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351B1 -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351B1
KR102634351B1 KR1020180126938A KR20180126938A KR102634351B1 KR 102634351 B1 KR102634351 B1 KR 102634351B1 KR 1020180126938 A KR1020180126938 A KR 1020180126938A KR 20180126938 A KR20180126938 A KR 20180126938A KR 102634351 B1 KR102634351 B1 KR 10263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vehicl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876A (ko
Inventor
강종현
이정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등록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on based Bluetooth Low Energy,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DA 등 개인 휴대 단말기의 눈부신 발달로 누구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소유 및 소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이 적용된 개인 휴대 단말기가 속속 등장하면서 다양한 개인 휴대 단말기들이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개인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모든 기기들이 상호 통신이 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은 차량에도 적용되어, 스마트키가 없어도,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시동을 온하거나 차량 도어의 락/언락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을 통한 차량 제어를 위해, 종래에는 동작 안정성을 위해 서비스의 거리 제한을 두거나, 보안 키 사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서비스의 완성도를 확보해왔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부 또는 최근접하는 경우 시동 및 차량 제어가 가능한데, 도 1 및 도 2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종류, 사용자 단말의 차량 내 위치에 따라 통신 신호 세기가 최대 10~20 dB까지 오차가 발생하여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서비스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5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단말A, 단말B, 단말C, 단말D)의 통신 신호 세기 측정값으로 각각 통신 신호의 세기가 다름을 알 수 있으며,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통신 신호 세기가 최대 20dB까지도 편차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차량 제어서비스의 안정화를 위해 일관되지 않은 조건을 통일된 기준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등록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 및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별 구분된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등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 미리 정한 위치에 거치한 상태에서 측정된 통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설정된 영역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인 제 1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는, 다이렉트 엔진 시동, 패시브 언락/락 제어, 개인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최초 등록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후 차량 제어 시도 시마다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통신 신호의 세기 중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의 미리 정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휴대가 가능하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또는 차량과 근접하여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근거리 통신 접속 시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의 정도에 따라 차량 제어 설정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신호의 세기 중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의 미리 정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 세기 변화를 고려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 제어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의 종류에 따른 통신 신호 세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 세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서비스 영역을 분류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거리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연동 기반 새로운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가 없는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BLE; 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각 사용자 단말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 세기의 차이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고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미리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 시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캔(can) 통신 등을 통해 차량 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의 종류 또는 위치별 통신 신호의 세기, 통신 신호의 세기별 영역 정보(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를 저장할 수 있으며 최소 50개를 저장할 수 있고,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사용자 단말을 컵 홀더 등의 지정된 위치에 거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클러스터,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의 USM(User Setting Menu)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색상 입력 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서 마련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하위 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을 미리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등록하고, 근거리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 시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등록 시, 사용자 단말(200)을 차량 내 미리 정한 위치(예, 컵 홀더)에 거치한 상태에서 측정된 통신 신호의 세기를 설정된 영역 중 제 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1 영역을 복수개의 영역 중 가장 민감한(예, 중요도가 가장 높거나, 주행 안전도와 관련이 높은) 차량 제어를 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한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영역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레벨보다 작은 제 2 레벨인 경우 제 2 영역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2 레벨보다 작은 제 3 레벨인 경우 제 3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 1 영역으로 설정되면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영역으로 설정되면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는 제한하되 제 1 영역에서보다 중요도가 낮은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서(150)는 제 3 영역을 설정되면, 중요도가 가장 낮은 차량 제어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중요도의 정도에 따른 차량 제어를 차별화함으로써 안전한 차량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다이렉트 엔진 시동, 패시브 언락/락 제어, 개인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최초 등록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부(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 연결 후 차량 제어 시도 시마다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200)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부(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통신 신호의 세기 중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접속 시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신호의 세기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예, 차량 뒷자석 끝, 가방 내에 전파 차단 물건 존재 등),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시동을 시도할 때 통신 영역 밖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함을 표시부(140)를 통해 팝업 화면으로 공지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지정된 위치에 거치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에 사용자 단말을 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영역에 속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의 거리 기준으로 차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로 차량 제어를 위한 영역 구분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매번 바뀌더라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 변화를 모두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접속시마다 이를 인지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여 일률적인 통신 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의 세기 또는 거리마다 차량 제어 영역을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제 1 영역은 차량 시동과 같은 민감한 제어를 수행하고 제 2 영역은 도어 언락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서비스 영역을 분류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 제어 장치(100)거리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차량 제어 기준 구간을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으로 구분한다.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 제어 장치(100)거리가 가장 가까운 경우(짧은 거리) 즉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제 1 영역으로 설정한다.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 제어 장치(100)거리가 중간 거리이면 제 2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 제어 장치(100)거리가 먼 거리인 경우 제 3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200)과 차량 제어 장치(100)거리가 가장 멀 경우 제 4 영역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이렉트 엔진 시동, 패시브 언락/락, 개인화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제 1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도어 언락/락, 엔진 시동 /공조 제어, 혼/라이트, 라이트 온니, 웰컴/굿바이 서비스, 트렁크 오픈, 차량 상태 확인 서비스 등은 사용자 단말(200)이 제 1 영역 내지 제 3 영역 중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가 가능하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이 제 1 영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다이렉트 엔진 시동과 같은 민감한 기능을 승인한다.
표 1, 표 2,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표 1은 사용자 단말 1의 등록된 값의 예시도이고, 표 2는 사용자 단말 2의 등록된 값의 예시도이다.
Figure 112018104759481-pat00001
Figure 112018104759481-pat00002
표1, 표2,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은 송신 신호(Tx)의 세기가 -10dBm이고 사용자 단말2의 송신신호(Tx)의 신호의 세기가 +5dBm이다. 사용자 단말1의 수신신호(Rx)의 세기가 -60dBm이고 사용자 단말2의 수신신호(Tx)의 신호의 세기가 -54dBm이다. 사용자 단말 1과 사용자 단말 2를 차량 내 특정 위치(컵 홀더)에 거치한 상태에서 통신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설정한 예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장치(100)가 도 7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7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장치(100)의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한다(S101). 이때,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인증을 위한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01).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특정 위치(예, 컵 홀더)에 거치되면(S102),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특정 위치에 10초 이상 거치되고, 통신 신호 세기 편차가 미리 정한 기준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103).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특정 위치에 10초 이상 거치되지 않거나, 통신 신호 세기 편차가 미리 정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 특정 위치에 거치 하도록 유도하는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S104).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특정 위치에 10초 이상 거치되고, 통신 신호 세기 편차가 미리 정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통신신호의 세기를 제 1 영역을 설정하고(S105),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완료한다(S106).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거리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거리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장치(100)가 도 8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8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장치(100)의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채 차량에 탑승하거나 차량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S201). 이때, 근거리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하며 기 저장된 통신 신호 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인식하여 차량 엔진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측정된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라면 엔진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엔진 시동이 되는 경우(S202),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저장한다(S203). 이때,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신호 세기의 측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시동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 세기값을 50개까지 누적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FIFO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누적된 50개의 통신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204).
차량 제어 장치(100)는 최종 50개의 통신 신호 세기를 제 1 영역으로 설정하여(S205), 사용자 단말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편차에 대한 보상을 완료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최초 등록 시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 하더라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매번 변경될 수 있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통신 신호 세기의 변화를 저장하여 보상해줄 필요가 있다.
이에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마다 50개의 통신 신호 세기를 저장해둠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FIFO 방식으로 통신 신호의 세기를 업데이트하고, 통신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후 사용자 단말의 저전력 통신 접속 시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새롭게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저장된 50개의 통신 신호 세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신 영역 밖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함을 표시부(130)를 통해 팝업창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차량 내 특정 위치에 사용자 단말을 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연동 기반 새로운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연동 기반 새로운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8의 과정 S201의 사용자 단말 등록 및 인증 과정을 구체화한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으로 차량제어를 위해 로그인을 시도하면(S301),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302),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등록 과정을 시작한다(S303).
이어서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 제어 장치(100)와 PIN/QR 코드를 이용하여 보안 블루투스 채널을 설정하고(S304), 사용자 단말(2000이 차량 내 특정 위치에 거치되면, 사용자 정보를 차량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S306).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 및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요청하고(S307), 사용자 단말(200)은 차량 및 사용자 단말의 등록 요청을 서버(300)로 전달한다(S308).
이에 서버(300)는 차량 미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수행하고(S309), 사용자 단말(200)로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컨펌한다(S310). 사용자 단말(200)는 등록의 컨펌을 차량 제어 장치(100)로 전달한다(S31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된 차량 제어 장치(100)와 위치가 변경되는 사용자 단말(200) 간에 일률적인 통신 기준을 수립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로 통신 신호 세기가 변하더라도 이를 인지하고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등록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와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 및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별 구분된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등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 미리 정한 위치에 거치한 상태에서 측정된 통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설정된 영역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인 제 1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는, 경우 다이렉트 엔진 시동, 패시브 언락/락 제어, 개인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최초 등록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후 차량 제어 시도 시마다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의 미리 정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휴대가 가능하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차량 내 또는 차량과 근접하여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되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와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2.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근거리 통신 접속 시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 시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신호의 세기 중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영역에 맞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의 정도에 따라 차량 제어 설정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경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차량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차량 내의 미리 정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80126938A 2018-10-23 2018-10-23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38A KR102634351B1 (ko) 2018-10-23 2018-10-23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38A KR102634351B1 (ko) 2018-10-23 2018-10-23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76A KR20200045876A (ko) 2020-05-06
KR102634351B1 true KR102634351B1 (ko) 2024-02-07

Family

ID=7073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38A KR102634351B1 (ko) 2018-10-23 2018-10-23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3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771A (ja) *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載通信システム
JP2016211358A (ja) * 2015-04-30 2016-12-1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備の制御方法
JP2018036207A (ja) * 2016-09-01 2018-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位置判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9712B2 (ja) * 2013-01-16 2017-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771A (ja) *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載通信システム
JP2016211358A (ja) * 2015-04-30 2016-12-1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備の制御方法
JP2018036207A (ja) * 2016-09-01 2018-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位置判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76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555B2 (en) Car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AU20142002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EP2597838B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a car
US10969779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489132B1 (en) Authenticating mobile device for on board diagnostic system access
CN109451817B (zh) 无人机接入方法及装置
US9120437B2 (en) Vehicle component control
CN104169932A (zh) 向电子设备分发内容的方法和设备
US2006023244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vehicle information
US20210073367A1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US20180031383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1683349B (zh) 车载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12506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182494A (zh) 经由nfc将数字车辆密钥分配给无源nfc装置的系统和方法
KR20160049293A (ko)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상 시동 방법
KR20100037489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2634351B1 (ko)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반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8523A (ko) 스마트 카드의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28423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CN110944320B (zh) 智能卡识别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70794A (ko) 차량 결제 시스템을 지원하는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10146A (zh) 一种商户管理的方法和装置
KR20200045873A (ko) 차량 단말, 차량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8450A (ko)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인증 서버
EP3667537A1 (en) Method for unlock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