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185B1 -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185B1
KR102633185B1 KR1020230012652A KR20230012652A KR102633185B1 KR 102633185 B1 KR102633185 B1 KR 102633185B1 KR 1020230012652 A KR1020230012652 A KR 1020230012652A KR 20230012652 A KR20230012652 A KR 20230012652A KR 102633185 B1 KR102633185 B1 KR 10263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tress
signal
scann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9916A (en
Inventor
정경진
조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1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85B1/en
Publication of KR2023001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005Life-saving in water by means of alarm devices for persons falling into the water, e.g. by signalling, by controlling the propulsion or manoeuvring means of the boa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무선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휴대용 신호 송신기(11);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스캔하는 무선 신호 스캐너(12); 무선 신호 스캐너(12)의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모듈(13); 및 단말 모듈(13)로부터 전송된 스캔 신호로부터 각각의 선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익수자 확인 모듈(14)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The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capable of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 real time; a wireless signal scanner (12) that scans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A terminal module 13 that receives a scan signal from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and a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that confirms the location of each crew member from the sca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odule 13.

Description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선박 내에 승선하고 있는 선원 또는 승객과 같은 선박 내에 사람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조난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nd specifically, detects the location of people in the ship, such as sailors or passengers on board the ship, in real time, confirms whether a distress situation has occurred, and issues an alert. This relates to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that can generate alarms.

선박의 운항 과정 또는 정박 중에 선원의 조난이 발생하는 경우 선박의 규모에 따라 조난 즉시 발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운항 과정에서 조난이 발생되는 경우 선박의 운행으로 인하여 조난 위치가 정확하게 확인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선원의 구조가 어렵게 된다. 낚시 또는 어업용 선박의 경우에도 선박의 이동 과정에서 선원이 선박으로부터 이탈되어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유사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852770은 사고 선박 및 익수자 탐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20-0052535는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조난 신원의 조난 상태를 즉시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구조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If a crew member is in distress during a vessel's operation or berth, it may be difficult to immediately detect the incid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vessel. When distress occurs during naviga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vessel, making rescue of the crew difficult. In the case of fishing or fishing vessels, similar problems may occur if a crew member becomes separated from the vessel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ssel and a distress situation occurs.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852770 discloses a method for detecting an accident ship and a drowning person. Additionally,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2535 discloses a ship passenger dist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Such prior art or known technology does not disclose a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that can immediately confirm the distress status of a distressed person and proceed with appropriate rescue operations accordingly.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s.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1852770(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04.27. 공고) 항공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사고 선박 및 익수자 탐지 방법Prior art 1: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85277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on April 27, 2018) Method for detecting accident vessel and drowning person using aerial hyperspectral image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20-0052535(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2020.05.15. 공개)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2535 (Marine Techno Korea Co., Ltd., published on May 15, 2020) Ship passenger dist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개개의 선원에 착용된 무선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탐지하여 선원의 조난 여부 및 조난 위치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that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worn on each crew member and confirms whether the crew member is in distress and the loc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allowing rapid rescue. It is don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무선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휴대용 신호 송신기; 휴대용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스캔하는 무선 신호 스캐너; 무선 신호 스캐너의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모듈; 및 단말 모듈로부터 전송된 스캔 신호로부터 각각의 선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익수자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signal transmitter capable of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 real time; a wireless signal scanner that scans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from a portable signal transmitter; A terminal module that receives a scan signal from a wireless signal scanner; and a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that confirms the location of each crew member from the sca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선 신호 스캐너는 선박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수신 스캐너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ignal scanner consists of receiving scanners placed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hip.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익수자 확인 모듈의 확인 결과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n alarm device tha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of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선박의 운항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조타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steer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tress sit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작동되는 구조 장비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rescue equipment control module that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distress sit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익수자 확인 모듈은 조난 상황을 외부 구조 기관으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구조 요청 모듈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wning person identifica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rescue request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distress situation to an external rescue organiza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된 작은 출력을 가지는 무선 스캐너를 이용하여 선원의 조난 여부가 실시간으로 감지되도록 한다. 또한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즉시 경광등 또는 뱃고동과 같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람이 발생되어 조난 상황이 선박 내/외에 알려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조난 감지 후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인 경우 LTE 또는 LTE-M과 같은 상용 통신망을 통하여 조난 신호가 육지로 송신되어 구조팀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조난 인지 후 곧바로 선박의 엔진이 정지되거나 또는 조난 발생 장소에서 천천히 선회가 되도록 하여 구조자로 하여금 조난 발생 위치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조난 인지 후 사다리 또는 부표를 투하하여 조난자가 스스로 상황을 벗어나거나, 조난이 어려운 상화가 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선박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The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less scanner with a small output installed on a ship to detect whether a crew member is in distress in real time. Additionally,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a visual or auditory alarm, such as a warning light or a horn, is immediately generated so that the distress situation is know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hip.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stress signal to land through a commerci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or LTE-M in a situation where appropriate measures cannot be taken after detection of distress, allowing the rescue team to respond quickly. The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scuer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by stopping the ship's engine immediately after recognizing the distress or turning slowly at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In addition,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ops a ladder or buoy after recognizing distress to prevent the distressed person from escaping the situation on his own or becoming a victim that is difficult to rescue.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hip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서 조난 발생으로부터 구조 신호가 발생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서 조난 발생 및 그에 따른 감지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rescue signal is generated from distress in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ccurrence of distress and the corresponding detection method in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but the example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description below,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unles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not be repeated, and well-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무선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휴대용 신호 송신기(11);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스캔하는 무선 신호 스캐너(12); 무선 신호 스캐너(12)의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모듈(13); 및 단말 모듈(13)로부터 전송된 스캔 신호로부터 각각의 선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익수자 확인 모듈(1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capable of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 real time; a wireless signal scanner (12) that scans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A terminal module 13 that receives a scan signal from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and a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that confirms the location of each crew member from the sca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odule 13.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각각의 선원에게 휴대되거나 또는 착용될 수 있고,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선원의 신분증에 부착되거나, 승객의 손목에 부착되거나, 목걸이 형태로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고유 코드를 송신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블루투스 모듈(beacon blue tooth module)이 될 수 있다. 각각의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휴대를 하는 사람의 정보와 함께 미리 등록될 수 있고, 선박에 승선하는 모든 선원에게 착용될 수 있다.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선박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수인이 승선하고 있는 대형 선박의 경우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는 각각의 신호 송신기(11)는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질 수 있고, 휴대를 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와 함께 신호 송신기(11)에 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일인 또는 소수의 인원이 탑승하는 선박의 경우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지지 않거나 신호 송신기(11)에 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신호 스캐너(12)는 각각의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다수 개의 무선 신호 스캐너(12)가 선박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신호 송신기(11)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무선 신호 스캐너(12)는 다양한 신호 송신기(11)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하나의 신호 송신기(11)에 송신된 신호가 동시에 서로 다른 무선 신호 스캐너(12)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스캐너(12)는 예를 들어 0.1 내지 10 m의 범위와 같은 짧은 거리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무선 신호 수신 수단이 될 수 있고, 수신 거리는 선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선박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어도 무선 신호 스캐너(12)가 선박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스캐너(1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 송신기(11)의 신호는 선박용 전시 단말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전시 단말 모듈(13)은 선박의 운항 관련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운항에 필요한 정보가 표시되면서 정보에 기초하여 운항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단말 모듈(13)은 무선 신호 스캐너(12)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 모듈(13)은 무선 신호 스캐너(1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 송신기(11)의 신호를 익수자 확인 모듈(14)로 전송할 수 있다. 익수자 신원 확인 모듈(14)은 단말 모듈(13)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 송신기(11)의 무선 신호를 확인하여 조난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익수자 확인 모듈(14)은 선박의 종류, 선박의 크기 또는 선원의 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전시 단말 모듈(13)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인이 승선하고 있는 규모가 큰 선박의 경우 익수자 확인 모듈(14)은 각각의 선원과 각각의 신호 송신기(11)에 대한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고, 단말 모듈(13)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신호를 각각의 선원과 대비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선원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조난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서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수의 인원이 승선한 선박 또는 1인 선박의 경우 익수자 확인 모듈(14)은 수신되는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신호의 수와 선원 수의 일치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다. 익수자 확인 모듈(14)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신되는 신호 송신기(11)의 신호를 확인하여 조난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익수자 확인 모듈(14)에 의하여 조난자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난 발생 상황이 관리 모듈(15)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 모듈(15)은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미리 결정된 절차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모듈(15)은 익수자 확인 모듈(14)에 의하여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난 위치를 확인하고, 구조 활동 모듈(17)을 작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운항 방법을 조절할 것인지 또는 외부에 구조 요청을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익수자 확인 모듈(14)에 의하여 조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 모듈에 의하여 경보가 발생될 수 있고, 경보는 음성 방송, 조난 발생 경보 또는 경보 등의 작동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보 발생과 함께 구조 활동 모듈(17)에 의하여 구조 활동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carried or worn by each crew member and can transmit a wireless signal in a designated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may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 crew member's identification card, attached to a passenger's wrist, or carried in the form of a necklace. Each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can transmit a unique code and optionall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may be a beacon Bluetooth modul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signals. Each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registered in advan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carrying it, and can be worn by all sailors on board the ship.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may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type of ship, and in the case of a large ship with many people on board,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may hav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bout the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registered and stored in advance along with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carrying it.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hip with one or a small number of people on board, it may not hav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r information about the signal transmitter 11 may not be registered in advance.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may have a function of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ignal transmitter 11, and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scanners 12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ship. The signal transmitter 11 can periodically transmit a signal and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can receive signals from various signal transmitters 11,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one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from different signals. It can be received by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can be a wireless signal receiving means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at a short distanc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1 to 10 m, and the receiving distance can be set variously depending on the type of vessel. .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ship, at least wireless signal scanners 12 may be placed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ship to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11 received by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may be transmitted to the marine display terminal module 13. The display terminal module 13 may be connected to a device related to navigation of a ship, and may have the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navigation and inputting commands for navig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terminal module 13 may be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but may preferably be connected by a wire. The terminal module 13 may transmit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11 received by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to the suspect identification module 14. The drowning person identification module 14 may have a function to determine whether distress has occurred by checking the wireless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11 received by the terminal module 13.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ship, size of the ship, or number of crew members, and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terminal module 13.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ship with many people on board, the drowned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may have a registration database for each crew member and each signal transmitter 11, and transmit from the terminal module 13 Each signal can be compared to each source. If a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ource is not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that distress has occurr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hip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on board or a single-person ship that can visually check each other,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can only check whether the number of different signals or signals received matches the number of crew members.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can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s in distress by checking the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1 receiv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in distress has occurred by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the distress occurrence situ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module 15. The management module 15 can respond according to predetermined procedures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For example, the management module 15 may confirm the distress lo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and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rescue activity module 17. You can also decide whether to adjust the ship's navigation method or request external rescu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istress situation has occurred by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an alarm may be generated by the alarm module, and the alarm may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voice broadcast, distress occurrence alarm, or operation of an alarm. With the occurrence of an alarm, rescue activities can be initiated by the rescue activity module 17.

관리 모듈(15) 또는 경보 발생 모듈(16)의 작동은 선박의 규모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선박의 경우 관리 모듈(15)은 조난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난 위치를 확인하여 주변을 항행하는 선박 또는 육상 구조 센터에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 상태를 조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소형 선박의 경우 익수자 확인 모듈(14)에 의하여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관리 모듈(15)은 자동으로 선박의 운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조난 위치에 대한 좌표가 확인되고, 선박의 운항 방향이 변경되어 조난 위치를 향하여 천천히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조난 위치가 확인되면 조난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을 결정하여 천천히 선회하는 방법으로 선박이 운항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난 상황이 발생된 경우 선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선박의 운항이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분리되어 개시되어 있지만 익수자 확인 모듈(14)또는 관리 모듈(15)은 전시 단말 모듈(13)에 포함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시스템의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module 15 or the alarm generation module 16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hip.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ship, if it is determined that distress has occurred, the management module 15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nearby ship or a land rescue center. And the ship's operating statu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ress situation. In contrast, in the case of a small ship, if a distress situation occurs by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the management module 15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operation of the ship. For example,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the coordinates of the distress location are confirmed, and the ship's navigation direction is changed so that it can slowly approach the distress location. Alternatively, once the distress location is confirmed, the ship can be operated by determining the radius based on the distress location and turning slowly. When such a distress situation occurs, the operation of the ship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ship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Although disclosed separately in the presented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ictim confirmation module 14 or the management module 15 may be included in the exhibition terminal module 13,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of such a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신호 스캐너(12)는 선박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로 이루어진다. 선박(2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선박(20)의 규모 또는 선원(P)의 수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선원(P1 내지 PN)은 각각 신호 송신기(11_1 내지 11_n)를 휴대 또는 소지할 수 있고, 각각의 선원(P1 내지 PN)은 선박(20)의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가 선박(2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는 무선 또는 유선(L1 내지 LN)으로 단말 모듈(1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 사이의 거리는 신호 송신기(11)의 무선 신호 송신 거리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는 신호 송신기(11)가 선박(20)의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에 의하여 신호 송신기(11)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신호 송신기(11)가 선박(2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신호가 식별될 수 있다. 각각의 신호 송신기(11)는 주기적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각각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단말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 모듈(13)은 예를 들어 항해실과 같은 운항 관리 공간(21)에 배치될 수 있고, 선박(20)의 운항과 관련된 다양한 관리 설비, 운항 설비 또는 제어 설비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 모듈(13)은 실시간으로 신호 송신기(11)의 신호를 수신하여 조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 모듈(13)과 연결된 익수자 확인 모듈(14)에 의하여 조난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고, 만약 조난 상황이 발생되었다면 그에 따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신호 송신기(11)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의 설치 위치 또는 단말 모듈(13)과 연결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consists of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plac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ship. The ship 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ize of the ship 20 or the number of crew members P. Each crew member (P1 to PN) may carry or carry a signal transmitter (11_1 to 11_n), and each crew member (P1 to PN) may be located in various places on the ship 20. A plurality of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may be placed at various locations on the ship 20, and each receiving scanner (121 to 12k)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module 13 wirelessly or by wire (L1 to LN). It can be connected to do so. The distance between different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may be determined by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signal transmitter 11,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may be used to enable the signal transmitter 11 to operate at any location of the ship 20. When in a position,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received by at least one receiving scanner (121 to 12k). When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tters 11 are located inside the ship 20, each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identified. Each signal transmitter 11 may periodically transmit a wireless signal, and the signal received by each receiving scanner 121 to 12k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odule 13. The terminal module 13 may be plac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pace 21, such as a navigation room, and may be connected to various management facilities, operation facilities, or control facil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hip 20. The terminal module 13 can check the distress situation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1 in real time. It can be confirmed whether a distress situation has occurred by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connected to the terminal module 13, and if a distress situation has occurred, action can be taken accordingly. The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can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to receive signals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1,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or the connection method with the terminal module 13. Not limi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서 조난 발생으로부터 구조 신호가 발생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rescue signal is generated from distress in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용 전시 단말 장치(13)는 승선원 등록기(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승선원 등록기(33)를 이용하여 신호 송신기(11)의 ID를 단말장치(13)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승선원 정보를 통하여 익수자 발생 시 익수자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된 승선원 정보는 단말장치(13)에 직접 저장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따로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rine display terminal device 13 may include a crew member register 33, and the ID of the signal transmitter 11 can be input into the terminal device 13 using the crew member register 33. there is. Through the entered information on the crew members, the information of the drowning person can be obtained when a drowning person occurs. At this time, the saved crew member information can be stored directly in the terminal device 13, and a separate database can be installed and stor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익수자 확인 모듈(14)의 확인 결과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조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선박의 운항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조타 시스템(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조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작동되는 구조 장비 제어 모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익수자 확인 모듈(14)은 조난 상황을 외부 구조 기관으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구조 요청 모듈(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device 35 tha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of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Additionally,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steering system 36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hip depending on the occurrence of a distress situation. Alternatively,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scue equipment control module 37 that is activated depending on the occurrence of a distress situation. Additionally,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may further include a rescue request module 32 that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distress situation to an external rescue organization.

각각의 선원(P1 내지 PN)에 의하여 휴대되거나 또는 소지되는 신호 송신기(11_1 내지 11_n)는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선원(P1 내지 PN)의 위치는 다양한 위치로 변할 수 있고, 무선 신호 스캐너(12)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신호 송신기(11_1 내지 11_n)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다수 개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에 의하여 무선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각각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신호 송신기(11_1 내지 11_n)의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의 선원(P1 내지 PN)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는 GPS 모듈(31)을 포함하거나, GPS 모듈(31)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GPS 정보와 결합되어 단말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단말 모듈(13)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조난 상황의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구조 요청 모듈(32)은 단말 모듈(13)과 연결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즉시 또는 조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후 구조 요청 모듈(32)을 통하여 조난 상황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모듈(13)에 또는 선박 관리 모듈에 원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구조 요청 모듈(32)은 LTE 망, M-LTE 망 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망과 같은 원격 통신망(CN)을 통하여 조난 상황 및 구조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조난 상황은 인근 해역에 운항하는 다른 선박 또는 육상 구조팀으로 전송될 수 있고, 조난 시각, 추정 조난 위치 또는 구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알람 장치(35)가 작동되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경광등(351)이 작동되거나, 뱃고동과 같은 음향 발생 수단(352)이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동 조타 시스템(36)이 작동되어 선박의 운항 상태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조타 시스템(36)은 일인 또는 소수 인원이 승선한 승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선박의 경우 조난이 발생한 지역으로 선박이 자동으로 이동되거나, 조난이 발생한 지역을 중심으로 선박이 천천히 선회하도록 자동 운항이 될 수 있다. 자동 조타 시스템(36)은 다양한 방법으로 단말 모듈(13)과 연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ignal transmitters (11_1 to 11_n) carried or possessed by each source (P1 to PN) may be mobile, the position of each source (P1 to PN) may be changed to various positions, and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can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signal transmitters (11_1 to 11_n) located in different locations. As described above, wireless signals may be received by a plurality of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and each receiving scanner 121 to 12k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Therefore, the location of each source (P1 to PN) can be confirmed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wireless signal of each signal transmitter (11_1 to 11_n) is received. Optionally, the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may include the GPS module 31 or may be connected to the GPS module 31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1 may be combined with GPS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odule 13. As described above, whether a distress situation has occurr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module 13. The rescue request module 32 may be connected to or included in the terminal module 13.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the distress situ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scue request module 32 immediately or after a specific determination of the distress situation is made. For example,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module 13 or in the ship management module, and the rescue request module 32 may be connected to a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CN) such as an LTE network, M-LTE network, 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network. Distress situations and rescue requests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distress situation can be transmitted to other ships operating in nearby waters or to a land rescue team, and the distress time, estimated distress location, or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rescue can also be transmitted.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the alarm device 35 may be activated to generate an alarm, for example, a warning light 351 may be activated, or a sound generating means 352 such as a boat horn may be activated. Optionally, the automatic steering system 36 may be activated to automatically set the vessel's operating state. The automatic steering system 36 can be usefully applied to one or a small number of passengers on board. For example, in the case of small ships, the ship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area where distress occurred, or the vessel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to slowly turn around the area where distress occurred. The automatic steering system 36 can be linked with the terminal module 13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구조 장비 제어 설비(37)가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 조난 발생 수역에 사다리 또는 구명부환과 같은 구명 수단(371, 372)이 투척될 수 있고, 조난 수역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부표와 같은 조난 영역 표시 수단(373)이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 수단이 작동되어 조난자에 대한 구출 활동 또는 수색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If a distress situation occurs, the rescue equipment control facility 37 may be activated. For example, life-saving means 371 and 372, such as a ladder or a lifebuoy, may be thrown into the estimated distress area, and distress area display means 373, such as a buoy, may be installed to indicate that it is a distress area. A variety of rescue means can be operated to carry out rescue or search activities for the person in distress and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서 조난 발생 및 그에 따른 감지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ccurrence of distress and the corresponding detection method in th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조난 상황 발생 감지 및 그에 따른 대응 방법은 선원 또는 승객에게 주기적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이 부착되거나 또는 소지되고,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는 단계(P41); 각각의 선원의 무선 송신기의 소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P42); 각각의 선원이 소지한 무선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선박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예를 들어 작은 출력을 가지는 무선 스캐너에 의하여 수신하여 탐지하는 단계(P43); 탐지된 신호가 다수 개의 무선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와 같은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처리되어 탐지 신호와 선원이 매칭이 되는 단계(P44); 매칭 결과에 따라 누락 신호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46); 판단 결과에 따라 누락 신호가 없다면(NO),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계속 탐지하고(P43), 이와 달리 누락 신호가 있다면(YES), 최종 신호가 탐색되어 최종 수신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P47); 최종 위치가 확인되면 이와 함께 조난을 알리는 경보가 발생되는 단계(P48); 경보의 발생에 따라 익수자의 구조를 위한 구조 대기가 되고, 그에 따라 운항이 제어되는 단계(P49); 조난 위치의 확인에 따라 조난자의 탐색 활동이 개시되고, 외부에 조난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는 단계(P51); 탐색 결과 조난자가 확인되면(NO), 상황 확인이 되고(P54), 이에 비하여 미확인 상태이면(YES), 정보가 다양한 외부 구조 설비로 전송되어 구조 요청이 되는 단계(P52); 및 구조 활동이 계속되는 단계(P53)를 포함한다. 이후 익수자가 발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상황 확인이 될 수 있다(P54).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tress situation and responding accordingly includes the steps of attaching or possessing a means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o a crew member or passenger and creating a database accordingly (P41); Step (P42) in which each crew member's possess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is confirmed; A step of receiving and detec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carried by each crew member by, for example, a wireless scanner with a small output placed at various locations on the ship (P43); A step (P44) in which the detected signal is processed by a signal processing device such as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nd processes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scanners, thereby match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source (P44); A step in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missing signal according to the matching result (P46);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if there is no missing signal (NO), periodically transmitted signals are continuously detected (P43). Otherwise, if there is a missing signal (YES), the final signal is searched and the final receiving location is confirmed (P47). ; When the final location is confirmed, an alarm indicating distress is generated (P48); Step (P49) where, upon occurrence of an alarm, a rescue standby is made for the rescue of a drowning person, and navigation is controlled accordingly; Upon confirmation of the distress location, the search activity of the distressed person is initiated, and dist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P51); If a person in distress i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earch (NO), the situation is confirmed (P54). In contrast, if the status is unconfirmed (YE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various external rescue facilities to request rescue (P52); and the phase in which rescue efforts continue (P53). Afterwards, the situation can be checked as to whether the drowned person has been found (P54).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선박에 조난 발생 및 그에 따른 감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선박의 종류 또는 용도에 따라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P48), 선박의 운항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조난 알림(P48) 또는 구조 활동(P53)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As explained above, distress occurrence and corresponding detection methods can be applied to ships of various sizes, and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depending on the type or purpose of the ship (P48), the operation of the ship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Distress notification (P48) or rescue operation (P53)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appended below.

11: 신호 송신기 12: 무선 신호 스캐너
13: 단말 모듈 14: 익수자 확인 모듈
15: 관리 모듈 17: 구조 활동 모듈
20: 선박 21: 운항 관리 공간
32: 구조 요청 모듈 33: 승선원 등록기
35: 알람 장치 36: 자동 조타 시스템
37: 구조 장비 제어 모듈 121 내지 12k: 수신 스캐너
11: signal transmitter 12: wireless signal scanner
13: terminal module 14: victim confirmation module
15: Management module 17: Rescue activity module
20: Ship 21: Operation management space
32: Rescue request module 33: Crew register
35: alarm device 36: automatic steering system
37: Rescue equipment control module 121 to 12k: Receiving scanner

Claims (3)

실시간으로 무선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비콘 블루투스 모듈(beacon blue tooth module)을 포함하는 휴대용 신호 송신기(11);
휴대용 신호 송신기(1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스캔하는 무선 신호 스캐너(12);
무선 신호 스캐너(12)의 스캔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모듈(13);
단말 모듈(13)로부터 전송된 스캔 신호로부터 각각의 선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익수자 확인 모듈(14); 및
익수자 확인 모듈(14)의 확인 결과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35)를 포함하고,
무선 신호 스캐너(12)는 선박 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는 각각 GPS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각각의 수신 스캐너(121 내지 12k)에 포함된 GPS 정보와 결합되어 단말 모듈(13)로 전송되고,
조난 상황을 외부 구조 기관으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구조 요청 모듈(32); 및 조난 상황이 발생되면 조난이 발생한 지역을 중심으로 선박이 선회하도록 자동 운항하는 자동 조타 시스템(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
A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capable of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in real time and including a beacon bluetooth module that periodically emits signals;
a wireless signal scanner (12) that scans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signal transmitter (11);
A terminal module 13 that receives a scan signal from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a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that confirms the location of each crew member from the sca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odule 13; and
It includes an alarm device (35) tha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of the drowning person confirmation module (14),
The wireless signal scanner 12 consists of a plurality of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hip,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scanners 121 to 12k each include a GPS module, and each receiving scanner ( The signals received by 121 to 12k) are combined with GPS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receiving scanner 121 to 12k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odule 13,
A rescue request module 32 that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distress situation to an external rescue organization; And when a distress situation occurs, the drowned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steering system (36) that automatically operates the vessel to turn around the area where the distress occur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작동되는 구조 장비 제어 모듈(37)을 더 포함하는 익수자 감지 및 경보 시스템.The drowning pers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cue equipment control module (37)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distress situation. 삭제delete
KR1020230012652A 2020-09-28 2023-01-31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KR102633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652A KR102633185B1 (en) 2020-09-28 2023-01-31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853A KR20220042701A (en) 2020-09-28 2020-09-28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KR1020230012652A KR102633185B1 (en) 2020-09-28 2023-01-31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853A Division KR20220042701A (en) 2020-09-28 2020-09-28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916A KR20230019916A (en) 2023-02-09
KR102633185B1 true KR102633185B1 (en) 2024-02-02

Family

ID=811823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853A KR20220042701A (en) 2020-09-28 2020-09-28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KR1020230012652A KR102633185B1 (en) 2020-09-28 2023-01-31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853A KR20220042701A (en) 2020-09-28 2020-09-28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2701A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827B1 (en) * 2016-09-26 2021-11-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ufferer on the Sea
KR101852770B1 (en) 2017-10-24 2018-04-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detection method for disabled ships and persons overboard based on airborne hyperspectral images
KR20200034280A (en) * 2018-09-21 2020-03-31 박창우 Mari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2116563B1 (en) 2018-11-07 2020-06-09 주식회사 마린테크노코리아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ress passenger of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01A (en) 2022-04-05
KR20230019916A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694B2 (en) Proximity dead man interrupter, alarm and reporting system
US8674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tress at sea
US20080174484A1 (en) Location Recording System
KR101205411B1 (en) Real time location system and method in the sea using ultrasonic and RF signal
KR101523704B1 (en) Distress signal transmitter and life jacket within the same
KR101641787B1 (en) Platform and method for safety navigation and disaster response of iot intelligent ship
KR101791379B1 (en) Distress Support and Response System for Small Ship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21165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ress passenger of vessel
KR102098778B1 (en) Lafesaving system on sea using geof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180042655A (en) Ship emergency response system
KR20200034280A (en) Mari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836831B1 (en) Distress response apparatus for ship based on wearable devices
KR101870208B1 (en) Method for providing rescue service based on mobile phone and gps
KR20160054350A (en) Disaster signal Device
KR101653754B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providing maritime safety service by using information on danger area
KR102633185B1 (en) A Mayday System for Detecting a Drowned Man and Alarming Using A Mobile Device
KR20170000637A (en) 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processing emergency situation
KR102142381B1 (en) Marin safety alarm system and method the same
EP4128182B1 (en) Mobile base,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on of a mobile object
KR102192784B1 (en) Maritime life saving system with a geof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KR201601407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alarm in vessel
KR20140040967A (en) Maritime rescue system and method
WO1996013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ching/supervising and alerting stationary and/or mobile objects
KR102407829B1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to prepare for maritime distress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00295675A1 (en) Lo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