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22B1 -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 Google Patents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22B1
KR102636822B1 KR1020210029803A KR20210029803A KR102636822B1 KR 102636822 B1 KR102636822 B1 KR 102636822B1 KR 1020210029803 A KR1020210029803 A KR 1020210029803A KR 20210029803 A KR20210029803 A KR 20210029803A KR 102636822 B1 KR102636822 B1 KR 10263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space
pets
drum
upp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5915A (en
Inventor
김전일
Original Assignee
김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전일 filed Critical 김전일
Priority to KR102021002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22B1/en
Publication of KR2022012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판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는 회전드럼의 상부 공간에 반려동물이 들어와 배변이나 배뇨 활동을 하도록 한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상부 공간을 하부로 위치시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일일이 화장실을 청소하거나 배설물을 배출할 필요가 없어 화장실 관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의 모래재가 외부로 날리거나 소모되지 않아 실내 위생 환경과 청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et to enter the upper space of a rotating drum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by a separation plate to defecate or urinate, then rotates the rotating drum 180° to position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part and sprays washing water. It is about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that can be cleaned. Not only is it very easy to maintain the toilet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clean the toilet or discharge excrement, but the sand inside the toilet is not blown outside or consumed.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indoor hygienic environment and cleanliness and reducing costs.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판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는 회전드럼의 상부 공간에 반려동물이 들어와 배변이나 배뇨 활동을 하도록 한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상부 공간을 하부로 위치시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More specifically, the pet is allowed to enter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by a separation plate, to defecate or urinate, and then the rotating drum is closed. This relates to an automatic flushing toilet for pets that can be rotated 180° to position the upper space at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cleaned by spraying washing water.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이란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며 함께 살아가는 동물을 일컫는 것으로, 종래에는 애완동물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인간의 즐거움을 위한 소유물이나 장난감이 아니라 반려자로서 함께 살아간다는 의미에서 반려동물이라는 표현이 대중화되었다.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refers to an animal that a person relies on emotionally and lives with. In the past, the term pet was used a lot, but now it is called a companion animal in the sense that it lives together as a companion rather than as a possession or toy for human enjoyment. The expression became popular.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동물로써 개나 고양이가 대표적인데, 한국의 경우 반려동물로써 개나 고양이를 키우는 가구가 4가구 중 1가구에 달하고 있으며, 1인 또는 2인 가구의 증가와 인구의 고령화 문제에 따라 반려동물과 함께 거주하는 가구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Dogs and cats are representative companion animals that live with people indoors. In Korea,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dogs or cats as companion animals amounts to 1 in 4 households, and the number of one- or two-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and the population is aging. Accordingly, the number of households living with pets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이 실내에서 함께 거주할 때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 중의 하나가 배설과 관련된 것으로, 반려동물이 지정된 장소에서 배변이나 배뇨를 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또한, 반려동물의 배설물에서는 암모니아와 캐스톨 가스, 매르캅틴, 아민 등이 발생하여 악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One of the many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pets such as dogs or cats live together indoors is related to excretion, and it is not easy to train pets to defecate or urinate in designated places. In addition, ammonia, castol gas, mercaptin, and amines are generated from pet excrement, which not only causes bad odor but also has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so thorough management is required.

종래에는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청소 등이 용이한 욕실 바닥에서 배변이나 배뇨를 하도록 훈련하거나, 거실이나 발코니 등의 특정 위치에 배변 패드나 배변판을 놓아두고 반려동물이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특정 위치나 배변 용구에세 배변이나 배뇨를 하도록 반려동물을 훈련하더라도, 배설 후 사람이 청소나 세척 등 뒤처리를 일일이 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the past, a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to train pets to defecate or urinate on the bathroom floor, which is easy to clean, or to place a toilet pad or board in a specific location such as the living room or balcony for the pet to use. However, even if a pet is trained to defecate or urinate in a specific location or toile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nually clean or wash the animal after excretion.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모래 위에서 배변이나 배뇨를 하고, 배설물을 모래로 덮어 버리는 습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반려동물로서 고양이와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은 개방된 넓은 상면을 가지는 용기에 모래를 담아서 고양이를 위한 화장실을 따로 마련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고양이가 화장실을 사용한 후에는 사용자가 직접 삽이나 기타 도구로 배설물을 오염된 모래와 함께 치워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particular, cats have a habit of defecating or urinating on sand and covering their excrement with sand, so people who live with cats as pets put sand in a container with a large open top and use it as a litter box for cats. It was common to provide separate provisions. Additionally, after a cat used the toilet, it was common for the user to clean up the excrement along with the contaminated sand using a shovel or other tool.

그러나, 고양이의 분변이나 소변 등 배설물을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악취를 풍기게 되는 등 사람이 직접 처리할 때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비위가 약하거나 냄새에 민감한 사람은 고양이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것이 매우 큰 고역으로 작용하였다.However, in most cases, people feel uncomfortable when they directly dispose of cat feces or urine, as they become more foul-smelling over time. In particular, people with weak stomachs or who are sensitive to smells do not handle cat feces. It was a huge ordeal to do so.

또한, 개방된 넓은 상면을 가지는 일반적인 고양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경우, 화장실에 담겨 있는 모래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고양이 배설물을 처리하는 중이나 고양이가 모래를 파는 등의 행위를 할 때 고양이 배설물로 오염된 모래가 화장실 주위로 날리게 되어 위생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using a general cat litter box with a large open top, the sand contained in the litter box is exposed, so sand contaminated with cat waste can be exposed when disposing of cat waste or when a cat digs in the s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fly around the bathroom and cause hygiene and health problems.

이를 위하여 현재에는 광물계의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 셀룰로오스 입자 등의 입상물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제작한, 냄새를 흡수하고 잘 날리지 않는 고양이 모래가 시판되어 자연 모래를 대신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적인 고양이 모래 또한 고양이 배설물로 오염된 경우, 여전히 배설물과 함께 배출하여 폐기해 주는 작업을 사림이 일일이 해주어야 하고, 주기적으로 고양이 모래를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새로운 고양이 모래를 구입하여야 하는 비용적인 문제도 있었다.For this purpose, cat litter, which is artificially manufactured using granular materials such as mineral zeolite, bentonite, and cellulose particles,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is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natural sand. However, if this artificial cat litter is also contaminated with cat waste, the company must still dispose of it along with the waste, and the cost of purchasing new cat litter to periodically replenish or replace the cat litter is incurred. There was also a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2023호(2020.08.0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2023 (2020.08.0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반려동물용 화장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판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는 회전드럼의 상부 공간에 반려동물이 들어와 배변이나 배뇨 활동을 하도록 한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회전시켜 상부 공간을 하부로 위치시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내 위생 환경과 청결성을 높일 수 있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et toilet described above. After allowing a pet to enter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which i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part by a separation plate, to defecate or urinate, the rotating drum 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that is not only easy to manage but also improves indoor hygienic environment and cleanliness by rotating the upper space by 180° and positioning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part so that it can be cleaned by spraying washing wat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은, 일측에 반원형 출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일측에서 타측까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너비의 오수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의 반원형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으로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용 모터;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수세부;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의 오수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염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수하는 오수처리부; 및 뱐려동물의 용변 활동 종료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드럼용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한 후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도록 상기 수세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housing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entrance on one side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It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housing so that it can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space by a separator formed horizontal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have an inner and outer space. A rotating drum each having a sewage discharge portion of a certain width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o allow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ion plate through a semicircular entrance of the housing; A drum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drum to rotate the rotating drum; A washing unit for cleaning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a sewage treatment unit that drains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a sewage discharge unit in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fter the pet's toilet activity ends, the rotary drum is rotated 180° to control the drum motor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rotates downward, and after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rotates downward, washing water is spray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ater washing unit to wash.

이때, 상기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은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상부와 하부 공간에서 상기 오수배출부에 각각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분쇄 스크류; 및 상기 분쇄 스크류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분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스크류용 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한 후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분쇄 스크류가 구동하도록 스크류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includes a pair of crushing screws located adjacent to the sewage discharge s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respectively; and a pair of screw mo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rushing screw to rotate the crushing screw, wherei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downward and drives the crushing screw located below.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screw motor so as to do so.

그리고, 상기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은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상부와 하부 공간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오수배출부를 이루고 있는 통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있는 다수개의 마이크로 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 ball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ing the sewage discharge portion. Do it as

한편, 상기 오수처리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의 오수배출부 하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오염수를 수용하는 오수통과, 상기 오수통에 수용된 오염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sewage treatment unit includes a sewage tank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wage discharge sec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to receive discharged contaminated water, and a drain pump that discharges the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sewage tank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상기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은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잔여 세척수를 건조하는 건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further includes a drying unit that dries residual washing water by spraying hot air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또한, 상기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은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상부 공간으로 반려동물의 입장과 퇴장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반려동물의 퇴장을 감지한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드럼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entry and exit of the pet into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exit of the pet from the sensor unit. The drum motor is controlled to rotate the rotating drum 180°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moves downward.

본 발명은 회전드럼을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부 공간을 반려동물이 들어와 배변이나 배뇨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하부 공간을 반려동물의 분변이나 소변을 세척하여 배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하되, 반려동물의 배변이나 배뇨 활동 종료 후 자동으로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상부 공간이 하부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화장실을 청소하거나 배설물을 배출할 필요가 없어 화장실 관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의 모래재가 외부로 날리거나 소모되지 않아 실내 위생 환경과 청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rotating drum into an upper and lower space, using the upper space as a space where pets can enter and defecate or urinate, and the lower space as a space where pet feces or urine can be washed and discharged. However, after the pet's defecation or urination activity ends, the rotating drum is automatically rotated 180° so that the upper space is positioned at the bottom, making toilet management very easy as the user does not need to clean the toilet or discharge excrement individually. Additionally, the sand ash inside the bathroom is not blown outside or consum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indoor hygienic environment and cleanliness and reduc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드럼의 정면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d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below are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ny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contained in.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are used as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cludes.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with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not be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It is not interpreted as mean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0)과,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분리판(220)에 의하여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는 회전드럼(200)과, 상기 회전드럼(200)을 회전 구동시키는 드럼용 모터(300)와,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수세부(400)와, 상기 회전드럼(200)의 오수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염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오수처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automatic flush toilet 10 for p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with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one side of which is open, and a separation plate ( 220), a rotating drum 200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 drum motor 300 that rotates the rotating drum 200,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It is comprised of a water washing unit 400 that cleans the water, and a sewage treatment unit 500 that drains th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part of the rotating drum 200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반원형 출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어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반려동물이 상기 반원형 출입구(110)를 통하여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At this time, a semicircular entrance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a pet that wants to use the bathroom can enter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through the semicircular entrance 110.

아울러, 상기 회전드럼(200)은 단면이 완전히 원형인 원통형 드럼으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길이가 조금 더 긴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반려동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회전드럼(20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여 준다.In addition, the rotating drum 200 may be composed of a cylindrical drum with a completely circular cross section, but as shown in FIG. 3, it has an oval cross section with a slightly longer top and bottom length,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more easily rotate the drum. It allows entry into the drum (200).

또한,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는 반려동물, 특히 고양이가 안정적으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천연의 모래를 대신할 수 있는 입자형 부재를 구비하여 두도록 하는데, 제올라이트나 벤토나이트 등 광물성 부재보다는 세척을 통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나 실리콘 계열의 마이크로 볼(25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rotating drum 200 are provided with granular members that can replace natural sand so that pets, especially cats, can use the toilet stably. Minerals such as zeolite or bentonite are provided. It would be preferable to use synthetic resin or silicone-based micro balls (250), which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hrough washing, rather than materials.

상기 회전드럼(20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상기 드럼용 모터(300)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드럼용 모터(300)를 직결할 수도 있겠지만, 기어나 벨트 등의 동력 전달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용 모터(30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210)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otating drum 200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drum motor 300 about a rotating shaft 210 formed horizontal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As shown in FIG. 2, the rotating shaft 210 and the drum The drum motor 300 may be directly connected, but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motor 300 to the rotation shaft 210 using a power transmission member such as a gear or belt.

이때, 상기 드럼용 모터(300)는 상기 회전드럼(200)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드럼(200)의 분리판(220)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번에 180° 각도씩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한 번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이 하부로 이동하고, 다음 회전으로 다시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rum motor 300 does not rotate the rotating drum 200 at an arbitrary angle, but rotates the rotating drum 200 at an angle of 180° at a time so that the separator plate 220 of the rotating drum 200 is always maintained horizontally. It is configured to rotate only in increments. That is, with one rotation,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moves downward, and with the next rotation,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moves upward again.

이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200)의 회전에 의하여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 공간은 반려동물이 들어와 배설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며,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 공간은 배설 활동이 끝난 후 반려동물의 분변과 소변 등의 배설물을 세척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In this way, the upper space located at the top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um 200 is used as a space where companion animals can enter and excrete, and the lower space located at the bottom is used as a space for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crete. It is used as a space to wash excrements such as feces and urine.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에는 상기 수세부(400)에 의하여 반려동물의 배설물과 오염된 상기 마이크로 볼(250)을 세척하게 되는데, 상기 수세부(400)는 외부의 세척수 공급원과 연결되어 있는 입수관(430)과, 상기 입수관(430)에서 들어오는 세척수의 공급과 차단을 결정하는 밸브(410)와, 상기 밸브(410)가 개방되었을 때 세척수를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pet excrement and contaminated micro balls 250 are washed by the washing unit 400. The washing unit 4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shing water supply source. A water intake pipe 430, a valve 410 that determines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washing water coming from the water intake pipe 430, and when the valve 410 is opened,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jection port 420 that sprays.

상기 수세부(400)의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되는 반려동물의 배설물과 오염수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오수배출부(230)를 통하여 상기 회전드럼(200) 하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오수배출부(230)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Pet excrement and contaminated water washed by the washing water of the flushing unit 400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drum 200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parts 23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ting drum 200, respectively. The sewage discharge unit 230 consists of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tating drum 200.

이때, 상기 오수배출부(230)의 통공은 상기 마이크로 볼(250)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어야 상기 마이크로 볼(250)이 상기 오수배출부(230)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회전드럼(200) 외부로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hole of the sewage discharge part 230 must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cro ball 250 so that the micro ball 250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sewage discharge part 230 to the rotating drum 200. This will prevent i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washing water.

한편, 상기 수세부(400)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세척하는 동안, 반려동물의 분변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드럼(200) 상단부와 하단부의 오수배출부(230) 각각과 인접하여 분쇄 스크류(240) 한 쌍을 구비하여 두도록 하는데, 상기 분쇄 스크류(240) 각각은 회전드럼(200)의 외측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용 모터(310)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된다.Meanwhile, while washing the pet feces through the flushing unit 400, in order to discharge the pet feces more efficiently, the sewage discharge parts 230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tating drum 2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crushing screws 240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crushing screws 240 is independently driven by a pair of screw motors 31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otating drum 2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럼용 모터(300)와 한 쌍의 스크류용 모터(310) 등 총 3개의 모터를 구비하여 두었지만, 하나의 모터와 기어 등 동력 전달 부재, 클러치 등 동력 전환 부재 등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드럼(200)을 회전하게 하거나 상기 분쇄 스크류(240)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three motors, including the drum motor 300 and a pair of screw motors 310, are provided, but only one motor, power transmission members such as gears, and power conversion members such as clutches The rotary drum 200 may be rotated or the crushing screw 240 may be driven using a device such as a device or the like.

이와 같이 상기 분쇄 스크류(240)의 구동에 의하여 반려동물의 분변이 상기 마이크로 볼(250)과 마찰하면서 작은 입자로 분쇄되어 상기 수세부(4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와 함께 상기 회전드럼(200)의 오수배출부(230)를 통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In this way, by driving the crushing screw 240, the pet feces are crushed into small particles while rubbing against the micro balls 250, and are thrown into the rotating drum 200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unit 400. I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bottom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unit 230.

상기 회전드럼(200)의 오수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는 상기 오수처리부(50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 오수처리부(500)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오수통(510)과, 상기 하우징(100) 외부와 연결되는 배수관(530)과, 상기 오수통(510)에 모인 오염수를 상기 배수관(5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unit 230 of the rotating drum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sewage treatment unit 500. The sewage treatment unit 500 is operated by the rotary drum ( A sewage tank 51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200, a drain pipe 530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ntamin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ste tank 5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5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ainage pump 520.

상기 수세부(400)에 의하여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이 세척된 후에는 남아 있는 세척수를 그대로 방치하기 보다는 완전히 건조시켜 주는 것이 위생 상으로 보다 나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잔여 세척수를 건조하는 건조부(600)를 구비하여 두었다. After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is washed by the water washing unit 400, it is better for hygiene to completely dry the remaining washing water rather than leaving it as is. For this purpos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ying unit 600 is provided to dry the remaining washing water by spraying hot air into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상기 건조부(600)는 일정 온도의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기(610)와, 상기 열풍기(610)에서 발산되는 열풍을 상기 회전드럼(200)의 오수배출부(230) 통공을 통하여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ying unit 600 includes a hot air blower 610 that generates hot air at a certain temperature, and the hot air emitted from the hot air blower 610 passes through a hole in the sewage discharge part 230 of the rotary drum 200 to the rotary drum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620 that guides the inflow into the lower space of 200).

이때, 상기 건조부(600)의 가이드(620)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뿐만 아니라, 상기 오수처리부(500)의 오수통(510)까지도 건조할 수 있도록 열풍을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오수통(510)에 모인 오염수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된 후에 상기 건조부(600)를 작동시켜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guide 620 of the drying unit 600 guides hot air to dry not only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but also the sewage tank 510 of the sewage treatment unit 500. It would be desirable. In this case, the drying unit 600 must be operated after the contamin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ste tank 510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회전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드럼용 모터(300)와, 상기 분쇄 스크류(240)를 구동시키는 스크류용 모터(310), 세척수의 공급과 차단을 결정하는 밸브(410)와, 상기 오수통(510)의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펌프(520)와, 상기 건조부(600)의 열풍기(610) 등은 하나의 콘트롤부(700)에 의하여 모두 제어된다.Meanwhile, a drum motor 300 that rotates the rotating drum 200, a screw motor 310 that drives the crushing screw 240, a valve 410 that determines the supply and blocking of washing water, and the The drain pump 520 that discharges sewage from the wastewater tank 510 and the heater 610 of the drying unit 600 are all controlled by one control unit 700.

상기 콘트롤부(7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부(71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회전이나 세척, 배수, 건조 등 각각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작동시키거나, 전체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작동시키게 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드럼(200) 내부 등에 반려동물의 출입과 배설 활동 등을 감지하는 센서(도면에는 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와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콘트롤부(700)가 전체 동작을 전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by individually controlling each operation, such as rotation, washing, draining, and drying, or operates the entire operation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unit 71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It will be controlled and operated sequentially. In addition, the rotating drum 200 is equipped with a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detects the entry and exit and excretion activities of companion animals, etc., and through linkage with the sensor,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in a fully automatic manner. It may be possible to configure it to operate as .

다음으로,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10)의 작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7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나, 여기서는 전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살펴보도록 한다.Next, let'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lush toilet 10 for p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ndividually operate the desired operation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710, but here, we will look at fully automatic operation.

먼저 반려동물은 배변이나 배뇨 등 배설 활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반원형 출입구(110)를 통하여 상기 분리판(220)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으로 입장하게 된다. 반려동물의 입장 전에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10)은 대기모드에 있으며, 상기 센서가 반려동물의 입장을 감지하면 상기 콘트롤부(700)로 신호를 보내 대기모드에서 벗어나도록 한다.First, the companion animal enters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plate 220 through the semicircular entrance 110 of the housing 100 for excretion activities such as defecation or urination. Before the pet enters, the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10 is in standby mode, and when the sensor detects the pet's entrance, it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to exit the standby mode.

반려동물이 배변이나 배뇨 등 배설 활동을 마친 후, 상기 하우징(100)의 반원형 출입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센서가 반려동물의 퇴장을 감지하여 상기 콘트롤부(700)로 다시 신호를 보내서 다음 동작을 하도록 한다.After the companion animal has completed excretory activities such as defecation or urination, when the companion animal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micircular entrance 110 of the housing 100, the sensor detects the companion animal's exit and returns to the control unit 700. Send a signal to take the next action.

상기 센서로부터 반려동물의 퇴장 신호를 수신한 상기 콘트롤부(700)는 바로 다음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 동작을 명령하는데, 이는 반려동물이 아직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10)에 다시 들어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려동물이 다시 들어오지 못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반원형 출입구(110)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구성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unit 700, which receives the companion animal's exit signal from the sensor, does not command the next operation to be performed immediately, but commands the next operation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which means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not yet in the companion animal.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entering the automatic flush toilet (10) again. In order to prevent this risk, a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semicircular entrance 110 of the housing 100 to prevent pets from re-entering may be considered.

반려동물이 퇴장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콘트롤부(700)는 상기 드럼용 모터(30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회전드럼(200)을 180° 회전시켜,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드럼(2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이전의 상부 공간은 하부 공간으로, 이전의 하부 공간은 상부 공간으로 변경되었다.When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companion animal leaves, the control unit 70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drum motor 300 to rotate the rotary drum 200 by 180°, thereby rotating the rotary drum 200. Ensure that the upper space is located below. Due to this rotation of the rotating drum 200, the previous upper space was changed into the lower space, and the previous lower space was changed into the upper space.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이 회전하여 하부 공간으로 위치한 후에는, 상기 콘트롤부(700)가 상기 수세부(400)의 밸브(410)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밸브(410)를 개방하여 상기 분사구(420)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한다.After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rotates and is located in the lower space, the control unit 70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valve 410 of the washing unit 400 to open the valve 410. Washing water is spray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through the spray hole 420.

상기 수세부(400)의 분사구(420)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동안, 상기 콘트롤부(700)는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분쇄 스크류(24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쇄 스크류(240)에 대응되는 스크류용 모터(310)에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While spraying washing water from the spray port 420 of the water washing unit 400,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grinding screw 240 loc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A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screw motor 310 corresponding to 240.

상기 분쇄 스크류(240)의 작동에 의하여 반려동물의 분변은 작은 입자로 분쇄되며, 상기 마이크로 볼(250)과의 마찰에 의하여 작은 입자로 보다 용이하게 분쇄되게 된다.By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screw 240, the pet feces are pulverized into small particles, and by friction with the micro balls 250, they are more easily pulverized into small particles.

반려동물의 분쇄된 분변 입자와, 마이크로 볼(250)에 묻어 있던 분변과 소변 등은 상기 수세부(400)의 분사구(4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오수배출부(230)를 통하여 상기 오수처리부(500)의 오수통(510)으로 배출되어 모이게 된다.The pulverized fecal particles of companion animals, the feces and urine buried in the micro balls 250 are discharged into the sewage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unit 230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420 of the flushing unit 400. It is discharged into the wastewater tank 510 of the treatment unit 500 and collected.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세부(400)와 상기 분쇄 스크류(240)를 작동시킨 후에, 상기 콘트롤부(700)는 상기 수세부(400)의 밸브(410)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밸브(410)를 폐쇄시키고, 상기 스크류용 모터(310)에도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분쇄 스크류(24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After operating the washing unit 400 and the crushing screw 24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70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valve 410 of the washing unit 400 to open the valve 410. It is closed, and a control signal is also sent to the screw motor 31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screw 240.

다음으로 상기 콘트롤부(700)는 상기 오수처리부(500)의 배수펌프(520)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오수통(510)에 모여있는 오염수를 상기 배수관(530)을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도록 한다.Next, the control unit 70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drain pump 520 of the sewage treatment unit 500 to completely discharge the contaminated water collected in the sewage tank 5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530. do.

상기 오수통(510)에 모여있는 오염수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된 후에는, 상기 콘트롤부(700)는 상기 배수펌프(52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다음으로 상기 건조부(600)의 열풍기(610)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과 상기 오수처리부(500)의 오수통(510)을 건조시키도록 한다.After the contamin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ste tank 510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7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520, and then the heater 610 of the drying unit 600 ) is operated to dry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and the sewage tank 510 of the sewage treatment unit 500.

상기 회전드럼(200)의 하부 공간과 상기 오수처리부(500)의 오수통(510)이 완전히 건조된 후에는 상기 건조부(600)의 열풍기(61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모든 동작을 마무리하며 다시 대기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After the low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and the sewage tank 510 of the sewage treatment unit 500 are completely drie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610 of the drying unit 600 is stopped, and all operations are completed. It goes into standby mode again.

이와 같이 반려동물이 배변 또는 배뇨 활동을 위해 사용된 상기 회전드럼(200)의 상부 공간은 180° 회전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세척과 건조를 거쳐 다시 반려동물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되며, 이러한 순차적인 작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10)은 사용자가 일일이 화장실을 청소하거나 배설물을 배출할 필요가 없어 화장실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실내 위생 환경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모래를 대신하여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계열의 마이크로 볼(25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200, which is used by pets for defecation or urination, is rotated 180° and moved to the bottom, and is prepared for use by pets again after washing and drying. Due to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pet flushing toil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clean the toilet or discharge excrement individually, which makes toilet management very easy and is helpful for the indoor hygienic environment. Ra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by semi-permanently using synthetic resin or silicone-based micro balls (250) instead of existing sand.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bove, this is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 person with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100 - 하우징 110 - 출입구
200 - 회전드럼 210 - 회전축
220 - 분리판 230 - 오수배출부
240 - 분쇄 스크류 250 - 마이크로 볼
300 - 드럼용 모터 310 - 스크류용 모터
400 - 수세부 410 - 밸브
420 - 분사구 430 - 입수관
500 - 오수처리부 510 - 오수통
520 - 배수펌프 530 - 배수관
600 - 건조부 610 - 열풍기
620 - 가이드
700 - 콘트롤부 710 - 조작부
10 -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100 - Housing 110 - Entrance
200 - rotating drum 210 - rotating shaft
220 - Separator plate 230 - Sewage discharge unit
240 - Grinding screw 250 - Micro balls
300 - Motor for drum 310 - Motor for screw
400 - water washing part 410 - valve
420 - nozzle 430 - water intake pipe
500 - Sewage treatment department 510 - Sewage tank
520 - Drain pump 530 - Drain pipe
600 - Drying unit 610 - Heater
620 - Guide
700 - Control unit 710 - Control unit

Claims (6)

일측에 회전드럼의 상부 공간으로만 연결되는 반원형 출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일측에서 타측까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너비의 오수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하우징의 반원형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으로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용 모터;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수세부;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의 오수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염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수하는 오수처리부; 및
상기 회전드럼의 상부 공간에서의 뱐려동물의 용변 활동 종료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기존의 상부 공간이 하부 공간으로, 기존의 하부 공간이 상부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상기 드럼용 모터를 제어하고, 기존의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한 후 기존의 상부 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용변을 세척하도록 상기 수세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A housing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entrance on one side that connects only to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and a housing space formed inside;
It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housing so that it can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space by a separator formed horizontal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have an inner and outer space. A rotating drum each having a sewage discharge portion of a certain width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o allow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ion plate through a semicircular entrance of the housing;
A drum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drum to rotate the rotating drum;
A washing unit for cleaning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a sewage treatment unit that drains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a sewage discharge unit in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fter the pet's toileting activity in the upper space of the rotating drum is completed, the rotating drum is rotated 180° to control the drum motor so that the existing upper space is used as the lower space and the existing lower space is used as the upper space,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lushing unit to clean the toilet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existing upper space after the existing upper space rotates down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상부와 하부 공간에서 상기 오수배출부에 각각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분쇄 스크류; 및
상기 분쇄 스크류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분쇄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스크류용 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한 후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분쇄 스크류가 구동하도록 스크류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In claim 1,
a pair of crushing screws located adjacent to the sewage discharge s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and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screw mo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rushing screw to rotate the crushing screw,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motor is controlled to drive the crushing screw located at the bottom after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rotates downwar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상부와 하부 공간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오수배출부를 이루고 있는 통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있는 다수개의 마이크로 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In claim 2,
An automatic flushing toilet for pets, which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 ball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ing the sewage discharg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처리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의 오수배출부 하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오염수를 수용하는 오수통과,
상기 오수통에 수용된 오염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In claim 1,
The sewage treatment department,
A sewage passag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wage discharge section of the space below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to receive discharged contaminated water;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comprising a drain pump that discharges contaminated water contained in the waste tank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하부 공간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잔여 세척수를 건조하는 건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In claim 1,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rying unit that dries the remaining wash water by spraying hot air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분리판 상부 공간으로 반려동물의 입장과 퇴장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반려동물의 퇴장을 감지한 후 상기 회전드럼을 180° 회전시켜 상기 분리판 상부 공간이 하부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드럼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entry and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into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rotating drum,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flush toilet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sensor unit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pet, the rotary drum is rotated 180° and the drum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separator plate rotates downward.
KR1020210029803A 2021-03-08 2021-03-08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KR1026368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03A KR102636822B1 (en) 2021-03-08 2021-03-08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03A KR102636822B1 (en) 2021-03-08 2021-03-08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15A KR20220125915A (en) 2022-09-15
KR102636822B1 true KR102636822B1 (en) 2024-02-14

Family

ID=8328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03A KR102636822B1 (en) 2021-03-08 2021-03-08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521A (en) * 1998-07-31 2000-02-15 Kiyoyuki Obayashi Flushing toilet for pet
JP2002045067A (en) 2000-08-01 2002-02-12 Kao Corp Soiled liquid-treating system
JP2003274786A (en) * 2002-03-20 2003-09-30 Yutaka Omori Flush toilet for pet
KR102133031B1 (en)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Automated system for controlling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p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023A (en) 2019-01-24 2020-08-03 김소인 Pets toilets
KR102269303B1 (en) * 2019-04-09 2021-06-24 양해민 Sand filter rotation device of cat's defe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521A (en) * 1998-07-31 2000-02-15 Kiyoyuki Obayashi Flushing toilet for pet
JP2002045067A (en) 2000-08-01 2002-02-12 Kao Corp Soiled liquid-treating system
JP2003274786A (en) * 2002-03-20 2003-09-30 Yutaka Omori Flush toilet for pet
KR102133031B1 (en) 2020-02-11 2020-07-10 주식회사 라이트형제 Automated system for controlling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p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15A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33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excrement of pet
KR102330905B1 (en)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KR102004482B1 (en)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KR102372625B1 (en)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of companion dog
US6857391B1 (en) Animal toilet enclosure
KR102636822B1 (en) Automated Water Closet For Pets
CN210869226U (en)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cat toilet
KR101738630B1 (en) Flush type excrement prop for pet
KR102274176B1 (en) Companion animal house
CN110558237A (en)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cat toilet
CN201308039Y (en) Animal closestool
KR102468557B1 (en)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KR101282200B1 (en) 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KR200463634Y1 (en) toilet for pet dog
KR101260479B1 (en) Companion annimal toilet
KR100576603B1 (en) foraging and evacuation gathering of pet
KR200463633Y1 (en) toilet for pet dog
KR20050103112A (en) Pet feeding and feces collection device
KR101176412B1 (en) 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KR102308187B1 (en) Poop disposal apparatus for pets
RU53840U1 (en) BATHROOM FOR HOME (ROOM) ANIMALS
CA3235489A1 (en) Semi portable, automated, enclosed toilet system for pet animals and method thereof
KR102542208B1 (en) Ventilated cat toilet
RU2752274C1 (en) Automatic pet toilet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disposing pet excrement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