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415B1 -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415B1
KR102629415B1 KR1020180102096A KR20180102096A KR102629415B1 KR 102629415 B1 KR102629415 B1 KR 102629415B1 KR 1020180102096 A KR1020180102096 A KR 1020180102096A KR 20180102096 A KR20180102096 A KR 20180102096A KR 102629415 B1 KR102629415 B1 KR 102629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guide groove
sliding button
pinion gear
ligh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162A (ko
Inventor
최명준
채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415B1/ko
Priority to US17/270,931 priority patent/US11422434B2/en
Priority to PCT/KR2019/011013 priority patent/WO2020045989A1/ko
Publication of KR2020002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글래스 플레이트, 글래스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 포함하는 하우징,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광통과구를 포함하는 베젤, 광통과구의 중심과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고,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광통과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커버부재는, 제 1 면에 렉기어를 포함하고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버튼, 및 렉기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피니언 기어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렉기어와 맞물리는 톱니 및 광통과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광통과구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개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MERA SECURITY COVER}
다양한 실시예들은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사용 중에 필요한 장면이나 자료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의 발달 및 통신의 발달로,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가전 제품에서도 카메라 모듈을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 모듈은 전자 장치의 해킹에 의해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인지하지 못한 채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에 부착된 LED가 카메라의 동작시 발광되거나, 카메라 동작의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해킹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LED나 스피커도 해킹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카메라 동작에 관한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림을 제공하여도, 사용자가 인지 못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렌즈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해킹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촬영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광통과구를 포함하는 베젤, 상기 광통과구의 중심과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고,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광통과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제 1 면에 렉기어를 포함하고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버튼, 및 상기 렉기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렉기어와 맞물리는 톱니, 및 상기 광통과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통과구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개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항하여 형성된 광통과구를 포함하는 베젤, 상기 광통과구의 중심과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인접한 측면의 일 부분에 형성되고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향해 형성된 렉 기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버튼과,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리는 톱니를 포함하고 회전 운동가능한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회전축을 향하여 파인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통과구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해킹시에도 카메라 렌즈를 외부에 물리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카메라 모듈이 동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커버의 동작 버튼을 측면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입력장치나 커버에 의해 열거나 닫는 동작에서 카메라 보안 커버가 입력장치나 케이스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전자 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전자 장치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자 장치를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자 장치를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c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자 장치를 E-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글래스 플레이트(210), 후면 케이스(290), 베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글래스 플레이트(210)는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글래스 플레이트(210)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을 투과할 수 있다. 글래스 플레이트(210)는 고분자 물질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olypropylene terephthalate, PPT) 등의 폴리머 소재 또는 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글래스 플레이트(210)는 다양한 소재의 다층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220)은 일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마주보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220)은 하우징의 측면(280)을 형성할 수 있다. 베젤(220)은 글래스 플레이트(210)와 후면 케이스(290)을 이격시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220)은 제1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230)(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의 렌즈를 노출시킬 수 있고, 카메라 모듈(230)의 인접한 측면에 커버부재(240)을 배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광의 전달받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커버부재(240)의 노출된 버튼 부재는 측면(28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재(240)의 버튼 부재가 지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면,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부를 가림막(screen)을 이용하여 가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입력장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60)는 일면에 키패드(261)와 터치패드(26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60)의 내부에는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와 같은 전자 장치(200)에 필요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60)는 전자 장치(200)의 보호 케이스일 수 있다. 입력장치(260)는 키패드(261) 또는 터치패드(262)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의 미 사용시 입력장치(260)는 전면 플레이트(210)를 덮어 전자 장치(200)를 보호할 수 있다.
글래스 플레이트(210)는 전자 장치(200)의 입력장치((260))와 접촉할 수 있다. 커버부재(240)가 글래스 플레이트(2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노출되는 경우, 커버부재(240)는 입력장치(260)와의 접촉에 의한 파손우려가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측면(280)에 배치되어 글래스 플레이트(210)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젤(220)은 광통과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과구(250)는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부(231)로 빛을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0)의 촬영한 영상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서 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16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0)은 인쇄회로기판(236)에 부착되어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프로세서(120)나 다른 전자 부품에 데이터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재(240)는 가림막 역할을 하는 피너언 기어(246) 및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버튼(241)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측면(280)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버튼(241)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 피니언 기어(246) 회전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는 원주의 일부를 따라 톱니(270) 및 중심을 향해 움푹 패인 형태의 개방영역(248)을 포함할 수 있다. 톱니(247)와 개방영역(248)은 피니언 기어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마주볼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의 원주의 중심에는 회전축(245)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언 기어(246)의 회전에 따라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부(231)는 피니언 기어(246)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개방영역(248)와 광통과구(250)는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렌즈부(2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언 기어(246)의 개방영역(248)은 피니언 기어(246)를 관통하는 개구(opening)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광통과구(25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개구는 피니언 기어(246)의 회전에 따라 광통과구(250)를 가려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고, 광통과구(250)와 개구가 일치하여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전자 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전자 장치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젤(220)의 광통과구(250)는 피니언 기어(246)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버튼(241)이 OFF 영역으로 이동하면, 광통과구(250)가 피니언 기어(246)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225)은 제1 영역(229a)에서는 베젤(220) 및 측면과 색상이 동일하게 표시되어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가 노출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225)의 제1 영역(229a)에서 베젤(220) 및 측면(280)의 색상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홈(225)의 노출되는 색상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사용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언 기어(246)의 색상을 베젤(220)과 색상을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는 광통과구(250)를 통해 노출되는 피니언 기어(246)의 색상으로 카메라가 노출되지 않음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커버부재(240)는 슬라이딩 버튼(241), 및 렉 기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241)은 가이드 홈(225)를 따라 직선 운동 할 수 있다. 커버부재(240)는 슬라이딩 버튼(241)의 평탄한 면 반대 측에는 렉 기어(242)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언 기어(246)는 베젤(220) 또는 후면 케이스(290)에 형성된 회전축(245)과 결합할 수 있다. 렉 기어(242)는 피니언 기어(246)의 톱니(247)과 맞물릴 수 있고, 렉 기어(242)의 이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246)는 회전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는 광통과구(250)를 가리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30)은 인쇄회로기판(2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36)과 연결되어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재(240)는 긴모서리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45a, 245b, 245c, 245d)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45a, 245b, 245c, 245d)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커버부재(240)의 측면과 동일한 면을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245a, 245b, 245c, 245d)가 위치하는 측면의 내부는 돌출부(245a, 245b, 245c, 245d)가 탄성을 가지도록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225)은 측벽에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 및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은 돌출부(245a, 245b, 245c, 245d)와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241)이 이동 중에는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 및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과 맞물리지 않고 슬라이딩하지만, 이동이 완료되면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 또는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에 걸려서 멈추게 되고, 사용자는 광통과구(250)의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45a, 245b, 245c, 245d)는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에 걸려있고, 커버부재(240)는 광통과구(250)를 폐쇄함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자 장치를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자 장치를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c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전자 장치를 E-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젤(220)의 광통과구(250)는 개방되어 렌즈부(231)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버튼(241)이 ON 영역으로 이동하면, 광통과구(250)가 피니언 기어(246)의 개방영역(248)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225)은 제2 영역(229b)에서는 베젤(220) 및 측면과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하여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가 노출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225)의 제2 영역(229b)에서 베젤(220) 및 측면(280)의 색상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홈(225)의 노출되는 색상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사용가능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광통과구(250)를 통해 노출되는 렌즈부를 통하여 카메라가 노출되지 않음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통과구(250)가 폐쇄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피니언 기어(246)의 색상과 광통과구(250)가 개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렌즈부(231)의 색상은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쉽게 카메라 모듈(230)의 사용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커버부재(240)는 슬라이딩 버튼(241), 및 렉 기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241)은 가이드 홈(225)를 따라 직선 운동 할 수 있다. 커버부재(240)는 슬라이딩 버튼(241)의 평탄한 면 반대 측에는 렉 기어(242)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렉 기어(242)는 피니언 기어(246)의 톱니(247)과 맞물릴 수 있고, 렉 기어(242)의 이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246)는 회전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는 광통과구(250)를 개방시킬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의 개방영역(248), 렌즈부(231) 및 광통과구(250)는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렌즈부(231)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30)은 인쇄회로기판(2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0)은 광통과구(250)로부터 입사한 빛을 렌즈부(231)로 수용하여 이미지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36)과 연결되어 기록된된 이미지나 영상을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은 돌출부(245a, 245b, 245c, 245d)와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241)이 이동 중에는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 및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과 맞물리지 않고 슬라이딩하지만, 이동이 완료되면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 또는 제2 걸림홈(227a, 227b, 227c, 227d)에 걸려서 멈추게 되고, 사용자는 광통과구(250)의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45a, 245b, 245c, 245d)는 제1 걸림홈(226a, 226b, 226c, 226d)에 걸려있고, 광통과구(250)는 개방됨을 사용자는 알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커버부재(240)는 가이드 홈(225)에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커버부재(240)는 슬라이딩 버튼(241)와 다른 높이를 가지고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단차부(243a, 24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225)은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단차부(243a, 243b)를 덮는 이탈방지부(228a, 22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228a, 228b)는 커버부재(240)의 슬라이딩 버튼(241)이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커버부재(240)의 이동시에도 높이를 고정시켜 피니언 기어(246)의 톱니(247)와 렉 기어(242)는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언 기어(246)의 원주와 카메라 모듈(230)이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피니언 기어(246)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 모듈(230)이 전자 장치 외부로 노출되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카메라 모듈(230)을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카메라 모듈(230)의 렌즈부(23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0) 이 필요한 경우, 슬라이딩 버튼(241)을 렌즈부(231)를 개방 시킬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241)이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 버튼(241)의 제1 면에 형성된 렉 기어(242)는 이동 할 수 있다. 렉 기어(242)의 이동에 연동하여, 피니언 기어(246)는 회전운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의 회전운동으로 개방영역(248)과 광통과구(250)가 중첩되면 렌즈부(23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30) 이 필요없는 경우, 슬라이딩 버튼(241)을 렌즈부(231)를 폐쇄 시킬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버튼(241)이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 버튼(241)의 제1 면에 형성된 렉 기어(242)는 이동 할 수 있다. 렉 기어(242)의 이동에 연동하여, 피니언 기어(246)는 회전운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6)의 회전운동으로 피니언 기어(246)면과 광통과구(250)가 중첩되면 렌즈부(231)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200)의 예시로, 모바일 장치, 노트북과 같은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로봇 청소기 등 카메라를 필요로 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글래스 플레이트(예: 도 2의 글래스 플레이트(210)),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예: 도 2의 후면 케이스(290))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광통과구를 포함하는 베젤(예: 도 3의 베젤(220)), 상기 광통과구의 중심과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고,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230))과, 상기 광통과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예: 도 3의 커버부재(24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제 1 면에 렉기어(예: 도 3의 렉기어(242))를 포함하고, 직선 왕복가능한 슬라이딩 버튼(예: 도 3의 슬라이딩 버튼(241)) , 및 상기 렉기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예: 도 3의 피니언 기어(246))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렉기어와 맞물리는 톱니(예: 도 3의 톱니(247)), 및 상기 광통과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통과구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개방영역(예: 도 3의 개방영역(24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광통과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측면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기 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예: 도 5b의 가이드 홈(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렉기어가 이동하는 개구(opening)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측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의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의 개방영역은 광통과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렉기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해 광통과구는 가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의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영역이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의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이드 홈의 제2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원의 중심에서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 운동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젤 또는 상기 후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톱니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원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개방영역과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긴 모서리 영역을 일부를 가리도록 연장되는 이탈방지부(예: 도 8의 이탈방지부(228a, 228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긴 모서리를 포함하는 측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연장되는 단차부(예: 도 8의 단차부(243a, 24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는 상기 이탈방지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상기 가이드 홈의 안내에 의해 측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운동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중심을 향하여 파여진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형성된 개구(opening)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 도 2의 전자장치(20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항하여 형성된 광통과구를 포함하는 베젤(예: 도 2의 베젤(220)), 상기 광통과구의 중심과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230)),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인접한 측면의 일 부분에 형성되고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향해 형성된 렉 기어(예: 도3의 렉기어(24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버튼(예: 도 3의 슬라이딩 버튼(241)과,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리는 톱니(예: 도 3의 톱니(247))를 포함하고 회전 운동가능한 가림막(예: 도 3의 피니언 기어(246))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회전축을 향하여 파인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통과구와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광통과구 및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예: 도 3의 렌즈부(2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예: 도5b의 가이드 홈(2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 전자 장치
210 : 글래스 플레이트
220 : 베젤
225 : 가이드 홈
230 : 카메라 모듈
240 : 커버 부재
250 : 광통과구

Claims (20)

  1.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배치되고, 광통과구를 포함하는 베젤;
    상기 광통과구의 중심과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고,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광통과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제1 면에 렉기어를 포함하고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버튼, 및 상기 렉기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렉기어와 맞물리는 톱니, 및 상기 광통과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통과구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달하는 개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광통과구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측면을 통해서 노출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의 상기 측면은 상기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렉기어가 이동하는 개구(opening)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측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의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의 개방영역은 광통과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렉기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해 광통과구는 가려지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의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이드 홈의 상기 제1 영역이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이 상기 가이드 홈의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이드 홈의 제2 영역이 노출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원의 중심에서 회전축과 결합하여 회전 운동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젤 또는 상기 후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원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개방영역과 마주보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의 긴 모서리 영역을 일부를 가리도록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긴 모서리를 포함하는 측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연장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이탈방지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은 상기 가이드 홈의 안내에 의해 측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중심을 향하여 파여진 영역인 전자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형성된 개구(opening)인 전자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02096A 2018-08-29 2018-08-29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9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96A KR102629415B1 (ko) 2018-08-29 2018-08-29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270,931 US11422434B2 (en) 2018-08-29 2019-08-2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mera security cover
PCT/KR2019/011013 WO2020045989A1 (ko) 2018-08-29 2019-08-28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96A KR102629415B1 (ko) 2018-08-29 2018-08-29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62A KR20200025162A (ko) 2020-03-10
KR102629415B1 true KR102629415B1 (ko) 2024-01-26

Family

ID=6964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96A KR102629415B1 (ko) 2018-08-29 2018-08-29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2434B2 (ko)
KR (1) KR102629415B1 (ko)
WO (1) WO2020045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6733A (ja) * 2021-06-30 2023-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バー開閉装置
WO2023121149A1 (ko) * 2021-12-20 2023-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4489253B (zh) * 2022-01-26 2023-09-01 深圳市优尼影科技有限公司 一种具硬件安全防护的笔记本电脑
US20230400750A1 (en) * 2022-06-13 2023-12-14 Jessica Jones Adjustable webcam co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15B1 (ko) * 2007-05-29 200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US20140376902A1 (en) * 2013-06-24 2014-12-25 First Dome Corporation Shield module travel enlarging structure
US20180004068A1 (en) * 2015-03-26 2018-0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shutt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690A (en) * 1974-09-25 1975-11-25 Berkey Photo Inc Camera construction
JP2001295907A (ja) 2000-04-12 2001-10-26 Smc Corp ラック・ピニオン式揺動装置のバックラッシ吸収機構
KR100678039B1 (ko) * 2003-05-28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1036466B1 (ko) * 2004-04-13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개폐장치
US7534058B2 (en) * 2006-05-26 2009-05-19 Altek Corporation Lens cap module
JP2009047829A (ja) * 2007-08-17 2009-03-05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内蔵カメラ
TWI421722B (zh) * 2008-10-23 2014-01-01 Asustek Comp Inc 具硬體安全防護之筆記型電腦
CN201348707Y (zh) * 2008-12-17 2009-11-18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镜头盖的摄像装置
KR100984337B1 (ko) * 2009-01-30 2010-09-30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 렌즈 도어용 개폐장치
CN102548304B (zh) 2011-12-30 2015-02-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摄像头遮挡结构的电子装置
CN104267783A (zh) 2014-09-21 2015-01-07 鲁辰超 一种笔记本电脑摄像头遮挡装置
KR101833838B1 (ko) 2015-10-19 2018-03-05 (주)스티글 노트북 카메라의 가림장치
EP3688527A4 (en) * 2018-02-12 2021-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SOR WITH SLIDER MAGNE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15B1 (ko) * 2007-05-29 200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US20140376902A1 (en) * 2013-06-24 2014-12-25 First Dome Corporation Shield module travel enlarging structure
US20180004068A1 (en) * 2015-03-26 2018-0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shut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62A (ko) 2020-03-10
US20210208480A1 (en) 2021-07-08
US11422434B2 (en) 2022-08-23
WO2020045989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415B1 (ko) 카메라 보안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2894B1 (ko)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811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KR102460471B1 (ko)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0757B1 (ko)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21151A (ko)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94485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able body
US11212377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device and method
KR102648987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0223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2503982B1 (ko)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가요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1393B1 (ko) 배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16329B2 (en)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nnected thereto
US117999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pop-up structure
KR102102681B1 (ko) 생체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66469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905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4049B1 (ko)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2921A (ko) 슬라이딩 동작되는 전자 장치
US10917510B1 (en) Mobile terminal and assistance device coupled to the same
KR102649194B1 (ko)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cross-talk 방지 구조
KR102624550B1 (ko) 자동 개폐식 슬라이드 도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882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vement assembly
KR20200139551A (ko) 전자 장치의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60800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