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410B1 -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 Google Patents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410B1
KR102636410B1 KR1020230024488A KR20230024488A KR102636410B1 KR 102636410 B1 KR102636410 B1 KR 102636410B1 KR 1020230024488 A KR1020230024488 A KR 1020230024488A KR 20230024488 A KR20230024488 A KR 20230024488A KR 102636410 B1 KR102636410 B1 KR 10263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seeding
plate
seed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우
전종호
Original Assignee
전진우
전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우, 전종호 filed Critical 전진우
Priority to KR102023002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은 씨마늘을 식재하여 밭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이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횡과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측면에 복수개의 뿌리공(124)과 바닥면에 복수개의 배수홀(122)이 복수개의 파종홈(120)과, 상기 파종홈(120) 사이 사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토판(130)을 포함하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garlic seeding plate with manure component added}
본 발명은 마늘 파종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의 파종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 파종은 호미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밭에 이랑을 파고 쪽마늘을 한 개씩 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마늘은 씨마늘 1개를 심으면 6-10개의 쪽마늘이 하나로 뭉쳐진 통마늘을 얻게 되는 작물이다. 따라서 수십, 수백만 개의 마늘을 생산하기 위해서 그에 해당하는 개수의 종자를 파종해야 하므로 파종시즌이 도래하면 파종에 대한 노동 강도가 작지 않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특히, 농촌의 인력이 고령화되고, 노동력이 부족해짐에 따라 마늘파종 작업이 보다 어려워지고 소요되는 시간 역시 증가하게 되었다. 예컨데, 작업자가 쭈그린 자세로 지속적으로 이동하면서 하나하나 일일이 심어야 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을 비롯하여 허리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파종기가 개발되었다. 예컨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356613호 마늘 인편의 직립 파종을 위한 종자 정렬행 정밀 파종기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347588호 마늘의 직립 파종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마늘 파종기는 단순히 마늘을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지면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마늘의 파종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파종기 자체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구입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파종기는 마늘의 발근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재식될 수 있게 별도의 정렬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정렬장치가 마늘의 발근부가 정확하게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기란 쉽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마늘의 수확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즉, 통상 수확된 마늘은, 정상 구의 출현율이 난지형에서는 발근부를 수직으로 파종한 것은 100%, 지면에 45°경사지게 파종한 경우 85%, 수평으로 파종한 경우 39%이었다. 한지형의 경우 발근부를 수직으로 파종한 것은 100%, 45°경사지게 파종한 경우 73%, 수평으로 심은 것은 53%, 발근부를 거꾸로 45°경사지게 파종한 경우 17%, 발근부를 거꾸로 심은 것은 4%의 정상구가 수확되었다.
따라서 종자의 재식방향은 난ㆍ한지형 모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나, 상술한 종래의 파종기는 지면에 대해 발근부가 정확하게 재식되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을 강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356613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34758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파종홈이 마련된 마늘 파종판에 마늘을 올바른 방향으로 재식한 후 이를 밭에 옮기는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동시에 마늘의 수확후 파종판을 수거하는 것이 아닌 트랙터 등을 통해 파쇄하여 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은 씨마늘을 식재하여 밭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이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횡과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측면에 복수개의 뿌리공과 바닥면에 복수개의 배수홀이 복수개의 파종홈과, 상기 파종홈 사이 사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토판을 포함하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은 마늘을 쉽고 간편하게 재식할 수 있으며, 실외의 날씨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마늘 파종판에 마늘을 식재한 후 마늘이 식재된 파종판을 밭에 올려놓는 간단한 동작으로 마늘 파종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은 마늘의 수거후 트랙터 등을 이용하여 파종판을 파쇄하는 것으로, 마늘판을 수거하지 않아도 되며, 파쇄된 파종판은 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에 마늘을 식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을 밭에 설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을 이용한 파종법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100)은 씨마늘을 파종판(100)에 먼저 식재한 후 이를 밭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늘 파종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실외의 날씨에 상관없이 마늘을 파종판(100)에 식재한 후 파종판(100)을 밭에 식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100)은 씨마늘을 식재하여 밭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이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횡과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파종홈(120)과, 상기 파종홈(120) 사이사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토판(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운반시 쉽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취급이 용이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규격을 350mm×350mm로 합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10)의 규격을 350mm×350mm로 하였으나, 베이스(110)의 규격은 후술하는 파종홈(120)의 갯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에 약 25칸의 파종홈(120)을 갖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베이스의 규격을 증가시켜 49칸, 121칸 등 다양하게 파종홈(120)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파종홈(120)은 각각 씨마늘이 식재될 수 있는 상토공간(120a)을 제공하는 것으로 씨마늘과 상토가 삽입될 수 있게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함몰 형성된 파종홈(12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배수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홀(122)은 상토는 배출되지 않으면서, 물과 씨마늘의 뿌리는 상기 배수홀(122)을 통해 파종홈(12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종홈(120)의 측벽에는 뿌리공(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뿌리공(124)은 상기 파종홈(120)의 내주면을 따라 외부와 연통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씨마늘의 식재시 뿌리가 외부로 인출되어 토양으로 확장 성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100)은 씨마늘을 식재한 상태에서 일정기간 후 씨마늘을 옮겨 심는 것이 아니라 마늘 파종판(110) 자체를 밭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파종을 하도록 한 것으로, 마늘 파종판(110) 내에 씨마늘이 자랄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파종판(110) 외측으로 뿌리가 확장될 수 있게 씨마늘이 식재되는 파종홈(120)의 측벽에 복수개의 뿌리공(1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파종홈(120)의 상측에는 복토판(1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토판(130)은 복수개의 파종홈(12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복토판(130)은 파종홈(1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추후 상기 파종홈(120) 내로 씨마늘을 식재한 후, 씨마늘의 상측을 복토할 수 있는 복토공간(130a)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복토판(130)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파종홈(120) 상측으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종이재로 형성되는 파종판(110)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110)은 종이재로 이루어져 있어 추후 파종홈(120) 내에 상토 및 복토와 씨마늘을 채울 경우 강성을 유지하지 못하여 상토 및 복토와 씨마늘이 파종홈(120) 내에서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파종홈(120)의 상측으로 복토판(130)을 형성하여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토판(130)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위치되도록 설명하였으나, 횡방향 및 종방향 등 양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늘 파종판(110)을 종이재로 설명하였으나, 토양에 매설되어 일정기간이 지날 경우 자연 분해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제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늘 파종판(110)은 종이재로 이루어지되, 거름성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마늘의 수확 후 트랙터 등으로 파쇄할 경우 파쇄가 용이하며 마늘의 식생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즉, 수확후 파종판(100)을 수거하는 것이 아니라, 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거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며, 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어 마늘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늘 파종판(100)을 이용하여 마늘 파종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파종판(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파종홈(120) 내에 상토를 충진하는 상토 충진단계(S110)를 행한다. 즉, 씨마늘의 식재 전에 파종홈(120) 내에 일정량의 상토를 충진함으로써, 마늘의 뿌리가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토 충진단계(S110)가 완료되면, 씨마늘을 파종홈(120)에 심는 씨마늘 식재단계(S120)를 행한다. 이때 씨마늘은 발근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출현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씨마늘의 식재단계(S120)가 마무리되면, 씨마늘을 덮을 수 있도록 한 복토단계(S130)를 행한다. 즉, 식재된 씨마늘을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복토단계(S130)가 마무리된 마늘 파종판(110)을 파종하고자 하는 밭으로 옮긴 다음 밭의 이랑에 파종판(110)을 올려놓는 마늘 파종판 설치단계(S140)를 행하고 파종판(110)에 위에 흙을 뿌려 마늘 파종을 마무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110)은 밭에 쭈구리고 앉아 일일이 심던 기존 마늘 파종법과 달리 마늘이 심어진 파종판(110)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마늘 파종을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수확 후 마늘 파종판(110)을 수거하는 것이 아닌 트랙터 등을 이용하여 파쇄하여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날씨와 상관없이 실내에서 마늘 파종판(110)에 마늘을 심은 후 마늘이 심어진 파종판(110)을 밭에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파종판
110 : 베이스
120 : 파종홈
122 : 배수홀
124 : 뿌리공
130 : 복토판

Claims (4)

  1. 씨마늘을 식재하여 밭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이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으로 상토공간(120a)을 갖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되, 횡과 종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파종홈(120)과,
    상기 파종홈(1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수홀(122)과,
    상기 파종홈(120)의 내주면을 따라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뿌리공(124)과,
    상기 파종홈(120) 사이 사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토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뿌리공(124)은,
    외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파종홈(120)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씨마늘의 식재시 뿌리가 외부로 인출되어 토양으로 확장 성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복토판(130)은,
    상기 파종홈(120) 내로 상기 씨마늘의 하측을 식재한 후, 상기 씨마늘의 상측을 복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토공간(130a);을 더 포함하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늘 파종판은 마늘을 파종하고자 하는 밭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마늘 파종을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늘 파종판은 거름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일정기간이 지날 경우 자연 분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4. 삭제
KR1020230024488A 2023-02-23 2023-02-23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KR10263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488A KR102636410B1 (ko) 2023-02-23 2023-02-23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488A KR102636410B1 (ko) 2023-02-23 2023-02-23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410B1 true KR102636410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488A KR102636410B1 (ko) 2023-02-23 2023-02-23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4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88A (ja) * 1994-11-14 1996-05-28 Kureha Chem Ind Co Ltd セルトレー
JP2002053387A (ja) * 2000-08-09 2002-02-19 Hiroyuki Watanabe 堆肥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47588B1 (ko) 2000-08-17 2002-08-09 권삼석 마늘의 직립 파종장치
KR100356613B1 (ko) 2000-11-11 2002-10-18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마늘 인편의 직립 파종을 위한 종자 정렬형 정밀 파종기
KR20040021728A (ko) * 2002-08-29 2004-03-11 박형갑 마늘 파종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988A (ja) * 1994-11-14 1996-05-28 Kureha Chem Ind Co Ltd セルトレー
JP2002053387A (ja) * 2000-08-09 2002-02-19 Hiroyuki Watanabe 堆肥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47588B1 (ko) 2000-08-17 2002-08-09 권삼석 마늘의 직립 파종장치
KR100356613B1 (ko) 2000-11-11 2002-10-18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마늘 인편의 직립 파종을 위한 종자 정렬형 정밀 파종기
KR20040021728A (ko) * 2002-08-29 2004-03-11 박형갑 마늘 파종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3655B1 (en) Method for making a turf
US6185864B1 (en) Plant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utilizing bags of growing medium
Thomas et al. Agro-management practices for sustainable coconut production
Amadalo et al. Improved fallows for western Kenya: an extension guideline
KR102636410B1 (ko) 거름성분이 첨가된 마늘 파종판
Stirzaker The problem of irrigated horticulture: matching the biophysical efficiency with the economic efficiency
McCraw et al. Use of plastic mulch and row covers in vegetable production
CN105766264A (zh) 明党参栽培方法
CN114303765A (zh) 一种河西地区胡杨苗木培育方法
Singh Seabuckthorn (Hippophae L.): a multipurpose wonder plant
CN108605750A (zh) 一种桔梗标准化高效种植技术
Robinson et al. Nursery hardening of in vitro-produced banana plants
Ahmed et al. Performance of Animal Drawn Planter on Establishment and Productivity of Groundnut in North Kordofan of Sudan
Singh et al. Planting Techniques in Sugarcane Cultivation: A Review
Das et al. Recent Advances in Crop Establishment Methods in Rice-Wheat Cropping System: A
CN105706650A (zh) 一种马铃薯的抗旱栽培方法
Abeels Mechanization of the planting and plant breeding
Arya Off-season vegetable growing in hills
Korikanthimath Agronomy and management of cardamom
CN105917911A (zh) 一种萝卜免耕栽培的方法
CN1016753B (zh) 水稻收获后种植旱田作物的方法
Wilkins Tillage, seeding and fertilizer application technologies
RU2038721C1 (ru) Способ рекультивации крутосклонов отвалов земель, нарушенных открытыми разработками
CN113057075A (zh) 一种南药植物人工栽培方法
Seenivasan et al. PRECISION SILVICULTURAL TECHNOLOGY FOR INDUSTRIAL PLAN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