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132B1 - 캐비닛 - Google Patents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132B1
KR102630132B1 KR1020210094223A KR20210094223A KR102630132B1 KR 102630132 B1 KR102630132 B1 KR 102630132B1 KR 1020210094223 A KR1020210094223 A KR 1020210094223A KR 20210094223 A KR20210094223 A KR 20210094223A KR 102630132 B1 KR102630132 B1 KR 10263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body
wiring
power cab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451A (ko
Inventor
황상협
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21009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도어에 각각 설치된 도어 록의 전원을 위한 배선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는 캐비닛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은,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각각 개폐하고 도어 록이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도어와,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 각각의 내벽과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을 연결하고 각각의 상기 도어 록과 제1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중 이웃하는 배선 커넥터의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제3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원출력단자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캐비닛{CABINET}
본 발명은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도어 록(door lock)이 구비된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센터에는 고객의 옷이나 소지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도어에 도어 록(door lock)이 구비된 캐비닛을 설치해 놓은 방인 로커 룸(locker room)이 마련된다.
최근, 상기 로커 룸은 상기 스포츠 센터 뿐만 아니라, 사무업무를 하는 회사에도 마련되어 서류, 비품, 사무용품 또는 개인물품 등을 상기 캐비닛에 보관하기도 한다.
상기 캐비닛은,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로 구비되고, 상기 도어 록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최근 상기 도어 록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키로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상기 도어 록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이 필요로 하며, 상기 캐비닛을 복수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전원케이블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전원케이블들의 배선처리가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개의 도어에 각각 설치된 도어 록의 전원을 위한 배선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는 캐비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은, 본체, 복수개의 도어 및 복수개 배선 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도어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각각 개폐한다. 상기 복수개의 도어에는 도어 록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는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 각각의 내벽과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을 연결한다.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는 각각의 상기 도어 록과 제1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에는 전원입력단자 및 전원출력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전원출력단자는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중 이웃하는 배선 커넥터의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제3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은, 본체 결합부, 도어 결합부 및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도어 결합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전원출력단자는 상기 본체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전원공급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 전원케이블과 제4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수납되는 전원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측판에는 배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홀은 상기 전원실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선홀에는 상기 제4 전원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측판 외측에는 상기 제2 전원케이블, 상기 제3 전원케이블 및 상기 제4 전원케이블이 배선되는 제1 배선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좌우로 배열된 복수개의 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홈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중 이웃하는 본체에 의해 가리어질 수 있다. 상기 배선홀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각각의 양측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전원케이블은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각각에 형성된 상기 배선홀을 적어도 하나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각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원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부 전면에는 상기 전원실의 전면을 덮는 상단전면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전면판에는 상기 전원실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도어는 상기 본체의 측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측판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배선되는 제2 배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홈은 배선커버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도어 록의 고장 시 상기 제1 전원케이블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은, 복수개의 수납공간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에는, 도어 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중 이웃하는 배선 커넥터의 상기 전원입력단자로 전원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를 이용하여 배선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은,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를 통해 도어 록의 배선작업을 하게 되므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전원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에서 일부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의 본체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에서 상단전면판을 제거하고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이 복수개로 좌우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4 전원케이블의 배선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에서 일부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1)은 본체(100) 및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전면이 개구된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에 서류, 비품 또는 사무용품을 비롯한 개인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좌측판(110), 우측판(120), 후판(130), 상판(140), 바닥판(미도시), 상단전면판(150), 하단전면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판(110)은 본체(100)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우측판(120)은 본체(10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판(130)은 본체(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140)은 본체(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본체(10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단전면판(150)은 본체(100)의 상단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단전면판(160)은 본체(100)의 하단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이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은 상단전면판(150) 및 하단전면판(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은 제1 수납공간(101), 제2 수납공간(102) 및 제3 수납공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공간(101)은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납공간(101)은 제2 수납공간(10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납공간(102)은 제1 수납공간(101) 및 제2 수납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납공간(102)은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 중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납공간(103)은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수납공간(103)은 제2 수납공간(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 각각에는 구획판(171, 172)이 설치될 수 있다. 구획판(171, 172)은 각각의 수납공간(101, 102)을 복수개의 수납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판(171, 172)은, 각각의 수납공간(101, 102)마다 복수개의 구획판이 설치될 수도 있고, 각각의 수납공간(101, 102)에 하나도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상단전면판(150) 및 하단전면판(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전면판(150)은 후술하는 전원실(105, 도 7 참조)의 개구된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상단전면판(150)에는 전원실(105)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방열홀(155,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실(105)의 열은 복수개의 방열홀(155)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본체(100)의 측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은 일측이 본체(100)의 측판에 도어 힌지(미도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은 우측이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상기 도어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자신의 우측에 연결된 상기 도어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제1 도어(210), 제2 도어(220) 및 제3 도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210)는 제1 수납공간(101)을 개폐할 수 있고, 제2 도어(220)는 제2 수납공간(102)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제3 도어(230)는 제3 수납공간(103)을 개폐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는 제1 수납공간(101), 제2 수납공간(102) 및 제3 수납공간(103)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210)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어(210)는 제2 도어(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220)는 제1 도어(210) 및 제3 도어(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220)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중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어(230)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도어(230)는 제2 도어(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에는 도어 록(door lock, 211, 221, 231)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어 록(211, 221, 231)은, 제1 도어(210)에 설치되는 제1 도어 록(211)과, 제2 도어(220)에 설치되는 제2 도어 록(221)과, 제3 도어(230)에 설치되는 제3 도어 록(23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은,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의 외벽에 설치되는 부분과,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의 내벽에 설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은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의 외벽에 설치되는 부분에 사용자가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의 잠금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식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은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의 내벽에 설치되는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잠금바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210, 220, 230)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잠금바가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의 내벽에 설치되는 부분에서 측면(좌측)으로 돌출되어 각각의 수납공간(101, 102, 103)의 측벽(좌측판(110)의 내벽)에 설치된 걸림부재의 홀 또는 홈에 삽입되어서,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은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전자식 입력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잠금바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의 내벽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홀 또는 홈에서 빠져나와서,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은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은 전기에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1)은, 각각의 도어 록(211, 221, 231)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전원케이블(410, 420, 430, 4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전원케이블(410, 420, 430, 440)을 깔끔하게 배선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를 2개만 예로 들었으나,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는 도어 록(211, 221, 23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 각각과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각각을 연결하여서,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에 각각 설치된 도어 록(211, 221, 231)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만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도 2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와 관련된 2개의 수납공간(101, 102)만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도 2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와 관련된 2개의 도어(210, 220)만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도어 록(211, 221, 231)도 2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와 관련된 2개의 도어 록(211, 221)만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는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각각의 내벽과 복수개의 도어(210, 220) 각각의 내벽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는, 제1 수납공간(101)의 내벽과 제1 도어(210)의 내벽을 연결하는 제1 배선 커넥터(310)와, 제2 수납공간(101)의 내벽과 제2 도어(210)의 내벽을 연결하는 제2 배선 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는 각각의 도어 록(211, 221)과 제1 전원케이블(4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배선 커넥터(310)가 제1 도어(210)에 구비된 도어 록(211)과 제1 전원케이블(41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예시하였으나, 제2 배선 커넥터(310)도 제2 도어(210)에 구비된 도어 록(221)과 제1 전원케이블(410)과 동일한 구조의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의 본체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 각각에는 전원입력단자(315A, 325A) 및 전원출력단자(315B, 325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배선 커넥터(310)에는 전원입력단자(315A) 및 전원출력단자(315B)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배선 커넥터(320)에는 전원입력단자(325A) 및 전원출력단자(325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배선 커넥터(310)에 구비된 전원입력단자(315A)에는 제1 전원케이블(4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케이블(4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 커넥터(310)에 구비된 전원출력단자(315B)는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 중 이웃하는 배선 커넥터(320)의 전원입력단자(325A)와 제3 전원케이블(4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케이블(420) 및 제3 전원케이블(43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전원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어 록마다 개별배선을 해야 했기 때문에 도어 록의 위치에 따라 전원케이블들의 길이가 서로 달라서 배선작업을 장시간 소요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를 통해 배선작업을 하게 되므로 제2 전원케이블(420) 및 제3 전원케이블(43)을 동일한 길이로 구성하여 배선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 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500)는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 중 하나(여기서는, 제1 배선 커넥터(310))에 구비된 전원입력단자(315A)와 연결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제4 전원케이블(4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제4 전원케이블(440) 및 제2 전원케이블(420)을 통해 제1 배선 커넥터(310)의 전원입력단자(315A)로 입력된 전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315)의 회로를 통해, 제1 전원케이블(410)로 공급되어 제1 도어(210)에 설치된 제1 도어 록(211)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1 배선 커넥터(310)의 전원출력단자(315B)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선 커넥터(310)의 전원출력단자(315B)는 제3 전원케이블(430)을 통해 제2 배선 커넥터(320)의 전원입력단자(325A)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배선 커넥터(310)의 전원출력단자(315B)로 출력된 전원은 제2 배선 커넥터(320)의 전원입력단자(325A)로 입력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므로, 제2 배선 커넥터(320)의 전원입력단자(325A)로 입력된 전원은, 제2 배선 커넥터(320)의 본체 결합부(321)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회로를 통해, 제1 전원케이블(410)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전원케이블로 공급되어 제2 도어(220)에 제2 도어 록(221)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2 배선 커넥터(320)의 전원출력단자(325B)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선 방식으로, 제1 배선 커넥터(310) 및 제2 배선 커넥터(320) 뿐만 아니라, 나머지 배선 커넥터들도 전원케이블들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받아 각각의 도어 록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 각각은, 본체 결합부(311, 321), 도어 결합부(312, 322) 및 코일 스프링(313, 3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배선 커넥터(310)는 본체 결합부(311), 도어 결합부(312) 및 코일 스프링(31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배선 커넥터(320)는 본체 결합부(321), 도어 결합부(322) 및 코일 스프링(3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결합부(311, 321) 및 도어 결합부(312, 322) 각각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311, 321)는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고, 도어 결합부(312, 322)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311, 321) 각각은 복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고, 도어 결합부(312, 322) 각각은 복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도어(210, 2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311, 321)는 수납공간(101, 102)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고, 도어 결합부(312, 322)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각각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 결합부(311)는 제1 수납공간(101)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고, 도어 결합부(312)는 제1 도어(21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 결합부(321)는 제2 수납공간(102)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고, 도어 결합부(322)는 제2 도어(22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311, 321)는 본체(100)의 측판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결합부(311, 321)는 본체(100)의 우측판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13, 323)은 본체 결합부(311, 321) 및 도어 결합부(312, 322)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313)은 본체 결합부(311) 및 도어 결합부(312)를 연결할 수 있고, 코일 스프링(323)은 본체 결합부(321) 및 도어 결합부(322)를 연결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13)의 내부에는 제1 도어 록(211)과 연결된 제1 전원케이블(410)이 관통할 수 있고, 코일 스프링(323)의 내부에는 제2 도어 록(221)과 연결된 다른 제1 전원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다.
전원입력단자(315A, 325A) 및 전원출력단자(315B, 325B)는 본체 결합부(311, 321)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원입력단자(315A) 및 전원출력단자(315B)는 본체 결합부(311)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15)에 구비될 수 있고, 전원입력단자(325A) 및 전원출력단자(325B)는 본체 결합부(321)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 결합부(311)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15)에는 제1 도어 록(211)과 연결된 제1 전원케이블(410)이 연결되는 연결단자(315C)가 구비될 수 있고, 본체 결합부(321)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제2 도어 록(221)과 연결된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311)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15)에는 제1 도어 록(211)의 고장 시 제1 도어 록(211)과 연결된 제1 전원케이블(410)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 결합부(321)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제2 도어 록(221)의 고장 시 제2 도어 록(221)과 연결된 상기 제1 전원케이블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어 록(211)과 연결된 제1 전원케이블(410)은 제1 배선 커넥터(310)의 도어 결합부(312)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313)의 일단(313A)을 통해 코일 스프링(313)의 내부로 삽입되어, 본체 결합부(311)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313)의 타단(313B)을 통해 빠져나온 후, 본체 결합부(311)의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315)의 연결단자(315C)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에서 상단전면판을 제거하고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단부에는 전원공급장치(500)가 수납되는 전원실(105)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단부 전면에는 전원실(105)의 전면을 덮는 상단전면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단전면판(150)에는 전원실(105)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방열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500)에서 생성되는 열은 복수개의 방열홀(155)을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본체(100)의 측판에는 전원실(105)와 연통되는 배선홀(113, 12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선홀(123)에는 제4 전원케이블(440)이 관통할 수 있다. 본체(100)가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 배선홀(113)은 커버부재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제4 전원케이블(440)은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 중 적어도 하나는 배선홀(113, 123)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측판 외측에는 제1 배선홈(125)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홈(125)에는 도 5에 도시된 제2 전원케이블(420), 제3 전원케이블(430) 및 제4 전원케이블(440)이 배선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도어(210, 220) 각각의 내벽에는 제1 전원케이블(410)이 배선되는 제2 배선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선홈(213)은 배선커버(215, 225)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이 복수개로 좌우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4 전원케이블의 배선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1)은 복수개가 좌우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좌우로 배열된 복수개의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제1 배선홈(125)은 복수개의 본체(100) 중 이웃하는 본체(100)에 의해 가리어질 수 있다. 또한, 배선홀(113, 123)은 복수개의 본체(100) 각각의 양측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전원케이블(440)은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위해 제4 전원케이블(440)이 복수개의 본체(100)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실질적으로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은 복수개의 본체(100)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은 복수개의 본체(100) 각각에 형성된 배선홀(113, 123)을 적어도 하나가 관통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의 일단은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의 타단은 복수개의 본체(100) 각각에 배치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은, 제4-1 전원케이블(441)과, 제4-2 전원케이블(442), 제4-3 전원케이블(443), 제4-4 전원케이블(444) 및 제4-5 전원케이블(4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가 좌우로 5열로 배열되기 때문에, 제4 전원케이블(400)이 5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본체(100)가 1열로 구비되는 경우 제4 전원케이블(440)은 제4-1 전원케이블(441)만 구비될 수 있고, 본체(100)가 좌우로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경우 제4 전원케이블(440)은 상기 복수의 열고 동일하게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4 전원케이블(440)은 본체(100)의 구비되는 열과 동일한 개수의 제4 전원케이블(44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서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본체(100)를 제1 본체(100)가 하고, 제1 본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본체(100)를 제2 본체(100)라 하며, 제2 본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본체(100)를 제3 본체(100)라 하고, 제3 본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본체(100)를 제4 본체(100)라 하며, 제4 본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본체(100)를 제5 본체(100)라 하고, 전원공급장치(500)가 제1 본체(100)의 전원실(105)에 설치될 경우로 한정하여,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440)의 배선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4-1 전원케이블(441)의 일단은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1 전원케이블(441)의 타단은, 제1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하여, 제1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제1 배선홈(125)에 배선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2 전원케이블(442)의 일단은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2 전원케이블(442)의 타단은, 제1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2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2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하여, 제2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제1 배선홈(125)에 배선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3 전원케이블(443)의 일단은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3 전원케이블(443)의 타단은, 제1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2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2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3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3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하여, 제3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제1 배선홈(125)에 배선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4 전원케이블(444)의 일단은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4 전원케이블(444)의 타단은, 제1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2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2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3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3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4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4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하여, 제4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제1 배선홈(125)에 배선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5 전원케이블(445)이 일단은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5 전원케이블(445)의 타단은, 제1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2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2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3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3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4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4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한 후, 제5 본체(100)의 좌측판(110)에 형성된 배선홀(113)과 제5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배선홀(123)을 관통하여, 제5 본체(100)의 우측판(120)에 형성된 제1 배선홈(125)에 배선된 제2 전원케이블(4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1)은, 복수개의 수납공간(101, 102, 103)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 각각에는, 도어 록(211, 221)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입력단자(315A, 325A)와,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 중 이웃하는 배선 커넥터의 상기 전원입력단자로 전원케이블(43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315B, 325B)가 구비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9)를 이용하여 배선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캐비닛(1)은,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310, 320)를 통해 도어 록(211, 221)의 배선작업을 하게 되므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전원 케이블(420, 430)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캐비닛 100 : 본체
101, 102, 103 : 수납공간 105 : 전원실
113, 123 : 배선홀 125 : 제1 배선홈
150 : 상단전면판 155 : 방열홀
210, 220, 230 : 도어 211, 221, 231 : 도어 록
213 : 제2 배선홈 215, 225 : 배선커버
310, 320 : 배선 커넥터 311, 321 : 본체 결합부
312, 322 : 도어 결합부 313, 323 : 코일 스프링
315 : 인쇄회로기판 315A, 325A : 전원입력단자
315B, 325B : 전원출력단자 315C : 연결단자
410 : 제1 전원케이블 420 : 제2 전원케이블
430 : 제3 전원케이블 440 : 제4 전원케이블
500 : 전원공급장치

Claims (10)

  1.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각각 개폐하고, 도어 록이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도어; 및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 각각의 내벽과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을 연결하고, 각각의 상기 도어 록과 제1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중 이웃하는 배선 커넥터의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제3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원출력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전원출력단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캐비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도어 결합부를 연결하고,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코일 스프링;을 도 포함하는 캐비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선 커넥터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전원입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제2 전원케이블과 제4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캐비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수납되는 전원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판에는, 상기 전원실과 연통되고 상기 제4 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배선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본체의 측판 외측에는 상기 제2 전원케이블, 상기 제3 전원케이블 및 상기 제4 전원케이블이 배선되는 제1 배선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캐비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우로 배열된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홈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중 이웃하는 본체에 의해 가리어지며,
    상기 배선홀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각각의 양측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4 전원케이블은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4 전원케이블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각각에 형성된 상기 배선홀을 적어도 하나가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개의 본체 각각에 배치된 상기 제2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캐비닛.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 전면에는 상기 전원실의 전면을 덮는 상단전면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단전면판에는 상기 전원실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방열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어는 상기 본체의 측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측판 내측에 결합되는 캐비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어 결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도어 각각의 내벽에는 상기 제1 전원케이블이 배선되는 제2 배선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선홈을 덮는 배선커버를 더 포함하는 캐비닛.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도어 록의 고장 시 상기 제1 전원케이블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가 형성되는 캐비닛.
KR1020210094223A 2021-07-19 2021-07-19 캐비닛 KR10263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223A KR102630132B1 (ko) 2021-07-19 2021-07-19 캐비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223A KR102630132B1 (ko) 2021-07-19 2021-07-19 캐비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451A KR20230013451A (ko) 2023-01-26
KR102630132B1 true KR102630132B1 (ko) 2024-01-29

Family

ID=8511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223A KR102630132B1 (ko) 2021-07-19 2021-07-19 캐비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469Y1 (ko) * 2000-11-30 2001-05-15 김태선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KR200372102Y1 (ko) 2004-01-09 2005-01-15 박재수 디지털 도어락이 부착된 사물함
JP2016186182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什器
JP2017080152A (ja) 2015-10-29 2017-05-18 株式会社ノーリツ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配線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洗面化粧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364A (ja) * 1995-04-21 1996-11-05 Nichifu Co Ltd 照明器具の配線コネクター
JPH11122812A (ja) * 1997-10-20 1999-04-30 Harada Denshi Kogyo Kk 電源供給装置
KR100473062B1 (ko) * 2003-03-2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제품용 전장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469Y1 (ko) * 2000-11-30 2001-05-15 김태선 전자 도어용 파워 트랜스퍼
KR200372102Y1 (ko) 2004-01-09 2005-01-15 박재수 디지털 도어락이 부착된 사물함
JP2016186182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什器
JP2017080152A (ja) 2015-10-29 2017-05-18 株式会社ノーリツ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配線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洗面化粧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451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3183B (zh) 竖直接线系统
KR100306771B1 (ko) 게임기의시큐리티케이지및이것을사용한게임기
US20020075656A1 (en) Modular rack-mount server arrangement
JPH09212255A (ja) 計算機システム
CN205072462U (zh) 积木组合式电子储物箱柜系统
US5984720A (en) Angled interconnect panel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
KR102630132B1 (ko) 캐비닛
US6597576B1 (en) Mounting arrangements for data communication devices
US6364439B1 (en) Computer storage systems for computer facilities
BR102020003387A2 (pt) Caixa de distribuição para cabos
EP3136831B1 (en) Slot-filler blanking tray
CN105231695A (zh) 积木组合式电子储物箱柜系统
JP3777567B2 (ja) コンピュータ機器保管用ラック
KR102261831B1 (ko) 통합형 함체
JP4440393B2 (ja) テーブルの配線ダクト構造
CN107408777B (zh) 一种可伸缩凹入式电插座及数据端口组件
JP3057164U (ja) 電子機器収容ラック
KR20220137441A (ko) 배전반의 공기흡입장치
JP3782023B2 (ja) 電子機器収容ラック
CN104244653A (zh) 机器单元收纳用机柜
KR102508218B1 (ko) 함정 탑재를 위한 다단 분리형 캐비닛
KR200210876Y1 (ko) 차단판을 구비한 랙
US20220034147A1 (en) Combination switch and sliding bolt lock
JP7300363B2 (ja) 収納什器
US11864340B2 (en) Rack for storing electric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