 부구의 내부에 튜브를 내장하여 부구의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굴, 김 등의 수산물 양식하기 위해서는 물에 뜨는 부구에 수산물의 종자 또는 종패를 심은 밧줄을 연결하여 양식하며, 물고기를 양식하기 위한 가두리양식장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거물의 끝단을 부구에 매달아 거대한 어항을 만든다.
이때의 부구는 밧줄에 고정되어 부력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바다 위에 떠서 밧줄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게 된다.
또한, 해양에서 그물을 이용하여 어류를 가두어 양식하는 가두리 및 바다 양식장을 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을 사각형태로 연결하고 이들 프레임에 부구를 결합하여 물에 뜨도록 한 다음, 프레임의 하부에 가두리망을 설치하여 가두리망이 바다 속으로 가라 앉지 않도록 하여 가두리 양식장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산물을 양식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부구는 파도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부력을 극대화하는 목적을 달성해야만 그 역할을 할 수 있는바, 여기에 대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는 부구의 종류는 스티로폼, 합성수지계, 합성수지 피복제, EVA 폼 등이며, 우리 연안 어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구는 85%가 스티로폼 부구이다.
이와 같은 스티로폼 부구의 문제점으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구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부력이 떨어지고, 태풍 등 강한 파도에 파손되어 스티로폼 조각이 해변에 쌓이거나 해안에 부유하면서 해양환경오염원이 됨은 물론, 부구를 폐기처분시 자연환경오염 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취급이나 재활용이 어려워 어민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개량된 것으로 최근에는 합성수지계, 합성수지 피복제, EVA 폼, UV코팅된 고밀도(High Density)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고강도 고무 파이프 및 우레탄, FRP 등으로 제작하여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부구보다 강도를 향상시키고, 부구를 폐기처분시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부구에서 새로이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사용중인 부구가 항해중인 어선과 부딪치거나 다른 이유로 파손 되었을시 내부에 물이 차서 부력을 상실함은 물론, 이와 같이 파손된 부구는 회수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시키는 바, 지금까지는 부구의 부력에만 신경 쓸뿐 부구의 파손에 따른 대처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에 지금까지 개발되어 실시 되고 있는 부구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05-0032816호(2005.04.15)는, 제조가 손쉽고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며 야간에 식별능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누구의 양식장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산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로어 성형방법으로 구형의 공모양으로 된 내피를 제조하고, 내피를 소정의 금형에 넣은 상태로 성형하여 내피와 외피가 일체로 된 부구를 성형함으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고 외관이 단정한 부구를 제조하되, 내피 표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한 뒤 이를 소정의 금형에 넣은 상태에서 투명수지로서 외피를 성형하여 내피와 외피가 일체로 된 부구를 성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시 야간 식별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내부에 내피가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됨으로서 접합부위가 전혀없어 부구의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외피가 투명소재인데다가 내피 표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함으로서 야간 식별력이 뛰어나고, 더불어 상기 내피 표면에 소유자표기를 비롯한 소유자의 상호 등을 인쇄 또는 표기한 뒤 외피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어 소유자 식별 또한 이루어질 수 있는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게 된다. 특허출원 제10-1987-0011426호(1987.10.14)는 동일 중심으로 형성된 이중벽 구조의 튜브조립품이 열가소성 수지, 특히 나일론으로 만들어지고, 공기나 질소 같은 가스, 혹은 액체등의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고, 유압으로 작용되는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 코넥터나 커플링에 쉽게 연결될 수 있는 이중벽 구조의 긴 튜브조립품에 관한 것이며 또한 크로스헤드 다이와 사이징 다이기를 갖춘 압출성형기를 사용한 압출성형 방법으로 재생가능하고 치수가 매우정확한 이중벽 구조의 긴튜브 조립품을 계속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6-0132804호(2016.10.13.)는, 다중벽관을 이용한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의 내압층 외면으로 내부홈과 외부홈이 요철형태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외부 보강층의 외경으로 외경 마감층을 이루는 몸통부의 양쪽 선단에서 내압층 덮개와 자외선 안정층 덮개로 이루어지는 덮개부를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면서 부력을 제공하여 부표로 사용하는 것이며, 다층구조를 통하여 표면층이 파손되는 경우라도 일부에서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도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다중벽관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7-0074415(2007.07.25)는 공기 입출식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내부와 연결되는 삽입공을 갖는 밸브고정부가 일측에 형성된 연질성의 부자 몸체와, 상기 밸브고정부의 삽입공에 삽입되며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공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 및 밸브코어로 구성된 밸브와, 상기 밸브의 통공을 통한 공기의 배출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밸브고정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밸브의 통공을 막는 보호캡을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밸브몸체의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고정부의 삽입공에는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캡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의 걸림턱은 상기 밸브고정부의 단턱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보호캡의 나사부는 상기 밸브고정부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공기 입출식 양식용 부자이다 특허출원제10-2019-0042120호(2019.04.10)는 수산물 양식용 부구나 수상 태양광용 플로트 등과 같은 각종 부력체에 관련된 것으로, 상세히는 부력체의 구조를 내외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외부 부력체의 파손에도 불구하고 내부 부력체에 의한 부력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회전성형용 몰드에 폴리에틸렌 수지 파우더를 주입한 후 회전시키면서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시켜 몰드의 캐비티 형태로 중공의 내부 부력체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내부 부력체를 회전성형용 몰드 내부에 내부 부력체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 중자를 사용하여 몰드면과 이격된 상태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내부부력체가 삽입 고정된 회전성형용 몰드에 수지 파우더를 주입한 후 회전시키면서 수지 파우더를 가열 용융시켜 몰드의 캐비티 형태로 외부 부력체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 부력체 내부에 내부 부력체가 이격된 상태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특허출원 제10-2020-0038830호(2020.03.31.)는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는,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1몸체부; 및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2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과 상기 제2이중사출면에 이중사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2내부공간은 외부와 밀폐된 중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출원 제10-2016-0048215호(2016.04.20)는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FRP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홈부와 돌출부가 연속해서 형성되는 내부 보강 몸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에서 측면 마감판을 용접으로 고정한 후 전체면의 외측에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면서 내부 보강 몸체에 열수축으로 감싸 고정하여 바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의 부구들이 사용에 편리함 만을 추구하고 사용 중 파손되었을 때를 대비하지 않으므로써 파손된 부구의 침잠과 회수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았는바,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부구를 내부에 튜브가 내장된 이중 부구로 제작하고 내부의 튜브에는 팽창계수가 높은 가스를 대기압 또는 이보다 0.1~1kgf/㎠ 높은 압력으로 충진하고 튜브 외부의 부구 내부에 부구가 부력을 유지하기에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를 제공하여 부구의 파손에 대비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실을 갖도록 튜브로 형성한 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구를 성형하는 블로워(Blower)몰딩기에서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을 일체로 인써트 성형하여, 가스튜브의 투입이 자유로운 튜브투입구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부구성형공정과; 상기 튜브투입구에 장착하는 부구밸브를 제조하는 부구밸브제조공정과; 상기 튜브투입구에 설치되어 가스튜브를 보호하는 차단판을 성형하는 차단판성형공정과; 상기 부구 내부에 투입되며 양방향 밀폐밸브를 구성하여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이 차단되도록 양방향 밀폐밸브를 구성한 가스튜브를 성형하는 가스튜브제조공정과; 상기 가스튜브제조공정에서 제조된 가스튜브를 부구성형공정에서 성형한 부구의 튜브투입구를 통하여 부구 내부로 투입하는 가스튜브투입공정과; 상기 차단판성형공정에서 성형한 차단판을 튜브투입구를 밀폐하여 가스튜브를 보호하도록 설치하는 차단판설치공정과; 상기 가스튜브투입공정에서 부구 내부로 투입한 가스튜브 내부에 공기보다는 팽창력이 뛰어난 가스를 주입하는 팽창가스주입공정과; 상기 팽창가스주입공정에서 가스튜브 내부에 공기보다는 팽창력이 뛰어난 가스를 주입하여 가스튜브의 외면이 부구의 내면에 닿도록 팽창한 상태에서 가스튜브의 밀폐밸브의 바깥쪽을 밀폐하는 밀폐밸브밀폐공정과; 밀폐밸브밀폐공정에서 밀폐밸브의 바깥쪽을 밀폐한 상태에서, 부구밸브제조공정에서 제조한 부구밸브를 시트링의 튜브투입구에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하는 부구밸브결합공정과; 상기 부구밸브결합공정에서 부구에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한 부구밸브를 통하여 가스튜브 외부와 부구 내부 사이에 부구의 부력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여 부구와 가스튜브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기주입공정과; 상기 공기주입공정에서 부구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부구밸브의 밀폐홈을 밀폐캡으로 밀폐하는 부구밸브밀폐공정과; 상기 부구밸브밀폐공정에서 밀폐홈을 밀폐캡으로 밀폐한 부구밸브를 보호하도록, 보호캡을 결합하는 보호캡결합공정으로으로 이루어지는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제조방법으로, 속이 빈 중공의 부구에 밸브장착용의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을 일체로 성형하여 튜브투입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부구 내부에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을 차단하도록 양방향 밀폐밸브를 구성한 가스튜브를 투입한 것과; 상기 부구의 튜브투입구를 막도록 차단판을 구성한 것과; 상기 가스튜브 내부에 공기보다 팽창력이 큰 가스를 주입한 것과; 상기 부구의 시트링에 체크밸브를 구성한 부구밸브를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를 통하여 가스튜브 외부와 부구 내부 사이에 부구의 부력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층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링은.부구와 일체로 인써트사출성형하도록 외주연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바깥측 단부에 보호플랜지를 형성하며, 내주연에 세목나사를 형성한 밸브홀더결합부를 구성하고, 그 안측으로 튜브투입구를 형성하는 밀폐플랜지를 형성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는, 시트링의 세목나사에 결합합되는 세목나사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바깥측 내주면에는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공구결합부를 형성하며, 튜브투입구으로 진입하는 공간확보링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공간확보링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기공을 형성하며, 중앙의 바깥측에 밀폐캡을 결합하는 밀폐홈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홈 안측단 중앙에 밸브결합공을 형성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결합공에 결합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밀폐홈에 결합되고 바깥측 중앙에 렌치공을 형성한 밀폐캡과; 상기 밀폐캡과 밸브시트를 보호하도록 부구에 결합하는 보호캡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시트링과 밸브시트 사이에 밀폐링을 삽입하여 밸브시트를 밀폐링에 결합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부구를 내부에 가스튜브가 내장된 이중 부구로 제작하고 가스튜브에 팽창계수가 높은 가스를 가스튜브가 팽창하여 부구 내부를 채우도록 주입하고 부구 내부에 부구가 부력을 유지하기에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가스튜브와 부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부구가 외부의 충격으로 파손 되더라도 내부의 튜브가 팽창하여 부구의 내부를 채움으로써 부구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구를 회수 할 때 까지 부력을 유지함은 물론, 파손된 부구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한 신규한 효과를 창출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따른 공정 예시도.
도 2는은 본 발명의 요부인 가스튜브투입구와 밸브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표에 가스튜브를 삽입한 상태 예시도.
도 4는 도2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부표의 가스튜브에 가스를 주입한 상태 예시도.
도 6은 도4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표에 공기를 충진한 상태 예시도.
도 8은 도6의 C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공기실을 갖도록 튜브로 형성한 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구(10)를 성형하는 블로워(Blower)몰딩기에서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20)을 일체로 인써트 성형하여, 가스튜브(50)의 투입이 자유로운 튜브투입구(25)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부구성형공정과;
상기 시트링(20)에 장착하는 부구밸브(30)를 제조하는 부구밸브제조공정과;
상기 시트링(20)의 튜브투입구(25)에 설치되어 가스튜브(50)를 보호하는 차단판(60)을 성형하는 차단판성형공정과;
상기 부구(10) 내부에 투입되며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이 차단되도록 밀폐밸브(51)를 구성한 가스튜브(50)를 성형하는 가스튜브제조공정과;
상기 가스튜브제조공정에서 제조된 가스튜브(50)를 부구성형공정에서 성형한 부구(10)의 튜브투입구(25)를 통하여 부구(10) 내부로 투입하는 가스튜브투입공정과;
상기 차단판성형공정에서 성형한 차단판(60)으로 튜브투입구(25)를 밀폐하여 가스튜브(50)를 보호하도록 설치하는 차단판설치공정과;
상기 가스튜브투입공정에서 부구(10) 내부로 투입한 가스튜브(50) 내부에 공기보다는 팽창력이 뛰어난 팽창가스를 주입하는 팽창가스주입공정과;
상기 팽창가스주입공정에서 가스튜브(50) 내부에 공기보다는 팽창력이 뛰어난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한 가스튜브(50)가 부구(10) 내부를 채웠을 때 밀폐밸브(51)의 바깥쪽을 밀폐하는 밀폐밸브밀폐공정과;
밀폐밸브밀폐공정에서 밀폐밸브(51)의 바깥쪽을 밀폐한 상태에서 부구밸브제조공정에서 제조한 부구밸브(30)를 시트링(20)의 튜브투입구(25)에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하는 부구밸브결합공정과;
상기 부구밸브결합공정에서 부구(10)에 일체로 결합한 부구밸브(30)를 통하여 부력에 필요한 공기를 부구(10) 내부로 주입하여, 부구(10)와 가스튜브(50) 사이에 공기층(70)을 형성하는 공기주입공정과;
상기 공기주입공정에서 부구(10) 내부에 공기층(70)이 형성된 상태에서 부구밸브(30)의 밀폐홈(35)을 밀폐캡(38)으로 밀폐하는 부구밸브밀폐공정과;
상기 부구밸브밀폐공정에서 밀폐한 밀폐캡(38)과 상기 부구밸브(30)를 보호하도록 보호캡(40)을 결합하는 보호캡결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파손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제조방법을 실시한다.
상기한 파손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제조방법을 실시하여, 속이 빈 중공의 부구(10)에 부구(10)에 부구밸브(30)를 나사결합하는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20)을 일체로 성형하여 튜브투입구(25)를 형성한 것과;
상기 부구(10) 내부에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을 차단하도록 밀폐밸브(51)를 구성한 가스튜브(50)를 투입한 것과;
상기 부구(10)의 튜브투입구(25)를 막도록 차단판(60)을 구성한 것과;
상기 가스튜브(50) 내부에 공기보다 팽창력이 큰 팽창가스를 주입하고 밀폐밸브(51)를 밀폐한 것과;
상기 부구(10)의 시트링(20)에 체크밸브(37)를 구성한 부구밸브(30)를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30)를 통하여 부구(10) 내부로 부구(10)의 부력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여 부구(10)와 가스튜브(50) 사이에 공기층(70)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를 얻는다.
여기서 상기 시트링(20)은.부구(10)와 일체로 인써트사출성형하도록 외주연에 결합돌기(21)를 형성하며, 바깥측 단부에 보호플랜지(22)를 형성하며, 내주연에 세목나사를 형성한 밸브홀더결합부(23)를 구성하고, 그 안측으로 튜브투입구(25)를 형성하는 밀폐플랜지(24)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부구밸브(30)는, 상기 시트링(20)의 세목나사에 결합되는 세목나사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공구결합부(32)를 형성하며, 튜브투입구(25)로 진입하는 공간확보링(33)을 일체로 형성하며, 중앙의 바깥측에 밀폐캡(38)을 결합하는 밀폐홈(35)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홈(35) 안측단 중앙에 밸브결합공(36)을 형성한 밸브시트(31)를 구성한다.
상기 체크밸브(37)는 밸브결합공(36)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밀폐캡(38)은 밀폐홈(35)에 결합되고 바깥측 중앙에 렌치공(39)을 형성한다.
보호캡(40)은 부구밸브(30)를 보호하도록 부구(10)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밀폐링(45)은 시트링(20)과 밸브시트(3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공간확보링(33)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기공(34)을 형성하여 주입된 공기가 부구(10) 내부와 가스튜브(50)사이로 쉽게 진입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확보링(33)에는 통기공(34)을 대신하여 내측 단부에 공기가 진입하는 요홈을 형성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구성형공정에서 부구(10)에 부구밸브(30)를 나사결합하는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20)을 일체로 인써트 성형한 부구(1) 내부에, 튜브투입구(25)를 통하여 가스튜브제조공정에서 얻어진 가스튜브(50)를 투입한다.
이때의 가스튜브(50)는 내부에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을 차단하도록 양방향으로 밀폐하는 밀폐밸브(51)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밀폐밸브(51)의 구성은 체크밸브를 구성하여 가스를 주입하고 나면 주입공 외측을 별도의 밀폐캡으로 밀폐하도록 하거나 본딩하는 방법 등으로 밀폐하여, 반드시 가스튜브 내부의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 부구 내부에 충진된 공기 또한 가스튜브(50)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차단판성형공정에서 얻어진 차단판(60)을 상기 가스튜브(50)를 감싸서 튜브투입구(25)을 막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가스튜브(50)에 형성된 밀폐밸브(51)는 차단판(60)의 중앙에 형성한 밸브결합공(6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가스를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60)을 가스튜브(50)에 형성된 밀폐밸브(51)에 끼워서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60)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스튜브(50) 내부로 공기보다 팽창력이 높으면서도 폭발력이 없는 팽창가스를 대기압보다 0.1~1kgf/㎠ 정도 높은 압력으로 주입하여 가스튜브(50)가 팽창하여 외면이 부구(10)의 내면에 채워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스튜브(50)에 팽창가스가 충진되면 밀폐밸브(51)의 바깥측을 별도의 밀폐캡으로 밀폐하거나 본딩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밀폐하여 내부의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 부구 내부에 충진된 공기 또한 가스튜브(50)의 내부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스튜브(50)에 팽창가스가 충진된 상태에서 튜브투입구(25)는 차단판(60)이 막아서 팽창한 가스튜브(50)가 구멍이 큰 튜브투입구(25)를 통하여 삐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부구성형공정에서 부구(10)에 일체로 인써트 성형한 시트링(20)에 부구밸브제조공정에서 제조한 부구밸브(30)를 장착한다.
즉 부구밸브(30)를 구성하는 밸브시트(31)의 밸브결합공(36)에 체크밸브(37)를 결합한 다음, 공간확보링(33)이 시트링(20)의 튜브투입구(25)으로 진입하도록 시트링(20)에 형성한 세목나사에 밸브시트(31)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링(20)의 밀폐플랜지(24)와 밸브시트(31) 사이에는 밀폐링(45)을 끼워서 기밀성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공간확보링(33)은 시트링(20)의 튜브투입구(25)를 관통하여 차단판(60)에 밀착되어 압압하게 되며 밸브시트(31)를 시트링(20)에 나사결합 할때 공간확보링(33)의 선단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마찰을 차단판(60)이 대응하면서 가스튜브(50)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시트(31)를 시트링(20)에 나사 결합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공구를 공구결합부(32)에 결합하여 단단히 조이면 된다.
상기한 실시로 밸브시트(31)의 결합이 완성되면 체크밸브(37)를 통하여 부구(10)의 내부로 공기를 약 3~5kgf/㎠의 압력으로 주입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37)를 통하여 주입된 공기는 공간확보링(33)에 형성된 통기공(34)을 통하여 부구(10) 내부로 주입되면서 가스튜브(50)를 압축하여 부구(10)와 가스튜브(50) 사이에 공기층(70)을 형성한다.
상기한 상태로 부구(10)와 가스튜브(50) 사이에 공기층(70)이 형성되면 밸브시트(31)의 밀폐홈(35)에 밀폐캡(38)을 결합하고, 렌치공구를 렌치홈(35)에 결합하여 밀폐캡(38)의 선단이 체크밸브(37)에 밀착하여 누르면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조여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밀폐캡(38)을 결합한 다음 부구밸브(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40)을 부구밸브(30)를 씌어서 부구(10)에 결합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은 부구(10) 내부에 팽창가스를 충진한 가스튜브(50)를 내장하고 부구(10)와 가스튜브(5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 하여 사용중 부구(10)가 파손되더라도 부구(10) 내부로 물이 차지않고 지속적으로 부력을 유지함으로써 부구로서의 기능을 다 할 뿌만 아니라 부구를 수거하는데 편리한 신규한 효과를 창출한다.
10: 부구
20: 시트링 21: 결합돌기 22: 보호플랜지
23: 밸브홀더결합부 24: 밀폐플랜지 25: 튜브투입구
30: 부구밸브 31: 밸브시트 32: 공구결합부
33: 공간확보링 34: 통기공 35: 밀폐홈
36: 밸브결합공 37: 체크밸브 38: 밀폐캡
39: 렌치공 40: 보호캡 50: 가스튜브
51: 밀폐밸브 60: 차단판 61: 밸브결합공
70: 공기층

Claims (4)

  1. 내부에 공기실을 갖도록 튜브로 형성한 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구(10)를 성형하는 블로워(Blower)몰딩기에서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20)을 일체로 인써트 성형하여, 가스튜브(50)의 투입이 자유로운 튜브투입구(25)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부구성형공정과;
    상기 튜브투입구(25)에 장착하는 부구밸브(30)를 제조하는 부구밸브제조공정과;
    상기 튜브투입구(25)에 설치되어 가스튜브(50)를 보호하는 차단판(60)을 성형하는 차단판성형공정과;
    상기 부구(10) 내부에 투입되며 한번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이 차단되도록 밀폐밸브(51)를 구성한 가스튜브(50)를 성형하는 가스튜브제조공정과;
    상기 가스튜브제조공정에서 제조된 가스튜브(50)를, 부구성형공정에서 성형한 부구(10)의 시트링(20)에 형성된 튜브투입구(25)를 통하여 부구(10) 내부로 투입하는 가스튜브투입공정과;
    상기 차단판성형공정에서 성형한 차단판(60)을 튜브투입구(25)를 밀폐하여 가스튜브(50)를 보호하도록 설치하는 차단판설치공정과;
    상기 가스튜브투입공정에서 부구(10) 내부로 투입한 가스튜브(50) 내부에 공기보다는 팽창력이 뛰어난 팽창가스를 주입하여 가스튜브(50)가 부구(10) 내부에 차도록 하는 팽창가스주입공정과;
    상기 팽창가스주입공정에서 팽창가스를 주입한 가스튜브(50)의 외면이 부구의 내면에 닿도록 팽창한 상태에서, 가스튜브(50)의 밀폐밸브(51) 바깥쪽을 밀폐하는 밀폐밸브밀폐공정과;
    밀폐밸브밀폐공정에서 가스튜브(50)의 밀폐밸브(51) 바깥쪽을 밀폐한 상태에서, 부구밸브제조공정에서 제조한 부구밸브(30)를 시트링(20)의 튜브투입구(25)에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하는 부구밸브결합공정과;
    상기 부구밸브결합공정에서 부구(10)에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한 부구밸브(30)를 통하여 부구(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구(10)와 가스튜브(50) 사이에 공기층(70)을 형성하는 공기주입공정과;
    상기 공기주입공정에서 부구(10) 내부에 공기층(70)이 형성된 상태에서 부구밸브(30)의 밀폐홈(35)을 밀폐캡(38)으로 밀폐하는 부구밸브밀폐공정과;
    상기 부구밸브밀폐공정에서 밀폐캡(38)으로 밀폐홈(35)을 밀폐한 부구밸브(30)를 보호하도록 보호캡(40)을 결합하는 보호캡결합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제조방법.
  2. 속이 빈 중공의 부구(10)에 부구밸브(30)를 나사결합하는 세목나사를 형성한 시트링(20)을 일체로 성형하여 튜브투입구(25)를 형성한 것과;
    상기 부구(10)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면 내부와 외부 양방향에서 가스의 진입과 배출을 차단하도록 양방향 밀폐밸브(51)를 구성한 가스튜브(50)를 투입한 것과;
    상기 부구(10)의 튜브투입구(25)를 막도록 차단판(60)을 구성한 것과;
    상기 가스튜브(50) 내부에 공기보다 팽창력이 큰 팽창가스를 주입하고 밀폐밸브(51)를 밀폐한 것과;
    상기 부구(10)의 시트링(20)에 체크밸브(37)를 구성한 부구밸브(30)를 일체로 결합하여 밀폐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30)를 통하여 부구(10) 내부에 부구(10)의 부력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층(70)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링(20)은 부구(10)와 일체로 인써트사출성형하도록 외주연에 결합돌기(21)를 형성하며, 바깥측 단부에 보호플랜지(22)를 형성하며, 내주연에 세목나사를 형성한 밸브홀더결합부(23)를 구성하고, 그 안측으로 튜브투입구(25)를 형성하는 밀폐플랜지(24)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30)는, 상기 시트링(20)의 세목나사에 결합되는 세목나사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공구결합부(32)를 형성하며, 튜브투입구(25)로 진입하는 공간확보링(33)을 일체로 형성하며, 중앙의 바깥측에 밀폐캡(38)을 결합하는 밀폐홈(35)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홈(35) 안측단 중앙에 밸브결합공(36)을 형성한 밸브시트(31)를 구성한 것과;
    상기 체크밸브(37)는 밸브결합공(36)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밀폐캡(38)은 밀폐홈(35)에 결합되고 바깥측 중앙에 렌치공(39)을 형성한 것과;
    상기 부구밸브(30)를 보호하도록 부구(10)에 보호캡(40)을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과;
    밀폐링(45)은 시트링(20)과 밸브시트(3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확보링(33)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기공(3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KR1020210156355A 2021-11-15 2021-11-15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63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55A KR102638053B1 (ko) 2021-11-15 2021-11-15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55A KR102638053B1 (ko) 2021-11-15 2021-11-15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607A KR20230070607A (ko) 2023-05-23
KR102638053B1 true KR102638053B1 (ko) 2024-02-16

Family

ID=8654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355A KR102638053B1 (ko) 2021-11-15 2021-11-15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0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60Y1 (ko) 2001-02-01 2001-07-03 김경애 어구용 부구
KR102283507B1 (ko) 2020-12-22 2021-07-29 주식회사 늘푸른산업 양식용 부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3505A (en) 1986-05-22 1987-05-05 Litton Systems, Inc. Interlock switch base plate assembly
KR100986532B1 (ko) 2003-10-02 201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유저 서비스 방법
KR20070074415A (ko) 2006-01-09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아킹을 방지하는 전자방출표시소자
US9905415B2 (en) 2013-10-03 2018-02-27 Versum Materials Us, Llc Methods for depositing silicon nitride films
KR20190042120A (ko) 2017-10-13 2019-04-24 권명규 스마트 보이스 내비게이션
KR20200038830A (ko) 2018-10-25 2020-04-14 김현태 철도 분기부 융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60Y1 (ko) 2001-02-01 2001-07-03 김경애 어구용 부구
KR102283507B1 (ko) 2020-12-22 2021-07-29 주식회사 늘푸른산업 양식용 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607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475B1 (ko)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101908844B1 (ko)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101691455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KR102203215B1 (ko)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200389744Y1 (ko) 압축스티로폼이 내장된 바다양식용 부구
KR102638053B1 (ko) 파손 시 부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KR101871633B1 (ko) 해저 양식용 부표
KR101743741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101065116B1 (ko) 양식장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371B1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101955908B1 (ko)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
KR101829898B1 (ko)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80486B1 (ko) 공기압 조절형 에어 튜브를 내장한 부표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102228573B1 (ko)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9645A (ko) 이중 부력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2220B1 (ko) 양식장용 부표의 표식 융착방법과 구조 및 표식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KR101914760B1 (ko) 에어셀시트를 내장한 부구 제조방법
KR102392219B1 (ko) 부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