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70B1 -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70B1
KR102635970B1 KR1020180170095A KR20180170095A KR102635970B1 KR 102635970 B1 KR102635970 B1 KR 102635970B1 KR 1020180170095 A KR1020180170095 A KR 1020180170095A KR 20180170095 A KR20180170095 A KR 20180170095A KR 102635970 B1 KR102635970 B1 KR 10263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area
sourc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540A (ko
Inventor
박종렬
윤성욱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한 광이 가이드되는 도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복제1 광원 및 제2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제1 광원는 복제1 광원및 제1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제2 광원 및 제2 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제1 광원와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제2 출사면이 제1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도광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을 차량용 램프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측면형(edgy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분된다.
측면형 백라이트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광원을 설치하고, 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도광판과 다수의 광학 시트를 통해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는 액정표시장치의 바로 아래에 다수의 광원을 배치하고, 그 광원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판과 다수의 광학 시트를 통해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핸드폰 등과 같은 장치에 장착된다. 핸드폰 등과 같은 장치는 기능을 중시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형상이 거의 정형화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용 램프는 미관을 중요하게 여겨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기존의 정형화된 형상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을 차량용 램프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을 다양한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에 적용하는 기술의 등장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935호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을 차량용 램프에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한 광 및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이 가이드되는 도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는, 제1 입사면 및 제2 입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제1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제1 입사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2 입사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광원부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입사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사면간의 각도는 서로 평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제2 광원부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입사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사면간의 각도는 서로 평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출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출사면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부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내부 전면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제1 반사부, 제2 반사부 및 제3 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반사부와 제2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은 확산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부의 배치를 백라이트 유닛의 형상에 맞게 변경하여, 다양한 형상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부의 배치를 백라이트 유닛의 형상에 맞게 변경하여,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1 입사면과 제2 입사면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입사면과 제1 반사부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반사부가 하우징에 증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구현되는 점등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10)은 커버(20), 하우징(30) 및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은 커버(20)와 하우징(30)은 스냅 핏 방식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40)을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커버(20)와 하우징(30)의 결합을 상기 스냅 핏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커버(20)와 하우징(30)은 후크(hook)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커버(20)와 하우징(30)은 억지끼움 방식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은 프리즘 시트(41, 43), 확산 시트(45), 광원부(47), 반사부(48) 및 도광부(49)를 포함하여 백라이트 광을 조사한다.
광원부(47)는 광을 방출한다.
반사부(48)는 광원부(47)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부(49)측으로 반사한다.
도광부(49)는 광원부(47)에서 방출된 광 및 반사부(48)에서 반사된 광을 가이드한다.
확산 시트(45)는 도광부(49)에서 가이드된 광이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 전반에 걸쳐 퍼지도록 도광부(49)에서 가이드된 광을 확산시킨다.
프리즘 시트(41, 43)는 확산 시트(45)를 통해 확산된 광이 일정 패턴을 갖춰 외부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때, 프리즘 시트(41, 43)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100)의 일부 구성인 광원부(47), 반사부(48) 및 도광부(49)가 하우징(3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48)는 하우징(30)의 내부 전면(全面)에 증착되고, 도광부(49)의 형상은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됨을 전제한다.
도 3 및 도 4는 제1 입사면과 제2 입사면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광원부(47)는 제1 광원부(471) 및 제2 광원부(472)를 포함한다.
제1 광원부(471)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제1 광원부(471)는 제1 입사부(49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광원부(472)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제2 광원부(472)는 제2 입사부(49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광원부(471) 및 제2 광원부(472)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은 통전 신호에 의해 광을 출사시키는 것으로서, 반도체 발광 소자인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벌브(Bulb), 레이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광원부(471)와 제2 광원부(472)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은 제1 광원부(471)만 점등될 때의 점등 이미지와 제2 광원부(472)만 점등될 때의 점등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471)가 적색을 갖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고, 제2 광원부(472)가 황색을 갖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은 테일 램프(Tail lamp) 또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광원부(471)가 백색을 갖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고, 제2 광원부(472)가 황색을 갖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40)은 DRL(Daytime running lights) 램프 또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광부(49)는 제1 입사면(491), 제2 입사면(492) 및 출사면(493)을 포함한다.
제1 입사면(491)은 제1 광원부(471)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한다. 즉, 제1 입사면(491)은 제1 광원부(471)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입사면(491)에 포함된 복수의 입사면간의 각도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제2 입사면(492)은 제2 광원부(472)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한다. 즉, 제2 입사면(492)은 제1 광원부(472)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한다. 이때, 제2 입사면(492)에 포함된 복수의 입사면간의 각도는 서로 평행하다.
한편, 제1 입사면(491)과 제2 입사면(49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θ1)를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부(49)의 형상은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변경이 되므로, 제1 각도(θ1)는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의 형상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1 각도(θ1)는 90°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각도(θ1)는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상술한 특정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 각도(θ1)가 90°에 가까운 값을 가질수록 프리즘 시트(41, 43)의 개수를 최소화(2개 이하)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입사면(491)과 제2 입사면(49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입사면(491)에는 제1 광원부(471)과 배치되고, 제2 입사면(492)에는 제2 광원부(472)가 배치되는바, 제1 입사면(491)과 제2 입사면(492)이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지 않으면, 제1 광원부(471)와 제2 광원부(472)가 접하는 부분은 광이 중첩되어 주변보다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도광부(49)를 제1 입사면(491)과 제2 입사면(492)이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광의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한다.
출사면(493)은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역(S1)의 면적이 제2 영역(S2)의 면적에 비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부(49)의 형상은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변경이 되므로, 하우징(30)이 도 3 내지 도 5와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제1 영역(S1)의 면적과 제2 영역(S2)의 면적간의 관계는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영역(S1)의 면적과 제2 영역(S2)의 면적간의 관계가 변경되면 도광부(49)의 형상이 변경된 것이므로, 제1 각도(θ1)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다.
반사부(48)는 제1 반사부(481), 제2 반사부(482) 및 제3 반사부(483)를 포함한다. 이때, 반사부(48)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내부 전면(全面, 하면 및 측면 포함)에 증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반사부(4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S1)과 접하는 하우징(30)의 측면(481)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제2 반사부(48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S2)과 접하는 하우징(30)의 측면(482)에 증착되어 형성되며, 제3 반사부(48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하면(483)에 증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반사부(481)는 제1 광원부(471) 중 제1 영역(S1)에 있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제2 영역(S2)으로 가이드하고, 제2 반사부(482)는 제1 광원부(471) 중 제1 영역(S1)에 있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제2 영역(S2)으로 가이드 하거나 또는 제2 광원부(472)에서 방출된 광을 제1 영역(S2)으로 가이드하며, 제3 반사부(483)는 제1 광원부(471) 및 제2 광원부(472)에서 방출된 광을 제1 영역(S1) 또는 제2 영역(S2)으로 가이드한다.
즉, 반사부(48)는 광원부(47)에 방출된 대부분의 광을 도광부(49)로 입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원부(47)에서 방출된 광의 누설을 최소화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부(48)가 하우징(30)의 내부 전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므로, 광원부(47)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부(49) 전면에 걸쳐 골고루 퍼트려, 외부로 조사되는 광의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제1 입사면과 제1 반사부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입사면(491)은 제1 반사부(481)와 제2 각도(θ2)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각도(θ2)는 제1 영역(S1)의 면적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S1)의 면적은 도광부(49)의 형상 변경에 따라 달라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부(49)의 형상은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되므로, 제2 각도(θ2)는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른 도광부(49)의 변경된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 및 도광부(49)의 형상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2 각도(θ2)는 45°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각도(θ2)는 하우징(30) 및 도광부(49)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상술한 특정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간의 면적 차이가 커질수록 제2 각도(θ2)가 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S1)의 면적이 제2 영역(S2)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각각에서 외부로 조사되는 광의 휘도가 균일하기 위해서는 제1 입사부(491)로 입사되는 광이 되도록 많이 제1 반사부(481)에서 반사되어 제2 영역(S2)에 도달해야 한다. 즉, 도 3 내지 도 5의 경우에는 제2 각도(θ2)가 커지면 제1 입사부(491)로 입사된 광이 제1 영역(S1)에 보다 많이 도달할 수 있으므로,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각각에서 외부로 조사되는 광의 휘도가 균일해 질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구현되는 점등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10)을 통해 구현되는 점등 이미지는 휘도가 점등 이미지 전체에 걸쳐 균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10)은 하우징(30)의 형상에 따라 도광부(49)의 형상을 변경하고, 도광부(49)의 형상에 따라 광원부(47)를 배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점등 이미지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0 : 커버
30 : 하우징
40 :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41, 43 : 프리즘시트 45 : 확산시트
47 : 광원부 48 : 반사부
49 : 도광부

Claims (12)

  1.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방출한 광 및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이 가이드되는 도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는,
    제1 입사면 및 제2 입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이 제1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제1 입사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2 입사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출사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있는 광원과 상기 제2 영역에 있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있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사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사되며,
    상기 제2 영역에 있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사되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광원부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입사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사면간의 각도는 서로 평행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제2 광원부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입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입사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입사면간의 각도는 서로 평행인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면적이 작은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부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내부 전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제1 반사부, 제2 반사부 및 제3 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반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반사부와 제2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확산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과 상기 제2 입사면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의 광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KR1020180170095A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KR10263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95A KR102635970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095A KR102635970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40A KR20200080540A (ko) 2020-07-07
KR102635970B1 true KR102635970B1 (ko) 2024-02-13

Family

ID=7160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095A KR102635970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6701A (ja) * 2005-08-31 2007-03-15 Optrex Corp 面発光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34B1 (ko) 2006-02-27 2007-10-10 주식회사 엘에스텍 백라이트 장치
KR102249863B1 (ko) * 2014-03-17 2021-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KR102557311B1 (ko) * 2016-08-08 2023-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6701A (ja) * 2005-08-31 2007-03-15 Optrex Corp 面発光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540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066B1 (ko) 백-라이팅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KR101114183B1 (ko) 조명 조립체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CN110260263B (zh) 车载双功能发光模块及车载双功能照明灯组
WO2018032463A1 (zh) 透镜结构及使用该透镜结构的灯具、背光模块与显示设备
WO2014091711A1 (ja) 照明装置
KR20120057454A (ko) 헤드램프용 라이트 가이드장치
JP2021005533A (ja) 車両用灯具
JP2020194622A (ja) 車両用灯具
CN210179385U (zh) 一种遮阳板化妆镜灯发光模块
KR102635970B1 (ko) 차량용 백라이트 유닛
KR20150137959A (ko) 보조 광학 소자 및 광원 모듈
KR101502047B1 (ko) 엘이디 평판조명모듈
JP2015018689A (ja) 車両用灯具
JP2017168335A (ja) 車両用灯具
TW201641999A (zh) 反射元件、背光模組,及具有該背光模組的顯示裝置
KR102261289B1 (ko) 차량의 보조 제동등
CN208670896U (zh) 照明和/或信号指示装置和机动车辆
KR101488385B1 (ko) 엘이디 평판조명장치
JP2013168269A (ja) 車両用灯具
KR200483959Y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71410A (ko) 차량용 램프
CN112268263B (zh) 一种汽车动态发光尾灯
JP2019153413A (ja) 車両用灯具
JP2017228463A (ja) 車両用導光部材、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