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919B1 -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 Google Patents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919B1
KR102633919B1 KR1020230029325A KR20230029325A KR102633919B1 KR 102633919 B1 KR102633919 B1 KR 102633919B1 KR 1020230029325 A KR1020230029325 A KR 1020230029325A KR 20230029325 A KR20230029325 A KR 20230029325A KR 102633919 B1 KR102633919 B1 KR 10263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nsating
suspension bridge
anchorage
anchoring
compensat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Priority to KR102023002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 제1교대와, 제2교대와, 제3교대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교대와; 스테이션 발판의 하측에 배치된 중앙 정착 부재와, 상기 중앙 정착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정착 부재를 포함하는 정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공중에 배치되는 공중 스테이션과; 각 교대로부터 공중 스테이션의 외측 정착 부재에 정착되는 지지 케이블과; 중앙 정착 부재와 외측 정착 부재의 사이를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연결하는 보상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상 긴장재에 의하여 지지 케이블의 정착에 의하여 정착 부재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구조의 공중 스테이션을 구현하고, 적은 강재량의 사용으로 공중 스테이션의 자중을 낮춰 지지 케이블의 부담을 줄여주어, 보다 장지간의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CABLE SUSPENSION BRIDGE IN MULTI-DIRECTIONAL PATHS}
본 발명은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중에 위치한 공중 스테이션을 기준으로 3개 이상으로 분기되어 교대까지 연장된 보행로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에 대한 반력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현수교는 출렁 다리, 흔들 다리, 구름다리, 하늘 다리 등의로 불린다. 최근 케이블 현수교는, 산악 지대나 섬의 오지 등의 풍광이 좋은 위치에 시공되어, 케이블 현수교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주변 풍광을 느끼면서 보행할 수 있도록 널리 시공되고 있다.
종래의 케이블 현수교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위치를 연결하는 일자(一字)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보행자들이 케이블 현수교를 보행하면서 주변의 멋진 풍경을 감상하지만, 최근에는, 3개 이상의 위치를 연결하는 형태의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가 제안되었다.
즉,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3개의 위치(81)에 교대(P1, P2, P3)를 형성하고, 교대(P1, P2, P3)로부터 각각의 보행로(B1, B2, B3)가 연장되어 하나의 공중 스테이션(Co)에서 만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공중에 각 보행로(B1, B2, B3)가 만나는 위치에서 보행자들이 교량 아래에 흐르는 계곡이나 강(82) 등의 주변 경관을 서서 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보행자들의 여유로운 보행을 보장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의 고정하중이나 활하중 등의 작용 하중은 각 보행로(B1, B2, B3)를 형성하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21, 22, 23; 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 케이블(21, 22, 23)은 일단이 교대(P1, P2, P3)에 정착되고 타단이 공중 스테이션(Co)에 정착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각 지지 케이블(21, 22, 23)은 공중 스테이션(Co)의 정착 부재(10)에 정착된다.
이 때, 지지 케이블(21, 22, 23)은 보행로(B1, B2, B3)의 자중과 보행자의 무게나 풍하중 등의 활하중에도 과도한 요동이 억제되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인장력 형태의 프리스트레스(Pr)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2에 도시된 공중 스테이션(Co)의 정착 부재(11)에 각 지지 케이블(21, 22, 23)의 정착구(31, 32, 33; 30)가 고정됨에 따라, 각 정착구(30)가 고정되는 연결 위치(ss)에서의 정착 부재(11)에는 과도한 인장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착 부재(11)는 매우 크게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히 두껍고 단면 계수가 큰 강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뿐만 아니라, 정착구(30)와의 연결 위치(ss)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효과적으로 저항하고자,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 부재(11)의 사이에는 수많은 보강 부재(12)가 중첩되어 복잡하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인 14는 공중 스테이션(Co)에서 보행자가 밟는 발판(68)을 지지하는 원형 프레임이다.
한편,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케이블(21, 22, 23; 20)의 단부 정착구(31, 32, 33; 30)는 원형 등의 폐곡선 형태의 정착 부재(1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폐곡선 형태의 정착 부재(11)에 정착구(30)가 고정되면, 지지 케이블(20)에 작용하는 인장력(Pr)에 견디기 위하여, 정착 부재(11)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보강 부재(12)를 도면에 도시된 것에 비하여 훨씬 더 많이 형성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중 스테이션(Co)의 정착 부재를 구성하더라도 충분히 큰 힘을 견디기 어려우며, 특히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의 각 보행로(B1, B2, B2)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지지 케이블(20)의 자중과 프리스트레스(Pr)로 인한 인장력이 보다 더 커지므로, 공중 스테이션(30)의 정착 부재를 보다 많은 양의 강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공중 스테이션(30)을 구성하는 강재 프레임에는 지지 케이블(20)로부터 전달되는 인장력(Pr)에 의하여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 크게 발생되어 이를 충분히 견디도록 구성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많은 양의 강재를 사용할 수록 교량 중앙부에 배치되는 공중 스테이션(Co)의 자중이 커져,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케이블 등의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도 야기된다.
따라서,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의 보행로(B1, B2, B3)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공중 스테이션(Co)의 강재 사용량의 증가폭을 최소로 하면서, 지지 케이블(20)의 정착구(30)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힘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상기 구성 및 문제점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하여 대비되는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 본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중에 공중 스테이션을 보행로와 연결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에 있어서, 각 보행로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의 정착구가 정착되는 공중 스테이션의 정착 구조를 적은 강재 사용량으로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지지 케이블의 정착에 의하여 정착 부재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구조의 공중 스테이션을 구현하고, 적은 강재량의 사용으로 공중 스테이션의 자중을 낮춰 지지 케이블의 부담을 줄여주어, 고정 하중에 의한 부담을 줄어들어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제1교대와, 제2교대와, 제3교대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교대와; 스테이션 발판의 하측에 배치된 중앙 정착 부재와, 상기 중앙 정착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정착 부재를 포함하는 정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공중에 배치되는 공중 스테이션과; 상기 제1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의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배치된 제1-1정착구 및 제1-2정착구까지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제1보행로를 형성하는 제1세그먼트를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2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의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배치된 제2-1정착구 및 제2-2정착구까지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제2보행로를 형성하는 제2세그먼트를 지지하는 제2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3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의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배치된 제3-1정착구 및 제3-2정착구까지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제3보행로를 형성하는 제3세그먼트를 지지하는 제3지지 케이블과; 상기 중앙 정착 부재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사이를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연결하는 보상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종방향', '교축 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보행로의 연장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횡방향', '교축 직각 방향'은 보행로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면서 수평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지지한다'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지지 대상의 일부 이상의 하중을 부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공중 스테이션을 케이블로 지지한다'는 것은 케이블이 공중 스테이션의 자중의 일부 이상을 분담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중심으로부터 반경 외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공중 스테이션의 중심(O)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중심을 향하는 반경 내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공중 스테이션의 중심(O)을 방사상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보행로와 연결되는 공중 스테이션에 보행로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을 정착함에 있어서, 지지 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반대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보상 긴장재를 설치함으로써, 공중 스테이션의 정착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의 공중 스테이션을 보다 적은 양의 강재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경제적으로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제작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상 긴장재에 의하여 지지 케이블의 정착에 의하여 정착 부재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구조의 공중 스테이션을 구현하고, 적은 강재량의 사용으로 공중 스테이션의 자중을 낮춰 지지 케이블의 부담을 줄여주어, 보다 장지간의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3의 'B'부분의 확대도,
도5는 도4의 'C'부분의 확대도로서 발판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3의 절단선 X1-X1에 따른 제1보행로와 제2보행로를 따르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3의 절단선 X2-X2에 따른 제2보행로와 제3보행로를 따르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의 구성으로서, 도3의 'B'부분에 대응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도8의 'D'부분의 확대도로서 발판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의 구성으로서, 도3의 'B'부분에 대응하는 구성으로부터 발판을 제거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00)는, 서로 이격된 3개 이상으로 형성된 교대(P1, P2, P3)와, 각 교대(P1, P2, P3)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공중에 배치되는 공중 스테이션(110)과, 공중 스테이션(CC)으로부터 각 교대(P1, P2, P3)까지 연장되어 보행자가 통행하도록 형성된 보행로(B1, B2, B3)를 형성하는 다수의 세그먼트(160)와, 각 교대(P1, P2, P3)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연장되어 세그먼트(160)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120)과, 지지 케이블(120)에 의한 인장력을 상쇄시키도록 공중 스테이션(110)에 설치되는 보상 긴장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대(P1, P2, P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서로 다른 위치(81)에 제1교대(111)와 제2교대(112)와 제3교대(113)가 서로 이격되게 분포된다. 예를 들어, 교대(P1, P2, P3)가 세워지는 위치는 하천에 비하여 높은 고도를 갖는 산중턱이나 정상으로 정해질 수 있다.
각 교대(P1, P2, P3)에는, 지지 케이블(120)에 작용하는 하중과 자중을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록(71)이 시공되며, 콘크리트 블록(71)과 지반으로 관통하는 어스 앵커(173)가 설치된다. 각 세그먼트(160)의 손잡이(169)와 연결되는 지지 기둥(172)과 경사진 경사재(171)가 구비되어, 지지 케이블(120)에 작용하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중 스테이션(110)은, 교대(P1, P2, P3)로부터 연장되는 보행로(B1, B2, B2)가 만나는 공중 위치에 설치되며, 강재로 형성된 프레임 상에 발판(118)이 마련되어, 공중에서 보행자들이 주변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공중 스테이션(110)의 강재 프레임은, 발판(118)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외측 프레임 역할을 하는 외측 정착 부재(111)와, 외측 정착 부재(11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 정착 부재(115)와, 중심(O)로부터 외측 정착 부재(11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정해진 각도마다 뻗은 보강 부재(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측 정착 부재(111)는, 'ㄷ'자 또는 'H'자 단면의 강재로 형성되어 높은 저항 능력을 구현하며, 도면에 예시된 원형 형태의 폐곡선 이외에 타원이나 다각형 형태의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측 정착 부재(111)는 폐곡선 이외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판(118)은 격자 형태로 하부를 직접 투시할 수 있는 그레이팅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를 투시할 수 없는 불투명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평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측 정착 부재(111)나 중앙 정착 부재(115)로 접근할 수 있는 작업로가 접이식 계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지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지지 케이블(120)의 정착구(130)나 보상 긴장재(140)의 정착구(150)로 접근하여, 유지 보수하거나, 필요에 따라 재긴장 공정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세그먼트(160)는, 제1교대(P1)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보행자가 통행하는 제1보행로(B1)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1세그먼트(160A)와, 제2교대(P2)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보행자가 통행하는 제2보행로(B2)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세그먼트(160B)와, 제3교대(P3)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보행자가 통행하는 제3보행로(B3)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3세그먼트(16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세그먼트(160A)와, 제2세그먼트(160B)와, 제3세그먼트(160C)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지지 케이블(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각 세그먼트(16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행로(B1, B2, B3)의 교축 직각 방향으로의 양측 외측에 교축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종지지 부재(161)와, 종지지 부재(161)의 양단에 결합되고 교축 직각 방향으로 뻗어 지지 케이블(120)에 지지되는 횡지지 부재(162)와, 종지지 부재(161)와 횡지지 부재(162)의 사이에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내측 지지 부재(163, 164)와, 이들 지지 부재(161-164)에 지지되는 발판(168)과, 종지지 부재(16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난간 기둥(165)과, 난간 기둥(165)의 사이에 추락 방지를 위해 설치된 난간 철조망(166)과, 난간 기둥(165)의 상단을 교축 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손잡이(169)를 포함한다. 각 세그먼트(160A, 160B, 160C; 160)는 각 지지 케이블(121, 122, 123)에 의해 횡지지 부재(162)의 끝단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 케이블(120)은, 제1교대(P1)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연장되고 다수의 제1세그먼트(160A)의 양측에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제1세그먼트(160A)를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121)과, 제2교대(P2)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연장되고 다수의 제2세그먼트(160B)의 양측에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제2세그먼트(160B)를 지지하는 제2지지 케이블(122)과, 제3교대(P3)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연장되고 다수의 제3세그먼트(160C)의 양측에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제3세그먼트(160C)를 지지하는 제3지지 케이블(12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교대(P1, P2, P3)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 지지 케이블(120)은 보행로(B1, B2, B3)를 형성하는 세그먼트(160)를 직접 지지하는 형태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각 보행로의 일부는 행어 케이블(190)을 매개로 주탑(78)의 상부를 지나는 경로로 설치되는 현수 케이블(121')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 형태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교대(P2) 및 제3교대(P3)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는 제2지지케이블(122)과 제3지지케이블(123)에 의해 세그먼트(160B, 160C)가 직접 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보다 길게 연장된 제1교대(P1)로부터 공중 스테이션(110)까지는 행어 케이블(190)을 매다는 현수 케이블(121')과 제1세그먼트(160A)를 직접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121)에 의해 함께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수 케이블(121')의 단부가 제1지지케이블(121)과 함께 공중 스테이션(110)에 고정 정착될 수 있다.
참고로, 현수 케이블(121')의 단부가 주탑(78)의 상부(78e)에 정착된 경우에, 주탑(78)의 상부(78e)와 지상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25)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보행로(B1)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1세그먼트(160A)를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121)은 2열 이상으로 배열되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 케이블(121) 중 하나에 배치된 제1-1정착구(131)와 제1지지 케이블(121)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1-2정착구(131')는 공중 스테이션(110)의 외측 정착 부재(111)에 정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보행로(B2)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세그먼트(160B)를 지지하는 제2지지 케이블(122)은 2열 이상으로 배열되며, 제2지지 케이블(122) 중 하나에 배치된 제2-1정착구(132)와 제2지지 케이블(122)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2-2정착구(132')는 공중 스테이션(110)의 외측 정착 부재(111)에 정착된다. 그리고, 제3보행로(B3)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3세그먼트(160C)를 지지하는 제3지지 케이블(123)은 2열 이상으로 배열되며, 제3지지 케이블(123) 중 하나에 배치된 제3-1정착구(133)와 제3지지 케이블(123)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3-2정착구(133')는 공중 스테이션(110)의 외측 정착 부재(111)에 정착된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 형태의 외측 정착 부재(11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1정착구(131)와, 제1-2정착구(131')와, 제2-1정착구(132)와, 제2-2정착구(132')와, 제3-1정착구(133)와, 제3-2정착구(133')가 차례로 정착된다.
여기서, 지지 케이블(120)의 타단부를 정착하는 정착구(130)는 재긴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100)의 공용 중에 내하 능력을 보다 높이고자 하거나, 유지 보수 중에 케이블의 장력이 느슨해진 경우에, 공중 스테이션(110)에서 정착구(130)를 이용하여 재긴장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외측 정착 부재(111)에 인가되는 지지 케이블(120)에 의한 인장력(Pr)을 재긴장 등에 의해 변동시키면, 보상 긴장재(140)에 인장력 형태로 도입하는 보상력(Pc)도 이에 맞춰 변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작업자가 작업로를 통해 각 정착구(130, 150)로 접근하여 재긴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면서 정확한 유지 보수를 하여 안전성이 보장된 케이블 현수교로 보행 상태를 유지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보행로(B1, B2, B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주탑(78)의 상부(78e)를 통과하는 지지 케이블(121')을 구비하는 형식의 현수교로 시공된 경우에는, 지상에서 지지 케이블(121')에 인장력을 추가 도입하는 등의 재긴장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 경우에도, 공중 스테이션(110)의 제1정착구(131, 131')에서 인장력(Pr)을 추가로 도입하는 재긴장 공정을 통해,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정규적으로 정확하고 간편하게 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각 지지 케이블(121, 122, 123; 120)은 교대(P1, P2, P3)와 중앙 스테이션(110)을 연결하는 형태로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공중 스테이션(110)의 외측 정착 부재(111)에서 각 정착구(130)가 정착된 연결 위치(s1, s2, s3)에서는, 각 지지 케이블(120) 및 세그먼트(160)의 자중에 의한 인장력(Pr)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인장력(Pr)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상태로 교대(P1, P2, P3)와 중앙 스테이션(110)을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공중 스테이션(110)의 외측 정착 부재(111)에서 각 정착구(130)가 정착된 연결 위치(s1, s2, s3)에서는, 각 지지 케이블(120) 및 세그먼트(160)의 자중에 더하여 지지 케이블(120)에 도입된 인장력이 부가되어 보다 큰 인장력(Pr)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각 구성에서, 각 지지 케이블(120)이 정착된 외측 정착 부재(111)는 각 정착구(130)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견딜 수 있도록 매우 두껍고 큰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긴장재(140)가 설치된다.
즉, 보상 긴장재(140)는, 제1지지 케이블(121)이 각각 정착되는 제1-1정착구(131)와 제1-2정착구(131')의 각 연결 위치(s1)의 중간에 위치한 외측 정착 부재(111)의 사이 위치(c1)로부터 중앙 정착 부재(115)까지 연장된 제1보상 긴장재(141)와, 제2지지 케이블(122)이 각각 정착되는 제2-1정착구(132)와 제2-2정착구(132')의 각 연결 위치(s2)의 중간에 위치한 외측 정착 부재(111)의 사이 위치(c2)로부터 중앙 정착 부재(115)까지 연장된 제2보상 긴장재(142)와, 제3지지 케이블(123)이 정착되는 제3-1정착구(133)와 제3-2정착구(133')의 각 연결 위치(s3)의 중간에 위치한 외측 정착 부재(111)의 사이 위치(c3)로부터 중앙 정착 부재(115)까지 연장된 제3보상 긴장재(143)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제1보상 긴장재(141)는 제1지지 케이블(121)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고, 제2보상 긴장재(142)는 제2지지 케이블(122)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고, 제3보상 긴장재(143)는 제3지지 케이블(123)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어, 외측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힘을 평형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를 통해, 외측 정착 부재(111)가 부담하는 하중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단면과 두께를 작게 형성하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긴장재(140)는 중앙 정착 부재(115)와 외측 정착 부재(111)의 사이에 압축 프리스트레스(Pc)가 도입된 상태로 연결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연선이나 강봉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 긴장재(140)의 내측부분(140i)은 강봉으로 이루어지고, 보상 긴장재(140)의 외측 부분(140e)은 강연선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커플러(140c)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강봉으로 이루어진 내측 부분(140i)은 중앙 정착 부재(115)에 고정 볼트(Ex)에 의해 정착되고,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외측 부분(140e)은 단부 정착 부재(111)에 정착구(151-153)에 정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강봉으로 내측 부분(140i)을 형성하여 고정 볼트(Ex)로 보상 긴장재(140)의 내측 부분(140i)을 정착시킴으로써, 내측 부분(140i)의 정착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큰 보상력(Pc)을 도입하는 데 유리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강연선으로 외측 부분(140i)을 형성함으로써, 보상 긴장재(140)에 인장력 형태로 도입하는 보상력(Pc)을 작업자가 쉽게 교정하거나 변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보상 긴장재(140)가 강봉이나 강연선 중 어느 하나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각의 보상 긴장재(140)의 외측 단부가 보상 정착구(151, 152, 153)로 외측 정착 부재(111)에 연결됨에 따라, 외측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반경 바깥 방향으로의 인장력이 보상 긴장재(140)에 인장력 형태로 도입되는 보상력(Pc)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외측 정착 부재(111)의 두께와 단면 크기는 보상 긴장재(140)로 인하여 훨씬 작게 형성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외측 정착 부재(111)는 원주 방향의 6개의 연결 위치(s1, s2, s3)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최소한의 강재 사용량으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나 타원 형태의 폐곡선 단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상 긴장재(140)의 내측단을 지지하는 중앙 정착 부재(115)도 역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폐곡선 단면으로 형성되어, 최소한의 강재 사용량으로 보다 큰 힘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중앙 정착 부재(115)의 중심(O)과 외측 정착 부재(111)의 중심(O)이 서로 일치하는 동심 형태로 배치되고, 보강 부재(112)는 이들 중심(O)으로부터 중앙 정착 부재(115)를 통과하여 외측 정착 부재(111)에 도달하기까지 반경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압축 방향으로의 힘에 대해서도 보다 높은 저항 능력을 갖도록 한다.
지지 케이블(12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상쇄시키기 위한 보상력(Pc)을 보상 긴장재(140)에 도입하면, 외측 정착 부재(111)가 부담하는 하중 분담분은 크게 감소하지만, 중앙 정착 부재(115)가 부담하는 하중 분담분은 크게 높아진다. 그러나, 중앙 정착 부재(115)는 외측 정착 부재(111)에 비하여 훨씬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앙 정착 부재(115)를 형성하는 강재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보다 큰 단면 계수를 갖도록 단면을 크게 형성하더라도, 외측 정착 부재(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적은 강재 사용량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지지 케이블(120)에 작용하는 인장력(Pr)에 비례하여 보상 긴장재(140)에 인장력 형태의 보상력(Pc)을 도입함으로써, 외측 정착 부재(111)의 단면이나 두께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중 스테이션(110)의 중량을 크게 줄이면서 재료의 허용 응력 범위를 초과하여 국부적인 응력 집중 문제를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200)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에 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200)는, 공중 스테이션(210)에 설치되는 보상 긴장재(240)가, 지지 케이블(120)의 각 정착구(131, 131', 132, 132', 133, 133')가 고정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각 연결 위치(s1, s2, s3)로부터 각각 연결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이를 통해, 지지 케이블(120)의 인장력(Pr)에 의하여 변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연결 위치(s1, s2, s3)에서 보상 긴장재(140)를 연결하여 인장력(Pr)에 의한 변위를 상쇄시키는 카운터 힘인 보상력(Pc)을 인가하여, 외측 정착 부재(111)에서의 인장력(Pr)에 따른 휨 변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상 긴장재(240)는, 제1지지 케이블(121)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는 제1-1보상 긴장재(241) 및 제1-2보상 긴장재(241')와, 제2지지 케이블(121)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는 제2-1보상 긴장재(242) 및 제2-2보상 긴장재(242')와, 제3지지 케이블(123)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는 제3-1보상 긴장재(243) 및 제3-2보상 긴장재(2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1보상 긴장재(241)와 제1-2보상 긴장재(241')는 제1지지 케이블(121)의 타단에 마련된 제1-1정착구(131) 및 제1-2정착구(131')가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제1연결 위치(s1)로부터 중심(O)을 향하는 경로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1-1보상 긴장재(241) 및 제1-2보상 긴장재(241')의 외측 단부에는 재긴장이 가능한 제1-1정착구(251) 및 제1-2정착구(251')가 마련되어 외측 정착 부재(111)의 제1연결 위치(s1)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1보상 긴장재(241) 및 제1-2보상 긴장재(241')의 내측 단부는 중앙 정착 부재(215)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 너트(Ex)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1정착구(251) 및 제1-2정착구(251')에 유압잭(미도시)을 장착하여 제1-1보상 긴장재(241)와 제1-2보상 긴장재(241')의 정착 길이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보상력(Pc)이 조절된다.
마찬가지로, 제2-1보상 긴장재(242)와 제2-2보상 긴장재(242')는 제2지지 케이블(122)의 타단에 마련된 제2-1정착구(132) 및 제2-2정착구(132')가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제2연결 위치(s2)로부터 중심(O)을 향하는 경로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2-1보상 긴장재(242) 및 제2-2보상 긴장재(242')의 외측 단부에는 재긴장이 가능한 제2-1정착구(252) 및 제2-2정착구(252')가 마련되어 외측 정착 부재(111)의 제2연결 위치(s2)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1보상 긴장재(242) 및 제2-2보상 긴장재(242')의 내측 단부는 중앙 정착 부재(215)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 너트(Ex)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2-1정착구(252) 및 제2-2정착구(252')에 유압잭(미도시)을 장착하여 제2-1보상 긴장재(242)와 제2-2보상 긴장재(242')의 정착 길이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보상력(Pc)이 조절된다.
또한, 제3-1보상 긴장재(243)와 제3-2보상 긴장재(243')는 제3지지 케이블(123)의 타단에 마련된 제3-1정착구(133) 및 제3-2정착구(133')가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제3연결 위치(s3)로부터 중심(O)을 향하는 경로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3-1보상 긴장재(243) 및 제3-2보상 긴장재(243')의 외측 단부에는 재긴장이 가능한 제3-1정착구(253) 및 제3-2정착구(253')가 마련되어 외측 정착 부재(111)의 제3연결 위치(s3)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3-1보상 긴장재(243) 및 제3-2보상 긴장재(243')의 내측 단부는 중앙 정착 부재(215)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 너트(Ex)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3-1정착구(253) 및 제3-2정착구(253')에 유압잭(미도시)을 장착하여 제3-1보상 긴장재(243)와 제3-2보상 긴장재(243')의 정착 길이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보상력(Pc)이 조절된다.
이를 통해, 제1보상 긴장재(241)는 제1지지 케이블(121)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면서 외측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변위를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고, 제2보상 긴장재(242)는 제2지지 케이블(122)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면서 외측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변위를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고, 제3보상 긴장재(243)는 제3지지 케이블(123)에 작용하는 인장력(Pr)을 상쇄시키면서 외측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변위를 상쇄시키는 보상력(Pc)이 도입되어, 외측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힘을 평형 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측 정착 부재(111)의 변위를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외측 정착 부재(111)가 부담하는 하중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단면과 두께를 작게 형성하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긴장재의 외측 단부가 지지 케이블의 정착구가 결합되는 외측 정착 부재의 연결 위치(s1, s2, s3)에 결합된다 함은, 지지 케이블의 정착구가 결합된 외측 정착 부재(111)의 연결 위치에서 반경 바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Pr)의 80% 이상을 보상 긴장재(240)의 보상력(Pc)에 의해 상쇄시키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보상 긴장재(240)의 외측 단부의 정착구(250)가 결합되는 위치가, 지지 케이블(120)의 정착구(130)가 결합되는 연결 위치의 원주 방향으로의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지지 케이블(120)의 정착구(130)가 결합되는 연결 위치로부터 ±10°~ ±15° 정도만큼 이격되어 있더라도 보상 긴장재(240)의 보상력(Pc)으로 지지 케이블(120)의 인장력(Pr)을 80% 이상 상쇄시킬 수 있다면, 연결 위치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보상 긴장재(240)의 정착구(250)가 결합되더라도 연결 위치(s1, s2, s3)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각각의 보상 긴장재(240)는 각 보행로(B1, B2, B3)의 중심선(d1, d2, d3)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1보상 긴장재(241)와 제1-2보상 긴장재(241')는 제1보행로(B1)의 중심선(d1)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a1)만큼 벌어진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2-1보상 긴장재(242)와 제2-2보상 긴장재(242')는 제2보행로(B2)의 중심선(d2)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a2)만큼 벌어진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3-1보상 긴장재(243)와 제3-2보상 긴장재(243')는 제3보행로(B3)의 중심선(d3)에 대하여 정해진 각도(a3)만큼 벌어진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각 보행로(B1, B2, B3)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121, 122, 123; 120)마다 작용하는 인장력(Pr)을, 공중 스테이션(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각 보상 긴장재(241, 241', 242, 242', 243, 243'; 240)에서 최대한 균일하게 분담하면서 상쇄시키므로, 공중 스테이션(210)을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120)과 보상 긴장재(240)의 분담이 대칭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져,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아 안정된 지지 상태로 유지되며, 국부적으로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계를 구현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에 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제3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는, 공중 스테이션(310)에 설치되는 보상 긴장재(340)가, 지지 케이블(120)의 각 정착구(131, 131', 132, 132', 133, 133')가 고정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각 연결 위치(s1, s2, s3)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중앙 정착 부재에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즉,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긴장재(340)는, 제1지지 케이블(121)이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제1연결 위치(s1) 중 어느 하나와 제3지지 케이블(122)이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제3연결 위치(s3)의 어느 하나에 양단부가 연결된 제1보상 긴장재(341)와, 제1지지 케이블(121)이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제1연결 위치(s1) 중 다른 하나와 제2지지 케이블(122)이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제2연결 위치(s2)의 어느 하나에 양단부가 연결된 제2보상 긴장재(342)와, 제2지지 케이블(122)이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제2연결 위치(s2) 중 다른 하나와 제3지지 케이블(123)이 연결되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제3연결 위치(s3)의 다른 하나에 양단부가 연결된 제3보상 긴장재(343)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보상 긴장재(341, 342, 343; 340)는, 연결 위치(s1, s2, s3) 중에 외측 정착 부재(3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것들을 잇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긴장재(340)가 연결 위치(s1, s2, s3)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보상 긴장재(340)로 둘러싸인 삼각형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공중 스테이션(310)으로부터 보행로가 3개 이상의 홀수(3, 5, 7,...)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상 긴장재(340)로 둘러싸인 삼각형, 오각형, 칠각형이 형성된다. 여기서, 보상 긴장재(240)로 둘러싸인 삼각형, 오각형, 칠각형의 중심은, 각각의 보행로(B1, B2, B3)가 서로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예를 들어, 120도)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외측 정착 부재(311)의 중심(O)과 일치하지만, 보행로(B1, B2, B3,...)의 연장 방향이 원주 방향으로 차이가 클수록 외측 정착 부재(311)의 중심(O)으로부터 멀어져 하중의 편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은 공중 스테이션(310)으로부터 연장된 각 보행로(B1, B2, B3)의 연장 방향의 원주 방향으로의 각도 편차가 없거나 15도 이내로 미미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할 실익이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서도, 지지 케이블(120)의 인장력(Pr)에 의하여 변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외측 정착 부재(111)의 연결 위치(s1, s2, s3)에서 보상 긴장재(140)를 연결하여 인장력(Pr)에 의한 변위를 상쇄시키는 카운터 힘인 보상력(Pc)을 인가하여, 외측 정착 부재(111)에서의 인장력(Pr)에 따른 휨 변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는, 3개 이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은 보행로(B1, B2, B3)와 연결되는 공중 스테이션(110, 210)에, 각 보행로(B1, B2, B3)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블(121, 122, 123; 120)의 정착에 따라 지지하는 데 필요한 높은 힘을, 공중 스테이션(210)의 하측에 배치된 보상 긴장재(240)를 이용하여 상쇄시킴으로써, 공중 스테이션(110, 210)의 정착 부재(111)에 작용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보다 적은 양의 강재 사용량으로 공중 스테이션(110, 210)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하중을 부담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주탑(78)이 어느 하나의 보행로에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주탑(78)이 어느 보행로에도 설치되지 않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주탑(78)이 2개 이상의 보행로에 설치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를 모두 포함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공중 스테이션(110, 210)의 외측 정착 부재(111) 및 중앙 정착 부재(115, 215)가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외측 정착 부재(111)와 중앙 정착 부재(115, 21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서로 이격된 형태로 정착되는 부재가 형성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100: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10: 공중 스테이션
111: 외측 정착 부재 112: 보강 부재
115: 내측 정착 부재 120: 지지 케이블
130: 정착구 140: 보상 긴장재
150: 보상 정착구 160: 세그먼트
190: 행어 케이블 P1, P2, P3: 교대

Claims (15)

  1. 제1교대와, 제2교대와, 제3교대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교대와;
    스테이션 발판의 하측에 배치된 외측 정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공중에 배치되는 공중 스테이션과;
    상기 제1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의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배치된 제1-1정착구 및 제1-2정착구까지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제1보행로를 형성하는 제1세그먼트를 지지하는 제1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2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의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배치된 제2-1정착구 및 제2-2정착구까지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제2보행로를 형성하는 제2세그먼트를 지지하는 제2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3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의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배치된 제3-1정착구 및 제3-2정착구까지 2열 이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교대로부터 상기 공중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제3보행로를 형성하는 제3세그먼트를 지지하는 제3지지 케이블과;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일단부 이상이 연결되어 인장력 형태의 보상력이 도입되는 보상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긴장재는 상기 제1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2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3지지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연결 위치에 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긴장재는 양단부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연결 위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스테이션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반경 내측에 배치된 중앙 정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긴장재는,
    상기 제1-1정착구 및 상기 제1-2정착구가 연결되는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제1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중앙 정착 부재까지 각각 연결되는 제1-1보상 긴장재 및 제1-2보상 긴장재와;
    상기 제2-1정착구 및 상기 제2-2정착구가 연결되는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제2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중앙 정착 부재까지 각각 연결되는 제2-1보상 긴장재 및 제2-2보상 긴장재와;
    상기 제3-1정착구 및 상기 제3-2정착구가 연결되는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제3연결 위치로부터 상기 중앙 정착 부재까지 각각 연결되는 제3-1보상 긴장재 및 제3-2보상 긴장재를;
    포함하여, 상기 보상 긴장재는 상기 중앙 정착 부재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보상 긴장재와 제1-2보상 긴장재는 상기 제1보행로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스테이션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반경 내측에 배치된 중앙 정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긴장재는,
    상기 제1-1정착구와 상기 제1-2정착구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연결된 2개의 제1연결위치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중앙 정착 부재를 연결되는 제1보상 긴장재와;
    상기 제2-1정착구와 상기 제2-2정착구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연결된 2개의 제2연결위치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중앙 정착 부재를 연결되는 제2보상 긴장재와;
    상기 제3-1정착구와 상기 제3-2정착구가 상기 외측 정착 부재에 연결된 2개의 제3연결위치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중앙 정착 부재를 연결되는 제3보상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긴장재는 상기 제1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2지지 케이블과 상기 제3지지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연결 위치에 양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긴장재는, 상기 연결 위치 중에 상기 외측 정착 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것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정착구 및 상기 제1-2정착구는 재긴장 가능한 정착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케이블의 일부 이상은 주탑의 상부를 지나는 경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케이블은 상기 제2보행로의 양측에 상기 제2보행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2.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긴장재는 강연선, 강봉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3. 제 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긴장재는, 강봉으로 형성된 내측 부분과, 강연선으로 형성된 외측 부분과,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부분은 상기 중앙 정착 부재에 고정 볼트로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4. 제 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정착 부재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정착 부재는 상기 중앙 정착 부재를 감싸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KR1020230029325A 2023-03-06 2023-03-06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KR10263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325A KR102633919B1 (ko) 2023-03-06 2023-03-06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325A KR102633919B1 (ko) 2023-03-06 2023-03-06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919B1 true KR102633919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325A KR102633919B1 (ko) 2023-03-06 2023-03-06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9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62569U (zh) * 2011-03-01 2011-09-07 张忠贵 一柱式组合钢架立交桥
KR101664989B1 (ko) * 2016-05-17 2016-10-11 (주)신흥이앤지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CN113897849A (zh) * 2021-10-08 2022-01-07 张家港保税区金港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三岔形单主缆人行悬索桥及其施工方法
CN113981797A (zh) * 2021-12-10 2022-01-28 江苏交通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筒网状空间缆索分散锚固峡谷山坡的人行悬索桥及其施工方法
CN115369737A (zh) * 2022-09-27 2022-11-22 江苏交通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一种三叶玫瑰线形桥面的人行景观悬索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62569U (zh) * 2011-03-01 2011-09-07 张忠贵 一柱式组合钢架立交桥
KR101664989B1 (ko) * 2016-05-17 2016-10-11 (주)신흥이앤지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CN113897849A (zh) * 2021-10-08 2022-01-07 张家港保税区金港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三岔形单主缆人行悬索桥及其施工方法
CN113981797A (zh) * 2021-12-10 2022-01-28 江苏交通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筒网状空间缆索分散锚固峡谷山坡的人行悬索桥及其施工方法
CN115369737A (zh) * 2022-09-27 2022-11-22 江苏交通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一种三叶玫瑰线形桥面的人行景观悬索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88151B2 (en) Tilt-lift method for erecting a bridge
CN107841934B (zh) 展翅拱斜拉桥
CA2053429C (en) Bridge comprising a deck and at least two towers and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KR20130036890A (ko)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366903B1 (ko)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
US20070119004A1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KR20090001261A (ko) 강봉을 이용한 지점부 연결구조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다경간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CN110644349A (zh) 一种用于宽幅箱梁矮塔斜拉桥的上部结构及施工方法
CN112267367A (zh) 一种自锚式钢箱系杆拱桥先拱后梁法体系转化方法
KR101335382B1 (ko) 내부힌지를 활용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시공법
US5121518A (en) Cable-stayed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KR102633919B1 (ko)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KR20020080931A (ko) 평면 격자형 케이블구조를 이용한 구조물 건설공법
JP4336659B2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27305A (ko) 조인트 하이브리드 보강 교량용 거더
US5727272A (en) Composite structure, especially bridge
CN213653171U (zh) 一种新型装饰中承式拱架结构
KR20090048054A (ko)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한 장지간 피에스씨 거더교량시공방법
KR102542385B1 (ko) 하이브리드 케이블 보도교 및 그 시공 방법
CN220266318U (zh) 一种猫道承重索的锚固和调节装置
CN220150063U (zh) 一种预应力绳梯结构
CN114673066B (zh) 一种地锚式斜腿刚构桥及其施工方法
CN213328645U (zh) 一种便于后期维护的桥梁支座
KR102232680B1 (ko) 체험시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