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442B1 - 튜브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튜브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442B1
KR102637442B1 KR1020230098875A KR20230098875A KR102637442B1 KR 102637442 B1 KR102637442 B1 KR 102637442B1 KR 1020230098875 A KR1020230098875 A KR 1020230098875A KR 20230098875 A KR20230098875 A KR 20230098875A KR 102637442 B1 KR102637442 B1 KR 10263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upled
cosmetics
discharge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립
Original Assignee
김홍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립 filed Critical 김홍립
Priority to KR102023009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화장품을 설정량만큼 정확히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노즐이 바디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개시한다.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는 튜브형태의 바디,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고, 바디에 압력이 가해지면 바디에 저장된 화장품을 토출하는 노즐 및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디에 결합되는 노즐의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노즐은, 내부에 제1 토출로가 형성되고,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외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는 헤드부, 헤드부에 연계되어 바디의 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내부에 제1 토출로와 연통되는 제2 토출로가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플랜지부에 연계되어 바디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2 토출로 및 바디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3 토출로가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튜브형 화장품 용기{Tubular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저장되는 튜브바디와, 튜브바디의 단부에 결합되고, 튜브바디에 압력을 가하면 튜브바디에 저장된 화장품을 일정량 토출하는 토출노즐로 구성된다.
토출노즐은 튜브바디의 단부에 삽입되는 목부와, 목부로부터 연장되는 토출부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토출되는 토출부가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튜브바디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력을 해제할 경우 화장품의 토출이 멈추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더 토출됨에 따라, 정확한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는 화장품을 의도한 양만큼 사용하기 위해서 화장품을 토출한 뒤 신속히 토출노즐에 캡을 결합하여 토출노즐의 토출구를 폐쇄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튜브바디에 결합되는 토출노즐의 목부가 매우 짧은 길이로 제작됨에 따라, 토출노즐이 튜브바디에 불안정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이로 인해 튜브바디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토출노즐로 유입되는 화장품의 압력으로 인해 토출노즐이 튜브바디에서 분리되면서 튜브용기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5159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에 마련된 헤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장품을 설정량 만큼 정확히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에 마련된 체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노즐이 바디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는 튜브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바디에 저장된 화장품을 토출하는 노즐; 및 상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내부에 제1 토출로가 형성되고,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외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의 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토출로와 연통되는 제2 토출로가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토출로 및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3 토출로가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로는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길이 대비 상기 헤드부의 길이의 상대비는 1:2 이상 1:3 이하이며, 상기 체결부의 외면에는, 상기 노즐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내면에 다단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들;이 배치된다.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는, 화장품이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토출로의 일구간에 상기 제1 토출로의 폭을 좁히는 제1 버퍼돌기와, 상기 토출구의 폭을 좁히는 제2 버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로와 상기 제1 버퍼돌기 사이에는 제1 버퍼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퍼돌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는 제2 버퍼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들은 상기 노즐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과, 상기 노즐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톱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절개홈들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내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절개홈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바디의 내면에 가압되어 상기 고정부 측으로 오므라지면서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바디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노즐의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화장품에 가압되어 내부공간을 개방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플랜지부에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토출로와 연통되는 제1 연통홀이 형성되는 지지캡; 상기 노즐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캡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3 토출로와 연통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는 가압캡; 및 상기 지지캡과 상기 가압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캡에 가압되면 상기 노즐의 축방향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노즐의 반경방향으로 벌어져 중심부를 개방하고, 상기 가압캡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중심부를 폐쇄하고 상기 가압캡을 상기 지지캡에서 이격시키는 탄성체 재질의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토출로는, 화장품을 제1 굵기로 토출하는 제1-1 토출로; 상기 헤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토출로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화장품을 상기 제1 굵기와 다른 제2 굵기로 토출하는 제1-2 토출로; 및 상기 헤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1 토출로와 상기 제1-2 토출로 사이에 배치되고, 화장품을 상기 제1 굵기 및 상기 제2 굵기와 다른 제3 굵기로 토출하는 제1-3 토출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 가이드홈; 상기 헤드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 일부분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2 가이드홈; 상기 헤드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1 토출로에 동심배열(concentric arrangement)되고, 상기 제1-1 토출로가 상기 제2 토출로에 연통되면 상기 플랜지부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1 결합자석; 상기 헤드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토출로에 동심배열되고, 상기 제1-2 토출로가 상기 제2 토출로에 연통되면 상기 플랜지부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2 결합자석; 및 상기 헤드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3 토출로에 동심배열되고, 상기 제1-3 토출로가 상기 제2 토출로에 연통되면 상기 플랜지부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3 결합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링; 상기 제2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링; 상기 플랜지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출로에 동심배열되고, 상기 제1 결합자석, 상기 제2 결합자석 및 상기 제3 결합자석 중 어느 하나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자석; 및 상기 플랜지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출로에 동심배열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압착되어 상기 헤드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가이드링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링이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결합되면 상기 제1 가이드링과 상기 제1 가이드홈 사이에 압축되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플랜지부 측으로 가압하는 'U' 형상의 탄성 가압체; 및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지지되는 탄성 걸림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걸림구는, 상기 플랜지부에 수납되고, 일부분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플랜지부에 수납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의 헤드부가 체결부에 비해 2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헤드부에 형성된 제1 토출로가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므로, 바디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노즐의 내부에서 유동중인 화장품이 제1 토출로를 통과하면서 그 압력이 완화되어 자연스럽게 유동이 제한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품의 토출량을 의도한 대로 정확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디에 결합되는 노즐의 체결부에는 노즐의 축방향을 따라 바디의 내면에 다단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들이 형성되므로, 노즐에 화장품의 유동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노즐이 바디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바디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재가 바디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가 노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의 개폐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제1-1 토출로, 제1-2 토출로 및 제1-3 토출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1000)(이하 '튜브형 화장품 용기(1000)'라 함)는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는 튜브형태의 바디(1), 바디(1)의 단부에 결합되고, 바디(1)에 압력이 가해지면 바디(1)에 저장된 화장품을 토출하는 노즐(2) 및 바디(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디(1)에 결합되는 노즐(2)의 토출구(O)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3)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2)은 내부에 제1 토출로(P1)가 형성되고,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외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되는 헤드부(21), 헤드부(21)에 연계되어 바디(1)의 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내부에 제1 토출로(P1)와 연통되는 제2 토출로(P2)가 형성되는 플랜지부(22) 및 플랜지부(22)에 연계되어 바디(1)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2 토출로(P2) 및 바디(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3 토출로(P3)가 형성되는 체결부(2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토출로(P1)는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고, 체결부(23)의 길이(L1) 대비 헤드부(21)의 길이(L2)의 상대비는 1:2 이상 1:3 이하로 설정된다.
이에, 바디(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노즐(2)의 내부에서 유동중인 화장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웨지 구조의 제1 토출로(P1)를 통과하면서 그 압력이 완화되어 자연스럽게 유동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체결부(23)의 외면에는 노즐(2)의 축방향을 따라 바디(1)의 내면에 다단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들(23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돌기들(231)은 체결부(23)의 외면에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돌기들(231)의 수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노즐(2)에 화장품의 유동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노즐(2)이 바디(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바디(1)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부(21)의 내면에는 화장품이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제1 토출로(P1)의 일구간에 제1 토출로(P1)의 폭을 좁히는 제1 버퍼돌기(211)와, 토출구(O)의 폭을 좁히는 제2 버퍼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토출로(P2)와 제1 버퍼돌기(211) 사이에는 제1 버퍼구간(S1)이 형성되고, 제1 버퍼돌기(211)와 토출구(O) 사이에는 제2 버퍼구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바디(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제1 토출로(P1)를 유동중인 화장품은 제1 버퍼구간(S1)과 제2 버퍼구간(S2)에서 그 압력이 완화되어 유동이 멈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돌기들(231)은 노즐(2)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231A)과, 노즐(2)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바디(1)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231B)를 포함하는 톱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재가 바디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2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홈들(2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2)은 절개홈들(232)에 결합되고, 체결부(23)가 바디(1)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체결부(23)의 반경방향으로 바디(1)의 내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들(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가압부재(24)는 절개홈(232)에 결합되는 고정부(241) 및 고정부(241)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24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바디(1)의 내부에 수용되면 바디(1)의 내면에 가압되어 고정부(241) 측으로 오므라지면서 탄성반력에 의해 바디(1)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노즐(2)은 톱니형상의 걸림돌기들(231)과, 체결부(23)의 절개홈들(232)에 배치되는 탄성가압부재들(24)을 통하여, 바디(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가 노즐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의 개폐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튜브형 화장품 용기(1000)는 개폐 밸브(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밸브(4)는 체결부(23)의 내부에 수용되고, 바디(1)에 압력이 가해지면 노즐(2)의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화장품에 가압되어 내부공간을 개방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밸브(4)는 플랜지부(22)에 지지되고, 내부에 제2 토출로(P2)와 연통되는 제1 연통홀(411)이 형성되는 지지캡(41), 노즐(2)의 축방향을 따라 지지캡(41)의 외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3 토출로(P3)와 연통되는 제2 연통홀(421)이 형성되는 가압캡(42) 및 지지캡(41)과 가압캡(42)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캡(42)에 가압되면 노즐(2)의 축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노즐(2)의 반경방향으로 벌어져 중심부를 개방하고, 가압캡(42)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중심부를 폐쇄하고 가압캡(42)을 지지캡(41)에서 이격시키는 탄성체 재질의 멤브레인 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제1-1 토출로, 제1-2 토출로 및 제1-3 토출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즐(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장품의 토출굵기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헤드부(21)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로가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헤드부(21)에 형성된 제1 토출로(P1)는 화장품을 제1 굵기로 토출하는 제1-1 토출로(P11), 헤드부(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1 토출로(P11)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화장품을 제1 굵기와 다른 제2 굵기로 토출하는 제1-2 토출로(P12) 및 헤드부(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1 토출로(P11)와 제1-2 토출로(P12) 사이에 배치되고, 화장품을 제1 굵기 및 제2 굵기와 다른 제3 굵기로 토출하는 제1-3 토출로(P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헤드부(21)는 플랜지부(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랜지부(22)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21)는 헤드부(2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플랜지부(22)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 가이드홈(213) 및 헤드부(21)의 축방향을 따라 헤드부(21)의 단부에 형성되어 플랜지부(22)의 다른 일부분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2 가이드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1)는 헤드부(21)의 축방향을 따라 헤드부(21)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1 토출로(P11)에 동심배열(concentric arrangement)되고, 제1-1 토출로(P11)가 제2 토출로(P2)에 연통되면 플랜지부(22)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1 결합자석(215), 헤드부(21)의 축방향을 따라 헤드부(21)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2 토출로(P12)에 동심배열되고, 제1-2 토출로(P12)가 제2 토출로(P2)에 연통되면 플랜지부(22)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2 결합자석(216) 및 헤드부(21)의 축방향을 따라 헤드부(21)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3 토출로(P13)에 동심배열되고, 제1-3 토출로(P13)가 제2 토출로(P2)에 연통되면 플랜지부(22)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제3 결합자석(2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플랜지부(22)는 제1 가이드홈(213)에 결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헤드부(21)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링(221) 및 제2 가이드홈(214)에 결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헤드부(21)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링(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2)는 플랜지부(22)의 축방향을 따라 플랜지부(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 토출로(P2)에 동심배열되고, 제1 결합자석(215), 제2 결합자석(216) 및 제3 결합자석(217) 중 어느 하나에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자석(223) 및 플랜지부(22)의 축방향을 따라 플랜지부(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 토출로(P2)에 동심배열되고, 헤드부(21)와 플랜지부(22) 사이에 압착되어 헤드부(21)와 플랜지부(22)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랜지부(22)는 탄성 가압체(225) 및 탄성 걸림구(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가압체(225)는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가이드링(221)에 결합되고, 제1 가이드링(221)이 제1 가이드홈(213)에 결합되면 제1 가이드링(221)과 제1 가이드홈(213) 사이에 압축되면서 헤드부(21)를 플랜지부(22)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 걸림구(226)는 플랜지부(22)의 내면에 배치되고, 헤드부(21)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걸림홈들(218)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걸림구(226)는 플랜지부(22)에 수납되고, 일부분이 플랜지부(22)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홈(218)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재(226A) 및 플랜지부(22)에 수납되어 걸림부재(226A)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2)의 헤드부(21)가 체결부(23)에 비해 2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헤드부(21)에 형성된 제1 토출로(P1)가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므로, 바디(1)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노즐(2)의 내부에서 유동중인 화장품이 제1 토출로(P1)를 통과하면서 그 압력이 완화되어 자연스럽게 유동이 제한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화장품의 토출량을 의도한 대로 정확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디(1)에 결합되는 노즐(2)의 체결부(23)에는 노즐(2)의 축방향을 따라 바디(1)의 내면에 다단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들(231)이 형성되므로, 노즐(2)에 화장품의 유동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노즐(2)이 바디(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바디(1)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튜브형 화장품 용기
1. 바디
2. 노즐
O. 토출구
21. 헤드부
P1. 제1 토출로
S1. 제1 버퍼구간
S2. 제2 버퍼구간
P11. 제1-1 토출로
P12. 제1-2 토출로
P13. 제1-3 토출로
211. 제1 버퍼돌기
212. 제2 버퍼돌기
213. 제1 가이드홈
214. 제2 가이드홈
215. 제1 결합자석
216. 제2 결합자석
217. 제3 결합자석
218. 걸림홈
22. 플랜지부
P2. 제2 토출로
221. 제1 가이드링
222. 제2 가이드링
223. 고정자석
224. 기밀링
225. 탄성 가압체
226. 탄성 걸림구
226A. 걸림부재
226B. 탄성부재
23. 체결부
P3. 제3 토출로
231. 걸림돌기
231A. 경사면
231B. 단턱부
232. 절개홈
24. 탄성가압부재
241. 고정부
242. 가압부
3. 캡
4. 개폐 밸브
41. 지지캡
411. 제1 연통홀
42. 가압캡
421. 제2 연통홀
43. 멤브레인 부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는 튜브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바디에 저장된 화장품을 토출하는 노즐; 및
    상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상기 노즐의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내부에 제1 토출로가 형성되고,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외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의 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토출로와 연통되는 제2 토출로가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토출로 및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3 토출로가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로는 화장품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폭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길이 대비 상기 헤드부의 길이의 상대비는 1:2 이상 1:3 이하이며,
    상기 체결부의 외면에는,
    상기 노즐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의 내면에 다단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들;이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는, 화장품이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토출로의 일구간에 상기 제1 토출로의 폭을 좁히는 제1 버퍼돌기와, 상기 토출구의 폭을 좁히는 제2 버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로와 상기 제1 버퍼돌기 사이에는 제1 버퍼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퍼돌기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는 제2 버퍼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들은 상기 노즐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과, 상기 노즐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톱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절개홈들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내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절개홈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바디의 내면에 가압되어 상기 고정부 측으로 오므라지면서 탄성반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0230098875A 2023-07-28 2023-07-28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63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875A KR102637442B1 (ko) 2023-07-28 2023-07-28 튜브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875A KR102637442B1 (ko) 2023-07-28 2023-07-28 튜브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442B1 true KR102637442B1 (ko) 2024-02-15

Family

ID=8989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875A KR102637442B1 (ko) 2023-07-28 2023-07-28 튜브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4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952Y1 (ko) * 1995-07-26 1999-03-30 강병호 콘솔박스 내부안착물의 쿠션클립
KR20090007041U (ko) * 2008-01-08 2009-07-13 박영범 원푸쉬 체결방식의 저장용기 및 뚜껑
KR102076658B1 (ko) * 2019-05-31 2020-02-13 임종수 튜브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KR20200002074U (ko) * 2019-03-14 2020-09-23 (주)투엔티원 실리콘 카트리지용 노즐캡 고정구
KR20210158278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짜냄과 바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220106375A (ko) * 2021-01-22 2022-07-29 양경옥 약액 디스펜서
KR102515975B1 (ko) 2021-09-07 2023-03-30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952Y1 (ko) * 1995-07-26 1999-03-30 강병호 콘솔박스 내부안착물의 쿠션클립
KR20090007041U (ko) * 2008-01-08 2009-07-13 박영범 원푸쉬 체결방식의 저장용기 및 뚜껑
KR20200002074U (ko) * 2019-03-14 2020-09-23 (주)투엔티원 실리콘 카트리지용 노즐캡 고정구
KR102076658B1 (ko) * 2019-05-31 2020-02-13 임종수 튜브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KR20210158278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중앙플라텍 짜냄과 바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220106375A (ko) * 2021-01-22 2022-07-29 양경옥 약액 디스펜서
KR102515975B1 (ko) 2021-09-07 2023-03-30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983B2 (en) Plural nested preform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749290A (en) Trigger actuated pump
CN101776166B (zh) 关于控制通过同心通路的流的方法、装置和/或系统
JP3935204B2 (ja) 媒体放出装置
US7654419B2 (en) Dispenser having elastomer discharge valve
US3490651A (en) Dispenser system f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separately stored fluids
US20030160071A1 (en) Adapter for a manually operated dispensing device of containers of liquid
KR100898619B1 (ko) 유체 펌핑장치
US10155243B2 (en) Dispensing device for a fluid
KR102164249B1 (ko) 분배기용 도포기 헤드 및 도포기 헤드를 구비한 분배기
KR102637442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4327276B2 (ja) 媒体ディスペンサー
US11772105B2 (en) Spray attachment for bringing out fluid substances in a jet-like manner
CN109070115A (zh) 密封止回阀
JPH10281199A (ja) 長さ調整可能なガススプリング
KR102091210B1 (ko) 에코 펌프 방식의 화장품 용기
KR20170135871A (ko) 패스티 질량체들에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CA2015195C (en) Side orifice dispensing closure
JP5687623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
US20220379340A1 (en) Cartridge for a dispensing device
KR102102223B1 (ko) 에코 펌프 방식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2112923B1 (ko) 일체형 노즐을 갖는 실리콘건
US3841602A (en) Valve
US11204272B2 (en) Dispensing closure
CN220363752U (zh) 一种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