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802B1 -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802B1
KR102637802B1 KR1020210134533A KR20210134533A KR102637802B1 KR 102637802 B1 KR102637802 B1 KR 102637802B1 KR 1020210134533 A KR1020210134533 A KR 1020210134533A KR 20210134533 A KR20210134533 A KR 20210134533A KR 102637802 B1 KR102637802 B1 KR 10263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information
building
management server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725A (ko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21013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8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IoT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태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건축물 외부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기 연동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구호기관으로 화재정보와 함께 위치좌표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피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자신의 위치좌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난정보를 안내하고, 건축물의 3D 스캐닝 영상 내에 대피로 영상을 중첩시켜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해당 영상을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입실자가 신속하게 건축물 외부로 대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IoT-based intelligent elevator evacuation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난정보와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을 안내하고, 건축물의 3D 스캐닝 영상 내에 대피로 영상을 중첩시켜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입실자의 피난을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안겨주며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복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복구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화재 방지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라 할지라도 조금만 방심하면 순간적으로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피해가 상당한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최단 시간 내에 화재 발생을 파악하여 신속한 대피와 화재 진압으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71623호(2010.07.15. 등록)에는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난, 재해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피난을 유도하는 장치로, 건물의 구획마다 재난, 재해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서버로 전달하고, 중앙서버에서 그룹마다 경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중계기를 통하여 전달하면, 각 위치별 스피커는 음성으로 경보를 알리고, 각 피난 유도등은 대피방향을 표시하고, 문자메시지를 휴대폰을 통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화재 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긴급한 상황에서 건물의 내부를 잘 모르는 사람의 경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또한, 건물에 상주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긴급한 상황에서 자신의 사무실이외에 다른 사무실의 호수까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바, 문자만으로 안전한 비상구나 대피장소로 피신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난정보와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을 안내하고, 건축물의 3D 스캐닝 영상 내에 대피로 영상을 중첩시켜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입실자의 피난을 안내하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623호(2010.07.15.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입실자가 신속하게 건축물 외부로 대피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시설, 피난로 안내장치,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을 포함하는 시설에 대한 식별번호를 QR코드 부여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입실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설치공정 및 작동방법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난정보와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을 안내함으로써, 입실자가 신속하게 건축물 외부로 대피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3D 스캐닝 영상 내에 대피로 영상을 중첩시켜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해당 영상을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입실자가 신속하게 건축물 외부로 대피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으로서,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IoT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태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건축물 외부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기 연동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구호기관으로 화재정보와 함께 위치좌표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피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자신의 위치좌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IoT 디바이스는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 각각에 구비되되,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로부터 인가받은 감지값을 소방시설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 각각의 식별ID와 대응하도록 분류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상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서버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는 수집부; 식별ID별로 분류된 상태정보 각각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되, 기준값 대비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피난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 및 피난정보를 상기 소방시설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에 구비된 무선 중계기와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피난정보를 화면에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피난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피난정보와 대응하도록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부는, 피난정보에 포함된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재생시키되, 터치 조작을 통해 해당 건축물에 구비된 소화기, 비상구, 완강기 및 승강식 피난기의 위치와 사용법을 안내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입실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시설, 피난로 안내장치,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을 포함하는 시설에 대한 식별번호를 QR코드 부여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입실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설치공정 및 작동방법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난정보와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을 안내함으로써, 입실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3D 스캐닝 영상 내에 대피로 영상을 중첩시켜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해당 영상을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입실자가 신속하게 건축물 외부로 대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의 IoT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2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4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8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2단계 이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의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S)은,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IoT 디바이스(100),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태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건축물 외부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정보를 생성하여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과 함께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전송하고, 기 연동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구호기관으로 화재정보와 함께 위치좌표를 전송하는 관리서버(200), 및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피난정보를 출력하고, 위치좌표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설(10)은 건축물에 구비된 CCTV, 화재감지기,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스프링클러, 소화전, 방화문 제어기, 경보기 또는 화재감시 제어반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 각각에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200)와 접속되는 IoT 디바이스(1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피난로 안내장치(20)는 비상구 유도등, 완강기, 승강식 피난기 또는 사다리 모형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IoT 디바이스(100)에는 관리서버(200) 및 스마트 디바이스(300)와 접속이 가능한 무선중계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S)의 IoT 디바이스(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IoT 디바이스(100)는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 각각에 구비되되,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로부터 인가받은 감지값을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 각각의 식별ID와 대응하도록 분류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20), 및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받은 상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와 접속되어 실시간으로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작동상태 감지에 따른 감지값은 전류량, 전압량,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계측값 또는 불꽃영상 중에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인가받은 감지값을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 각각의 식별ID와 대응하도록 분류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되, 상태정보에는 식별ID마다 계측시간별로 시계열적인 전류량, 전압량,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계측값 또는 불꽃영상 중에 어느 하나가 포함되고, 식별ID별 각각에 대한 위치좌표가 포함된다.
이때, 식별ID별 위치좌표는 건축물 내에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가 구비된 층 및 구역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좌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송부(130)는 건축물 내부망과 접속된 관리서버(200)로 상태정보를 전송하되, 화재로 인해 내부망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 기 연동된 외부망을 통해 관리서버(200)와 접속하여 지속적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송부(130)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화재로 인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태정보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S)의 관리서버(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관리서버(200)는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는 수집부(210)와, 식별ID별로 분류된 상태정보 각각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되, 기준값 대비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피난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220), 및 생성한 피난정보를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에 구비된 무선 중계기와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는 안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집부(210)는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식별ID 마다 시계열적으로 분류하고, 시간 또는 식별ID 마다 조회가 가능하도록 분류하여 DB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수집부(210)는 소방시설, 피난로 안내장치,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을 포함하는 시설에 대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QR코드의 등록을 관리하고, 해당 시설에 대한 위치, 작동방법, 설치일자, 점검일자 또는 설치공정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DB에 저장 및 관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300)의 QR코드 색인시 DB에 저장된 등록정보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판단부(220)는 수집부(210)로부터 식별ID별로 분류된 상태정보를 인가받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1차 비교를 수행하고, 1차 분류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을 DB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2차 비교를 수행하며, 2차 비교를 수행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피난정보를 생성한다.
이처럼, 판단부(220)가 2번에 걸처 기준값 대비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을 비교한 이후에 피난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소방시설(10)의 오동작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정보는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 각각의 식별ID와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건축물 외부로 연결된 대피로를 안내하는 이미지, 텍스트 또는 동영상 중에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그리고, 안내부(230)는 판단부(220)로부터 인가받은 피난정보를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에 구비된 무선 중계기와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전송한다. 이때, 피난정보에는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안내부(230)는 이동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웨이브(Z-Wave) 또는 무선LAN(WiFi)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망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피난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판단부(220)에서 생성한 피난정보와 대응하도록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는 안내 보조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안내 보조부(240)는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건축물의 3D 스캐닝 공간 모델링 데이터를 DB로부터 색인하여 빔프로젝틀 통해 투사시키거나 디스플레이 가능한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안내부(230)가 스마트 디바이스(300)로 피난정보를 전송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특정 스마트 디바이스(300)와의 접속이 유지되는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300)의 식별번호(전화번호) 및 위치좌표를 기 연동된 구호기관(소방서 또는 병의원)로 전송하는 응답 관리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S)의 스마트 디바이스(3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피난정보를 화면에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피난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20), 및 피난정보와 대응하도록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영상부(330)는 피난정보에 포함된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재생시키되, 터치 조작을 통해 해당 건축물에 구비된 소화기, 비상구, 완강기 및 승강식 피난기의 위치와 사용법을 안내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부(33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피난정보 외에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영상부(330)는 내장된 카메라 구동에 의해 건축물 내부의 소방시설, 피난로 안내장치, 승강식 피난기 또는 사다리 모형 중에 어느 하나의 시설에 구비된 QR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접속된 관리서버(200)로부터 해당 시설에 대한 위치, 작동방법, 설치일자, 점검일자 또는 설치공정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피난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관리서버(200)로 피드백하는 응답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응답부(340)는 디스플레이부(310) 또는 스피커(320)를 통해 피난정보가 출력된 이후,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자신의 식별ID와 함께 위치좌표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IoT 디바이스(100)가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다(S502).
이어서, 관리서버(200)가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504).
제S504단계의 판단결과, 화재가 발생한 경우, 관리서버(200)가 상태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건축물 외부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정보를 생성한다(S506).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300)가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피난정보를 출력한다(S508).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3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2단계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IoT 디바이스(100)가 소방시설(10) 및 피난로 안내장치(20)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602).
이어서, IoT 디바이스(100)가 감지한 값을 소방시설(10)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20) 각각의 식별ID와 대응하도록 분류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다(S604).
그리고, IoT 디바이스(100)가 생성한 상태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606).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4단계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2단계 이후, 관리서버(200)가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한다(S702).
이어서, 관리서버(200)가 기준값 대비 분류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4).
제S704단계의 판단결과,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S506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706).
반면에, 제S704단계의 판단결과,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제S502단계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8단계 이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8단계 이후, 스마트 디바이스(300)가 피난정보와 대응하도록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재생한다(S802).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300)가 피난정보 수신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관리서버(200)로 피드백한다(S804).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방법의 제S502단계 이전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스마트 디바이스(300)가 내장된 카메라 구동에 의해 건축물 내부의 소방시설, 피난로 안내장치, 승강식 피난기 또는 사다리 모형 중에 어느 하나의 시설에 구비된 QR코드를 스캔한다(S902).
이어서, 스마트 디바이스(300)가 접속된 관리서버(200)로부터 스캔한 QR코드와 대응하는 시설에 대한 위치, 작동방법, 설치일자, 점검일자 또는 설치공정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한다(S904).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300)가 수신한 등록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S906).
참고로,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의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피난발코니를 형성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슬래브를 만드는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시대상 건축물 내의 소방시설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피난정보와 승강식 피난기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안내하고, 건축물의 3D 스캐닝 영상 내에 대피로 영상을 중첩시켜 건축물 내벽면에 투사시키거나 해당 영상을 입실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입실자가 신속하게 건축물 외부로 대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10: 소방시설
20: 피난로 안내장치
100: IoT 디바이스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전송부
200: 관리서버
210: 수집부
220: 판단부
230: 안내부
240: 안내 보조부
250: 응답 관리부
300: 스마트 디바이스
310: 디스플레이부
320: 스피커
330: 영상부
340: 응답부

Claims (5)

  1.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IoT 디바이스;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태정보와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건축물 외부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기 연동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구호기관으로 화재정보와 함께 위치좌표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피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자신의 위치좌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피난정보를 화면에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피난정보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피난정보와 대응하도록 건축물의 3차원 입체 이미지에 피난경로를 중첩시킨 영상을 재생하고, 터치 조작을 통해 해당 건축물에 구비된 소화기, 비상구, 완강기 및 승강식 피난기의 위치와 사용법을 안내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피난정보 외에 승강식 피난기 사용법 및 사다리 모형이 설치된 공법과 그 사용 방법을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내장된 카메라 구동에 의해 건축물 내부의 소방시설, 피난로 안내장치, 승강식 피난기 또는 사다리 모형 중에 어느 하나의 시설에 구비된 QR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접속된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시설에 대한 위치, 작동방법, 설치일자, 점검일자 또는 설치공정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영상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피난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피드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를 통해 피난정보가 출력된 이후,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자신의 식별ID와 함께 위치좌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응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는,
    건축물에 구비된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 각각에 구비되되,
    상기 소방시설 및 피난로 안내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인가받은 감지값을 상기 소방시설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 각각의 식별ID와 대응하도록 분류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상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는 수집부;
    상기 식별ID별로 분류된 상태정보 각각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되, 기준값 대비 상태정보에 포함된 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피난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 및
    상기 피난정보를 상기 소방시설 또는 피난로 안내장치에 구비된 무선 중계기와 접속된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4533A 2021-10-11 2021-10-11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KR10263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33A KR102637802B1 (ko) 2021-10-11 2021-10-11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33A KR102637802B1 (ko) 2021-10-11 2021-10-11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725A KR20230051725A (ko) 2023-04-18
KR102637802B1 true KR102637802B1 (ko) 2024-02-16

Family

ID=8610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533A KR102637802B1 (ko) 2021-10-11 2021-10-11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8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06B1 (ko) * 2016-03-14 2017-08-30 윤종식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ko)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2023851B1 (ko) * 2017-10-11 2019-09-23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2133442B1 (ko) * 2018-12-28 2020-07-14 한국디자인진흥원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209384B1 (ko) * 2019-04-09 2021-01-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bim 객체 모델을 이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및 재난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06B1 (ko) * 2016-03-14 2017-08-30 윤종식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725A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2462B1 (ko) IoT 화재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KR102108343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재실 인원 카운트 방법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JP2009218707A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20210010703A (ko)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2095986B1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102637802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승강식 피난 안내 시스템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2014099B1 (ko)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KR101176608B1 (ko) 통합 화재 처리 장치
KR102458629B1 (ko) 화재대피 유도시스템 및 방법
JP6517035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