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746B1 - 격납식 테이블 구조 - Google Patents

격납식 테이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746B1
KR102632746B1 KR1020220032882A KR20220032882A KR102632746B1 KR 102632746 B1 KR102632746 B1 KR 102632746B1 KR 1020220032882 A KR1020220032882 A KR 1020220032882A KR 20220032882 A KR20220032882 A KR 20220032882A KR 102632746 B1 KR102632746 B1 KR 10263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racket
table structure
main frame
mou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5420A (ko
Inventor
고성훈
김두하
김성관
오세원
이승영
장영수
조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746B1/ko
Publication of KR2023013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를 제공한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는 테이블의 팝업을 개시하는 레버,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정의된 마운트 브라켓,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시트의 측면 사이에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레버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당겨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 간의 락킹이 해제되고,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락킹 해제에 의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상기 가이드 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회전에 의해 팝업된다.

Description

격납식 테이블 구조{Storage type table structure}
본 발명은 시트의 일측에 제공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2열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테이블이 구비된다. 2열 탑승자는 테이블에 다양한 물건 또는 음식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1열 시트의 후면에 장착되는 방식(이하, 시트백 마운트 방식)과 차량의 2열의 센터 콘솔에 장착되는 방식(이하, 센터 콘솔 방식)으로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시트백 마운트 방식은 1열에 탑승한 탑승자가 시트를 동작하는 경우 테이블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되어 2열에 탑승한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한다. 또한, 센터 콘솔 방식은 2열 시트의 시트 쿠션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별도의 구조물이 추가되어야 하고, 2열 시트의 동작에 의해 테이블의 앞뒤 위치가 바뀌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시트의 전후 이동 및 시트의 각도 변화에도 테이블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되지 않는 테이블 구조에 대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팝업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트의 위치 및 각도 변화에도 테이블의 위치와 각도가 변하지 않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를 제공한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는 테이블의 팝업을 개시하는 레버,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정의된 마운트 브라켓,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시트의 측면 사이에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레버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당겨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 간의 락킹이 해제되고,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락킹 해제에 의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상기 가이드 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회전에 의해 팝업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 고정된 슬라이더 브라켓,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정의된 가이드부를 향해 돌출되는 락핀,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 내에 배치되고, 상기 락핀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락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내부 브라켓 및 상기 내부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브라켓을 당기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내부 브라켓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은 리지드바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리지드바는 상기 내부 브라켓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이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락핀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 내에 정의된 가이드 홀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내부 브라켓을 당기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홀에서 인출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제1 홀이 정의되고, 상기 내부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제2 홀이 정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홀을 관통한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홀을 기준으로 양 끝에 배치되는 경사면들과 접촉하도록 연장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경사면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내부 브라켓을 당기면, 상기 내부 브라켓은 상기 연장부를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잠금 상태일 경우 상기 락핀이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부 내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홀과 대향되는 방향에 정의되는 제2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팝업된 이후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락핀이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 가능하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락핀이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삽입된 이후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락핀의 일단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홀에서 인출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은 상기 내부 브라켓을 상기 리턴 스프링과 연결된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의 일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상기 가이드 핀을 상기 가이드 슬릿 내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은 회전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레버와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상기 시트에 고정시키는 힌지 볼트는 상기 시트의 시트 쿠션의 측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레버와 상기 힌지 볼트는 상기 시트 쿠션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시트의 시트백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핀의 하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핀을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가이드 핀에 인가하고, 상기 가이드 핀의 하부는 상기 시트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바닥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부는 상기 시트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시트백과 인접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제공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슬릿과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핀을 이동시키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릿 내의 특정 위치까지만 이동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가이드 슬릿의 일단과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상기 타단 사이이되, 상기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에 의한 락킹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테이블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정의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락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락핀은 상기 가이드 홀에서 인출되고, 상기 락핀이 인출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릿 내에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의 위치 및 각도 변화에도 테이블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는 레버의 동작 만으로 격납식 테이블 구조를 손쉽게 조작하도록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팝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적용된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내부 브라켓과 락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팝업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완전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B'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9a, 9b,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락핀과 메인 프레임의 가이드부 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적용된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1)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적용될 수 있다. 시트(1)는 시트 쿠션(2) 및 시트백(3)을 포함할 수 있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시트(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시트 쿠션(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탑승자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20), 테이블(20)과 연결된 메인 프레임(300), 메인 프레임(300)과 연결되고 시트 쿠션(2)의 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트 브라켓(미도시) 및 마운트 브라켓(미도시)과 메인 프레임(300)을 시트 쿠션(2)의 측면에 연결하는 힌지 볼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쿠션(2)의 측면에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를 동작시키는 레버(50)가 배치될 수 있다. 시트 쿠션(2)의 측면 상에서 힌지 볼트(30)와 레버(50)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50)는 탑승자가 당김으로써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50)와 힌지 볼트(30)는 시트 쿠션(2)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레버(50)는 시트의(1) 시트백(3)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50)의 동작에 따라 메인 프레임(300)이 힌지 볼트(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레버(50)의 동작에 따라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잠금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팝업 상태란 레버(50)의 동작에 의해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자동적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레버(50), 케이블(100), 마운트 브라켓(200), 메인 프레임(300) 및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50)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10)의 구동을 개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탑승자가 레버(50)를 당기면 케이블(100)이 레버(50) 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케이블(100)은 레버(50)와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를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100)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는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마운트 브라켓(200)은 시트 쿠션(2)의 측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마운트 브라켓(200)은 힌지 볼트(30)를 통해 시트 쿠션(2)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마운트 브라켓(200)에는 메인 프레임(300)의 일 구성인 가이드 핀(310)이 관통되는 가이드 슬릿(210)이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0)은 가이드 핀(310)이 관통된 상태로 가이드 핀(31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곡률진 형태로 개방된 슬릿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핀(310)은 가이드 슬릿(210)에 의해 정의된 곡률진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0)의 중앙 부분에는 가이드 슬릿(210)의 일단과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개방된 면적이 넓은 중심 영역(215)이 정의될 수 있다.
마운트 브라켓(200) 상에는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배치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마운트 브라켓(200)과 시트(1)의 측면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힌지 볼트(30)가 배치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감겨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가이드 핀(310)의 하부와 접촉하여 가이드 핀(310)을 가이드 슬릿(210)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이드 핀(310)에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핀(310)의 하부는 시트(1)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바닥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가이드 슬릿(210)의 상부는 시트(1)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시트백(3)과 인접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릿(210)의 하부는 가이드 슬릿(210)의 일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일 때 가이드 핀(310)은 가이드 슬릿(2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0)의 상부는 가이드 슬릿(210)의 타단을 의미할 수 있다.
마운트 브라켓(200) 상에는 스파이럴 스프링(25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230)가 제공될 수 있다. 스토퍼(230)는 가이드 슬릿(210)과 슬라이더 어셈블리(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230)는 가이드 슬릿(210)의 중심 영역(215)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스토퍼(230)는 중심 영역(215)과 슬라이더 어셈블리(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230)는 가이드 핀(310)을 이동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250)과 접촉하여 가이드 핀(310)이 가이드 슬릿(210) 내의 특정 위치까지만 이동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위치는 가이드 슬릿(210)의 일단과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 사이이되, 가이드 슬릿(210)의 일단은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에 의한 락킹이 유지되는 경우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위치는 상기 중심 영역(215)을 의미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가이드 핀(310)을 가이드 슬릿(210) 내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킴에 따라 메인 프레임(300)은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 핀(310)과 가이드 슬릿(210)은 스파이럴 스프링(250)과 슬라이더 어셈블리(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은 힌지 볼트(30)를 통해 마운트 브라켓(20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은 가이드 슬릿(210)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3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에는 테이블(20)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을 기준으로 마운트 브라켓(200)과 테이블(20)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블(20)과 메인 프레임(300)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은 메인 프레임(300)을 기준으로 힌지 볼트(30)와 대향되는 위치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은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가이드 핀(310)에 인가하는 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다만,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일 경우, 메인 프레임(300)은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에 의해 마운트 브라켓(20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가이드 핀(310)에 힘을 인가하더라도 메인 프레임(30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는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는 케이블(100)을 통해 레버(50)와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는 마운트 브라켓(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50)의 동작에 따라 케이블(100)이 당겨지고, 케이블(100)이 당겨짐에 따라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의 일 구성이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의 동작에 의해 락킹이 해제되는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A-A'를 절단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내부 브라켓과 락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는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부 브라켓(420), 락핀(430), 리턴 스프링(440) 및 락핀 스프링(45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브라켓(410)은 마운트 브라켓(2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 브라켓(410)은 마운트 브라켓(200)을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300)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 브라켓(410)과 메인 프레임(300) 사이에 마운트 브라켓(200)이 위치할 수 있다.
내부 브라켓(420)은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슬라이더 브라켓(410)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이 아닐 수 있다. 내부 브라켓(420)은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내부 브라켓(420)의 이동을 위해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에는 레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브라켓(420)의 이동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424)가 내부 브라켓(420)에 제공될 수 있고, 지지부(424)는 슬라이더 브라켓(410)에 정의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424)와 슬라이더 브라켓(410)에 정의된 홈 간의 결합에 의해 내부 브라켓(420)이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내부 브라켓(420)은 케이블(100)과 연결되는 연결부(421) 및 락핀(430)이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사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21)는 케이블(100)과 직접 연결되거나, 리지드바(150)를 통해 케이블(100)과 연결될 수 있다. 리지드바(150)는 케이블(100)과 달리 유연하지 않은 구성으로, 케이블(100)이 레버(50)에 의해 당겨질 때 내부 브라켓(420)이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에서 정해진 경로 상에서만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리지드바(15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부 브라켓(420)이 슬라이더 브라켓(41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케이블(100)은 유연한 소재로 제작되므로, 케이블(100)이 내부 브라켓(420)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 내부 브라켓(420)이 이동하는 경로와 케이블(100)이 연결부(421)를 당기는 방향이 서로 달라 내부 브라켓(42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리지드바(150)는 케이블(100)이 연결부(421)를 당기는 방향과 내부 브라켓(420)의 이동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경사면(422)은 락핀(430)과 접촉되는 면일 수 있다. 내부 브라켓(420)이 움직임에 따라 락핀(430)은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케이블(100)이 연결부(421)를 당기면 내부 브라켓(420)이 리턴 스프링(4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내부 브라켓(420)이 리턴 스프링(4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락핀(430)은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락핀(430)은 메인 프레임(300)에 정의된 제1 가이드 홀(321)에서 인출될 수 있다.
락핀(430)은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을 직접적으로 수행하거나 해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핀(430)은 “T”자 형태일 수 있다. 락핀(430)은 마운트 브라켓(200)에서 메인 프레임(300)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락핀(430)은 마운트 브라켓(200)을 관통하여 메인 프레임(300)에 정의된 가이드부(미도시)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더 브라켓(410)에는 락핀(430)이 관통하는 제1 홀(415)이 정의될 수 있고, 내부 브라켓(420)에는 락핀(430)이 관통하는 제2 홀(425)이 정의될 수 있고, 마운트 브라켓(200)에는 락핀(430)이 관통하는 제3 홀(205)이 정의될 수 있다.
락핀(430)은 마운트 브라켓(200)을 관통하여 가이드부(미도시) 내에 정의된 제1 가이드 홀(321)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431), 돌출부(431)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 브라켓(420)의 경사면(422)과 접촉하는 연장부(432) 및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사이에서 돌출부(43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31)는 핀 형상일 수 있고, 연장부(432)는 돌출부(431)가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433)는 돌출부(431)가 연장되는 방향과 실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연장부(432)는 제2 홀(425)을 관통한 돌출부(4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2 홀(425)을 기준으로 양 끝에 배치되는 경사면들(422)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422)은 마운트 브라켓(200)에서 메인 프레임(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432)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일 때 경사면(422)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경사면(422)의 최하단은 슬라이더 브라켓(410)과 내부 브라켓(420)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고정부(433)는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사이에 배치되어 락핀(430)이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33)는 돌출부(431)에 삽입된 락핀 스프링(450)을 슬라이더 브라켓(410)과 고정부(433) 사이에 배치되도록 락핀 스프링(4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락핀 스프링(450)은 마운트 브라켓(200)과 고정부(4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440)은 내부 브라켓(420)과 슬라이더 브라켓(4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턴 스프링(440)은 연결부(421)와 슬라이더 브라켓(41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리턴 스프링(440)은 슬라이더 브라켓(4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440)은 슬라이더 브라켓(410)의 일단을 향해 내부 브라켓(420)을 당기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부(421)는 리턴 스프링(44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락핀(430)과 리턴 스프링(440) 사이에 연결부(421)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여, 탑승자가 레버(50)을 동작시키지 않으면,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락핀(430)은 제1 가이드 홀(3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은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핀(310)은 가이드 슬릿(2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가이드 핀(310)에 힘을 인가하지만, 가이드 핀(310)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팝업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버(50)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100)이 슬라이더 어셈블리(400)를 당겨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50)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100)이 내부 브라켓(420)을 당길 수 있다. 케이블(100)은 내부 브라켓(420)을 리턴 스프링(440)과 연결된 슬라이더 브라켓(410)의 일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100)이 내부 브라켓(420)을 당기면, 내부 브라켓(420)은 락핀(430)의 연장부(432)를 마운트 브라켓(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연장부(432)는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돌출부(431)은 제1 가이드 홀(32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연장부(432)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팝업 상태일 때 경사면(422)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경사면(422)의 최상단은 슬라이더 브라켓(410)과 내부 브라켓(420)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돌출부(431)가 제1 가이드 홀(321)에서 인출됨에 따라,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가이드 핀(310)에 지속적으로 힘을 인가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에 의한 락킹 해제로 인해 가이드 핀(310)과 연결된 메인 프레임(300)이 회전에 의해 팝업 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가이드 핀(310)을 가이드 슬릿(210) 내의 상부(즉, 가이드 슬릿(210)의 타단)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가이드 홀(321)에서 인출된 돌출부(431)는 메인 프레임(300)에 정의된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은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에서의 메인 프레임(300)의 위치 대비 90도 이내의 각도로 회전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인 프레임(300)은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에서의 메인 프레임(300)의 위치 대비 30도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230)는 스파이럴 스프링(250)과 접촉하여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더 이상 가이드 핀(310)에 힘을 인가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핀(310)은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스토퍼(230)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이 스토퍼(230)와 접촉할 때, 가이드 핀(310)은 가이드 슬릿(210)의 중심 영역(215)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토퍼(230)와 스파이럴 스프링(250)의 접촉에 의해 메인 프레임(300)은 90도까지 회전되지 않고 그 회전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230)의 위치에 따라 메인 프레임(300)이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의 레버(50) 조작에 의해,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잠금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가이드 핀(310)에 힘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고 있으나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는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더 어셈블리(400)에 의한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이 유지되어 메인 프레임(300)이 이동될 수 없다. 다만, 레버(50)가 동작되면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이 해제되고, 스파이럴 스프링(250)은 가이드 핀(310)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메인 프레임(300)이 회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탑승자는 레버(50)의 동작 만으로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를 손쉽게 조작하도록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팝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완전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B-B'를 절단한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탑승자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팝업 상태에 있는 경우 수동으로 격납식 테이블 구조(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스토퍼(230)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250)의 이동은 제한되므로, 스파이럴 스프링(250)과 가이드 핀(310)은 서로 떨어질 수 있다. 탑승자가 메인 프레임(300)을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은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에서 팝업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탑승자는 메인 프레임(300)이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의 메인 프레임(300) 위치 대비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탑승자가 메인 프레임(300)을 수동으로 동작시킴에 따라 가이드 핀(310)은 가이드 슬릿(210)의 타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의 이동에 의해 락핀(430)의 돌출부(431)는 메인 프레임(300)의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돌출부(431)는 제2 가이드 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락핀 스프링(450)은 락핀(430)의 돌출부(431)를 메인 프레임(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미도시) 상으로 이동되면 락핀 스프링(450)에 의해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미도시)에 삽입되면, 연장부(432)는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되어 경사면(422)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연장부(432)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일 때와 동일한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따라,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라임(300)의 락킹이 체결될 수 있다. 탑승자는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라임(300)의 락킹이 체결된 이후, 테이블(20)을 수동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9a, 9b,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납식 테이블 구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락핀과 메인 프레임의 가이드부 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잠금 상태일 경우이고, 도 9b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팝업 상태일 경우이고, 도 9c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완전 작동된 상태이다.
도 2, 도 3, 도 9a, 9b 및 9c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300)에는 락핀(430)의 돌출부(431)이 이동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0) 및 가이드부(320)의 양 끝단에 정의된 가이드 홀들(321, 322)에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홀들(321, 322)은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일 경우 락핀(430)의 돌출부(431)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홀(321) 및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완전 작동된 상태일 경우 락핀(430)의 돌출부(431)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20) 내에서 제1 가이드 홀(321)과 제2 가이드 홀(322)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정의될 수 있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잠금 상태일 경우, 돌출부(431)는 제1 가이드 홀(321)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돌출부(431)는 내부 브라켓(420)에 정의된 제2 홀(425), 슬라이더 브라켓(410)에 정의된 제1 홀(415) 및 마운트 브라켓(200)에 정의된 제3 홀(205)을 관통한 상태로 제1 가이드 홀(321)에 삽입될 수 있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팝업 상태일 경우, 돌출부(431)는 제1 가이드 홀(321)에 인출된 이후 가이드부(42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300)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팝업된 이후, 메인 프레임(300)은 락핀(430)의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322)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432)는 경사면(422)와 접촉된 상태로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격납식 테이블 구조(10)가 완전 작동 상태일 경우, 돌출부(431)는 제2 가이드 홀(32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탑승자가 메인 프레임(300)을 수동으로 동작시킴에 따라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322) 상으로 이동될 수 있고, 락핀 스프링(450)이 고정부(433)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322)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431)가 제2 가이드 홀(322)에 삽입됨으로써, 마운트 브라켓(200)과 메인 프레임(300) 간의 락킹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테이블의 팝업을 개시하는 레버;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정의된 마운트 브라켓;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시트의 측면 사이에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레버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당겨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 간의 락킹이 해제되고,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락킹 해제에 의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상기 가이드 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이 회전에 의해 팝업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 고정된 슬라이더 브라켓;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정의된 가이드부를 향해 돌출되는 락핀;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 내에 배치되고, 상기 락핀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락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내부 브라켓; 및
    상기 내부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브라켓을 당기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브라켓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은 리지드바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리지드바는 상기 내부 브라켓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인,
    격납식 테이블 구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 내에 정의된 가이드 홀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내부 브라켓을 당기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홀에서 인출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제1 홀이 정의되고,
    상기 내부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제2 홀이 정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홀을 관통한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홀을 기준으로 양 끝에 배치되는 경사면들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내부 브라켓을 당기면, 상기 내부 브라켓은 상기 연장부를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격납식 테이블 구조가 잠금 상태일 경우 상기 락핀이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부 내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홀과 대향되는 방향에 정의되는 제2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팝업된 이후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락핀이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삽입될 때까지 회전 가능한,
    격납식 테이블 구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이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삽입된 이후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락핀의 일단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홀에서 인출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내부 브라켓을 상기 리턴 스프링과 연결된 상기 슬라이더 브라켓의 일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상기 가이드 핀을 상기 가이드 슬릿 내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은 회전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상기 시트에 고정시키는 힌지 볼트는 상기 시트의 시트 쿠션의 측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레버와 상기 힌지 볼트는 상기 시트 쿠션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시트의 시트백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핀의 하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핀을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가이드 핀에 인가하고,
    상기 가이드 핀의 하부는 상기 시트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바닥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부는 상기 시트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시트백과 인접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 상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제공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슬릿과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핀을 이동시키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릿 내의 특정 위치까지만 이동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위치는 상기 가이드 슬릿의 일단과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 사이이되, 상기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에 의한 락킹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마운트 브라켓과 상기 테이블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정의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락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락핀은 상기 가이드 홀에서 인출되고, 상기 락핀이 인출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슬릿 내에서 이동되는,
    격납식 테이블 구조.

KR1020220032882A 2022-03-16 2022-03-16 격납식 테이블 구조 KR10263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882A KR102632746B1 (ko) 2022-03-16 2022-03-16 격납식 테이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882A KR102632746B1 (ko) 2022-03-16 2022-03-16 격납식 테이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420A KR20230135420A (ko) 2023-09-25
KR102632746B1 true KR102632746B1 (ko) 2024-02-05

Family

ID=8819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882A KR102632746B1 (ko) 2022-03-16 2022-03-16 격납식 테이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7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145B1 (ko) * 2008-11-28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백 테이블 로킹장치
KR101926066B1 (ko) * 2012-12-27 2018-12-06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KR102264389B1 (ko) * 2019-11-13 2021-06-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420A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056B2 (en)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US6336679B1 (en) Rotary recliner control mechanism for multifunction vehicle seat applications
JPH0355457Y2 (ko)
US6047444A (en) Positive lock armrest mechanism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11427325B2 (en) Table apparatus
US9944204B2 (en) Rear seat having two independent modes
US10065549B2 (en) Device for locking a folding element in position for a vehicle seat
KR20120020918A (ko) 차량의 후석 테이블 어셈블리
JP2002362199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
KR102632746B1 (ko) 격납식 테이블 구조
JP200122567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017995B2 (en) Vehicle seat having a backrest locking assembly
US11951883B2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US10315540B2 (en) Inertia stop link for stadium style seat cushion stowed positioning
JP2991034B2 (ja) 車両用シート
CN115162873A (zh) 可翻转扶手及具有该可翻转扶手的控制台组件
KR102623415B1 (ko) 차량용 시트백 구속장치
CN112888595A (zh) 用于使座椅在机动车辆中旋转的旋转机构
JP7304263B2 (ja) 鉄道車両用フック装置
US11718205B2 (en) Walk-in device for seat
US11845365B2 (en) Locking device for walk-in seat of vehicle
JP2017214020A (ja) シート装置
EP1241044B1 (en) Seat structure for a vehicle
KR20240066725A (ko) 시트의 워크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