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422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422B1
KR102637422B1 KR1020217030903A KR20217030903A KR102637422B1 KR 102637422 B1 KR102637422 B1 KR 102637422B1 KR 1020217030903 A KR1020217030903 A KR 1020217030903A KR 20217030903 A KR20217030903 A KR 20217030903A KR 102637422 B1 KR102637422 B1 KR 10263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requency
value
vertical blank
blank sec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585A (ko
Inventor
천영호
류병우
이형일
장준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09G5/008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영상을 연속해서 시청 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화면 상의 이상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되도록 구동 주파수를 시간적으로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한 프레임 구간 내에 기 설정된 듀티비로 발광신호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 1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이어서 제 2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프레임 구간 별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주파수의 영상을 연속해서 시청 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화면의 이상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픽셀 단위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색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Micro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icro-LED)도 선보이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 층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 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 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Micro-LED)는 수십 마이크로 크기를 지닌 발광 소자로 정공이 다수 캐리어인 p형 반도체와 전자가 다수 캐리어인 n형 반도체의 이종접합 구조를 가진다. 다수 캐리어는 인가된 전압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활성층에서 만나 재결합을 하며 갖고 있던 여기 에너지를 광자의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때 방출되는 광자의 파장은 활성층이 갖는 고유의 에너지 갭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달리 무기물을 기반으로 하는 바, 디스플레이 화면의 번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력 소모 및 수명 특성 관점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Micr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픽셀 및 서브픽셀을 각각의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구현이 용이하며,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응답 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구동 주파수의 영상을 자연스럽게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대비 단축된 동영상 응답 시간((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이 요구된다.
상기 동영상 응답 시간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동화상의 이동을 측정하는 것으로 평가하며, 인간의 시감 특성을 반영하여 동영상의 경계부위를 CCD 카메라를 통해 적정 시간 따라가며 정지화상으로 이들 화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된 정지 화상의 선명도를 평가하는 것이 국제 표준으로 제안되고 있다.
즉, 동영상 응답 시간의 지수가 낮게 측정됨은 화상의 선명도가 낮은 것으로서,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동영상을 볼 때 사용자 눈의 피로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상기 동영상 응답 시간의 지수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재생되는 영상 프레임의 사이에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는 기술(Black Frame Insertion; BFI)이 도입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한 프레임 내에서 발광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블랙 데이터 삽입 효과를 주는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제 1입력 주파수를 제 1구동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시점과 관계 없이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입력 주파수와 다른 제 2입력 주파수를 제 2구동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제 1시점에는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및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과는 다른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시점 이후 제 2시점에는,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1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한 프레임 구간 내에 기 설정된 듀티비로 발광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과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2입력 주파수를 상기 제 2구동 주파수로 변환할 때, 상기 제 2입력 주파수와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의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일정한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1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 2구동 주파수 중 하나는 100 헤르쯔이고 다른 하나는 120 헤르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되도록 구동 주파수를 시간적으로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한 프레임 구간 내에 기 설정된 듀티비로 발광 신호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 1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이어서 제 2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프레임 구간 별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 프레임 내에서 발광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블랙 데이터 삽입 효과를 주는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입력 주파수의 영상이 구동 주파수의 영상으로 변환될 때, 변화하는 주파수 차이에 상응하여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변경하여,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개별 픽셀에 전달될 수 있는 발광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은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구동주파수에 따라 설정된 수직 스캔 구간과 수평 스캔 구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다를 때, 한 프레임 내 총 수직 스캔 시간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차지하는 비율 및 각 프레임 별 상기 비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입력 주파수를 구동 주파수로 변환할 때, 입력 주파수와 구동 주파수의 차이에 상응하여 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변화시키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 형태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경우, 주파수와 신호를 구분하여 표현하고 있는데, 주파수는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입력 영상 신호 또는 구동 영상 신호에 한정하여 입력 주파수 또는 구동 주파수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신호는 예를 들어, 비록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더라도 단순히 신호로 표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구동 주파수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서(110), 상기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여 드라이버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0)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20),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데이터 드라이버(130),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140)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되고, 그 교차지점에 픽셀이 정의된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프로세서(110)에서 전달받은 구동 주파수의 영상에 대해,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정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프로세서(110)와 함께 하나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소스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버 IC를 포함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각 데이터 드라이버 IC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 회로(Latch Circuit),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출력 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각 데이터 드라이버 IC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4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게이트 드라이버는 스캔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이러한 게이트 드라이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IC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IC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40)는 타이밍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게이트 드라이버(140)에 의해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타이밍 컨트롤러(1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측(예 : 상측 또는 하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양측(예: 상측과 하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4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측(예 : 좌측 또는 우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양측(예: 좌측과 우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ata Enable; D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프로세서(110)으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스타트 펄스(Data Start Pulse; DSP), 데이터 쉬프트 클럭(Data Shift Clock; DSC),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Data Output Enable; DOE) 등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 (Data Control Signal; DCS)를 출력한다.
여기서, 데이터 스타트 펄스(DSP)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쉬프트 클럭(DSC)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데이터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DOE)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20)는 게이트 드라이버(14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 (Gate Control Signal; GCS)를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드라이버(14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IC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IC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140)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0)은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Micro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icr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으나, 이하 디스플레이부(150)을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부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배열된 픽셀(미도시)의 경우, 각 서브 픽셀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소자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피면, 기본적으로 데이터 드라이버와 연결된 데이터 트랜지스터, 게이트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게이트 트랜지스터 및 영상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 또는 이에 대응되는 전압을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프레임 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블랙 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트랜지스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타이밍 컨트롤러(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0)의 개별 픽셀에 전달될 수 있는 발광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한 프레임 내 듀티비가 다르게 설정된 발광 신호의 파형도는, 기존의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는 기술(Black Frame Insertion; BFI)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도입되고 있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는 기술(BFI)은 기본적으로 원본 프레임과 블랙 프레임이 홀짝을 이루며 디스플레이 되는데, 블랙 프레임이 삽입되는 시점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전체 화면이 블랙을 유지하므로, 복수의 프레임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평균 휘도는 감소하는 부작용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 프레임 구간 내에서 발광 신호의 듀티비를 설정하고, 설정된 듀티비에 의해 발광 신호를 제어하는 기술이 새롭게 도입되고 있다.
한 프레임 내에서 발광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개별 픽셀 별로 발광 신호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하며, 통상적으로 기존의 데이터 트랜지스터나 게이트 트랜지스터 이외의 발광 신호를 제어하는 별도의 트랜지스터가 도입되어, 타이밍 컨트롤러(120)에서 상기 트랜지스터로 추가적인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듀티비는 일정한 주기 내에서 신호가 있는 구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한 프레임 구간의 시간 동안에 디스플레이부(150)가 발광하는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개별 픽셀 별로 듀티비를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0)의 전체 영역 내 일정 구역을 나누어 해당 구역 별로 발광 신호의 듀티비를 설정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한 프레임 내 디스플레이부(150)에 포함된 전체 픽셀들에 대한 발광 신호의 비율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한 프레임 내 디스플레이부(150)에 포함된 전체 픽셀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가정하고, 상기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듀티비로 제어되는 발광 신호의 파형도이다.
예를 들어, 도 2(c)는 한 프레임 구간 내의 듀티비가 50%로 설정되어 있어, 모든 픽셀들에 대해 한 프레임 내에서 절반의 시간은 발광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절반의 시간은 발광되지 않아 블랙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듀티비를 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는 프로세서(110)에서 별도의 블랙 프레임 생성 없이, 타이밍 컨트롤러의 발광 신호 제어만으로 가능한 기술인 바, 구동 주파수의 변화 없이 구동 주파수가 증가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응답 시간을 개선하고, 재생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여 한 프레임 내 영역 별로 발광 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블랙 프레임의 삽입 또는 한 프레임 내 블랙 영상이 표시되어 평균적으로 저하되는 휘도 특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한 프레임 내 발광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동영상 응답 시간이나 휘도 관점에서는 블랙 프레임 삽입 기술(BFI) 대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나, 예를 들어, 구동 주파수가 다른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는 그 변경구간에서 화면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일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새롭게 입력되는 영상의 입력 주파수를 구동 주파수로 변환하고, 상기 구동 주파수만을 제어하면 되지만, 상기 듀티비를 설정하는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한 프레임 내에서 별도의 발광 신호도 제어해야 하는 바, 변경 구간에서 일시적으로 변경 주파수의 제어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변경 구간에서 예기치 않은 주파수의 변화는 화면 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상기 화면 이상의 증상에는 입력 수직 동기 신호와 출력 수직 동기 신호의 불일치에 따른 테어링(Tearing), 재생되는 프레임 간 주파수 차이에 따른 스터터링(Stuttering) 또는 화면의 밝기가 일정하지 않고 영상이 떨리는 플리커(Flicker) 현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 내에서 선택된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서비스의 경우, 전체 화면의 하단에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 리스트(320)가 표기되며, 그 중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도 3(a)와 같이 전체 화면의 상단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트레일러 영상(310)이 재생된다. 이후 다른 콘텐츠를 선택하면 곧바로 상기 다른 콘텐츠의 트레일러 영상이 재생되게 된다. 이 때 도3(b)와 같이 예기치 않은 주파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변화는 화면 이상 현상을 유발한다.
도 3(b)는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동영상이 버퍼기간 없이 연속해서 재생될 때, 변경구간(330)에서 주파수 이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캡처한 화면이다.
상기 도 3(b)의 실험은 한 프레임 내 발광 신호의 듀티비가 50%로 설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측정되었다. 듀티비가 50%의 의미는, 예를 들어, 발광 신호의 온(on) 오프(off) 비율이 50%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도 3(b)와 같이 120Hz의 구동 주파수를 가진 제 1영상을 재생되는 경우에는 약 4ms의 시간을 기준으로 신호의 온(on) 오프(off) 가 반복되며, 100Hz의 구동 주파수를 가진 제 2영상을 재생되는 경우에는 약 5ms의 시간을 기준으로 신호의 온(on) 오프(off) 가 반복된다. 하지만 변경구간(330)에서 상기 신호의 주파수를 살피면, 온(on) 신호의 시간이 4ms이고 오프(off) 신호가 6ms로 의도하지 않은 주파수 변화가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파수 이상은 플리커(Flicker)와 같은 화면 이상 현상의 원인이 된다.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 기술에서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수직 블랭크 구간은 디스플레이에서 한 프레임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수직 스캔 신호가 출력되고, 다음 프레임의 수직 스캔 신호가 출력되기 전 사이의 구간이며, 이 때 통상적으로 동기 신호가 삽입되어 수직 스캔 신호와 수평 스캔 신호의 동기화를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구동 주파수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데, 100Hz의 경우는 540H이며, 120Hz의 경우는 90H이다.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표현하는 H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스캔하는 신호에 대한 단위로 시간적 의미를 지닌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100Hz의 제 1영상에서 120Hz의 제 2영상으로 변경될 때,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도 540H에서 90H로 즉각적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즉각적인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변경은, 제 1영상에서 제2영상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버퍼기간을 가지기 어려워 주파수 변화에 따른 화면 이상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도 4(b)는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급작스러운 구동 주파수의 변경이 화면 이상을 유발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제 1영상에서 제 2영상으로 변경 시, 예를 들어, 프레임 별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1영상에서 제2영상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버퍼기간을 둠으로써 주파수 변경에 따른 화면 이상을 최소화 시킨다.
수직 블랭크 구간은 영상이 출력되지 않은 구간으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버퍼기간을 두는 것이, 프로세서에서 별도의 복잡한 신호 처리 기술을 고안하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면서도,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100Hz의 구동 주파수에서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경될 때, 변경 구간에서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화면 이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100Hz의 구동 주파수에서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경될 때,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100Hz의 구동 주파수에서 설정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은 540H이며, 120Hz의 구동 주파수에서 설정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은 90H인 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프레임 당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5(b)에서 도시하듯이,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540H에서부터 90H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각 프레임 당 5H만큼의 일정한 간격으로(일정한 값의 차이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감소하며 진행된다.
따라서 540H에서부터, 프레임이 변화함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도 535H, 530H, 525H의 순서대로 변화하여, 최종 90H에 이르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총 90 프레임에 걸쳐 수행된다. 120Hz의 구동 주파수에서는 프레임 당 10ms의 시간 간격을 갖는 바, 상기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변경에는 총 0.9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도 6은 구동 주파수에 따라 설정된 수직 스캔 구간과 수평 스캔 구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 내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의 수직 스캔 구간의 값, 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및 총 수직 스캔 구간의 값을 살피면, 구동 주파수 차이에 의한 총 수직 스캔 구간의 값의 차이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00Hz에서 120Hz로 구동 주파수가 변화하는 경우, 동일한 시간 내에 더 많은 프레임이 재생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한 프레임의 재생 시간은 단축되어야 하는데, 프레임 당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감소함으로써 상기 재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와 같은 별도의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활용하고 있다면, 갑작스러운 구동 주파수의 변경 및 이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변경은 상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워, 플리커와 같은 화면 이상을 가져올 수 있다.
도 7은 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다를 때, 한 프레임 내 총 수직 스캔 시간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차지하는 비율 및 각 프레임 별 상기 비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의 경우, 프레임 별로 5H의 간격을 가지고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할 때, 한 프레임 내 총 수직 스캔 시간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차지하는 비율 및 각 프레임 별 상기 비율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레임이 변화함에 따라 한 프레임 내 총 수직 스캔 구간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0.22%만큼 변화한다.
도 7(b)의 경우, 프레임 별로 10H의 간격을 가지고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할 때, 프레임이 변화함에 따라 한 프레임 내 총 수직 스캔 구간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0.44%만큼 변화한다.
도 7(c)의 경우, 프레임 별로 20H의 간격을 가지고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할 때, 프레임이 변화함에 따라 한 프레임 내 총 수직 스캔 구간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0.89%만큼 변화한다.
한 프레임 내 발광 신호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에 대해, 상기 도 7의 (a), (b), (c)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상기 도 7(a), (b) 조건에서는 플리커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7(c) 조건에서는 플리커 현상이 관찰되었다.
즉, 프레임 별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변화하는 간격이 클수록,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플리커와 같은 화면 이상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화면 이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반대 급부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최종적으로 변경되기까지 더 많은 프레임이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직 블랭크 구간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는 바, 상기 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차이는 적정한 수준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도 8은 입력 주파수를 구동 주파수로 변환할 때, 입력 주파수와 구동 주파수의 차이에 상응하여 프레임 별로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2입력 주파수는 제 2구동 주파수로 변환되는데, 예를 들어, 입력 주파수는 24Hz, 25Hz, 50Hz 또는 60Hz일 수 있고, 변환되는 구동 주파수는 100Hz 또는 120Hz이다.
상기 제 2 구동 주파수는 제 1 구동 주파수와는 다르게, 프레임 별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일정한 차이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설계한다.
도 8(a)에서 25Hz의 입력 주파수는 10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환된다. 25Hz 입력 주파수의 경우 1초에 25프레임이 재생되는 바, 100Hz의 구동 주파수에서는 상기 25 프레임이 100프레임으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 변환 과정에서 동일한 프레임은 연속해서 4번 반복될 수 있고, 프레임 별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차이)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여도, 동일 프레임이 연속해서 재생되는 구간에서는 화면 이상 현상이 나타날 확률이 감소하게 된다.
도 8(b)의 경우도, 24Hz의 입력 주파수가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환되며, 동일한 프레임이 연속해서 5번 반복되는 바, 프레임 별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도 8(c)는 50Hz의 입력 주파수가 10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환되는 경우로, 동일한 프레임이 연속해서 2번만 반복되는 구조인 바, 도 8(a) 또는 도 8(b) 대비 프레임 별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해야 한다.
도 8(d)도 60Hz의 입력 주파수가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환되는 경우로, 동일한 프레임이 연속해서 2번만 반복되는 구조인 바, 도 8(a) 또는 도 8(b) 대비 프레임 별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해야 한다.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설정한다는 의미는, 예를 들어, 특정한 입력 주파수와 구동 주파수의 차이를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파수의 차이가 기준 값보다 클수록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길게 설정하고, 상기 주파수의 차이가 기준 값보다 작을수록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짧게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설정하는 기준을 동일 프레임이 반복되는 횟수로 정할 수도 있다. 입력 주파수에서 구동 주파수로 변환될 때, 입력 주파수에서 구동 주파수의 차이에 따라 동일 프레임이 반복되는 횟수가 달라질 것이며, 동일 프레임이 반복되는 횟수가 클수록 프레임 별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8에서 나열된 주파수 변환의 경우 입력 주파수와 구동 주파수가 정수 배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정수 배의 차이가 아니더라도 복제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하고, 이후 상기 프레임 별 변화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Hz의 입력 주파수가 100Hz의 구동 주파수로 변환될 때는 2:3의 비율로 각 프레임이 복제될 수 있다. 40Hz의 재생되는 프레임을 홀짝으로 나누면, 100Hz 변환 시, 홀수번째 프레임은 동일한 프레임이 2번 반복되며, 짝수번째 프레임은 동일한 프레임이 3번 반복되는 식의 변환이 가능하다.
이처럼 입력 주파수의 영상이 구동 주파수의 영상으로 변환될 때, 변화하는 주파수 차이 또는 동일한 프레임이 반복되는 횟수에 상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변화되는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때 발생하게 되는 화면 이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프로세서(910)에서 제 1입력 주파수를 감지하고(S911), 제 1구동 주파수로 변환한다(S913). 전술하였듯이, 이 때 주파수의 변환은 단순히 Hz의 증가 또는 감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파수 차이에 따른 프레임의 복제 비율 및 더 나아가, 화질 개선을 위한 신호처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변환된 제 1구동 주파수는 타이밍 컨트롤러(920)로 전달되고(S915),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비디오 신호의 타이밍 및 프레임 별로 설정된 발광신호의 듀티비에 따른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S917).
디스플레이부(930)은 타이밍 컨트롤러(92)으로부터 받은(S919) 제어 신호들을 기초로 제 1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S921).
상기 제 1영상이 디스플레이 중에, 프로세서(910)가 제 2영상 재생을 위한 제 2입력 주파수를 감지하게 되면(S923), 프로세서(910)는 제 2입력 주파수를 제 2 구동 주파수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925).
이후 변환된 제 2구동 주파수는 타이밍 컨트롤러(920)로 전달되고(S927),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 1구동 주파수와 제 2구동 주파수가 다르다면, 프레임 별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제어한다(S929).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20)은 제 2입력 주파수에서 제 2구동주파수로 변환할 때, 변화하는 주파수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일정한 간격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한 간격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세서(910)에서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20)은 제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비디오 신호의 타이밍 및 프레임 별로 설정된 발광신호의 듀티비에 따른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S931).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부(930)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92)으로부터 받은(S933) 제어 신호들을 기초로 제 2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S93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변화시키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변화시키는 기술은, 한 프레임 내에서 발광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더욱 효과적인 기술인 바, 먼저 한 프레임 내 발광 비율이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0).
한 프레임 내 발광 비율이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니라면, 별도의 수직 블랭크 시간 변경은 적용하지 않고,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S1030).
한 프레임 내 발광 비율이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면, 일단 콜백 함수로 등록하여(S1020), 이후 구동 주파수가 변경되는 영상의 재생 시, 상기 콜백 함수를 실행시킨다.
이후 구동 주파수가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S1040)하고, 구동 주파수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S1030).
상기 구동 주파수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한 프레임 내 발광 비율이 조절되는 기능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S1050).
상기 기능이 꺼져 있다면, 노멀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S1030), 상기 기능이 켜져 있다면, 구동 주파수의 영상이 변경되어 재생되는 과정에서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경시킨다(S1060).
도 10에서는 콜백 함수를 등록하는 과정(S1020)과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S1060)을 포함한 일련의 과정이 모두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경시키는 과정(S1060)은 구동 주파수가 변경되는(S1040)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별도로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뿐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 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입력 주파수를 제 1구동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시점과 관계 없이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입력 주파수와 다른 제 2입력 주파수를 제 2구동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제 1시점에는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및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과는 다른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시점 이후 제 2시점에는,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한 프레임 구간 내에 기 설정된 듀티비로 발광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과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입력 주파수를 상기 제 2구동 주파수로 변환할 때, 상기 제 2입력 주파수와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의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일정한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 주파수 및 상기 제 2구동 주파수 중 하나는 100 헤르쯔이고 다른 하나는 120 헤르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프로세서;
    복수 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되도록 구동 주파수를 시간적으로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제 1구동 주파수의 영상으로 변환시키고, 제 2입력 주파수의 영상을 제 2구동 주파수의 영상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한 프레임 구간 내에 기 설정된 듀티비로 발광신호를 제어하고,
    제 1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시점과 관계 없이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영상을 제어하고,
    제 2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제 1시점에는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및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과는 다른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영상을 제어하되, 제 3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은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제 1시점 이후 제 2시점에는,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에 따라 영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 1구동 주파수 및 제 2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경우, 한 프레임 구간 내에 기 설정된 듀티비로 발광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 3 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이, 상기 제 1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1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과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에 설정된 제 2수직 블랭크 구간의 값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 2입력 주파수를 상기 제 2구동 주파수로 변환할 때, 상기 제 2입력 주파수와 상기 제 2구동 주파수의 차이에 상응하여 상기 일정한 간격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 주파수 또는 상기 제 2구동 주파수는 100헤르쯔 또는 120헤르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픽셀들은 발광다이오드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7030903A 2019-05-31 2019-05-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7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593 WO2020241946A1 (ko) 2019-05-31 2019-05-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585A KR20210125585A (ko) 2021-10-18
KR102637422B1 true KR102637422B1 (ko) 2024-02-16

Family

ID=735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903A KR102637422B1 (ko) 2019-05-31 2019-05-3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99006A1 (ko)
EP (1) EP3979230A4 (ko)
KR (1) KR102637422B1 (ko)
WO (1) WO202024194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5297A1 (en) * 2014-07-29 2016-02-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147B2 (ja) * 2001-07-27 2006-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060018393A (ko) * 2004-08-24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60132222A (ko) * 2005-06-17 2006-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40281A (ko) * 2006-11-02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954934B1 (ko) * 2011-08-08 2019-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080828A1 (ja) * 2012-11-22 2014-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096080B2 (en) * 2014-06-27 2018-10-09 Intel Corporation Power optimization with dynamic frame rate support
KR102538879B1 (ko) * 2016-08-11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52287B1 (ko) * 2016-09-06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7276B1 (ko) * 2016-11-23 202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회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94294B1 (ko) * 2016-11-25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TWI622976B (zh) * 2017-03-15 2018-05-01 明陽半導體股份有限公司 灰階產生電路與使用其之驅動電路
US10943516B2 (en) * 2017-05-15 2021-03-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utilizing output of display component for display temperature compensation
KR102490631B1 (ko) * 2018-06-12 2023-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20183998A (ja) * 2019-05-07 2020-11-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5297A1 (en) * 2014-07-29 2016-02-0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9230A4 (en) 2022-11-23
KR20210125585A (ko) 2021-10-18
EP3979230A1 (en) 2022-04-06
US20220199006A1 (en) 2022-06-23
WO2020241946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89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2542980B (zh) 时序控制器和使用时序控制器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件
US10007968B2 (en) Image-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7452333B (zh) 一种像素补偿方法、像素补偿装置及显示装置
JP2011197215A (ja)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US1060754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data driver, and low power driving method
KR20140067778A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20140092145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6053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8072825A (ja) 有機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装置
JP2019028210A (ja) 表示パネル、表示パネルの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102106556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10282167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201947571A (zh) 畫素驅動電路及具有畫素驅動電路的顯示裝置
US20140240366A1 (en) Display device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US11810514B2 (en) Display panel,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KR10263742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224330B2 (en) Display device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KR20230070726A (ko) 표시 장치
KR10199287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316567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4491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JP5207685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230103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101611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