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958B1 -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958B1
KR102637958B1 KR1020230003052A KR20230003052A KR102637958B1 KR 102637958 B1 KR102637958 B1 KR 102637958B1 KR 1020230003052 A KR1020230003052 A KR 1020230003052A KR 20230003052 A KR20230003052 A KR 20230003052A KR 102637958 B1 KR102637958 B1 KR 10263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reciprocating
moving body
contact point
reciprocating motion
wa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옥
김찬흠
박인묵
Original Assignee
박인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묵 filed Critical 박인묵
Priority to KR102023000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통해 구현되는 직선왕복운동과 동시에 3로스위치에 대한 가변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체와; 상기 운동체의 직선왕복운동경로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메인배선과; 상기 운동체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1접점과; 상기 운동체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제1접점과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접점과; 상기 운동체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되며, 직선왕복운동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에서 타단이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하도록 된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Device that implements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3-way switch}
본 발명은, 직선왕복운동을 제공하면서 3로스위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동력을 통해 구현되는 직선왕복운동과 동시에 3로스위치에 대한 가변스위칭을 수행하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운동체가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물리적으로 전원의 차단 및 접속을 구현하도록 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전기전자설비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로스위치(three-way switch)는, 3개의 단자를 가진 전환용 스냅 스위치이다.
이러한 3로스위치는, 전기회로에서 절환에 사용되는 스위치로, 건물, 사무실, 가정에서 조명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며, 근자에는, 각종 사물인터넷물품 및 자동차의 전자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1090호(명칭: 사물인터넷의 기능성 3로 스위치/2016.03.1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등부 및 2차측 3로 스위치와 연결되고, 1차측에 위치하는 3로 스위치로서, 상기 전등부로부터 누설되는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부; 2차측 3로 스위치의 접점 양단에 접속하여 접점 상태를 확인하여 통보하여 주는 AC감시부; 상기 전등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2차측 3로 스위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등 스위칭부; 외부 제어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AC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3로스위치의 기능을 유지하여 주는 제어부; 상기 전등부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터치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터치 스위치부; 스마트기기의 무선 제어신호나 485통신과 같은 유선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 결과인 에크신호를 안테나 혹은 유선으로 송신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3로 스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6-0020627호(명칭: 타이머가 부설된 3로스위치 회로/1996.07.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3로스위치의 양측스위치부에 있는 ON,OFF스위치를 마그네틱접점으로 구성하되 상기 ON스위치는 개방(open)접점으로 만들고 OFF스위치는 폐(close)접점으로 만든다음 각각 타이머와 직렬연결시켜 부하와 연결되게 한 타이머가 부설된 3로스위치 회로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82-0008244호(명칭: 3상 커버 나이프 3로 스위치/1992.10.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SW-1이나 SW-2의 작동방법으로 1개의 동력으로 2대의 기계를 작동시키는 3로 스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0-0010965호(명칭: 다이오드를 접속한 3로스위치/1990.07.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단자와 단자 중간에 홈을 파고 단자로 사용할 수 있는 단자를 설치한 3로 스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1090호(2016.03.15.)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6-0020627호(1996.07.09.)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82-0008244호(1992.10.2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0-0010965호(1990.07.2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3로스위치들은, 사용자가 인력 또는 센서를 통해 절환구동하도록 되어 있어, 동력을 통해 구현되는 직선왕복운동을 동시에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전기전자설비에 적용하지 못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왕복운동을 제공하면서 3로스위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동력을 통해 구현되는 직선왕복운동과 동시에 3로스위치에 대한 가변스위칭을 수행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운동체가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물리적으로 전원의 차단 및 접속을 구현하도록 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양한 전기전자설비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체와; 상기 운동체의 직선왕복운동경로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메인배선과; 상기 운동체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1접점과; 상기 운동체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제1접점과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접점과; 상기 운동체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되며, 직선왕복운동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에서 타단이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하도록 된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는, 구동모터를 통한 운동하는 운동체를 통해 선택된 직선왕복운동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동체에 구비된 연결배선이 메인배선에 대한 제1접점과 제2접점들 중 하나와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변절환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운동체가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물리적으로 전원의 차단 및 접속을 구현하도록 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져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양한 전기전자설비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의 절환스위칭 동작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운동전달부재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운동전달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의 적용 예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체(3);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2)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운동체(3)가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직선왕복운동에너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운동체(3)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사각'으로 형성되는 '사각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구동모터(2)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는, 상기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운동체(3)로 전달하도록 된 운동전달부재(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전달부재(4)를 통해 회전운동력을 직선운동력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운동체(3)를 직선운동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운동전달부재(4)는,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41)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운동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4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홈(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홈(42)에 대한 상기 나사봉(41)의 피치조절을 통해 상기 운동체(3)의 직선운동량을 감속하여 토크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41)이 상기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회전운동하면 상기 너트홈(42)이 연동하여 나사운동하면서 상기 운동체(3)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가 정역회전운동력을 형성하면, 상기 운동체(3)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선택된 시설 및 설비에 대하여 직선왕복운동력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운동전달부재(4)는,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외주면에 웜나사산이 형성된 웜기어봉(43)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운동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웜기어봉(43)에 기어결합되며 상기 운동체(3)의 일면에서 상기 운동체(3)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랙기어(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웜기어봉(43)이 상기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회전운동하면 상기 랙기어(44)가 연동되면서 상기 운동체(3)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가 정역회전운동력을 형성하면, 상기 운동체(3)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선택된 시설 및 설비에 대하여 직선왕복운동력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는, 상기 운동체(3)가 배치되면서 직선왕복운동할 때, 안내하도록 된 장치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본체(100)가 설치되는 설비 및 시설에 대하여 상기 운동체(3)를 고정하면서 운동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는,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경로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메인배선(5)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5)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1접점(61)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5)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제1접점(61)과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접점(62)과; 상기 운동체(3)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배선(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되며, 직선왕복운동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에서 타단이 상기 제1접점(61)과 상기 제2접점(6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하도록 된 연결배선(7);을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2)를 통한 상기 운동체(3)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중에 상기 연결배선(7)의 일단이 상기 메인배선(5)에 접촉하면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의 시작위치에서는, 상기 연결배선(7)의 타단이 상기 제1접점(61)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운동체(3)의 종료위치에서는, 상기 연결배선(7)의 타단이 상기 제2접점(62)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다른 전기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메인배선(5)에 대하여 상기 제1접점(61)과 상기 제2접점(62)들 중 하나와 상기 연결배선(7)을 통해 접촉을 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변절환스위칭 동작을 각각 구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접점(61)과 상기 제2접점(62)의 간격을 상기 연결배선(7)이 주행할 때는, 상기 메인배선(5)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되는 또 다른 전기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운동체(3)가 일정 거리(상기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의 간격)를 이동한 후, 전기적인 연결의 차단 및 접속을 구현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는, 상기 구동모터(2)의 2극에 각각 접속하며 외부의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전원배선로(230)와 상기 메인배선(5)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메인배선로와 상기 제1접점(61)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배선로(210)와 상기 제2접점(62)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배선로(220)가 각각 형성된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200)에 상기 구동모터(2)의 2극에 각각 접속하는 전원접속점들 및 상기 2개의 전원배선로(230)들과, 상기 메인배선(5) 및 상기 메인배선로와, 상기 제1접점(61) 및 상기 제1배선로(210)와, 상기 제2접점(62) 및 상기 제2배선로(220)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가 고정되어, 구조적으로 점유면적이 작게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본체(100)에 상기 기판(200)이 고정되어 각각의 상기 구동모터(2) 및 상기 운동전달부재(4) 및 상기 운동체(3)가 일체로 조립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의 적용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는, 자동차의 도어핸들(300)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체(3)의 종단에 자동차의 도어핸들(300)의 일단이 결속된 상태로 자동차의 도어설비에 상기 장치본체(100)가 시설되어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의 정역구동에 따른 정역회전을 상기 운동전달부재(4)를 통해 상기 운동체(3)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면서, 상기 운동체(3)의 종단에 결속된 상기 도어핸들(300)이 열림운동 및 닫힘운동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운동체(3)의 운동시작위치에서는, 상기 메인배선(5)과 상기 제1접점(6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운동체(3)의 운동종료위치에서는, 상기 메인배선(5)과 상기 제2접점(6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각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여, 선택된 전기전자기능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구동모터(2)는, 자동차용 13.5V DC 소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운동전달부재(4)를 구성하는 상기 나사봉(41)은, 외경 M5 가는 수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운동체(3)는, 외경 사각 10mm X 10mm 내역 M5 가는 암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운동체(3)의 종단에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일부위가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재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100 : 장치본체 200 : 기판
210 : 제1배선로 220 : 제2배선로
230 : 전원배선로 300 : 도어핸들
2 : 구동모터 3 : 운동체
4 : 운동전달부재 41 : 나사봉
42 : 너트홈 43 : 웜기어봉
44 : 랙기어 5 : 메인배선
61 : 제1접점 62 : 제2접점
7 : 연결배선

Claims (1)

  1.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2)와; 상기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운동체(3)와;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경로에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메인배선(5)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5)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1접점(61)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왕복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메인배선(5)과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제1접점(61)과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접점(62)과; 상기 운동체(3)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배선(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되며, 직선왕복운동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에서 타단이 상기 제1접점(61)과 상기 제2접점(6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촉하도록 된 연결배선(7);을 포함하는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운동체(3)로 전달하도록 된 운동전달부재(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운동전달부재(4)는,
    상기 구동모터(2)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41)과, 상기 운동체(3)의 직선운동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4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홈(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KR1020230003052A 2023-01-09 2023-01-09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KR10263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052A KR102637958B1 (ko) 2023-01-09 2023-01-09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052A KR102637958B1 (ko) 2023-01-09 2023-01-09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958B1 true KR102637958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052A KR102637958B1 (ko) 2023-01-09 2023-01-09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9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965Y1 (ko) 1983-08-17 1990-12-08 간사이 니뽄덴끼 가부시기가이샤 Catv용 콘버터
KR960020627U (ko) 1994-12-22 1996-07-18 운반가능한 와이어커팅장치
KR20020042367A (ko) * 2000-11-30 2002-06-05 이계안 자동차의 도어록어셈블리
KR20160031090A (ko) 2014-09-11 2016-03-22 유화순 버스정류장 부스
JP2016058390A (ja) * 2014-09-09 2016-04-21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電気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965Y1 (ko) 1983-08-17 1990-12-08 간사이 니뽄덴끼 가부시기가이샤 Catv용 콘버터
KR960020627U (ko) 1994-12-22 1996-07-18 운반가능한 와이어커팅장치
KR20020042367A (ko) * 2000-11-30 2002-06-05 이계안 자동차의 도어록어셈블리
JP2016058390A (ja) * 2014-09-09 2016-04-21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電気スイッチ
KR20160031090A (ko) 2014-09-11 2016-03-22 유화순 버스정류장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1565B2 (en) Wireless power feeding unit, power transmitting module, power receiving modul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U4262899A (en) Actuation and control device for electric switchgear
US7189933B2 (en) Solid insulated disconnection switch
EP1873800B1 (de) Elektrische Werkzeugmaschine und Schalter hierfür
US20130228438A1 (en) Common actuator system of multi switches for switchgear
KR102637958B1 (ko) 직선왕복운동과 3로스위치를 구현하는 장치
DE602007006650D1 (de) Linearbetätigungsglied
WO2002037656A3 (en) Remote controlled actuator and antenna adjustment actuator and electronic control and digital power converter
CN101266899A (zh) 电路断路器的远程操作装置
CN112425055B (zh) 用于模块化多电平变流器的电势均衡系统
CN205654853U (zh) 汽车电子换挡装置
CN109460070A (zh) 一种水下有缆机器人的摄像机云台控制装置
JP2010118332A (ja) 電動式電源制御装置
WO1997019245A3 (de) Antrieb für eine elektrische tür
EP1894212A1 (de) Elektrisches kabel
CN218058242U (zh) 一种轻型威亚机械设备
ES2144818T3 (es) Accionamiento electrico para una puerta de garaje.
CN210805494U (zh) 干式变压器有载调容过渡装置及调容变压器
CN111697902B (zh) 一种基于继电器的三相电机控制电路
CN1279672C (zh) 用于开关设备的隔离开关触头的驱动装置
CN2659017Y (zh) 新型直线电机
KR200283247Y1 (ko) 가변식 전동 실린더
CN2525309Y (zh) 应用于螺杆传动直线运动的线性传动器的控制装置
CN111029117A (zh) 干式变压器有载调容过渡装置及调容变压器
GB190312311A (en) Improvements in Electric Steering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