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450B1 -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450B1
KR102630450B1 KR1020210186980A KR20210186980A KR102630450B1 KR 102630450 B1 KR102630450 B1 KR 102630450B1 KR 1020210186980 A KR1020210186980 A KR 1020210186980A KR 20210186980 A KR20210186980 A KR 20210186980A KR 102630450 B1 KR102630450 B1 KR 10263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rk
plate
fram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470A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21018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4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2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wherein plane surfaces are wor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47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71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which simultaneously apply a decorat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에 코르크 조각을 균일하게 산포되어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부; 유도판부; 진동부; 유도판 지지부; 산포롤부; 및 조절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CORK ATTACHED FLOOR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재에 코르크 조각을 균일하게 산포되어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보행이 많은 곳, 특히 철도, 선박, 차량 등의 교통수단에 널리 사용되는 바닥재는 유색의 장식칩이 산포되어 장식성을 높이거나, 무기소재의 알갱이칩이 산포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바닥재의 표면에 코르크 조각을 산포할 때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의 코르크 조각 산포량 차이로 인하여 색상 등의 외관 차이를 유발하거나 코르크 조각의 분포량 차이로 인한 물성변화로 품질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바닥재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908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0688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바닥재에 코르크 조각을 균일하게 산포되어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는, 판 형의 바닥재의 표면에 산포되는 코르크 조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을 공급받는 판 형의 유도판부; 상기 유도판부의 하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며, 상기 호퍼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유도판부를 따라 전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 상기 유도판부의 후단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유도판부의 후단 하측을 지지하는 유도판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유도판 지지부; 상기 유도판부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복수의 코르크 조각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유도판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코르크 조각수용홈에 수용된 후, 회전에 의해 상기 코르크 조각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코르크 조각을 낙하시켜서 상기 바닥재에 산포시키는 원통형의 산포롤부; 및 상기 산포롤부에 의해 상기 바닥재에 코르크 조각이 균일하게 산포되도록 상기 산포롤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고, 상기 산포롤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코르크 조각수용홈을 초과하는 코르크 조각을 상기 산포롤부로부터 제거하는 복수의 브러시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조절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는, 상기 산포롤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바닥재에 고르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산포롤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산포롤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을 분산시켜 주는 코르크 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르크 확산부는, 상기 산포롤부와 대향하는 상측 경사면을 형성하며 고정 설치되는 경사형 지지대;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거치대 안착홈 마다 설치되는 분산판 거치대; 상기 분산판 거치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코르크 분산판;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상측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코르크 분산판으로 낙하된 후 상기 코르크 분산판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들을 서로 분리시켜 주는 코르크 유도홈;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코르크 분산판과의 충돌 후 튕겨서 상기 코르크 분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코르크 조각을 상기 코르크 유도홈의 상측 입구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르크 유도홈의 상측 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코르크 분산판과의 충돌 후 튕겨서 상기 코르크 분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산판 거치대는,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 안착홈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코르크 조각을 바닥재에 균일하게 칩을 산포할 수 있으므로, 바닥재의 표면에 코르크 조각을 산포할 때, 바닥재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의 코르크 조각 산포량의 차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색상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아서 바닥재의 장식성을 높일 수 있고, 논슬립칩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미끄럼성이나 마모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도판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코르크 확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분산판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10)는, 호퍼부(11), 유도판부(12), 진동부(13), 유도판 지지부(14), 산포롤부(15) 및 조절롤부(16)를 포함한다.
호퍼부(11)는, 판 형의 바닥재(P)의 표면에 산포되는 코르크 조각(10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1a)이 구비되며, 저장공간(11a)에 저장되어 있는 코르크 조각(100)을 하측에 배치되는 유도판부(12)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재(P)는, 하부층(P1), 기재층(P2) 및 표면층(P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층(P1)은 다양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조하지 않은 부직포, 직조한 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과 같이 일반적인 직물 또는 부직포 형태로 가공된 메트 형태의 반제품과 카렌다, 또는 압출방식으로 가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류 소재의 시트 형태의 반제품을 적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재층(P2)은, 유리섬유 메트에 PVC페이스트 졸을 나이프 코타 또는 콤마 코타로 코팅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부층(P1)에 접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표면층(P3)은, 유리섬유 메트를 포함한 함침층인 기재층(P2) 위에 유색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코르크 조각(100)이 산포된다.
유도판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포롤부(15)와 대향하는 전단이 유도판 지지부(14)에 의해 지지되는 후단 보다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호퍼부(11)의 하부에 구비되며, 호퍼부(11)로부터 낙하하는 코르크 조각(100)을 공급받으며, 하측에 설치되는 진동부(13)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코르크 조각(100)을 산포롤부(15)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유도판부(12)는,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회동축(12a)를 축으로 하여 하측에 설치되는 진동부(13)에 의해 진동되며, 후단에 설치되는 유도판 지지부(14)에 의해 지지된다.
진동부(13)는, 유도판부(12)의 하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며, 호퍼부(11)로부터 낙하하는 코르크 조각(100)이 유도판부(12)를 따라 전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판부(12)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준다.
유도판 지지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판부(12)의 후단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14a), 및 고정 플레이트(14a)의 상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14b) 마다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유도판부(12)의 후단 하측을 지지하는 유도판 지지대(14c)로 이루어진다.
산포롤부(15)는, 유도판부(12)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복수의 코르크 조각수용홈(15a)이 요입 형성되어, 유도판부(12)에 의해 이동된 코르크 조각(100)이 코르크 조각수용홈(15a)에 수용된 후, 회전에 의해 코르크 조각수용홈(15a)에 수용된 코르크 조각(100)을 낙하시켜서 바닥재(P)에 산포시킨다.
조절롤부(16)는, 산포롤부(15)에 의해 바닥재(P)에 코르크 조각(100)이 균일하게 산포되도록 산포롤부(15)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고, 산포롤부(15)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코르크 조각수용홈(15a)을 초과하는 코르크 조각(100)을 산포롤부(15)로부터 제거하는 복수의 브러시가 외주면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10)는, 코르크 조각을 바닥재에 균일하게 칩을 산포할 수 있으므로, 바닥재의 표면에 코르크 조각을 산포할 때, 바닥재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의 코르크 조각 산포량의 차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색상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아서 바닥재의 장식성을 높일 수 있고, 논슬립칩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미끄럼성이나 마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20)는, 호퍼부(11), 유도판부(12), 진동부(13), 유도판 지지부(14), 산포롤부(15), 조절롤부(16) 및 코르크 확산부(17)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퍼부(11), 유도판부(12), 진동부(13), 유도판 지지부(14), 산포롤부(15) 및 조절롤부(16)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코르크 확산부(17)는, 산포롤부(15)로부터 낙하하는 코르크 조각(100)이 바닥재(P)에 고르게 안착될 수 있도록 산포롤부(15)의 하측에 설치되어 산포롤부(15)로부터 낙하하는 코르크 조각(100)을 분산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코르크 확산부(17)는, 코르크 분산판(400), 경사형 지지대(500), 분산판 거치대(600), 코르크 유도홈(800),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900) 및 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1000)를 포함한다.
경사형 지지대(500)는, 산포롤부(15)와 대향하는 상측 경사면을 형성하며 고정 설치된다.
분산판 거치대(600)는, 경사형 지지대(500)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거치대 안착홈(510) 마다 설치되며, 코르크 분산판(400)가 상측에 안착된다.
코르크 분산판(400)은, 분산판 거치대(600)의 상측에 안착되며, 하측을 따라 분산판 거치대(600)의 상부, 즉 상부 지지대(610)가 안착되기 위한 거치대 안착홈(410)이 형성된다.
코르크 유도홈(800)은, 코르크 분산판(400)의 상측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코르크 분산판(400)으로 낙하된 후 코르크 분산판(40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코르크 조각(100)들을 서로 분리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코르크 유도홈(800)은, 코르크 조각(1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측 입구(810)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900)는, 코르크 조각(100)이 코르크 분산판(400)과의 충돌 후 튕겨서 코르크 분산판(4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르크 조각(100)을 코르크 유도홈(800)의 상측 입구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코르크 유도홈(800)의 상측 입구에 대응하는 코르크 분산판(400)의 상측에 설치된다.
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1000)는, 코르크 조각(100)이 코르크 분산판(400)과의 충돌 후 튕겨서 코르크 분산판(4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900)로부터 이격되어 코르크 분산판(4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코르크 확산부(17)는, 바닥재(P)에 코르크 조각(100)이 보다 균일하게 산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바닥재(P)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분산판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판 거치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거치대 안착홈(410)에 안착되어 코르크 분산판(4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거치대 안착홈(510)에 안착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판 거치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9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11: 호퍼부
12: 유도판부
13: 진동부
14: 유도판 지지부
15: 산포롤부
16: 조절롤부

Claims (7)

  1. 판 형의 바닥재의 표면에 산포되는 코르크 조각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을 공급받는 판 형의 유도판부;
    상기 유도판부의 하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며, 상기 호퍼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유도판부를 따라 전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도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주는 진동부;
    상기 유도판부의 후단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유도판부의 후단 하측을 지지하는 유도판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유도판 지지부;
    상기 유도판부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복수의 코르크 조각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유도판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코르크 조각수용홈에 수용된 후, 회전에 의해 상기 코르크 조각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코르크 조각을 낙하시켜서 상기 바닥재에 산포시키는 원통형의 산포롤부; 및
    상기 산포롤부에 의해 상기 바닥재에 코르크 조각이 균일하게 산포되도록 상기 산포롤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고, 상기 산포롤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코르크 조각수용홈을 초과하는 코르크 조각을 상기 산포롤부로부터 제거하는 복수의 브러시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조절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포롤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바닥재에 고르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산포롤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산포롤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을 분산시켜 주는 코르크 확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르크 확산부는,
    상기 산포롤부와 대향하는 상측 경사면을 형성하며 고정 설치되는 경사형 지지대;
    상기 경사형 지지대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거치대 안착홈 마다 설치되는 분산판 거치대;
    상기 분산판 거치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코르크 분산판;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상측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코르크 분산판으로 낙하된 후 상기 코르크 분산판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코르크 조각들을 서로 분리시켜 주는 코르크 유도홈;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코르크 분산판과의 충돌 후 튕겨서 상기 코르크 분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코르크 조각을 상기 코르크 유도홈의 상측 입구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르크 유도홈의 상측 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코르크 조각이 상기 코르크 분산판과의 충돌 후 튕겨서 상기 코르크 분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후단 이탈 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 거치대는,
    상기 코르크 분산판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 안착홈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KR1020210186980A 2021-12-24 2021-12-24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KR10263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980A KR102630450B1 (ko) 2021-12-24 2021-12-24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980A KR102630450B1 (ko) 2021-12-24 2021-12-24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70A KR20230097470A (ko) 2023-07-03
KR102630450B1 true KR102630450B1 (ko) 2024-01-29

Family

ID=8715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980A KR102630450B1 (ko) 2021-12-24 2021-12-24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4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311A (ja) * 2001-07-19 2003-01-29 Uchiyama Mfg Corp 木質床材とその製造方法
KR102106882B1 (ko) * 2017-09-29 2020-05-06 주식회사 케이씨씨 칩 산포장치와 이를 구비한 바닥재 제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086B1 (ko) 2017-09-29 2019-12-24 주식회사 케이씨씨 칩 적층장치와 이를 구비한 바닥재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311A (ja) * 2001-07-19 2003-01-29 Uchiyama Mfg Corp 木質床材とその製造方法
KR102106882B1 (ko) * 2017-09-29 2020-05-06 주식회사 케이씨씨 칩 산포장치와 이를 구비한 바닥재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70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12143B2 (en) Screening deck
EP2894246B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SU148075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т жел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камней, из зерна и други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2630450B1 (ko) 코르크가 부착된 바닥재 제조 장치
WO2020237166A3 (en) Actuator assembli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01024906A1 (en) A screen for a vibratory separator and method of screening material with a vibratory separator
CN202527360U (zh) 一种新型震动筛料机
JP6391672B2 (ja) 繊維製品を乾式成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4736257B (zh) 粒子分配装置和在移动支架上形成粒子层的方法
CN211989645U (zh) 一种变性淀粉防堵筛分机
US440301A (en) Machine for separating flour
CN1305744C (zh) 薄板状材料物的送出装置
KR100385277B1 (ko) 섬유 결합체를 성형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성형된 섬유결합체 및 섬유결합체 성형장치
KR200344818Y1 (ko) 쇄석 선별장치
CN211134579U (zh) 一种分子筛用分级振动装置
KR102632753B1 (ko) 직물 원단 가공 장치
KR20190037527A (ko) 칩 적층장치와 이를 구비한 바닥재 제조시스템
JP4007998B2 (ja) 粉選別器、粉選別装置、及び移動部材
JP2003334494A (ja) 縦落ち防止篩機
JP2003513859A (ja) 分割された粒状材料を含む包装製品または調整固定製品の製造装置、ならびに得られる製品
CN102632035A (zh) 橡胶粉末振动筛
KR102527274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마스크 제조 장치
US749578A (en) Screen.
CN202061799U (zh) 一种振动筛
JP3011937U (ja) 比重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