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862B1 -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862B1
KR102635862B1 KR1020230019166A KR20230019166A KR102635862B1 KR 102635862 B1 KR102635862 B1 KR 102635862B1 KR 1020230019166 A KR1020230019166 A KR 1020230019166A KR 20230019166 A KR20230019166 A KR 20230019166A KR 102635862 B1 KR102635862 B1 KR 10263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eating groove
block
inspe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원 filed Critical 김지원
Priority to KR102023001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 감리 및 점검 결과를 실시간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설 점검을 수행하여 생성된 시설 점검 결과를 전송하는 점검 단말기; 및 상기 점검 단말기로부터 시설 점검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Facility supervision and inspection reporting system}
본 발명은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설 감리 및 점검 결과를 실시간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시설(건축, 기계, 전기, 가스, 소방, 안전시설, 엘레베이터, 수도, 안전관리 등) 점검은 주로 시설 점검원이 직접 육안 및 점검장비를 휴대하고 직접 점검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소방관계 법규에서는 3인 이상이 하나의 팀(team)이 되어 각각의 시설을 현장 점검하고 3인 이상이 모두 점검 확인에 참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수많은 시설을 3인 이상이 일일이 점검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 때때로 편법적으로는 3인이 나뉘어져 시설을 각각 1인이 점검하고 취합하는 형태로도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법규대로는 안전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효율적인 점검이 어렵고 현실적인 점검 실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2485호 (2016.03.21.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설 감리 및 점검 결과를 실시간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은, 시설 점검을 수행하여 생성된 시설 점검 결과를 전송하는 점검 단말기; 및 상기 점검 단말기로부터 시설 점검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검 단말기는, 미리 준비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 양식을 출력하며, 시설 점검원으로부터 출력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입력받아 생성시킨 시설 점검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은, 시설의 실내를 따라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시설 실내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기 설정된 경로 또는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장소까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 다축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을 상호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을 다축 회동시켜 주는 회동 구동 장치;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 모듈; 및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카메라 설치홈에 부유 중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듈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 청소부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기 전달 통로; 및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공기 전달 통로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켜 주는 분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으로 전단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공기 전달 통로로부터 연통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 연통 형성되는 상기 공기 전달 통로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구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 상기 구체 안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구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부;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회전 구체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 구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공기 전달 통로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 구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까지 연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 전달 통로를 따라 이동 중인 압축 공기를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 전달하는 제1 전달 통로; 상기 블록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제1 전달 통로의 배출구를 밀폐시켜 주며, 상기 제1 전달 통로를 통해 압축 공기가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블록 안착홈을 따라 전진 이동되어 상기 제1 전달 통로의 배출구를 개방시켜 주는 개폐 블록; 상기 개폐 블록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개폐 블록의 전단 경사면까지 연통 형성되며,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개폐 블록이 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개폐 블록의 전단 경사면까지 압축 공기를 전달한 뒤 상기 개폐 블록의 전단 경사면과 직각되도록 상기 개폐 블록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주는 제2 전달 통로; 상기 개폐 블록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개폐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날개; 및 상기 날개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블록 지지 날개의 전단을 지지하며,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날개 안착홈을 따라 전진 이동되었던 상기 블록 지지 날개를 압축 공기의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날개 안착홈의 후단으로 복귀시켜 주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 구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는 회전 링; 상기 회전 링의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시설 감리 및 점검 결과를 실시간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모듈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모듈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개폐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10)은, 점검 단말기(100) 및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점검 단말기(100)는, 시설 점검을 수행하여 생성된 시설 점검 결과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점검 단말기(100)는, 미리 준비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 양식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며, 시설 점검원으로부터 출력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터치 입력 또는 외장 키보드 입력 등의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생성시킨 시설 점검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점검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점검 단말기(100)로부터 시설 점검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10)은, 시설 감리 및 점검 결과를 실시간 입력하고 실시간으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20)은, 점검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모니터링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점검 단말기(100) 및 관리 서버(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장치(400)는, 시설의 실내를 따라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점검 단말기(10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20)은, 모니터링 장치(400)를 이용하여 획득한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시설의 감리 및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400)는, 레일부(410), 슬라이딩부(420) 및 촬영부(430)를 포함한다.
레일부(410)는, 슬라이딩부(420)가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시설 실내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딩부(420)는, 레일부(410)에 연결 설치되어 레일부(410)를 따라 기 설정된 경로 또는 점검 단말기(100) 또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장소까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촬영부(430)를 이동시켜 준다.
촬영부(430)는, 슬라이딩부(420)의 하단에 다축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점검 단말기(10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부(430)는, 하우징(431), 회동 구동 장치(432), 촬영 모듈(433) 및 모듈 청소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31)은, 회동 구동 장치(432), 촬영 모듈(433) 및 모듈 청소부(5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회동 구동 장치(432)는, 하우징(431)과 슬라이딩부(420)의 하단을 상호 연결 설치하며, 하우징(431)의 전단이 촬영 대상물(예를 들어, 분전반 또는 서버 실 등)의 위치를 향할 수 있도록 하우징(431)을 다축 회동시켜 준다.
촬영 모듈(433)은, 하우징(431)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점검 단말기(100) 또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모듈 청소부(500)는,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주면(431b)을 따라 설치되며,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카메라 설치홈(431a)에 부유 중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촬영 모듈(433)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니터링 장치(400)는, 시설 내부의 각 장소 별로 획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시설의 감리 및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점검 단말기(100) 또는 관리 서버(200)는, 수신받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파악하거나, 불법 침입 등을 신속하게 확인한 뒤 담당자로 하여금 경찰서 등에 신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모듈 청소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모듈 청소부(500)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 (510), 공기 전달 통로(520) 및 분사 모듈(530)을 포함한다.
압축 공기 공급 탱크(510)는, 컴프레셔 등의 공기 공급 장치로서, 공기 전달 통로(520)를 통해 압축 공기를 분사 모듈(530)로 공급한다.
공기 전달 통로(520)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5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주면(431b)을 형성하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분사 모듈(530)은,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주면(431b)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공기 전달 통로(520)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 모듈(530)은, 구체 안착홈(531), 회전 구체(532), 회전 구동부(533), 블록 안착홈(534), 제1 전달 통로(535), 개폐 블록(536), 제2 전달 통로(537), 블록 지지 날개(538) 및 리턴 스프링(539)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 안착홈(531)은, 카메라 설치홈(431a)의 내주면(431b)으로 전단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공기 전달 통로(520)로부터 연통 형성된다.
회전 구체(532)는, 구체 안착홈(53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구체 안착홈(531)으로 연통 형성되는 공기 전달 통로(520)의 개구부(521)를 밀폐시키면서 구체 안착홈(5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구동부(533)는, 구체 안착홈(531)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 구체(5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구동부(533)는, 회전 링(5331), 구동 기어(5332) 및 구동 모터(53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링(5331)은, 회전 구체(53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한다.
구동 기어(5332)는, 회전 링(5331)의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구동 모터(5333)는, 구동 기어(53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블록 안착홈(534)은, 구체 안착홈(531)으로부터 노출되는 회전 구체(532)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회전 구체(532)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1 전달 통로(535)는, 공기 전달 통로(520)로 노출되는 회전 구체(532)의 후단으로부터 블록 안착홈(534)의 내측까지 연통 형성되어 공기 전달 통로(520)를 따라 이동 중인 압축 공기를 블록 안착홈(534)으로 전달한다.
개폐 블록(536)은, 블록 안착홈(534)의 형상에 대응하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블록 안착홈(534)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어 제1 전달 통로(535)의 배출구를 밀폐시켜 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 통로(535)를 통해 압축 공기가 블록 안착홈(534)으로 유입됨에 따라 블록 안착홈(534)을 따라 전진 이동되어 제1 전달 통로(535)의 배출구를 개방시켜 준다.
제2 전달 통로(537)는, 개폐 블록(536)의 후단으로부터 개폐 블록(536)의 전단 경사면(536a)까지 연통 형성되며, 블록 안착홈(534)으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어 개폐 블록(536)이 전진 이동됨에 따라 개폐 블록(536)의 후단에 형성되는 입구가 개방되어 개폐 블록(536)의 전단 경사면(536a)까지 압축 공기를 전달한 뒤 개폐 블록(536)의 전단 경사면(536a)과 직각되도록 개폐 블록(536)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준다.
블록 지지 날개(538)는, 개폐 블록(536)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블록 안착홈(534)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534a)의 후단에 밀착 배치되어 개폐 블록(536)을 지지한다.
리턴 스프링(539)은, 날개 안착홈(534a)의 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534a)에 안착되는 블록 지지 날개(538)의 전단을 지지하며,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날개 안착홈(534a)을 따라 전진 이동되었던 블록 지지 날개(538)를 압축 공기의 공급이 종료되면 날개 안착홈(534a)의 후단으로 복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듈 청소부(500)는, 회전하는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줌으로써, 먼지 등이 카메라 설치홈(431a)으로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촬영 모듈(433)이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역시 불어서 제거함으로써 촬영 모듈(433)에 의한 보다 선명한 화질의 영상 정보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100: 점검 단말기
200: 관리 서버
300: 시설
400: 모니터링 장치

Claims (3)

  1. 시설 점검을 수행하여 생성된 시설 점검 결과를 전송하는 점검 단말기;
    상기 점검 단말기로부터 시설 점검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시설의 실내를 따라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시설 실내의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기 설정된 경로 또는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장소까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 다축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을 상호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을 다축 회동시켜 주는 회동 구동 장치;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며, 시설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점검 단말기 또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 모듈; 및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카메라 설치홈에 부유 중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듈 청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청소부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탱크;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기 전달 통로; 및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공기 전달 통로를 통해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시켜 주는 분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카메라 설치홈의 내주면으로 전단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공기 전달 통로로부터 연통 형성되는 구체 안착홈;
    상기 구체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 연통 형성되는 상기 공기 전달 통로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상기 구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
    상기 구체 안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구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부;
    상기 구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회전 구체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회전 구체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공기 전달 통로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 구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까지 연통 형성되어 상기 공기 전달 통로를 따라 이동 중인 압축 공기를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 전달하는 제1 전달 통로;
    상기 블록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제1 전달 통로의 배출구를 밀폐시켜 주며, 상기 제1 전달 통로를 통해 압축 공기가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블록 안착홈을 따라 전진 이동되어 상기 제1 전달 통로의 배출구를 개방시켜 주는 개폐 블록;
    상기 개폐 블록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개폐 블록의 전단 경사면까지 연통 형성되며,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개폐 블록이 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개폐 블록의 전단 경사면까지 압축 공기를 전달한 뒤 상기 개폐 블록의 전단 경사면과 직각되도록 상기 개폐 블록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주는 제2 전달 통로;
    상기 개폐 블록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개폐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날개; 및
    상기 날개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블록 지지 날개의 전단을 지지하며, 압축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날개 안착홈을 따라 전진 이동되었던 상기 블록 지지 날개를 압축 공기의 공급이 종료되면 상기 날개 안착홈의 후단으로 복귀시켜 주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단말기는,
    미리 준비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 양식을 출력하며, 시설 점검원으로부터 출력된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서를 입력받아 생성시킨 시설 점검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3. 삭제
KR1020230019166A 2023-02-14 2023-02-14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KR10263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166A KR102635862B1 (ko) 2023-02-14 2023-02-14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166A KR102635862B1 (ko) 2023-02-14 2023-02-14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862B1 true KR102635862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166A KR102635862B1 (ko) 2023-02-14 2023-02-14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8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485B1 (ko) 2016-01-11 2016-03-21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물 시공 감리용 구조물 검측 막대자
KR20220061312A (ko) * 2020-11-05 2022-05-13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레일로봇장치가 구비된 딥러닝 기반의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20084703A (ko) * 2020-12-14 2022-06-21 변종걸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485B1 (ko) 2016-01-11 2016-03-21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물 시공 감리용 구조물 검측 막대자
KR20220061312A (ko) * 2020-11-05 2022-05-13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레일로봇장치가 구비된 딥러닝 기반의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20084703A (ko) * 2020-12-14 2022-06-21 변종걸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3663B2 (en) Community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US103512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ly inspecting the state of an aircraft engine
CN109543919A (zh) 一种基于事故演化的消防动态应急决策系统及其实现方法
CN106094690A (zh) 城市管廊综合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JP2008028756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CN106094633A (zh) 民航机场候机楼安全远程实时监控信息系统
CN107590876A (zh) 综合管廊巡检机器人及综合管廊巡检系统
KR101418707B1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기능 물관리자동화시스템
CN108133522A (zh) 一种管廊巡检方法及系统
KR101009456B1 (ko) Cctv가 장착된 무인 비행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N106296045A (zh) 一种电网异物激光清除设备安全管理控制装置及方法
KR102635862B1 (ko) 시설 감리 및 점검 보고 시스템
Fawzi et al. Embedded real-time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multi-sensor and visual tracking
CN106297154A (zh) 一种智能消防维保监控系统
CN115460249A (zh) 一种基于融合通信的三维可视化通信指挥系统
CN104142643A (zh) 应用影像监控机器人之监控系统
CN106230879A (zh) 一种基于物联网及互联网技术的管网监管云系统
CN209372814U (zh) 一种基于无人机的化工区环境检测系统
CN105824281A (zh) 一种消防实时监控系统
CN108119726B (zh) 用于检测地下大型管道漏水的系统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US20150286981A1 (en) Servic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Xie et al. On‐line physical security monitoring of power substations
Russell et al. Computer vision-assisted human-in-the-loop measurements: Augmenting qualitative by increasing quantitative analytics for CI situational awar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