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200B1 -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 Google Patents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200B1
KR102629200B1 KR1020210084531A KR20210084531A KR102629200B1 KR 102629200 B1 KR102629200 B1 KR 102629200B1 KR 1020210084531 A KR1020210084531 A KR 1020210084531A KR 20210084531 A KR20210084531 A KR 20210084531A KR 102629200 B1 KR102629200 B1 KR 10262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housing
protective case
installation sp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693A (ko
Inventor
이상은
함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8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2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는, 측정공간에 측정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측정센서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입구 반대쪽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쪽의 외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중간부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단부에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상기 측정센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마감캡; 및 상기 하우징 본체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유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는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캡이 결합되도록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구 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보호 케이스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유입공 쪽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SENSOR HOUSING OF CASE CHANGE TYPE}
본 발명은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측정공간에서 온도나 습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각종 가스 유무, 액체 유무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물질이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교체형 보호 케이스를 갖는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정공간의 온도나 습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각종 가스 유무, 액체 유무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센서 조립체를 이용하여 해당 센서를 특정 공간에 설치한다.
예를 들면,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2215호(공고일 : 2017.11.01)에는 시설원예 및 농업용 온도, 습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챔버가 개시되어 있다. 이 챔버는, 비닐 하우스, 플라스틱 하우스, 유리온실 등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해당 공간의 온도와 습도 등을 안정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해당 공간의 벽체나 수직 구조물에 설치된다. 측정장치를 구비한 챔버가 온실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온실 내부의 공기의 유동 해석을 통하여 온습도의 표현 및 온습도를 수치화하여 온실내에서 생장하고자 하는 작물에 대하여 최적의 환경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챔버는 센서장치가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었으나, 부피가 크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42145호(공고일 : 2019.11.07)에는 온도센서 보호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 보호케이스는 온도센서(100)가 안착되는 하부판(200)과, 하부판을 커버하며 결합되는 상부판(300)과, 상부판(300)을 하부판(200)에 결합하는 고정나사(310)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온도센서 보호 케이스는, 온도센서(1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었으나, 상부판(300)과 하부판(200)을 고정나사(310)들로 체결하여 결합해야 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이 저하되었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없음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측정값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2215호(공고일 : 2017.11.0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42145호(공고일 : 2019.11.07)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공간의 온도나 습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각종 가스 유무, 액체 유무 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하우징을 커버할 수 있고 측정공간의 컨셉과 일치하는 외형을 갖는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측정공간에 측정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측정센서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입구 반대쪽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쪽의 외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중간부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단부에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상기 측정센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마감캡; 및 상기 하우징 본체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유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는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캡이 결합되도록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구 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보호 케이스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유입공 쪽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 교체형 하우징 본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유입공은, 상기 설치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캡의 내부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통과공과 일치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는, 외형이 상기 측정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농작물을 형상화한 형상 모양이나, 상기 측정공간을 상징하는 사물의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영역에는, 벌레를 비롯한 이물질이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여과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기 여과부재의 일단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결합부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끼움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여과부재의 타단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끝단 영역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에는, 상기 여과부재를 상기 하우징 본체에 끼움 결합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 끝단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홈에는, 상기 여과부재를 상기 하우징 본체에 끼움 결합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설치공간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해 중심방향 쪽으로 변형되도록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변형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여과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공; 및 상기 센서 하우징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기 여과부재의 일단 가장자리가 걸리지 않도록 경사진 유도면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공에 걸리는 수직 걸림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결합부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결합부에 근접한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1 걸림홈; 상기 하우징 본체의 끝단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2 걸림홈; 및 상기 여과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에 걸려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묶음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공간의 온도나 습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각종 가스 유무, 액체 유무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센서가 하우징 본체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측정센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정공간의 컵셉과 일치하는 외형을 갖는 보호 케이스를 하우징 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측정센서와 하우징 본체를 태양광, 강우를 비롯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측정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 하우징의 본래 기능은 수행하면서 센서 하우징의 외형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측정공간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함은 물론 센서 하우징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에 여과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이물질이나 벌레 등에 의해 측정센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보호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여과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여과부재를 하우징 본체에 결합하는 고정수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 고정수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마감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10)은, 과수, 채소 등의 시설원예 농가의 실내환경 계측, 밭이나 논 등 농업을 위한 실외 농지 환경 계측 등의 농업용 기상대, 도시의 대기 환경 측정장치, 건물의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지하철 등의 공기질 측정장치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내부의 설치공간(25)에 측정센서(S)가 설치되어 보호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10)은, 내부에 측정센서(S)가 마련되는 설치공간(25)이 형성되고 결합부(22)를 구비한 몸체(20)와, 몸체(20)에 결합되는 마감캡(40)과, 몸체(20)의 결합부(22)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본체(20)는, 측정센서(S)를 내장하여 보호하여 측정위치나 측정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설치공간(25)을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본체(20)는, 내부에 측정센서(S)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25)이 형성되고, 입구(21) 반대쪽의 외주면에는 설치공간(25)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유입공(26)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구(21) 쪽의 외주면에는 결합부(22)가 형성되고, 결합부(22)의 중간부에는 공구 결합부(2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공구 결합부(24)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가 결합되도록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2)는, 마감캡(40)이 결합되도록 공구 결합부(24)를 기준으로 입구(21) 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22A)와, 보호 케이스(30)가 교체 가능하도록 공구 결합부(24)를 기준으로 제1 유입공(26) 쪽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22B)로 이루어진다. 제1,2 결합부(22A,22B)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나사산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끼움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유입공(26)은, 설치공간(2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측정센서(S)의 팁이 위치하는 영역의 폭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유입공(26)이 장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입구(21)를 기준으로 한 측정센서(S)의 팁 위치는 제1 유입공(26)의 길이만큼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유입공(26)이 형성된 영역에는, 벌레를 비롯한 이물질이 설치공간(25)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여과부재(60)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과부재(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설치공간(25)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설치공간(25)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 제1 유입공(26)에 여과부재(60)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이 설치공간(2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벌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측정센서(S)의 측정오차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재(6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제작한 후 입구(21)를 통하여 설치공간(25)으로 삽입하여 제1 유입공(26)의 주변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통형의 여과부재(60)를 입구(21)를 통하여 설치공간(25)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여과부재(60)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케이스(30)는, 하우징 본체(20)의 제2 결합부(22B)에 결합되어 측정센서(S) 및 하우징 본체(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특히 측정공간의 컨셉과 일치하는 형상, 즉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형상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측정공간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함은 물론, 센서 하우징(10)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30)는, 하우징 본체(20)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3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31)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유입공(32)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쪽의 삽입부(35) 내주면에는 결합부(22)의 제2 결합부(22B)에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36)가 형성된다. 장착부(36)는 제2 결합부(22 B)가 숫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암사산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제2 결합부(22B)가 끼움홈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장착부(36)는 끼움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결합부(22B)가 숫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장착부(36)가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호 케이스(30)를 제2 결합부(22B)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호 케이스(30)의 수용공간(31)에는 제2 유입공(32)으로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여과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케이스(30)의 외형은 매우 다양한 캐릭터의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채의 한 종류인 파프리카(paprika)의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a)와 같이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뭇잎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호 케이스(30)를 다양한 형상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은, 측정공간의 컨셉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측정공간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함은 물론, 센서 하우징(10)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것이다.
마감캡(40)은, 설치공간(25)에 내장되는 측정센서(S)를 고정하고, 하우징 본체(20)를 측정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에 케이블 통과공(42)이 형성되고, 설치공간(25)에 측정센서(S)가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22)의 제1 결합부(22A)에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마감캡(40)의 외주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돌기(49)들이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취부돌기(49)들이 구비되으로써 마감캡(40)을 취부하여 제1 결합부(22A)에 체결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40)의 내부와 제1 결합부(22A)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포함한 이물질이 설치공간(25)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패킹부재(50)가 구비된다. 이 패킹부재(50)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통과공(42)과 일치하는 관통공(52)이 중앙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25)에 여과부재(60)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측정센서(S)를 삽입한 후 마감캡(40)을 제1 결합부(22A)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때 마감캡(40)의 내부에 패킹부재(50)를 삽입하고 센서 케이블을 통과시킨 후에 마감캡(40)을 제1 결합부(22A)에 체결한다.
이어서 보호 케이스(30)의 장착부(36)를 제2 결합부(22B)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하우징 본체(20)에 측정센서(S)가 내장되고 보호 케이스(30)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보호 케이스(30)가 측정공간의 컨셉과 일치하는 다양한 캐릭터의 형상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측정공간과 이질감 없이 조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 모양의 보호 케이스(30)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하우징 본체(20)를 다양한 측정공간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 케이스(30)를 제2 결합부(22B)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보호 케이스(30)를 교체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유입공(26)에 여과부재(60)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이나 벌레가 설치공간(2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하우징(10)을 구조체(7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30)가 결합된 하우징 본체(20)의 제1 결합부(22A)를 구조체(70)의 설치공(72)에 끼운 후 제1 결합부(22A)에 마감캡(40)을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여과부재를 하우징 본체에 결합하는 고정수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를 하우징 본체(20)에 결합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80)은, 제2 결합부(22B)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하우징 본체(20)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여과부재(60)의 일단(61)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82A)을 구비하여 제2 결합부(22B)에 근접한 하우징 본체(2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82)와, 제1 끼움홈(82A)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여과부재(60)의 타단(63)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84A)을 구비하여 하우징 본체(20)의 끝단 영역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84)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여과부재(60)를 하우징 본체(20)에 끼울 때 제2 결합돌기(84)가 간섭되지 않도록, 제2 결합돌기(84)에는 외측 끝단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경사면(84B)이 형성되고, 제2 끼움홈(84A)에는, 여과부재(60)를 하우징 본체(20)에 끼움 결합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제2 결합돌기(84)가 설치공간(25)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해 중심방향 쪽으로 변형되도록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변형 유도부(84C)가 형성된다. 즉, 여과부재(60)의 내부로 하우징 본체(20)를 끼울 때 제2 결합돌기(84)가 설치공간(25)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여과부재(6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부재(60)를 하우징 본체(20)에 끼움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부재(60)를 하우징 본체(20)에 끼웠을 때 양 단부(61,63)가 제1,2 끼움홈(82A,84A)에 걸리게 되므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결합돌기(84)가 여과부재(60)의 끼움 결합시 변형되므로 여과부재(6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7에 도시되 고정수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80)은, 여과부재(60)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공(86A)과, 하우징 본체(20)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여과부재(60)의 일단 가장자리가 걸리지 않도록 경사진 유도면(86C)을 구비하고, 걸림공(86A)에 걸리는 수직 걸림면(86D)을 구비하여 제2 결합부(22B)에 근접한 하우징 본체(20)의 외주면, 즉 제1 유입공(26)과 제2 결합부(22B) 사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86B)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여과부재(60)에 걸림공(86A)이 3개 이상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20)의 외주면에 걸림돌기(86B)들이 걸림공(86A)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됨으로써, 여과부재(60)의 내부로 하우징 본체(2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돌기(86B)들이 걸림공(86A)에 걸리게 되므로 여과부재(60)를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80)은, 제2 결합부(22B)에 근접한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1 걸림홈(88A)과, 하우징 본체(20)의 끝단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2 걸림홈(88B)과, 여과부재(60)의 일단(61)과 타단(63)에 각각 마련되어 여과부재(60)가 하우징 본체(20)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었을 때 제1 걸림홈(88A) 및 제2 걸림홈(88B)에 걸려 여과부재(60)의 삽입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묶음부재(88C)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묶음부재(88C)는 탄성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본체(20)의 외주면에 제1,2 걸림홈(88A,88B)가 형성되고 여과부재(60)에 묶음부재(88C)가 구비됨으로써 여과부재(60)를 하우징 본체(20)에 끼움 결합할 때 묶음부재(88C)가 여과부재(60)의 일부와 함께 제1,2 걸림홈(88A,88B)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여과부재(6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묶음부재(88C)가 여과부재(60)를 제1,2 걸림홈(88A,88B)에 밀착시키므로 이물질의 유입이 완전하게 차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하우징 본체(20)에 다양한 형상 모양을 갖는 보호 케이스(30)를 교체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써 센서 하우징(10)을 측정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강우를 비롯한 외력으로부터 센서 하우징(10)과 측정센서(S)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과부재(60)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이나 벌레 등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고 따라서 측정센서(S)의 측정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센서 하우징 20 : 하우징 본체
22 : 결합부 22A : 제1 결합부
22B : 제2 결합부 24 : 공구 결합부
25 : 설치공간 26 : 제1 유입공
30 : 보호 케이스 31 : 수용공간
32 : 제2 유입공 35 : 삽입부
36 : 장착부 40 : 마감캡
42 : 관통공 50 : 패킹부재
52 : 케이블 통과공 60 : 여과부재
61 : 일단 63 : 타단
80 : 고정수단 82 : 제1 결합돌기
82A : 제1 끼움홈 84 : 제2 결합돌기
84A : 제2 끼움홈 86A : 걸림공
86B : 걸림돌기 86C : 유도면
86D : 수직 걸림면 88A : 제1 걸림홈
88B : 제2 걸림홈 88C : 묶음부재
S : 측정센서

Claims (5)

  1. 측정공간에 측정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측정센서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입구 반대쪽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1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쪽의 외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중간부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단부에 케이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상기 측정센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마감캡; 및
    상기 하우징 본체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 유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는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캡이 결합되도록 상기 공구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입구 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보호 케이스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유입공 쪽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입공이 형성된 영역에는,
    벌레를 비롯한 이물질이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중공의 원통형의 여과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재를 하우징 본체에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기 여과부재의 일단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2 결합부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끼움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여과부재의 타단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끝단 영역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2 결합돌기에는, 상기 여과부재를 상기 하우징 본체에 끼움 결합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 끝단에서 외주면으로 연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홈에는, 상기 여과부재를 상기 하우징 본체에 끼움 결합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설치공간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해 중심방향 쪽으로 변형되도록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공은,
    상기 설치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의 내부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통과공과 일치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측정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농작물을 형상화한 형상 모양이나, 상기 측정공간을 상징하는 사물의 형상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5. 삭제
KR1020210084531A 2021-06-29 2021-06-29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KR10262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31A KR102629200B1 (ko) 2021-06-29 2021-06-29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31A KR102629200B1 (ko) 2021-06-29 2021-06-29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93A KR20230001693A (ko) 2023-01-05
KR102629200B1 true KR102629200B1 (ko) 2024-02-13

Family

ID=8492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531A KR102629200B1 (ko) 2021-06-29 2021-06-29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2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119A (ja) 2000-02-28 2001-09-07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03194767A (ja) * 2001-12-28 2003-07-09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20176965A (ja) 2019-04-22 2020-10-2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ガスセンサ及び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3893A (ja) * 1987-10-05 1989-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電式煙感知器のセンサユニット構造
DE10210313B4 (de) * 2002-03-08 2004-07-08 Robert Bosch Gmbh Meßfühleranordnung
KR101215383B1 (ko) * 2010-11-23 2013-01-09 이경익 농도 센서용 밸브
KR20150117046A (ko) * 2014-04-09 2015-10-19 서순석 센서 프로브 고정장치
KR101792215B1 (ko) 2017-04-14 2017-11-01 주식회사 다온알에스 시설원예 및 농업용 온도,습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챔버
KR20190076189A (ko) * 2017-12-22 2019-07-02 (주)한국플랜트관리 수분 유입 차단용 가스센서 모듈
KR20190115176A (ko) * 2018-04-02 2019-10-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센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박스
KR102042145B1 (ko) 2018-11-21 2019-11-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온도센서 보호케이스
KR102387876B1 (ko) * 2019-12-06 2022-04-18 주식회사 무하기술 필터가 구비된 통합형 환경 감지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119A (ja) 2000-02-28 2001-09-07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03194767A (ja) * 2001-12-28 2003-07-09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20176965A (ja) 2019-04-22 2020-10-2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ガスセンサ及び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93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101B2 (en) Handle of a glass door
US8845406B2 (en) Vent sealing device and system
KR102629200B1 (ko) 보호 케이스 교체형 센서 하우징
KR10196540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용 용마루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프레임 어셈블리
US20050246956A1 (en) Modular flower box comprising wter drainage systemand clamp/support which is used to connect modules and which can house a lighting element
CA2354693A1 (en) Convectiv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US6595665B1 (en) Multi-shaped lamp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03102453A1 (en) Protective metal housing for plastic air admittance valve
KR101350884B1 (ko) 온실 환기창 및 차단망 연결장치
KR101323475B1 (ko) 온실프레임에 결착되는 비닐천고정구 어셈블리
KR101588387B1 (ko) 미관성을 향상시킨 수목보호대
KR200303213Y1 (ko) 케이블 트레이나 닥터를 구성하는 본체 및 덮개의체결고정장치
KR20180052933A (ko) 고습에 대비하는 습도계의 보호 장치
CN215108549U (zh) 户外过滤窗
KR200401883Y1 (ko) 수목지지대용 결착부재
CN208675949U (zh) 一种盘式钢绞线固定结构
KR20220073527A (ko) 온실 골조 환기 시스템
KR200227400Y1 (ko) 포도덩굴 지지구를 겸한 비가림막의 비닐 고정구
KR20160040059A (ko)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
JP2008019633A (ja) 中継用ドレンキャップ
KR960004031Y1 (ko) 비닐하우스용 골재고정구
KR200398296Y1 (ko) 프라스틱 과일보호용기
KR200217135Y1 (ko) 하우스 조립체
KR200224359Y1 (ko) 건물 환기창용 그릴장치
KR200261095Y1 (ko) 가두리 양식장용 그물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