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94B1 -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94B1
KR102633394B1 KR1020230076654A KR20230076654A KR102633394B1 KR 102633394 B1 KR102633394 B1 KR 102633394B1 KR 1020230076654 A KR1020230076654 A KR 1020230076654A KR 20230076654 A KR20230076654 A KR 20230076654A KR 102633394 B1 KR102633394 B1 KR 10263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ttery
motor
fossil fuel
shel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정윤
Original Assignee
(주)홍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진기업 filed Critical (주)홍진기업
Priority to KR102023007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5Control systems based on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석연료 차량/기계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제거단계, 상기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자리에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120) 및 상기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를 배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단계(S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METHOD FOR CONVERTING FOSSIL FUEL VEHICLE/MACHINE TO ELECTRIFICATION}
본 발명은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포크와 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는 장치로서 화물을 승강하는 마스트를 갖춘 하역차량을 말한다. 특히, 지게차는 짐을 운반하거나 소정의 높이(대략 2~5m)까지 올릴 수 있으며, 짐을 적재하고서도 8~25㎞/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게차와 같은 운반기계는 그 동력원에 따라 디젤과 같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기도 하나, 근래에 와서는 전기는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동 지게차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전동 지게차는 매연과 같은 유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좁은 공간 내에서도 자유롭게 방향 전환과 선회 반지름이 작아 작업 공간이 좁은 실내에서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동 지게차는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므로 배터리를 충전과 방전하면서 필요한 동력을 얻는 데, 전동지게차의 작업 성능에 따라 배터리의 전체 용량도 달라진다. 이에, 배터리는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거나 과부하등으로 증류수가 증발하거나 배터리 셀이 고장이 나면 전동 지게차에서 배터리 트레이를 인출하여 증류수를 보충하거나 고장이 난 배터리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경우, 기름을 이용하여 엔진을 구동시킴으로써, 매연이 발생하게되며,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실내에서 작업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2689호(2016.09.28.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화석연료 차량/기계(예시적으로 디젤 지게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엔진, 미션, 연료탱크 등을 제거하여, 배터리, 모터, 컨트롤러 등을 설치하며,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를 배선으로 연결하여 동력원을 교체하는 운반기계의 동력원 교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석연료 차량/기계(예시적으로 디젤 지게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제거단계, 상기 엔진, 미션 또는 연료탱크가 제거된 자리에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및 상기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를 배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웨이트, 상기 웨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 모듈, 상기 배터리 팩 모듈의 사이에 구비되는 히팅모듈 및 상기 배터리 팩 모듈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운반기계의 휠과 함께 구비되는 인휠모터 또는 상기 운반기계의 휠을 연결하는 샤프트에 구비되는 샤프트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은 상기 배터리 팩 모듈로부터 전기를 인입받아 발열하는 히팅라인 및 상기 히팅라인의 표면에 구비되는 자가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발열체는 카본과 그라파이트를 배합한 배합물 10 중량부 대비 전도성접착제 15 중량부, 기능성 파우더 2.5 중량부, 촉진제 2.5 중량부 및 니켈 알루미늄 혼합물 0.4 내지 0.6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팩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수지 40중량%, 메타로센 폴리에칠렌 30중량%, 기능성 첨가제 15중량% 및 알루미늄 박막 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 중량부대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30 내지 35중량부, 폴리인산 알모늄 20 내지 30중량부, 데카브롬 10 내지 20중량부, 안티모니 5내지 10중량부, 경화촉진제 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동력원을 디젤에서 전기로 변경함으로써, 매연을 발생시키지 않아 실내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석연료 차량/기계에서 사용되던 납산 전지를 리튬 인산철 배터리로 변경함으로써, 납산 전지보다 오랜 사용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 차량/기계(기계식 운반기계)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운반기계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원이 교체된 전동 지게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 차량/기계(기계식 운반기계)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운반기계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운반기계의 동력원 교체 방법)(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방법)(화석연료 차량/기계의 동력원 교체 방법)(운반기계의 전동화 방법)은 제거단계(S110), 설치단계(S120) 및 연결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제거단계(S110)는 화석연료 차량/기계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엔진, 미션 또는 연료탱크 중에서 어느하나를 제거한다.
운반기계(화석연료 차량/기계)는 기계식과 전자식 디젤 엔진을 이용한 지게차로 도 2(기계식) 및 도 3(전자식)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때, 기계식 운반기계는 연료 인젝터펀프에 연결되어있는 인젝션 티밍 스텝모터가 동작을 하는 경우 연료(디젤)를 엔진의 인젝터로 공급하여 디젤 엔진을 동작시키고, 전자식 디젤 엔진의 경우 획득한 입력값에 따라 컨트롤 유닛이 연료(디젤)을 엔진으로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연료(디젤)을 이용하는 경우, 매연이 발생되기 때문에 실내 및 밀폐된 공간에서는 전기만을 이용하는 전동 지게차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거단계(S110)는 도 2 및 도 3에서 구비된 전자식 디젤엔진을 구성하고 있는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 이외의 배선, 고압 펌프 또는 인젝터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운반기계가 전기 지게차로 교환되는 경우(전자식 운반기계)에 동력전달 방식이 변경되므로 운반기계를 제어하기위한 ECU(electronic Contral Unit)도 함께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설치단계(S120)는 앞선 제거단계(S110)에서 제거된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가 있던 위치에 모터,컨트롤러 및 배터리를 설치한다.
먼저, 모터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운반기계의 휠에 부착시키는 인휠모터 또는 기존의 운반기계의 휠을 연결하는 샤프트에 설치되는 샤프트 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휠모터(In-Wheel Motor)는 차량의 바퀴에 구동 모터와 브레이크 시스템(braking system), 서스펜션 시스템(suspension system) 등을 통합하여 부착한 모터이고, 엔진룸에 중앙 구동모터를 탑재한 전기지게차 대비 전자제어를 통해 주행성능 및 동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체 또한 모터 제어장치로 집약된 단순 구조이기에 생산공장에서도 제조 라인을 단순화할 수 있어 차량의 개발에 유리하다. 그리고 샤프트 모터는 인휠모터와 반재로 동력전달을 위해 샤프트가 결합된 모터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배터리(20)는 함체(21), 웨이트(22), 배터리 팩 모듈(23), 히팅모듈(24), 제어모듈(25)을 포함한다,
먼저, 함체(21)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웨이트(22)가 형성된다.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함체(21)의 개구부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지게차의 차체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대응부(211)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대응부(211)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홀은 볼트 또는 다른 결합부품이 끼워져 지게차의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22)는 쇠구슬과 같은 동일 부피대비 무거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튬계열 배터리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웨이트(30)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무게를 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 팩 모듈(23)은 복수의 배터리 팩을 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형성한 것으로,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터리 팩 모듈(23)을 함체의 내부에 구비한다. 이때, 배터리 팩은 리튬이온 계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납축전지로 구성된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80-90 Wh/L이고, 비에너지는 35-40 Wh/kg, 충전/방전 효율성은 50??95%, 자기 방전 속도는 3??20%/월이고, 충전 온도 간격은 최소 ??35℃, 최대 45℃인 반면에 리튬이온으로 제작된 리튬계열 배터리의 비에너지는 100??265 Wh/kg, 에너지 밀도는 250??693 WhL, 충전/방전 효율성은 80??90%이고, 자기 방전 속도 0.35 % ~ 2.5 % /월 (충전 상태에 따라)이다. 즉, 리튬계열(리튬이온,리튬인산철등)로 배터리를 제작하는 경우, 기존의 납축 전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작은 크기로 동일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배터리 팩 모듈(23)은 기존의 납축전지보다 작은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함체의 내부에 웨이트(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히팅모듈(24)은 배터리 팩 모듈(23)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 팩 모듈(23)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배터리 팩 모듈(23)로부터 전기를 인입받아 발열하는 히팅라인을 포함한다. 이때, 히팅모듈(24)은 후술할 제어모듈(25)을 통해 제어된다. 외부 요인에 의해 배터리 팩 모듈(23)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는 경우, 배터리 팩 모듈(23)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며, 충전속도 또한 저하된다.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팩 모듈(23)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온도로 배터리 팩 모듈(23)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제어모듈(25)은 배터리 팩 모듈(23)의 상측에 구비되어, 배터리(20)의 충전, 방전 및 온도를 제어한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이러한 제어모듈(25)은 BMS(Battery Menagement System),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안전예방조치 모듈(safety precautions module) 및 통신모듈(4G module)을 포함한다.
먼저, BMS는 배터리 팩 모듈(23)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팩 모듈(23)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하며, 배터리의 교체시기 예측 및 배터리 문제를 사전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BMS는 PRA(Power Relay Assembly)제어를 진행할 수 있으며, PRA 제어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모터로의 공급 및 차단하는 기능으로, 배터리 고장시 전원공급 차단을 통해 배터리를 보호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은 BMS를 통해 모니터링 된 배터리 팩 모듈(23)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통신모듈은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4G 모뎀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터리(20)가 설치되는 위치 및 환경에 따라 다른 통신방식(2G, 3G, 5G, wibro 또는 wifi)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전예방조치 모듈(safety precautions module)은 BMS를 통해 모니터링 중인 배터리 팩 모듈(23)의 전압, 전류 또는 온도 중에서 어느 하나가 비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매뉴얼에 따라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방전시키도록하는 모듈이다. 이때, 비 정상 상태는 전압, 전류 또는 온도가 임계값을 넘은 시간이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 모듈(23)의 온도 임계값이 150도이고, 일정 시간이 10분이라고할 때 BMS를 통해 모니터링 중인 배터리 팩 모듈(23)의 온도가 15분 동안 150를 넘은 것으로 나타면 안전예방조치 모듈은 현재 상태를 비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정지시킨다. 즉, 안전예방조치 모듈은 배터리 팩 모듈(23)의 이상상태를 판단하여 예방하는 모듈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모듈(25)은 배터리(20)를 관리 및 모니터링하는 모듈로써, 제어모듈(25)을 이용하여 충전속도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선 연결단계(S130)는 배터리(20)의 외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통해 지게차의 모터(10) 및 컨트롤러(30)를 연결한다. 이때, 모터(10)와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배선은 컨트롤러(30)와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배선보다 굵은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모터(10)와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배선이 컨트롤러(30)와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배선보다 얇게 사용되는 경우, 화재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류 및 전압의 부하가 많이 걸리는 부분인 모터(10)와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배선이 컨트롤러(30)와 배터리(20)를 연결하는 배선보다 굵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의 경우, 허용 전류 및 전압에 따라 종류 및 굵기를 다르게 사용해야하며, 허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 해당 배선의 단선 위험이 높아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원이 교체된 전동 지게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S110 내지 S130 단계를 통해 운반기계를 전동 지게차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에 형성된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를 제거하고, 해당 위치에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지게차의 동력원을 디젤에서 전기로 변경함으로써, 매연을 발생시키지 않아 실내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운반기계에서 사용되던 납산 전지를 리튬 인산철 배터리로 변경함으로써, 납산 전지보다 오랜 사용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0)는 함체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상기 방수재(GS)에 혼합되는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상기 함체(21)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함체(21)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우레탄은 방수 재료로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액상 형태로 도포 대상체에 도포된 후 경화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성첨가재(G)는 입자 형태로서 액상 상태의 우레탄에 혼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을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테트라데케인, 알루미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피-스티렌술포닉산,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중량부는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제1완충재(G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내피재(G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공질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서 완충성과 방음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완충성 및 방음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후술하는 내피재(G2)를 터지게 하여 내피재(G2)에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상기한 내피재(G2)는 후술하는 외피재(G3)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제1완충재(G1)가 소실될 우려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은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싼 상태로 열융착 등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쌀 수 있다. 즉, 제1완충재(G1)는 내피재(G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재(G3)는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한 내피재(G2)(내피재(G2) 및 후술하는 제2완충재(G4))를 감싸되 섬유상일 수 있다. 상기한 외피재(G3)는 상기한 방수재(GS)와 혼합된다.
상기한 외피재(G3)가 섬유상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외피재(G3)와 내피재(G2)의 사이에는 제2완충재(G4)가 배치되는데, 따라서 외피재(G3)는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으며, 라텍스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여 제2완충재(G4)가 소실될 위험이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자체 중량을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완충재(G4)는 테트라데케인(Tetradecane)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된다.
테트라데케인은 융점이 약 4~6℃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테트라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재(G4)의 융점은 상온인 1~3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고상 상태로 상기 내피재(G2)를 감쌀 수 있고, 상기한 외피재(G3)에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라텍스는 시트 상에서 고상의 제2완충재(G4)를 감싼 상태로 접착제 또는 융착(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는데, 특히 기공에 수용되는 공기의 부피 또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수축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 시키는 완충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완충재(G4)가 상기한 제1완충재(G1)에 잠열을 공급하여 제2완충재(G4)가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완충재(G4)의 완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완충재(G4)가 외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팽창되어 내피재(G2)에서 손상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융점이 4~6℃어서 방수재(GS)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수재(GS)가 열팽창 되거나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수재(GS)가 우글쭈글해지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제1완충재(G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단열 성능이 있기 때문에 제2완충재(G4)가 제1완충재(G1)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한 방수재(GS)와 제2완충재(G4)의 열 교환을 방해하여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 배치되기 어렵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도 8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피-스티렌술포닉산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1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은 외피재(G3)의 양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도 8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에틸렌이민을 중합한 폴리머로 현존하는 소재 중 양이온 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양이온성 물질(G8) 및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각각은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라텍스 등에 쌓여진 상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열융착 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포스트(G5)는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외피재(G3)의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벼운 금속이어서 사용된 것으로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가 지나치게 무거워져 분산성이 저하되며,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길이나 폭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포스트(G5)는 내측 단부가 공지된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한 외피재(G3) 외측에 부착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한 외피재(G3)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포스트(G5)의 내측단부가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 결합부재(G6) 각각은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예시적으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구비)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은 기능성첨가재(G)의 중심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한 단위체(GU)는 방수재(GS)에서 교반 시에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방수재(GS), 기능성첨가재(G) 및 기타 첨가재들의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후 또는 방수재(GS)가 함체(21)에 도포되는 과정 또는 함체(21)에 도포된 이후 이웃하는 단위체(GU)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양이온성 물질(G8)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게 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어느 하나(이하 제1단위체)의 상기한 결합부재(G6)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포함함으로 탄성 변형(압축변형)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다른 하나(이하 제2단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가 제2단위체의 결합부재(G6) 사이를 통과하게 된 경우 제1단위체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가 제2단위체의 양이온성 물질(G8)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는 탄성 복원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원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의 내측단과 제2단위체 결합부재(G6)들의 내측단이 상호 지지되어 걸어지게 되어(걸림 결합) 제1단위체와 제2단위체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상호 결합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방수재(GS)가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게차
10: 모터 20: 배터리
21: 함체 211: 결합대응부
22: 웨이트 23: 배터리 팩 모듈
24: 히팅모듈 25: 제어모듈

Claims (4)

  1. 화석연료 차량/기계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제거단계(S110);
    상기 엔진, 미션 및 연료탱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자리에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120); 및
    상기 배터리, 모터 및 컨트롤러를 배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단계(S13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상기 함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웨이트;
    상기 웨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 모듈;
    상기 배터리 팩 모듈의 사이에 구비되는 히팅모듈; 및
    상기 배터리 팩 모듈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휠과 함께 구비되는 인휠모터 또는 상기 화석연료 차량/기계 휠을 연결하는 샤프트에 구비되는 샤프트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함체 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상기 방수재(GS)에 혼합되는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
    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재(GS)는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석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76654A 2023-06-15 2023-06-15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KR10263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654A KR102633394B1 (ko) 2023-06-15 2023-06-15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654A KR102633394B1 (ko) 2023-06-15 2023-06-15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94B1 true KR102633394B1 (ko) 2024-02-07

Family

ID=8987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654A KR102633394B1 (ko) 2023-06-15 2023-06-15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416A (ko) * 2018-07-30 2020-02-07 (주)캠시스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기자동차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KR20210063426A (ko) * 2018-10-12 2021-06-01 볼보 트럭 코퍼레이션 차량용 배터리 팩 장치
KR102437714B1 (ko) * 2022-03-07 2022-08-30 (주)홍진기업 디젤 지게차의 동력원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416A (ko) * 2018-07-30 2020-02-07 (주)캠시스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기자동차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KR20210063426A (ko) * 2018-10-12 2021-06-01 볼보 트럭 코퍼레이션 차량용 배터리 팩 장치
KR102437714B1 (ko) * 2022-03-07 2022-08-30 (주)홍진기업 디젤 지게차의 동력원 교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999B2 (ja) ハイブリッド蓄電池、これを用いた走行車輌及び電力貯蔵設備、走行車輌を用いたスマートグリッド走行車輌システム、並びに電力貯蔵設備を用いた電力供給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Malik et al. Review on use of phase change materials in battery thermal management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EP3993139A1 (en)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said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CN1864329B (zh) 用于具有可变电力消耗的负载的能量存储装置
CN100581867C (zh) 混合动力汽车的燃料电池动力系统
JP5570782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電源装置の充放電制御方法
CN110303944B (zh) 一种电动汽车快速充电系统及方法
US8076797B2 (en) Energy transfer circuit and method
CN201457272U (zh) 一种车辆启动装置
CN108099614B (zh) 控制环保型车辆的电动机系统的方法
Wong et al. A parallel energy-sharing control for fuel cell-battery-ultracapacitor hybrid vehicle
CN109552109A (zh) 双重功能蓄电池系统与方法
CN101164217A (zh) 匹配蓄电池和燃料电池的无dc/dc连接
US20210119193A1 (en) Battery pack structures made of expandable polymer foams
CN107492919B (zh) 电力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33394B1 (ko) 화석연료 차량/기계의 전동화 개조 방법
Aziz et al. Advanced charging system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battery electric vehicles
CN204340720U (zh) 电动汽车和电动汽车的动力系统
KR102437714B1 (ko) 디젤 지게차의 동력원 교체 방법
JP2020103006A (ja) 車両用充電制御システム
Bisschoff et al. Integration of battery and super-capacitor banks into a single-power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CN111845462B (zh) 一种燃料电池功率分配控制方法
JP2020509722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h/ev)内の熱システムのためのプラスチック製流体加熱ライン、およびその使用
KR102633396B1 (ko) 리튬계열 배터리 제조 및 교체 방법
CN101826743A (zh) 一种电动汽车锂动力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