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989B1 -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 Google Patents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989B1
KR101664989B1 KR1020160060124A KR20160060124A KR101664989B1 KR 101664989 B1 KR101664989 B1 KR 101664989B1 KR 1020160060124 A KR1020160060124 A KR 1020160060124A KR 20160060124 A KR20160060124 A KR 20160060124A KR 101664989 B1 KR101664989 B1 KR 10166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teel pipe
pipe
pipe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식회사 신흥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6006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제1, 2강관(22, 26) 및 제1연결관(24)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주탑(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중앙거더(20); U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위는 제1주탑(12)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고 양단 부위는 중앙거더(20)의 일측 부위에 연결되는 제1메인케이블(32)과, U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위는 제2주탑(16)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고 양단 부위는 중앙거더(20)의 타측 부위에 연결되는 제2메인케이블(36); 제3, 4강관(42, 46), ∧ 구조를 이루되 양측 부위가 좌우로 벌어지는 제5강관(45)을 포함하는 좌연결거더(40); 제6, 7강관(52, 56)과, ∧ 구조를 이루되 양측 부위가 좌우로 벌어지는 제8강관(55)을 포함하는 우연결거더(50); 일단 부위는 제1메인케이블(32)에 연결되고 타단 부위는 제3, 4강관(42, 46)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행어케이블(62)과, 일단 부위는 제2메인케이블(36)에 연결되고 타단 부위는 제6, 7강관(52, 56)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행어케이블(66);로 이루어지는 앵커리지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Structure for suspension bridge without constructing anchor block}
본 발명은 현수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강관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좌우 한 쌍으로 배치하되 각 케이블이 주탑의 상단부위에 감겨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수단으로서 앵커블록의 시공이 전혀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는 주탑에 설치되는 케이블이 교량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미관이 뛰어나 그 자체가 관광 상품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연환경에 매우 친화적이기 때문에 섬과 섬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계곡이나 하천 등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점차 그 적용범위가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현수교는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주탑(10)과, 각 주탑(10)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는 앵커블록(31)과, 각 양단 부위가 앵커블록(31)에 고정결합되어 주탑(10) 상단에 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케이블(44)과, 일단 부위는 메인케이블(44)에 고정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상판(30)에 고정결합되는 행어케이블(43)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메인케이블(44)을 지지하는 앵커블록(31)은 일정 크기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판(30)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지면에 매설된다. 하지만, 일정 크기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면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일정깊이 이상 파헤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환경이 필연적으로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나아가 협곡이나 도심과 같이 앵커블록 시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현수교 자체의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608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현수교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블록의 시공 없이도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면서 시공이 용이한 현수교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2주탑(12, 16);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길이의 제1, 2강관(22, 26)과, 제1, 2강관(22, 2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관(24)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주탑(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중앙거더(20); U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위는 제1주탑(12)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고 일단 부위는 제1강관(22)의 일측 상부와 연결되며 타단 부위는 제2강관(26)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1메인케이블(32)과, U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위는 제2주탑(16)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고 일단 부위는 제1강관(22)의 타측 상부와 연결되며 타단 부위는 제2강관(26)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2메인케이블(36);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일단 부위와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제1주탑(12)과 일정 거리 떨어지며 연장되는 제3, 4강관(42, 46)과, ∧ 구조를 이루되 좌우로 벌어지는 양측 부위가 제1주탑(12)의 좌우 각각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3강관(42) 및 제4강관(46) 각각과 대향하는 제5강관(45)과, 제3, 4강관(42, 4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관(44)과, 제3강관(42)과 제5강관(4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연결관(47)과, 제4강관(46)과 제5강관(4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4연결관(49)으로 이루어지는 좌연결거더(40);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제2주탑(16)과 일정 거리 떨어지며 연장되는 제6, 7강관(52, 56)과, ∧ 구조를 이루되 좌우로 벌어지는 양측 부위가 제2주탑(16)의 좌우 각각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6강관(52) 및 제7강관(56) 각각과 대향하는 제8강관(55)과, 제6, 7강관(52, 5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5연결관(54)과, 제6강관(52)과 제7강관(5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6연결관(57)과, 제7강관(56)과 제8강관(5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7연결관(59)으로 이루어지는 우연결거더(50);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1메인케이블(32)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3, 4강관(42, 46) 각각과 연결되는 제1행어케이블(62)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2메인케이블(36)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6, 7강관(52, 56) 각각과 연결되는 제2행어케이블(66);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주탑(12, 16) 각각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며 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단 부위에는 환형의 제1, 2홈(13, 17)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은 제1, 2홈(13, 17) 각각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강관(22, 26) 각각의 상면에는 제1, 2결합편(23, 27)이 마련되며, 상기 제1메인케이블(32)의 일단 부위 및 타단 부위 각각은 제1장력조절수단(72)에 매개되어 상기 제1, 2결합편(23, 27) 각각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케이블(36)의 일단 부위 및 타단 부위 각각은 제2장력조절수단(76)에 매개되어 상기 제1, 2결합편(23, 27) 각각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더를 지지하는 각 메인케이블의 중앙 부위는 각 주탑의 상단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고, 각 메인케이블의 단부는 거더와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케이블을 지지하는 별도의 앵커블록이 없이도 현수교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더를 중앙거더 및 좌, 우연결거더로 분리 구성한 상태에서, 제1, 2주탑에 의해 지지되는 제1, 2메인케이블을 이용하여 중앙거더를 지지하고, 중앙거더의 좌우측 각각에 좌, 우연결거더를 연결하는 현수교를 시공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매우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조절수단을 매개하여 메인케이블 각각을 중앙거더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공 과정 중이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메인케이블들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교량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4는 종래 현수교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이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제1, 2주탑(12, 16), 중앙거더(20), 제1, 2메인케이블(32, 36), 좌, 우연결거더(40, 50), 제1, 2행어케이블(62, 66)로 이루어지는 현수교 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이들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2주탑(12, 16)은 제1, 2메인케이블(32, 36)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2주탑(12, 16) 각각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11, 15 각각은 제1, 2주탑(12, 16) 각각의 기초이다.
이때, 제1, 2주탑(12, 16) 각각은 도면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며 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상단 부위에는 환형의 제1, 2홈(13, 17)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는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며, 후자는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을 보다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함이다.
중앙거더(20)는 제1, 2강관(22, 26) 및 제1연결관(24)으로 이루어져 제1, 2주탑(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다. 제1, 2강관(22, 26)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관(24)은 제1, 2강관(22, 2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관은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은 전술한 중앙거더(20) 및 후술할 좌, 우연결거더(40, 50) 각각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제1메인케이블(32)은 도면과 같이 제1주탑(12)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며, 그 일단 부위는 제1강관(22)의 일측 상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 부위는 제2강관(26)의 일측 상부에 연결된다. 즉, U 형태를 가지되, 중앙 부위는 제1주탑의 상단부위에 밀착되고, 양단 부위는 제1, 2강관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제1메인케이블(32)과 유사하게, 제2메인케이블(32) 역시 U 형태를 가지되, 중앙 부위는 제2주탑(16)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며, 그 일단 부위는 제1강관(22)의 타측 상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 부위는 제2강관(26)의 타측 상부에 연결된다. 제1, 2주탑(12, 16) 각각에 제1, 2홈(13, 17)이 형성되면, 제1, 2메인케이블 각각의 중앙 부위는 더욱 긴밀하게 제1, 2주탑에 밀착되어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거더를 지지하는 각 메인케이블의 중앙 부위는 각 주탑의 상단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고, 각 메인케이블의 단부는 거더와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케이블을 지지하는 별도의 앵커블록이 없이도 현수교는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중앙거더(20)와 제1, 2메인케이블(32, 36)을 연결함에 있어 제1, 2장력조절수단(72, 76)이 매개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상면에 제1, 2결합편(23, 27)을 마련하고, 제1메인케이블(32)의 일단 부위 및 타단 부위 각각은 제1장력조절수단(72)에 매개되어 제1, 2결합편(23, 27) 각각의 일측과 연결하고, 제2메인케이블(36)의 일단 부위 및 타단 부위 각각은 제2장력조절수단(76)에 매개되어 제1, 2결합편(23, 27) 각각의 타측과 연결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같이, 제1, 2장력조절수단(72, 76)이 매개되어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이 중앙거더(20)와 연결되면, 현수교의 시공 과정 중이나 현수교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량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제1, 2장력조절수단은 통상적인 턴바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연결거더(40)는 중앙거더(20)의 일측에 위치하는 거더로서, 제3, 4, 5강관(42, 46, 45) 및 제2, 3, 4연결관(44, 47, 49)으로 이루어진다.
제3, 4강관(42, 4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일단 부위와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도면과 같이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제1주탑(12)과 일정 거리 떨어지며 연장된다. 즉, 일단 부위는 중앙거더(20)와 연결되어 일체화되며, 중앙거더(20)와 멀어지면서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구조이다.
제5강관(45)은 도면과 같이 ∧ 구조를 이루며, 좌우로 벌어지는 양측 부위가 제1주탑(12)의 좌우 각각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3강관(42) 및 제4강관(46) 각각과 대향한다. 제2연결관(44)은 제3, 4강관(42, 4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제3연결관(47)은 제3강관(42)과 제5강관(4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며, 제4연결관(49)은 제4강관(46)과 제5강관(4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제3, 4강관(42, 46) 각각의 타측 부위가 중앙부위에서 멀어질수록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제2연결관(44) 역시 중앙부위에서 멀어지면서 그 폭이 증대된다. 제2, 3, 4연결관(44, 47, 49)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우연결거더(50)는 중앙거더(20)의 타측에 위치하는 거더로서, 전술한 좌연결거더(40)와 유사하게 제6, 7, 8강관(52, 56, 55) 및 제5, 6, 7연결관(54, 57, 59)으로 이루어진다.
제6, 7강관(52, 56)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제3, 4강관(42, 46) 각각과 유사하게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제2주탑(16)과 일정 거리 떨어지며 연장된다. 즉, 일단 부위는 중앙거더(20)와 연결되어 일체화되며, 중앙거더(20)와 멀어지면서 양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구조이다.
제8강관(55)은 전술한 제5강관(44)과 유사하게 ∧ 구조를 이루며, 좌우로 벌어지는 양측 부위가 제2주탑(16)의 좌우 각각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6강관(52) 및 제7강관(56) 각각과 대향한다. 제5연결관(54)은 제6, 7강관(52, 5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제6연결관(57)은 제6강관(52)과 제8강관(5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며, 제7연결관(59)은 제7강관(56)과 제8강관(5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좌연결거더(40)와 동일하게, 제6, 7강관(52, 56) 각각의 타측 부위가 중앙부위에서 멀어질수록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제5연결관(54) 역시 중앙부위에서 멀어지면서 그 폭이 증대된다. 제5, 6, 7연결관(54, 57, 59)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제1, 2행어케이블(62, 66) 각각은 좌, 우연결거더(40, 50) 각각을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과 연결시키는 수단이다. 제1행어케이블(62)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1메인케이블(32)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3, 4강관(42, 46) 각각과 연결된다. 제2행어케이블(66) 역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2메인케이블(36)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6, 7강관(52, 56) 각각과 연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거더를 중앙거더 및 좌, 우연결거더로 분리 구성한 상태에서, 제1, 2주탑에 의해 지지되는 제1, 2메인케이블을 이용하여 중앙거더를 지지하고, 중앙거더의 좌우측 각각에 좌, 우연결거더를 연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현장 시공성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다.
중앙거더 및 좌, 우연결거더의 연결이 완료되면, 그 상측에 강선을 배치한 다음 디딤데크 등을 설치하고, 중앙거더 및 좌, 우연결거더 각각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 시공이 완료된다. 도면부호 41, 51 각각은 좌, 우연결거더 각각의 기초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2, 16 : 제1, 2주탑 20 : 중앙거더
32, 36 : 제1, 2메인케이블 40 : 좌연결거더
50 : 우연결거더 62, 66 : 제1, 2행어케이블

Claims (3)

  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2주탑(12, 16);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길이의 제1, 2강관(22, 26)과, 제1, 2강관(22, 2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관(24)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주탑(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중앙거더(20);
    U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위는 제1주탑(12)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고 일단 부위는 제1강관(22)의 일측 상부와 연결되며 타단 부위는 제2강관(26)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1메인케이블(32)과, U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위는 제2주탑(16)의 상단 부위를 감으며 밀착되고 일단 부위는 제1강관(22)의 타측 상부와 연결되며 타단 부위는 제2강관(26)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2메인케이블(36);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일단 부위와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제1주탑(12)과 일정 거리 떨어지며 연장되는 제3, 4강관(42, 46)과, ∧ 구조를 이루되 좌우로 벌어지는 양측 부위가 제1주탑(12)의 좌우 각각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3강관(42) 및 제4강관(46) 각각과 대향하는 제5강관(45)과, 제3, 4강관(42, 4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관(44)과, 제3강관(42)과 제5강관(4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연결관(47)과, 제4강관(46)과 제5강관(4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4연결관(49)으로 이루어지는 좌연결거더(40);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제1, 2강관(22, 26) 각각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일정 각도로 벌어지면서 제2주탑(16)과 일정 거리 떨어지며 연장되는 제6, 7강관(52, 56)과, ∧ 구조를 이루되 좌우로 벌어지는 양측 부위가 제2주탑(16)의 좌우 각각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6강관(52) 및 제7강관(56) 각각과 대향하는 제8강관(55)과, 제6, 7강관(52, 5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5연결관(54)과, 제6강관(52)과 제7강관(5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6연결관(57)과, 제7강관(56)과 제8강관(55)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7연결관(59)으로 이루어지는 우연결거더(50);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1메인케이블(32)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3, 4강관(42, 46) 각각과 연결되는 제1행어케이블(62)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2메인케이블(36)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6, 7강관(52, 56) 각각과 연결되는 제2행어케이블(66);로
    이루어지는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주탑(12, 16) 각각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며 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단 부위에는 환형의 제1, 2홈(13, 17)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메인케이블(32, 36) 각각은 제1, 2홈(13, 17) 각각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강관(22, 26) 각각의 상면에는 제1, 2결합편(23, 27)이 마련되며, 상기 제1메인케이블(32)의 일단 부위 및 타단 부위 각각은 제1장력조절수단(72)에 매개되어 상기 제1, 2결합편(23, 27) 각각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케이블(36)의 일단 부위 및 타단 부위 각각은 제2장력조절수단(76)에 매개되어 상기 제1, 2결합편(23, 27) 각각의 타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KR1020160060124A 2016-05-17 2016-05-17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KR10166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24A KR101664989B1 (ko) 2016-05-17 2016-05-17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24A KR101664989B1 (ko) 2016-05-17 2016-05-17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989B1 true KR101664989B1 (ko) 2016-10-11

Family

ID=5716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24A KR101664989B1 (ko) 2016-05-17 2016-05-17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9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266A (zh) * 2018-05-24 2018-10-26 武汉科技大学 一种景观悬索桥及其装饰性缆索的锚固方法
KR102633919B1 (ko) * 2023-03-06 2024-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76560Y (zh) * 2008-04-28 2009-01-07 张国志 过街天桥的拉索结构
KR100926089B1 (ko) 2007-12-04 2009-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지지 교량
US7743444B2 (en) * 2004-06-09 2010-06-29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Cable stayed suspension bridge making combined use of one-box and two-box girders
CN203923884U (zh) * 2014-07-07 2014-11-05 黑龙江省龙建路桥第三工程有限公司 钢结构与玻璃幕墙相结合的单侧无背索斜拉观光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444B2 (en) * 2004-06-09 2010-06-29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Cable stayed suspension bridge making combined use of one-box and two-box girders
KR100926089B1 (ko) 2007-12-04 2009-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지지 교량
CN201176560Y (zh) * 2008-04-28 2009-01-07 张国志 过街天桥的拉索结构
CN203923884U (zh) * 2014-07-07 2014-11-05 黑龙江省龙建路桥第三工程有限公司 钢结构与玻璃幕墙相结合的单侧无背索斜拉观光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266A (zh) * 2018-05-24 2018-10-26 武汉科技大学 一种景观悬索桥及其装饰性缆索的锚固方法
KR102633919B1 (ko) * 2023-03-06 2024-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다방향 케이블 현수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005B1 (ko) 가설케이블을 이용한 무장력 사재케이블 상태의 사장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가설케이블
CN101761344B (zh) 一种盾构隧道预制管片的制备方法
CN102108676B (zh) 一种结合梁-钢拱组合体系拱桥施工方法
JP2684223B2 (ja) モジュール スペース フレーム耐震構造
CN201599040U (zh) 一种用于盾构隧道的预制管片
CN103882801A (zh) 公、铁路桥面宽度不一致的节段拼装式公铁两用斜拉桥
KR101664989B1 (ko) 앵커블록의 시공이 필요없는 현수교 구조
CN107841934B (zh) 展翅拱斜拉桥
CN109778667B (zh) 用于特大跨径钢-uhpc组合桁式拱桥的拱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24302B1 (ko) 윈드케이블의 시공방법
CN104532749A (zh) 一种用于悬索桥主塔上横梁施工的支架
KR20150095400A (ko) 방사형 행어 및 타정식 케이블을 이용한 복합케이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11945541B (zh) 一种中承式系杆拱桥
KR101664990B1 (ko)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TW202142777A (zh) 套管架結構組合體
CN109424072B (zh) 一种钢梁上支撑钢筋混凝土柱的连接节点及施工方法
JP5970124B1 (ja) 仮支持柱、及び、電柱建替方法
CN209178792U (zh) 一种设置变截面钢结构装饰拱的城市景观桥
CN104314009A (zh) 大节段提升机构及使用方法
CN202220403U (zh) 装配式建筑用预制钢筋砼结构柱
CN204298739U (zh) 带悬臂贝雷梁现浇模架简支门洞
CN210517669U (zh) 装配式强弱电槽道
KR20140140838A (ko) 송전탑 구조
GB2495695A (en) A fast erecting pylon with offset arms and a landmark component
RU2610367C2 (ru) Однопролетный переход трубопровода над естественными преград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