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476B1 -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476B1
KR102634476B1 KR1020210069972A KR20210069972A KR102634476B1 KR 102634476 B1 KR102634476 B1 KR 102634476B1 KR 1020210069972 A KR1020210069972 A KR 1020210069972A KR 20210069972 A KR20210069972 A KR 20210069972A KR 102634476 B1 KR102634476 B1 KR 10263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lead
secondary battery
form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537A (ko
Inventor
김재희
나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PCT/KR2022/0030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20402A1/ko
Publication of KR2022014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리롤 타입의 원통형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복수의 리드탭을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접는 과정에서 변형이나 손상없이 정확하게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성형할 수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전극조립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전극조립체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 성형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복수의 리드탭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1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지그베이스;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의 제1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구동지그; 및, 상기 지그베이스와 구동지그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한 구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면서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포밍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Lead Tab Forming System for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으로 된 젤리롤 타입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돌출된 복수의 리드탭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성형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젤리 롤 형태의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캔과, 캔 내측에 주입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해액과, 캔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고, 전극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극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젤리롤 형상의 전극조립체가 변형되지 않도록 센터핀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통상 그 용량이 2000~ 2400mA 정도이기 때문에, 주로 대용량의 전력이 필요한 노트 피씨(note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에 장착되고 있다. 일례로 이러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다수개가 필요한 개수만큼 직병렬로 연결되고, 또한 보호회로가 장착된 채 소정 형태의 하드팩(hard pack)으로 조립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용으로 결합되어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판, 세퍼레이터 및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판을 함께 적층한 후, 봉형태의 권취축에 일단을 결합한 후, 대략 원통 형태로 권취하여 전극조립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삽입한 후 전극조립체에 센터핀을 삽입한다. 이어서, 원통형 캔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캡조립체를 원통형 캔의 상부에 결합함으로써, 대략 원통 형태의 리튬 이차전지를 완성한다.
한편 전기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이차전지의 대용량 및 짧은 충전 시간이 관건이며,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젤리롤 타입의 원통형 전극조립체(1)의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2)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환형 리드탭 배열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돌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리드탭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캔 조립체 내부에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리드탭을 프레스 기기로 바로 눌러서 절곡하면 리드탭의 중간 부분이 꺽이거나 휘면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24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91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985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젤리롤 타입의 원통형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복수의 리드탭을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접는 과정에서 변형이나 손상없이 정확하게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성형할 수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전극조립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전극조립체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 성형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복수의 리드탭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1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지그베이스;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의 제1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구동지그; 및, 상기 지그베이스와 구동지그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한 구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면서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포밍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베이스의 일면에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구동지그의 일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작동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포밍블레이드에 상기 지그베이스의 가이드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컨넥팅핀과, 상기 구동지그의 작동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컨넥팅핀이 설치되어,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한 구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컨넥팅핀과 제2컨넥팅핀이 각각 가이드홀 및 작동홀의 안내를 받으면서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이동하면서 서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는 운동을 하여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밍블레이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포밍블레이드 각각의 양측면은 서로 인접하고 있는 다른 포밍블레이드의 양측면과 서로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반경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상기 포밍블레이드의 하부면에 양측으로 경사지면서 끝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성형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지그의 외측에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 내외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밍블레이드에 의해 복수의 리드탭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후 리드탭을 가압하여 직각으로 절곡하는 프레스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지그를 일정 각도 범위로 왕복 회전시키는 지그회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지그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지그를 지그회동유닛과 연결하는 원형 링 형태의 지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전극조립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전극조립체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 성형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복수의 리드탭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1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지그베이스;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의 제1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작동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동지그; 및, 상기 지그베이스와 구동지그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의 가이드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컨넥팅핀과, 상기 구동지그의 작동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컨넥팅핀이 설치된 복수의 포밍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한 구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포밍블레이드의 제1컨넥팅핀과 제2컨넥팅핀이 각각 가이드홀 및 작동홀의 안내를 받으면서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이동하면서 서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는 운동을 하여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의 전극조립체의 일단부에 환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드탭을 복수의 포밍블레이드로 동시에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일정 각도 절곡 성형한 다음, 이를 프레스유닛으로 가압하여 직각으로 절곡할 수 있으므로 리드탭의 절곡 성형 과정에서 리드탭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형태로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원통형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리드탭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리드탭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리드탭 성형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리드탭 성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리드탭 성형장치의 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리드탭 성형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를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노칭(notching) 공정을 통해 복수의 리드탭(2)이 형성된 전극이 분리막(separator)과 함께 원통형으로 권취되어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2)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전극조립체(1)에 대해, 상기 복수의 리드탭(2)을 1차적으로 전극조립체(1)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성형한 다음, 2차적으로 리드탭(2)을 프레스하여 전극조립체(1)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전극조립체(1)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리드탭(2)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1개구부(111)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지그베이스(110)와, 지그베이스(1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지그(120), 및 지그베이스(110)와 구동지그(120)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리드탭(2)을 가압하여 일정 각도로 절곡하는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를 포함한다.
지그베이스(110)는 중앙에 제1개구부(111)가 형성된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홀(1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가이드홀(112)은 포밍블레이드(1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가이드홀(112)은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한 직선형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다.
구동지그(120)는 중앙에 상기 제1개구부(111)와 연통되는 제2개구부(121)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지그베이스(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그베이스(1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지그(120)의 일면에는 상기 포밍블레이드(130)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작동홀(12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작동홀(122)은 상기 가이드홀(112)과는 반대방향으로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곡선형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지그(12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모터 또는 공압실린더와,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지그회동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지그베이스(110)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로 왕복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회동유닛은 공지의 회전구동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모터(161)와 모터(16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62)와 상기 구동기어(162)의 회전력을 구동지그(120)에 전달하는 구동지그(120)에 결합되는 종동기어(163)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어(162) 및 종동기어(163)가 동력전달기구가 된다. 이외에도 동력전달기구로서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풀리와 동력전달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공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의 직선 운동을 구동지그(12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지그회동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지그(120)를 지그회동유닛에 연결하기 위하여, 구동지그(120)의 상부에 구동지그(120)를 지그회동유닛과 연결하는 원형 링 형태의 지그커버(1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포밍블레이드(130)는 지그베이스(110)와 구동지그(120)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구동지그(120)의 회전에 의해 제1개구부(111) 및 제2개구부(121)의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면서 전극조립체(1)의 복수의 리드탭(2)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포밍블레이드(13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며, 지그베이스(110)와 구동지그(120)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부에는 지그베이스(110)의 가이드홀(1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컨넥팅핀(131)과, 상기 구동지그(120)의 작동홀(122)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컨넥팅핀(132)이 각각 연결되는 2개의 핀연결홀(130a, 130b)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러한 형태와 연결 구조를 갖는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는 구동지그(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1컨넥팅핀(131)과 제2컨넥팅핀(132)이 가이드홀(112)과 작동홀(122)의 안내를 받아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 때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각각의 양측면은 서로 인접하고 있는 다른 포밍블레이드(130)의 양측면과 서로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제1개구부(111) 및 제2개구부(121)의 반경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즉,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는 구동지그(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2컨넥팅핀(132)이 작동홀(122)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게 되며, 이 때 제1컨넥팅핀(131)은 가이드홀(112)에 의해 안내되며,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들은 양측면이 서로 연접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회전 운동하게 된다. 포밍블레이드(130)가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회전 운동함에 따라 제1개구부(111)와 제2개구부(121)의 내측 공간에 위치한 포밍블레이드(130)의 내측 단부는 제1개구부(111)와 제2개구부(121)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된다. 따라서 전극조립체(1)의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드탭(2)이 제1개구부(111)와 제2개구부(1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다가 구동지그(120)가 회전하여 포밍블레이드(130)의 내측 단부들이 반경방향으로 오므려지게 되면, 포밍블레이드(130)의 내측 단부가 복수의 리드탭(2)을 동시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하여 일정 각도로 절곡시키게 된다.
상기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리드탭(2)을 가압할 때 리드탭(2)이 하측으로 부드럽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밍블레이드(130)의 하부면에는 양측으로 경사지면서 끝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삼각형 형태의 성형가이드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가이드부(133)에 의해 포밍블레이드(130)는 내측단부에서 외측단부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게 된다. 즉, 포밍블레이드(130)의 성형가이드부(133)는 양측으로 경사지면서 끝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과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갖게 되며, 이러한 형태의 성형가이드부(133)가 리드탭(2)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하측으로도 가압하여 리드탭(2)이 하측으로 부드럽게 절곡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리드탭 성형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전극조립체(1)의 일단부에 형성된 리드탭(2)을 제1개구부(111)를 통해 진입시켜 리드탭(2)이 포밍블레이드(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되게 한다.
그런 다음, 지그회동유닛을 작동시켜 구동지그(120)를 지그베이스(110)에 대해 회전시키면, 복수의 포밍블레이드(130)가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회전 이동하면서 포밍블레이드(130)의 내측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오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포밍블레이드(130)의 내측 단부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리드탭(2)과 동시에 접촉하면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하게 되고, 리드탭(2)이 전극조립체(1)의 축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절곡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리드탭(2)이 포밍블레이드(130)에 의해 전극조립체(1)의 축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절곡된 후, 구동지그(120)의 외측에서 제1개구부(111) 및 제2개구부(121)의 내외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유닛(150)을 이동시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는 복수의 리드탭(2)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1)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게 되면, 리드탭(2)이 휘어지거나 꺽이는 현상없이 정확하게 직각으로 절곡 성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리드탭 성형장치는 원통형의 전극조립체(1)의 일단부에 환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드탭(2)을 포밍블레이드(130)로 동시에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일정 각도 절곡 성형한 다음, 이를 프레스유닛(150)으로 가압하여 직각으로 절곡할 수 있으므로 리드탭(2)의 절곡 성형 과정에서 리드탭(2)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형태로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다.
즉, 원통형의 전극조립체(1)에 환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드탭(2)을 바로 직각으로 절곡하지 않고, 포밍블레이드(130)로 복수의 리드탭(2)을 1차적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성형한 다음, 2차적으로 프레스유닛(150)으로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리드탭(2)을 직각으로 절곡 성형하므로 리드탭(2)을 변형없이 정확하게 직각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 전극조립체 2 : 리드탭
110 : 지그베이스 111 : 제1개구부
112 : 가이드홀 120 : 구동지그
121 : 제2개구부 122 : 작동홀
130 : 포밍블레이드 130a, 130b : 핀연결홀
131 : 제1컨넥팅핀 132 : 제2컨넥팅핀
133 : 성형가이드부 140 : 지그커버
150 : 프레스유닛 161 : 모터
162 : 구동기어 163 : 종동기어

Claims (8)

  1. 일단부에 복수의 리드탭이 환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전극조립체에 대해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전극조립체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 성형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복수의 리드탭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1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지그베이스;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의 제1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개구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구동지그; 및,
    상기 지그베이스와 구동지그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한 구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면서 상기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포밍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베이스의 일면에 반경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구동지그의 일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작동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포밍블레이드에 상기 지그베이스의 가이드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컨넥팅핀과, 상기 구동지그의 작동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컨넥팅핀이 설치되어,
    상기 지그베이스에 대한 구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컨넥팅핀과 제2컨넥팅핀이 각각 가이드홀 및 작동홀의 안내를 받으면서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이동하면서 서로 벌어졌다 오므려지는 운동을 하여 복수의 리드탭을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포밍블레이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포밍블레이드 각각의 양측면은 서로 인접하고 있는 다른 포밍블레이드의 양측면과 서로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반경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고, 상기 포밍블레이드의 하부면에 양측으로 경사지면서 끝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과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향 경사진 삼각형 형태의 성형가이드부가 형성된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지그의 외측에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 내외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밍블레이드에 의해 복수의 리드탭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후 리드탭을 가압하여 직각으로 절곡하는 프레스유닛을 더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지그를 일정 각도 범위로 왕복 회전시키는 지그회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지그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지그를 지그회동유닛과 연결하는 원형 링 형태의 지그커버를 더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8. 삭제
KR1020210069972A 2021-04-16 2021-05-31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KR10263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3023 WO2022220402A1 (ko) 2021-04-16 2022-03-03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75 2021-04-16
KR20210049675 2021-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537A KR20220143537A (ko) 2022-10-25
KR102634476B1 true KR102634476B1 (ko) 2024-02-06

Family

ID=8380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972A KR102634476B1 (ko) 2021-04-16 2021-05-31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101B1 (ko) * 2023-10-17 2024-02-06 (주)금양 원통형 배터리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120B1 (ko) * 2013-05-23 2016-09-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딩 장치
WO2018180828A1 (ja) * 2017-03-29 2018-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形電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937A (ja) * 1992-05-26 1993-12-10 Sony Corp 円筒形渦巻式電池の製造装置
JPH09168379A (ja) * 1996-12-26 1997-06-30 Kobaade:Kk 棒状食品切断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した切断装置
KR101622437B1 (ko) 2012-10-16 2016-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의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BE1022401B1 (nl) * 2014-09-19 2016-03-24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Inlaatklep voor een compressor
KR102019850B1 (ko) 2017-11-10 2019-09-09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 셀의 전극리드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120B1 (ko) * 2013-05-23 2016-09-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벤딩 장치
WO2018180828A1 (ja) * 2017-03-29 2018-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形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537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476B1 (ko)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JP5007048B2 (ja) 円筒形電池の製造方法及び円筒形電池の溝入れ加工装置
CN111108669B (zh) 用于连接驱动用马达细销的对齐装置
JP6885798B2 (ja) 電池取出装置
CN1655380A (zh) 电池组及其生产方法
US20180083429A1 (en) Stripping apparatus
CN217570440U (zh) 箔极耳成型装置
US20100183911A1 (en) Battery ca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for, and battery using the same
US6967426B2 (en) Brush support jig used in mounting a brush assembly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ounting the brush assembly using the brush support jig
CN110153302B (zh) 缩口组件及缩口设备
WO2022220402A1 (ko) 원통형 이차전지의 리드탭 성형장치
CN109818443B (zh) 旋转电机的定子及其组装方法
EP4339555A1 (en) Electrode assembly external diameter measurement device and external diameter measurement method
KR102172844B1 (ko) 맨드릴 유닛 및 이차전지용 권취장치
US20190245187A1 (en) Terminal structure
KR101737178B1 (ko)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CN218996752U (zh) 电极、二次电池以及电极制造设备
CN111331019B (zh) 一种零件折弯方法
CN113285112A (zh) 结合机构、合芯装置及合芯方法
US20240170712A1 (en) Battery including folded foil por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4171719B2 (ja) 二次電池の中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0870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ell
KR20220103023A (ko) 원통형 이차전지 셀 생산 장치 및 방법
CN109802168A (zh) 盖合装置和电池生产设备
CN219087288U (zh) 耳机盒盖开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