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690B1 -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 Google Patents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690B1
KR102629690B1 KR1020220161543A KR20220161543A KR102629690B1 KR 102629690 B1 KR102629690 B1 KR 102629690B1 KR 1020220161543 A KR1020220161543 A KR 1020220161543A KR 20220161543 A KR20220161543 A KR 20220161543A KR 102629690 B1 KR102629690 B1 KR 10262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ssential oil
rotating body
oi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수
심영우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96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8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04C2210/206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로 회전체를 회전시켜,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배출구 방향으로 정유가 유동되도록 하면서, 히팅코일에 의해 가열된 밀폐판을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이 가열되도록 열원을 전달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정유가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코일 및 밀폐판을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정유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정유의 고착 방지로 정유가 통과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유로 면적이 축소될 우려가 없으며, 정유가 통과되는 하우징의 유로면적 유지로 정유의 공급량 및 배출량에 변화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정유가 용융점에 도달하도록 가열되어, 하우징 내로 정유가 윤활하게 통과되며, 정유의 유동성 향상으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공회전 방지와 동시에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력 향상으로,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장치의 불량률 감소와 동시에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Pump for preventing oil sticking}
본 발명은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로 정유가 공급되도록 허용하면서, 히팅코일에 의해 가열된 밀폐판으로 하우징 내로 통과되는 정유를 가열하여, 하우징 내에서 정유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용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방식의 요리과정에서는 튀김용 식용유를 다수회 사용함으로 인해 식용유가 공기와 접촉이 이루어지며 산화현상이 발생 되어 튀김음식의 맛이 떨어지고 또한 튀김용 음식물에 입히는 튀김옷 등 음식물 부스러기가 떨어져 탄화되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소수 사용한 튀김용 식용유를 그대로 폐기처분하는 것은 막대한 자원낭비를 초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튀김음식에 대한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주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튀김음식업소에서는 일정횟수 사용하여 산화되고 탄화된 튀김용 식용유를 정제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식용유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튀김음식에 대한 생산단가를 낮추는 한편 환경오염의 방지에도 일조를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튀김유정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튀김유를 저장하는 유조를 형성하고, 저면에 유조 내의 튀김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형성한 본체와, 본체 일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저면에 배출관과 연결되는 관체를 형성하며, 상단에 관체를 통해 공급되는 튀김유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한 구동케이스와, 구동케이스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튀김유조로 튀김유를 배출하는 튀김유 배출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조내로 튀김유를 공급하게 되면, 이 튀김유가 여과구조를 통과하면서 정제되되, 이후, 배출관을 통해 관체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구동케이스가 작동되어 관체 내의 튀김유를 토출구 방향으로 배출하고, 이때, 토출구에 연결된 튀김유 배출건을 통해 튀김기의 튀김유조 내로 정제된 튀김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구동케이스의 관체에 잔여된 튀김유가 고착되면서, 튀김유가 통과되는 관체의 유로 직경이 축소되고, 이 관체 유로 직경 축소로 인해 구동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튀김유의 공급량 및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튀김유 배출량이 현저히 저하되며, 또한, 구동케이스 내에 잔여된 튀김유가 장시간 체류되면서, 구동케이스 내에 고착되어 튀김유 유로가 폐쇄될 우려가 있고, 튀김유 유로 폐쇄로 인해, 정제된 튀김유를 토출구로 배출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고착된 튀김유로 인해 폐쇄된 구동케이스를 과도하게 작동시켜, 구동케이스가 오작동 및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에따라, 튀김유 정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08-0005500 U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단에 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유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하우징 전면을 밀폐 마감하는 밀폐판을 설치하고, 밀폐판 전방에 히팅코일을 형성하며, 히팅코일 전방에 히팅코일을 커버하는 커버를 형성하고, 하우징 후면에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구동모터로 회전체를 회전시켜,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배출구 방향으로 정유가 유동되도록 하면서, 히팅코일에 의해 가열된 밀폐판을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이 가열되도록 열원을 전달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정유가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전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하단에 정유를 공급받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와 반대되는 상단에 정유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정유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 전면을 밀폐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된 밀폐판; 상기 밀폐판 전방에 구비되고, 가열 작동되어 상기 밀폐판을 가열하는 히팅코일; 상기 히팅코일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코일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히팅코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베인펌프 방식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은, 상기 회전체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을 평판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은, 상기 히팅코일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구리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전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하단에 정유를 공급받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와 반대되는 상단에 정유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자성체를 갖는 재질로,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정유를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 전면을 밀폐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된 밀폐판; 상기 밀폐판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에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체를 가열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워킹코일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워킹코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베인펌프 방식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은, 상기 회전체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을 평판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코일 및 밀폐판을 통해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 정유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정유의 고착 방지로 정유가 통과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유로 면적이 축소될 우려가 없으며, 정유가 통과되는 하우징의 유로면적 유지로 정유의 공급량 및 배출량에 변화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정유가 용융점에 도달하도록 가열되어, 하우징 내로 정유가 윤활하게 통과되며, 정유의 유동성 향상으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공회전 방지와 동시에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력 향상으로,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장치의 불량률 감소와 동시에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히팅코일을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를 튀김유 정제기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워킹코일을 분해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유는 튀김에 사용되는 식용유를 포함하고, 이하에서, 정유의 용융점 온도는 정유의 점성이 소실되는 온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하단에 정유를 공급받는 유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1)와 반대되는 상단에 정유를 배출하는 배출구(102)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구동모터(600)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부 공간이 상기 히팅코일(400)에 의해 가열되는 밀폐판(300)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밀폐판(300)에 가열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정유가 순환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온도에 도달하도록 정유의 가열을 유도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3)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103)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상기 온도센서(103)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체(2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상의 온도이면,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의 온도이면, 상기 히팅코일(400)을 작동시켜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이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RPM 회전수를 감지하여, 이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이상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이하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을 작동시킨다.
회전체(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구동모터(600)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회전체(200)는 그 중앙부가 상기 하우징(100) 내로 진입된 상기 구동모터(600)의 회전축(601)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601)에 의해 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구동모터(60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체(200)는 베인펌프 방식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밀폐판(300)은 상기 하우징(100) 전면을 밀폐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히팅코일(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전달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히팅코일(400)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구리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하우징(100) 전면을 밀폐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회전체(200)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을 평판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회전체(2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전면을 밀폐한다.
히팅코일(400)은 상기 밀폐판(300) 전방에 구비되고, 가열 작동되어 상기 밀폐판(300)을 가열한다.
상기 히팅코일(40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 작동되면서, 열기를 발산시켜 상기 밀폐판(300)을 가열한다.
상기 히팅코일(400)은 상기 제어기(104)에 의해 ON/OFF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간접 열원을 공급한다.
상기 히팅코일(4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정유 온도가 용융점 이하이면, ON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열원을 공급하고, 정유 온도가 용융점 이상이면 OFF작동되어, 열기 발산을 정지한다.
커버(500)는 상기 히팅코일(40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히팅코일(4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500)는 히팅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히팅코일(400) 주변에 체류되도록 강제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히팅코일(400)을 감싸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500)는 체결부재(미부호)에 의해 상기 밀폐판(300) 전면 테두리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600)는 상기 하우징(100)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6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로 진입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60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폐유를 저장하고, 바닥면에 폐유를 배출하는 폐유배출구(11)를 형성한 폐유저장탱크(10)와, 상기 폐유저장탱크(10) 바닥면에서 정해진 높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폐유배출구(11)로 배출되는 폐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제하는 정제필터(20), 상기 폐유배출구(11)와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유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정유를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배유파이프(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02)와 연결 설치되어, 정유가 정해진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정유배출관(40)를 포함하는 튀김유 정제기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폐유저장탱크(10) 내로 폐유를 공급하여, 폐유저장탱크(10) 내에 정해진 량의 폐유가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폐유저장탱크(10)의 폐유배출구(11)를 개방하면, 폐유저장탱크(10)에 저장된 폐유가 상기 정제필터(20)를 통과하면서, 폐유에 포함된 불순물이 걸러져, 상기 폐유배출구(11)로 정제된 정유가 배출된다.
이후, 상기 폐유배출구(11)로 배출되는 정유는 상기 배유파이프(30)를 통해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하우징(1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구동모터(600)를 작동시켜, 이 구동모터(600)와 연결된 회전체(200)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회전체(200)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 측에 흡입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유파이프(30)를 통해 이동되는 정유가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0)는 회전작동되면서 베인펌프 방식으로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유동시키되, 이때, 상기 온도센서(103)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04)에 측정된 정유의 온도가 정유의 용융점 이상이면, 상기 회전체(200)로 정유를 연속 유동시키면서,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상기 정유배출관(40)으로 정유를 배출하고, 이때, 상기 정유배출관(40)은 튀김기(미도시)의 튀김유조(미도시)로 정유를 배출하여, 튀김기(미도시)에 정유가 공급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온도센서(103)로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의 온도인 경우에는, 정유가 점성 성분을 갖도록 변화되어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력이 저하되고, 이때, 상기 제어기(104)가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히팅코일(40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히팅코일(400)이 가열되면서 상기 밀폐판(300)과 상기 커버(500) 사이에서 열기를 발산하여, 상기 히팅코일(400) 주변에 열기가 체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히팅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되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열기를 전달하고, 이에따라,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가 가열되면서, 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에 도달하도록 변화되어, 정유가 윤활한 액체상태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히팅코일(400)로 상기 밀폐판(30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간접열원을 연속 전달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서 유동되는 정유를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면서,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정유를 배출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정유가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정유가 상기 정유배출관(40)을 통해 튀김기의 튀김유조로 연속 공급되도록 하여, 튀김유조에 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폐유저장탱크(10)에 저장된 폐유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에 흡입압을 해제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정제필터(20)를 통과하여 정제된 정유를 상기 배유파이프(30)를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배유이파이프(30) 외면에 개폐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밸브(31)를 개방하여, 외부로 정유를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제어기(104)로 온도센서(103)에 측정되는 정유 온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였으나,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RPM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104)에 입력되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RPM 회전수 신호를 감지하여, 이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이상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정유가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104)에 입력되는 회전수 신호가 정해진 회전수 이하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히팅코일(400)을 작동시킴으로써, 정유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히팅코일(400)로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유에 점성 성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상기 구동모터(60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실시예]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하단에 정유를 공급받는 유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1)와 반대되는 상단에 정유를 배출하는 배출구(102)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구동모터(600)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부 공간이 가열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3)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103)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상기 온도센서(103)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회전체(2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이동하는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상의 온도이면,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의 온도이면, 상기 워킹코일(400')을 작동시켜 상기 회전체(200')를 가열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RPM 회전수를 감지하여, 이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이상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이하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워킹코일(400')을 작동시킨다.
상기 하우징(100)은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200')는 자성체를 갖는 재질로, 상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구동모터(600)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회전체(200')는 그 중앙부가 상기 하우징(100) 내로 진입된 상기 구동모터(600)의 회전축(601)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601)에 의해 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구동모터(60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체(200')는 베인펌프 방식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워킹코일(400')의 자력을 전달받아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서 유동되는 정유를 직접 가열한다.
상기 회전체(200')는 유동되는 정유와의 열교환작용으로 정유가 용융점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한다.
밀폐판(300)은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 전면을 밀폐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워킹코일(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20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판(300)은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워킹코일(400')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회전체(200')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을 평판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회전체(2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 전면을 밀폐한다.
워킹코일(400')은 상기 밀폐판(30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00')에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체(200')를 가열한다.
상기 워킹코일(40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회전체(200')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워킹코일(400')은 상기 제어기(104)에 의해 ON/OFF작동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가열한다.
상기 워킹코일(4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정유 온도가 용융점 이하이면, ON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회전체(200')가 가열되도록 하고, 정유 온도가 용융점 이상이면 OFF작동되어, 상기 회전체(200')의 가열을 정지한다.
커버(500)는 상기 워킹코일(40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워킹코일(400')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워킹코일(4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한다.
상기 커버(500)는 워킹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자력을 차단하여, 자력이 상기 회전체(200') 방향으로 집중 전달되도록 강제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워킹코일(400')을 감싸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500)는 체결부재(미부호)에 의해 상기 밀폐판(300) 전면 테두리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600)는 상기 하우징(100)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6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로 진입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60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폐유를 저장하고, 바닥면에 폐유를 배출하는 폐유배출구(11)를 형성한 폐유저장탱크(10)와, 상기 폐유저장탱크(10) 바닥면에서 정해진 높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폐유배출구(11)로 배출되는 폐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제하는 정제필터(20), 상기 폐유배출구(11)와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폐유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정유를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배유파이프(3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02)와 연결 설치되어, 정유가 정해진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정유배출관(40)를 포함하는 튀김유 정제기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폐유저장탱크(10) 내로 폐유를 공급하여, 폐유저장탱크(10) 내에 정해진 량의 폐유가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폐유저장탱크(10)의 폐유배출구(11)를 개방하면, 폐유저장탱크(10)에 저장된 폐유가 상기 정제필터(20)를 통과하면서, 폐유에 포함된 불순물이 걸러져, 상기 폐유배출구(11)로 정제된 정유가 배출된다.
이후, 상기 폐유배출구(11)로 배출되는 정유는 상기 배유파이프(30)를 통해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의 하우징(1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600)를 작동시켜, 이 구동모터(600)와 연결된 회전체(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회전체(200')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 측에 흡입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유파이프(30)를 통해 이동되는 정유가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0')는 회전 작동되면서 베인펌프 방식으로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유동시키되, 이때, 상기 온도센서(103)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03)에 측정된 정유의 온도가 정유의 용융점 이상이면, 상기 회전체(200')로 정유를 연속 유동시키면서,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상기 정유배출관(40)으로 정유를 배출하고, 이때, 상기 정유배출관(40)은 튀김기(미도시)의 튀김유조(미도시)로 정유를 배출하여, 튀김기(미도시)에 정유가 공급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온도센서(103)로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유동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의 온도인 경우에는, 정유가 점성 성분을 갖도록 변화되어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력이 저하되고, 이때, 상기 제어기(104)가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워킹코일(40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워킹코일(400')이 상기 밀폐판(300)을 투과하여 상기 회전체(200')로 자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체(200')가 자력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500)는 상기 워킹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자력을 차단함으로써, 자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0')는 자력을 전달받아 가열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정유가 상기 회전체(200')와 마찰되면서 가열되고, 이에따라,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온도에 도달하도록 변화되어, 정유가 윤활한 액체상태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워킹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자력을 상기 회전체(200')로 연속 전달하면서, 상기 회전체(200')가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에따라,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서 유동되는 정유가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정유가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정유가 상기 정유배출관(40)을 통해 튀김기의 튀김유조로 연속 공급되도록 하여, 튀김유조에 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폐유저장탱크(10)에 저장된 폐유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에 흡입압을 해제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정제필터(20)를 통과하여 정제된 정유를 상기 배유파이프(30)를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배유이파이프(30) 외면에 개폐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밸브(31)를 개방하여, 외부로 정유를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제어기(104)로 온도센서(103)에 측정되는 정유 온도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였으나,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RPM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104)에 입력되는 상기 구동모터(600)의 RPM 회전수 신호를 감지하여, 이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 이상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정유가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104)에 입력되는 회전수 신호가 정해진 회전수 이하이면,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워킹코일(400')을 작동시킴으로써, 정유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400')로 정유의 온도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유에 점성 성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회전 작동시키는 상기 구동모터(60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히팅코일(400)로 하우징(100) 내에 간접열원을 공급하여 하우징을 가열하되,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회전체(200)로 정유를 유동시켜, 하우징(100) 내의 정유 고착 방지와 동시에 정유를 윤활하게 유동시키는 구조는, 히팅코일(400) 및 밀폐판(300)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가열하여,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서 정유가 용융점 이하로 저하되어,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정유의 고착 방지로 정유가 통과되는 하우징(100) 내부 공간의 유로 면적이 축소될 우려가 없으며, 정유가 통과되는 하우징(100)의 유로면적 유지로 정유의 공급량 및 배출량에 변화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정유가 용융점에 도달하도록 가열되어, 하우징(100) 내로 정유가 윤활하게 통과되며, 정유의 유동성 향상으로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0)의 공회전 방지와 동시에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0)의 구동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폐유저장탱크 11 : 폐유배출구
20 : 정제필터 30 : 배유파이프
31 : 배출밸브 40 : 정유배출관
100 : 하우징 101 : 유입구
102 : 배출구 103 : 온도센서
104 : 제어기 200 : 회전체
200' : 회전체 300 : 밀폐판
400 : 히팅코일 401 : 가열판
400' : 워킹코일 500 : 커버
600 : 구동모터 601 : 회전축

Claims (9)

  1. 전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하단에 정유를 공급받는 유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1)와 반대되는 상단에 정유를 배출하는 배출구(102)를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200);
    상기 하우징(100) 전면을 밀폐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된 밀폐판(300);
    상기 밀폐판(300) 전방에 구비되고, 가열 작동되어 상기 밀폐판(300)을 가열하는 히팅코일(400);
    상기 히팅코일(40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코일(400)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커버하는 커버(500); 및
    상기 하우징(100)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3)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히팅코일(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는,
    베인펌프 방식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회전체(200)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을 평판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히팅코일(400)의 열기를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도록 알루미늄 또는 구리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6. 전면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하단에 정유를 공급받는 유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1)와 반대되는 상단에 정유를 배출하는 배출구(102)를 형성한 하우징(100)과;
    자성체를 갖는 재질로, 상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정유를 상기 배출구(10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체(200');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 전면을 밀폐 마감하도록 고정 설치된 밀폐판(300);
    상기 밀폐판(30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00')에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체(20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400');
    상기 워킹코일(40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워킹코일(400')을 커버하는 커버(500);
    상기 하우징(100)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200')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정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3)와;
    상기 하우징(10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03)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워킹코일(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는,
    베인펌프 방식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정유가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300)은,
    상기 회전체(200)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면을 평판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상기 회전체(200')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KR1020220161543A 2022-11-28 2022-11-28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KR10262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543A KR102629690B1 (ko) 2022-11-28 2022-11-28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543A KR102629690B1 (ko) 2022-11-28 2022-11-28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690B1 true KR102629690B1 (ko) 2024-01-29

Family

ID=8971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543A KR102629690B1 (ko) 2022-11-28 2022-11-28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7180A (ja) * 1987-11-30 1989-06-08 Shin Meiwa Ind Co Ltd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KR19980047843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히팅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진공펌프
KR19980084445A (ko) * 1997-05-20 1998-12-05 손이옥 공기압축전용 베인펌프
KR20080005500U (ko) 2007-05-16 2008-11-21 이윤탁 분리형 튀김유정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7180A (ja) * 1987-11-30 1989-06-08 Shin Meiwa Ind Co Ltd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KR19980047843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히팅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진공펌프
KR19980084445A (ko) * 1997-05-20 1998-12-05 손이옥 공기압축전용 베인펌프
KR20080005500U (ko) 2007-05-16 2008-11-21 이윤탁 분리형 튀김유정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537B1 (ko) 전동장치케이스
JP2775431B2 (ja) 感温作動型流体式フアン・カツプリング装置
EP2711591B1 (en) Gear device and vehicle having same mounted thereon
KR100791044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JP6679718B2 (ja) 内燃機関用冷却媒体ポンプ
BRPI1001941A2 (pt) Sistema de transmissão
KR102629690B1 (ko) 정유 고착방지용 펌프
CN111963663A (zh) 一种具有散热装置的减速机
JP2715042B2 (ja) 遊星歯車構造の変速機用変速機ケース
JP7019251B2 (ja) オイルポンプ構造
JP4573936B2 (ja) 流体継手装置及び該装置用の排出防止構造体
CN207261100U (zh) 一种硅油风扇离合器
JP2709458B2 (ja) 温度感応型流体式フアン・カツプリング装置
US4913629A (en) Wellpoint pumping system
CN114673781A (zh) 一种控制变速箱油面高度提升传动效率的润滑结构和变速箱
US4643593A (en) Assembly for lubricating thrust bearings of machines
CN110792591B (zh) 一种直驱型液压泵
CN210565046U (zh) 一种全自动液压泵
CN209744021U (zh) 一种自调节的高位油箱
KR100885549B1 (ko) 물을 작동매체로 사용하는 가변속 구동장치
CN113007090A (zh) 一种污泥螺杆泵保护装置
CN116617918B (zh) 一种门漆生产用调配装置及方法
JP2011133089A (ja) キャッチタンクを備えた潤滑装置
CN219079250U (zh) 一种工业水处理用缓蚀阻垢剂循环设备
CN211737454U (zh) 螺杆式空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