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583B1 -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583B1
KR102636583B1 KR1020220177246A KR20220177246A KR102636583B1 KR 102636583 B1 KR102636583 B1 KR 102636583B1 KR 1020220177246 A KR1020220177246 A KR 1020220177246A KR 20220177246 A KR20220177246 A KR 20220177246A KR 102636583 B1 KR102636583 B1 KR 10263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ase plate
drill
rebar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박성원
유명준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17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161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with parallel work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축물의 리모델링 때 철근의 배근을 위한 철근공(20)을 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에 대해 철근공(20)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릴(190)과 드릴(190)을 회전시키는 드릴장치(170); 일면에 드릴장치(170)가 설치되는 베이스판(140); 일단이 베이스판(140)의 일면에 설치되고, 베이스판(140)을 건축물에 대해 임시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위치고정아암(110); 및 베이스판(140)의 타면에 설치되고, 중장비(3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Perforating device for rebar construction for building remodel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후된 아파트의 리모델링 공사는 건물을 그대로 유지한 채 면적을 늘이기 위해 보강공사를 수행한다. 이 때, 기존 건물과의 연결을 위해 노후 아파트의 슬래브 측면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함으로서 철근공을 타공한다.
이와 같은 철근공의 타공은 슬래브의 측면(두께면)에 대해 15~30cm 간격으로 1열 또는 상하 2열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층당 천여 개의 타공작업이 이루어지며, 10층인 경우 만여 개의 타공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의 타공작업은 작업자가 슬래브의 단부에 사다리를 놓고 그 위에서 작업하곤 하였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사다리를 옆으로 이동한 뒤 타공작업을 반복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타공방식은 작업 능률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추락이나 낙하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았다.
또한, 타공작업 후에는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현장을 청소하였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81679호(타공장치),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51668호(분산식 롤링 타공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장비와 다수의 드릴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화된 타공작업과 동시에 분진의 흡입이 가능함으로서 추가적인 청소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리모델링 때 철근의 배근을 위한 철근공(20)을 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에 대해 철근공(20)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릴(190)과 드릴(190)을 회전시키는 드릴장치(170); 일면에 드릴장치(170)가 설치되는 베이스판(140); 일단이 베이스판(140)의 일면에 설치되고, 베이스판(140)을 건축물에 대해 임시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위치고정아암(110); 및 베이스판(140)의 타면에 설치되고, 중장비(3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드릴(190)과 드릴장치(170)는 각각 쌍을 이루어서, 베이스판(14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거나 또는 베이스판(14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거나 또는 베이스판(140)에 대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복수개가 배열된다.
또한, 위치고정아암(110)은,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고, 건축물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자유단에 형성된 경사선단부(112); 및 위치고정아암(110)의 중간 영역에서 돌출되어 진입하는 건축물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1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드릴장치(170)와 베이스판(140)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판(140)에 대한 드릴장치(170)의 수평위치 및/또는 수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정장치(150)는 베이스판(140)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가이드(154); 수평가이드(154)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가이드(156); 수평가이드(154)와 수직가이드(156)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가이드(156)의 좌우 이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수평잠금장치(164); 수직가이드(156)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판(160); 및 수직가이드(156)와 내부판(160)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판(160)의 상하 이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수직잠금장치(162);를 포함하고, 드릴장치(170)는 내부판(160) 상에 설치된다.
또한, 내부판(160) 상에는 타공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장치(180)가 더 구비된다.
또한, 건축물은 슬래브(10) 또는 벽체(40)이다.
또한, 베이스판(140)의 타면과 연결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연결수단에 대해 베이스판(14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1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중장비(30)는 포크레인(30a) 또는 스카이차(30b)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장비와 다수의 드릴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품질이 높고, 작업 속도가 빠르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된 타공작업과 동시에 분진의 흡입이 가능함으로서 추가적인 청소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력 감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후 아파트나 건물의 리모델링에 적용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공장치(100)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타공장치(100)의 평면도,
도 4는 도 1 중 위치고정장치(150)의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장치(100)의 제 1 사용예,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장치(100)의 제 2 사용예,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장치(100)의 제 3 사용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공장치(100)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타공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아암(110)의 일단은 베이스판(140)의 일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다. 4쌍의 위치고정아암(110)은 베이스판(140)의 긴 변 가장자리에서 균등 간격으로 위치한다. 위치고정아암(110)은 필요에 따라 최소 2쌍이 될 수 있고, 6쌍 내지 8쌍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한쌍의 마주보는 위치고정아암(1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간격조정장치를 둘 수 있다. 간격조정장치의 일예는 하나의 위치고정아암(110)을 고정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위치고정아암(1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위치 조정을 위해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거나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리니어 모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위치고정아암(110)의 자유단에는 언더커팅되어 경사부를 형성하는 경사선단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선단부(112)는 슬래브(10)에 초기 진입시 타공장치(100)가 모서리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진입하도록 한다.
안내돌기(114)는 위치고정아암(110)의 중간영역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안내돌기(114)는 타공장치(100)를 안내하고, 슬래브(10)와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내돌기(114)는 마주보는 위치고정아암(110) 상에서 대칭으로 형성되면 1쌍 ~ 4쌍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다.
회전장치(130)는 베이스판(140)의 타면에 설치되며, 연결힌지(120)가 설치된다. 회전장치(130)는 베이스판(140)을 -360° ~ 360°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회전장치(130)는 전기 모터,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가 될 수 있고 감속을 위해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힌지(120)는 회전장치(130) 상에 설치되고, 힌지축(125)을 이용하여 다양한 중장비(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힌지(120)와 힌지축(125)은 다양한 후크장치, 지그장치, 연결 어댑터, 및 커플러, 어타치먼트(Attachment) 등으로 대체되거나 병용될 수 있다.
드릴장치(170)는 하나의 위치조정장치(150) 상에는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 2개가 구비되며, 선단에 조립된 드릴(190)을 회전시킨다. 드릴(190)은 슬래브(10)에 대해 철근공(20)을 타공한다. 이러한 드릴장치(170)는 해머 드릴장치, 임팩트 드릴장치 등 높은 토오크를 갖는 드릴장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흡입장치(180)는 위치조정장치(150) 상에서 각 드릴장치(170)의 둘레에 배치된다. 흡입장치(180)는 타공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주변으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며, 철근공(2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흡입장치(180)는 흡입모터, 블레이드, 필터, 포집망 등을 구비한다. 흡입장치(180)의 선단에는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의 흡착패드(185)가 부착되어 있다. 흡착패드(185)는 슬래브(10)와의 밀착력을 높여서 발생한 분진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흡착패드(185)는 나팔모양이나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입장치(180)를 중장비(30)에 구비하고, 별도의 배선과 흡입구만을 위치조정장치(15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4쌍의 위치고정아암(110) 사이마다 일정간격으로 위치조정장치(150)가 구비된 경우 총 6개의 철근공(20)을 동시에 타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중 위치고정장치(150)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장치(150)는 대략 가이드(154, 156)와 내부판(160)으로 구성된다.
한쌍의 수평가이드(154)는 베이스판(140)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가이드(154)는 가이드 레일, 리드 스크류, 랙 기어 등이 될 수 있다.
한쌍의 수직가이드(156)는 수평가이드(154) 상에서 좌우(X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가이드(156)는 가이드 레일, 리드 스크류, 랙 기어 등이 될 수 있고, 수평가이드(154)와의 사이에는 바퀴, 베어링, 롤러, 피니언 기어 등이 구비되거나 윤활유가 개재되는 면접촉이 될 수 있다.
내부판(160)은 사각형 판재이며, 수직가이드(156) 상에서 상하(Y축)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수직가이드(156)와의 사이에는 바퀴, 베어링, 롤러, 피니언 기어 등이 구비되거나 윤활유가 개재되는 면접촉이 될 수 있다.
수평잠금장치(164)는 수평가이드(154)와 수직가이드(156)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가이드(156)의 좌우 이동을 잠금(고정, Lock)하거나 또는 잠금해제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평잠금장치(164)는 나사와 핸들에 의한 잠금, 스프링과 쐐기에 의한 잠금 등 공지의 다양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수직잠금장치(162)는 내부판(160)과 수직가이드(156)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판(160)의 상하 이동을 잠금(고정, Lock)하거나 또는 잠금해제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직잠금장치(162)는 나사와 핸들에 의한 잠금, 스프링과 쐐기에 의한 잠금 등 공지의 다양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내부판(160)은 수직가이드(156)상에 설치되고, 가이드(154, 156)에 의해 상하좌우로 최대 10cm까지 이송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정확한 위치에 철근공(20)의 타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부판(160)에는 한쌍의 드릴장치(170)와 드릴(190) 및 흡입장치(180)가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고정장치(150)는 서보모터를 가진 소형 X-Y테이블로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X축과 Y축에 각각 설치되는 리니어 서보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장치(100)의 제 1 사용예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30a)의 선단에 타공장치(100)를 장착한다.
그 다음, 수평잠금장치(164)와 수직잠금장치(162)를 해제한 다음 상하좌우의 정확한 철근공(20)의 위치를 셋팅한다. 그리고, 수평잠금장치(164)와 수직잠금장치(162)를 잠금상태로 변경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그 다음, 슬래브(10)의 측면 영역에서 타공장치(100)를 슬래브(10)에 끼운다. 이때, 위치고정아암(110) 사이에 슬래브(10)가 진입하여 드릴(190)의 선단에 닿는다.
그 다음, 6개의 드릴장치(170)가 회전하면서 철근공(20)의 타공이 시작된다. 타공이 시작됨에 따라 포크레인(30a)은 타공장치(100)를 슬래브(10)의 측면 측으로 밀어 붙인다. 이때, 흡입장치(180)가 드릴장치(170)와 함께 동작하여 타공시 발생하는 먼지를 흡입한다.
소정 깊이로 타공이 이루어지면, 드릴장치(170)를 멈추고, 타공장치(100)를 후퇴시킨다. 이로써 6개의 철근공(20)을 동시에 그리고 먼지의 비산없이 타공할 수 있다.
그 다음, 타공되지 않은 인근 슬래브(10) 측면으로 이동하여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한 층에서 수백개의 철근공(20)을 신속하게 타공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장치(100)의 제 2 사용예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스카이차(30b)를 이용하여 각 층의 슬래브(10) 측면에 대해 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장치(100)의 제 3 사용예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장치(130)를 90° 회전시킴으로서 타공장치(10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벽체(40)의 측면에 대해 타공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슬래브,
20 : 철근공,
30 : 중장비,
30a : 포크레인,
30b : 스카이차,
40 : 벽체,
100 : 타공장치,
110 : 위치고정아암,
112 : 경사선단부,
114 : 안내돌기,
120 : 연결힌지,
125 : 힌지축,
130 : 회전장치,
140 : 베이스판,
150 : 위치조정장치,
152 : 프레임,
154 : 수평가이드,
156 : 수직가이드,
160 : 내부판,
162 : 수직잠금장치,
164 : 수평잠금장치,
170 : 드릴장치,
180 : 흡입장치,
185 : 흡착패드,
190 : 드릴.

Claims (9)

  1. 건축물의 리모델링 때 철근의 배근을 위한 철근공(20)을 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에 대해 상기 철근공(20)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릴(190)과 상기 드릴(190)을 회전시키는 드릴장치(170);
    일면에 상기 드릴장치(170)가 설치되는 베이스판(140);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14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140)을 상기 건축물에 대해 임시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위치고정아암(110);
    상기 베이스판(140)의 타면에 설치되고, 중장비(3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수단; 및
    상기 드릴장치(170)와 상기 베이스판(1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140)에 대한 상기 드릴장치(170)의 수평위치 및/또는 수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장치(15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장치(150)는
    상기 베이스판(140)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가이드(154);
    상기 수평가이드(154)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가이드(156);
    상기 수평가이드(154)와 상기 수직가이드(15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가이드(156)의 좌우 이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수평잠금장치(164);
    상기 수직가이드(156)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판(160); 및
    상기 수직가이드(156)와 상기 내부판(1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판(160)의 상하 이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수직잠금장치(162);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장치(170)는 상기 내부판(16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190)과 상기 드릴장치(170)는 각각 쌍을 이루어서,
    상기 베이스판(14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판(14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판(140)에 대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복수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아암(110)은,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고,
    상기 건축물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자유단에 형성된 경사선단부(112); 및
    상기 위치고정아암(110)의 중간 영역에서 돌출되어 진입하는 상기 건축물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1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160) 상에는 타공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장치(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은 슬래브(10) 또는 벽체(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40)의 타면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수단에 대해 상기 베이스판(14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30)는 포크레인(30a) 또는 스카이차(3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KR1020220177246A 2022-12-16 2022-12-16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KR10263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246A KR102636583B1 (ko) 2022-12-16 2022-12-16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246A KR102636583B1 (ko) 2022-12-16 2022-12-16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583B1 true KR102636583B1 (ko) 2024-02-15

Family

ID=8989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246A KR102636583B1 (ko) 2022-12-16 2022-12-16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5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669U (ko) * 1990-02-20 1991-11-18
JPH1128721A (ja) * 1997-07-09 1999-02-02 Takao Sato 複数のドリルによる同時削孔装置
KR100981679B1 (ko) 2008-06-17 2010-09-10 (주)대동석재공업 타공장치
JP2012040673A (ja) * 2010-08-23 2012-03-01 Makita Corp 集塵装置
KR101651668B1 (ko) 2014-12-03 2016-08-29 성기인 분산식 롤링 타공장치
KR101904692B1 (ko) * 2018-03-09 2018-11-21 권칠준 슬래브 홀 마감 시공방법 및 형틀
KR102205045B1 (ko) * 2020-09-14 2021-01-19 김완수 홀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669U (ko) * 1990-02-20 1991-11-18
JPH1128721A (ja) * 1997-07-09 1999-02-02 Takao Sato 複数のドリルによる同時削孔装置
KR100981679B1 (ko) 2008-06-17 2010-09-10 (주)대동석재공업 타공장치
JP2012040673A (ja) * 2010-08-23 2012-03-01 Makita Corp 集塵装置
KR101651668B1 (ko) 2014-12-03 2016-08-29 성기인 분산식 롤링 타공장치
KR101904692B1 (ko) * 2018-03-09 2018-11-21 권칠준 슬래브 홀 마감 시공방법 및 형틀
KR102205045B1 (ko) * 2020-09-14 2021-01-19 김완수 홀 성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5396B1 (de) Automatisierte montage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installationen in einem aufzugschacht einer aufzuganlage
EP3436390A1 (de) Verfahren und montage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s installationsvorgangs in einem aufzugschacht einer aufzuganlage
DE102014210947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tragen von kontaminiertem Material
EP2990564A1 (de)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Führen eines Trägers für ein Schalungs- oder Schutzelement
DE102006020679B4 (de) Schutzvorrichtungen
KR102636583B1 (ko)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철근 시공용 타공장치
EP3856672A1 (de) Verfahren zur planung und zumindest teilweisen installation einer aufzuganlage in einem aufzugschacht
EP2796257B1 (de) Vertikales Bearbeitungszentrum
DE19743717A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Mauern
DE202014007224U1 (de) Werkzeugmaschine
CN110656882A (zh) 用于铁路隧道的移动式群钻装置及其移动方法
WO2019197219A1 (de) Tiefbauvorrichtung und system zum überwachen einer baustelle
EP3558608B1 (de)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stangenförmigen werkstücken wie fensterprofile oder türprofile
EP4053342B1 (de) Schlitzwandfrä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räsen eines frässchlitzes im boden
DE202008017476U1 (de) Anbaufräse
EP3141337B1 (de)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stangenförmigen werkstücken wie beispielsweise fensterprofilen oder türprofilen
JP4944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KR101896402B1 (ko) 산업용 프레임 천공장치
CN209320030U (zh) 一种石墨模具的加工吸尘系统
CN207789363U (zh) 一种具有导轨滚轮夹紧装置的墙锯切割机
CN211389201U (zh) 一种改进型的多层热压机
CN218429224U (zh) 一种用于房屋墙体的钻孔机
CN215291550U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加工平台
CN214737996U (zh) 混凝土灌注桩钢筋笼定位控制装置
CN218109945U (zh) 一种门扇自动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