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217B1 -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217B1
KR102628217B1 KR1020210115751A KR20210115751A KR102628217B1 KR 102628217 B1 KR102628217 B1 KR 102628217B1 KR 1020210115751 A KR1020210115751 A KR 1020210115751A KR 20210115751 A KR20210115751 A KR 20210115751A KR 102628217 B1 KR102628217 B1 KR 10262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ib
sliding groove
vibration
cas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677A (ko
Inventor
박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져
Priority to KR102021011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2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후방 케이스 및 지지 다리 등에 해당 외형 케이스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그 자체에서 소음 및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무게를 크게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 제품만으로 벽면 및 바닥면 모두에 소음 및 진동 저감이 가능한 피아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는, 적어도 재생원료 기반의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을 포함하고, 내부에 폐쇄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로 분해 가능한 메인 바디; 폐쇄 캐비티에 배치되는 진동 흡수층; 및 메인 바디와 진동 흡수층 사이를 고정하는 폴리 우레탄 재질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PIANO CASE STRUCTURE WITH IMPROVED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외형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재생원료 기반의 합성 수지재를 이용하여 소재적인 특성에 의하여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친환경적인 동시에 방습 및 방음 성능이 우수하고,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경량화가 가능하며, 진동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설치 시 타건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Piano)는 대표적인 건반악기로서 건반을 타건 시 나무로 된 작은 망치가 강철 프레임에 고정된 피아노 줄을 타건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보통 피아노는 그랜드형과 업라이트형으로 구분되며, 현은 피아노선으로 지칭되는 와이어로서 피아노의 핵심은 해머가 피아노 줄을 타건하는 데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피아노의 대중화에 따라서, 이러한 타건 방식의 피아노 대신, 디지털 피아노가 대중화되고 있다. 특히, 피아노 학원이나 가정 내에서는, 저렴한 가격 및 소형화가 가능한 디지털 피아노를 구매하는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고, 최근에는 건반에 무게추를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타건감이 일반 타건 방식의 피아노와 거의 유사하게 구현되는 디지털 피아노가 출시되어, 디지털 피아노의 이용률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피아노는 보통 목재,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재의 케이스 내부에 건반 및 프로세서 등을 구현하여 이루어지는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음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건반의 타건 시 해당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건반을 타건하는 타건음 역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 및 진동은 예를 들어 피아노가 설치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음 및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다세대 주택에서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전달되는 음 및 진동이 전달되어 세대 간에 소음 및 진동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845981호 등에서는, 피아노 케이스 후방면에 부착 가능한 방음 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선행기술에서는, 피아노의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패널 부재를 통해서, 피아노 후방 케이스에 편리하게 부착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별도의 부자재를 피아노에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바닥면을 향하여 전달되는 타건 시의 진동의 전달을 완벽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 부착에 의하여 피아노의 무게가 크게 증가되어, 피아노의 유지 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아노의 내부 구성들이 내부에 배치되는 외형 케이스의 소재 및 구조를 새롭게 제시하여, 후방 케이스 및 지지 다리 등에 해당 외형 케이스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그 자체에서 소음 및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무게를 크게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 제품만으로 벽면 및 바닥면 모두에 소음 및 진동 저감이 가능한 피아노 구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는, 적어도 재생원료 기반의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을 포함하고, 내부에 폐쇄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로 분해 가능한 메인 바디; 상기 폐쇄 캐비티에 배치되는 진동 흡수층;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진동 흡수층 사이를 고정하는 폴리 우레탄 재질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바디는, 65 내지 75 중량%의 EPS, 17 내지 23 중량%의 내충격용 HIPS(High Impact Polystyrene) 및 8 내지 12%의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원료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Phenol수지. Urea수지, Melamine수지, 아민 계화합물, 아미드계화합물, Coupling agent(인계화합물), polyol(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계), 알코올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메인 바디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홈이 다수 형성된 평판형의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 상기 삽입 리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 리브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 및 상기 지지 리브가 설치된 판형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 리브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 사이의 끼움 결합에 이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결착될 시,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이 상기 폐쇄 캐비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리브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형성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최외곽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1 폐쇄 리브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폐쇄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리브의 형성 방형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제2 폐쇄 리브가 끼워지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리브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3 폐쇄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형성 방형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제3 폐쇄 리브가 끼워지는 제3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 리브는, 상기 삽입 리브의 형성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 리브에는 상기 삽입 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리브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결합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림홈의 걸림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습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고 재생원료로 구성되는 EPS를 포함하도록 하는 합판 형태의 플레이트를, 완전히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지 않고, 내부 캐비티에 비교적 경량의 예를 들어 폴리 우레탄 재질의 소음 및 진동 흡수 효과가 우수한 진동 흡수층을 배치시키게 되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경량화되는 동시에 소음 및 진동 흡수 성능이 크게 향상된 피아노 하드웨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제품에 비하여 피아노 외형 케이스 구조만으로 소음 및 진동에 대한 흡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매우 경량화된 피아노를 제공할 수 있어, 피아노의 유지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메인 바디의 구조를 통해서 케이스의 구조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며, 조립성 및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의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1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2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가 적용된 외형 케이스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가 적용된 피아노 형상의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케이스의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1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2 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가 적용된 외형 케이스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가 적용된 피아노 형상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는, 메인 바디(10), 진동 흡수층(20) 및 고정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 바디(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아노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케이스의 외형 바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케이스 구조는 피아노의 외형을 이루도록 그 크기 및 형태가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케이스 구조는 어느 한 모양이 아닌 구조적인 면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고, 그 형태가 사각 판, 곡면 판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되, 외형 및 내부 구조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음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메인 바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재생원료 기반의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을 포함하고, 내부에 폐쇄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11, 12)로 분해 가능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플레이트(11, 12)는 도 1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두께 방향으로 분해된 구성들을 의미한다. 즉, 길이 및 높이 방향으로는 피아노 외형을 이루는 형태에 따라서 가공되며, 두께 방향으로 다수의 플레이트(11, 12)가 적층 결합되는 구조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EPS는 발포 형성된 플라스틱 소재로서 기본적으로 폴리스티렌(PS)을 발포제의 작용으로 팽창시킨 것이다. 거품폴리스티렌, 스티로폼(styrofoam), 발포스티렌, 스티로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영문 expanded polystyrene의머리글자를 따서 EPS로 약칭하기도 한다. EPS는 우수한 단열 효과, 내충격, 내압축성을 갖고, 내수/방수성, 방음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본 발명에서 메인 바디(10)는 적어도 EPS를 포함하고 외면이 경화처리되어 일종의 합판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65 내지 75 중량%의 EPS, 17 내지 23 중량%의 내충격용 HIPS(High Impact Polystyrene) 및 8 내지 12%의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원료와 경화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비율에 있어서 최적성은 EPS 70 중량%, HIPS 20 중량%, 및 GPPS 10 중량%이며, 이러한 메인 원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비율을 벗어난 경우, 강도 확보가 어렵고, 상술한 EPS의 특성인 우수한 단열 효과, 내충격, 내압축성을 갖고, 내수/방수성, 방음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경화제는, EPS 재질의 메인 원료로 이루어진 스티로폼 형태에 있어서 강도 및 경도를 확보하기 위한 소재로서, 예를 들어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Phenol수지. Urea수지, Melamine수지, 아민 계화합물, 아미드계화합물, Coupling agent(인계화합물), polyol(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계), 알코올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 흡수층(20)은 폐쇄 캐비티에 배치되거나 충진되는 유체 또는 고체상의 물질이다. 진동 흡수층(20)은 메인 바디(10)에 비하여 경량인 동시에 소음 및 진동 흡수력이 뛰어난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메인 바디(10)로만 이루어진, 즉 다수의 EPS 합판 소재가 적층된 구조보다 폐쇄 캐비티를 두도록 하여 경량화된 동시에, EPS 합판 소재가 적층된 구조보다 소음 및 진동의 흡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진동 흡수층(20)은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구성되며, 해당 바 형태는 피아노 외형 케이스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건반 등에서 타건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벽면이나 바닥면에 전달되기 전, 메인 바디(10)를 통해 일부 흡수되고, 메인 바디(10)의 내부인 폐쇄 캐비티에 배치된 진동 흡수층(20)에 의하여 대부분 흡수되어, 벽면 및 바닥면에 대한 진동 또는 소음의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진동 흡수층(20)은, 예를 들어 폴리 우레탄으로서, MDI, TDI, Polyols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탄성, 내마모성, 가공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폴리 우레탄 재질들 중, 경량 재질로서 흡음성이 뚜어난 연질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 흡수층(20)은 상기의 폴리 우레탄 연질폼 이외에, PET 섬유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는 EPS 재질의 메인 바디(10)와 상술한 재질의 진동 흡수층(20)을 접착하기 위한 재질로서, 일반적인 접착측이나, 마찰계수가 높은 폴리 우레탄 경질폼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구조적인 특징에 있어서, 메인 바디(1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와 진동 흡수층(20)의 메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해당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10), 하부 커버(10-1) 및 건반 커버(10-2) 등으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10)는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홈(111)이 다수 형성된 평판형의 구성이며, 제2 플레이트(12)는 제1 플레이트(11)의 제1 슬라이딩 홈(111)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121), 삽입 리브(121)로부터 연장되어 삽입 리브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122), 및 지지 리브가 설치된 판형의 플레이트(123)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로써,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가 결합될 시, 삽입 리브(121)와 제1 슬라이딩 홈(111) 사이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도록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가 결착된다. 이 경우, 지지 리브(122),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의 플레이트(123)가 이루는 공간이 상술한 폐쇄 캐비티를 이루게 된다.
즉 조립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30)가 선택적으로 도포된 진동 흡수층(20)을 지지 리브(122)와 플레이트(123)가 이루는 공간에 배치하고, 삽입 리브(121)와 제1 슬라이딩 홈(111)을 따라서 제1 플레이트(11)를 제2 플레이트(12) 상부에 끼워 결합하여 케이스 구조가 가공되는 것이다.
이때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리브(121) 및 삽입 리브(121)에 대한 지지 리브(!22)는 삽입 리브(121)의 형성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됨으로써, 폐쇄 캐비티가 다수개 일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되면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가 적층된 방향으로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삽입 리브(121)와 제1 슬라이딩 홈(111) 사이에는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그 끼움력을 증가시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 사이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리브(121)에는 삽입 리브(1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슬라이딩 홈(111)에는 제1 슬라이딩 홈(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걸림부(124)가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의 적측 방향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삽입 리브(121)와 제1 슬라이딩 홈(111)의 결합이 걸림부(124)와 걸림홈(112)의 걸림힘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의 외형의 최외곽 라인, 즉 가장 바깥쪽은 진동 흡수층(20)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스의 각 구조 사이에서는 가능할 것이다.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제1 폐쇄 리브 내지 제3 폐쇄 리브(113, 126)가, 상술한 케이스 구조가 외부에 노출된 면 중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의 판 영역을 제외한 최 외곽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폐쇄 리브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삽입 리브(121)와 제1 슬라이딩 홈(111)의 형성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서,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의 최외곽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구성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서 지지 리브(122),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가 이루는 최외곽 라인 측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한다. 제1 폐쇄 리브는 도 4 및 5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제2 폐쇄 리브(113) 및 제3 폐쇄 리브(126)와 유사한 실시예로 제1 플레이트(11) 또는 제2 플레이트(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 방향만 서로 다르게 구성됨을 의미한다. 또한 최외곽 라인이 그 가공 형태에 따라서 삽입 리브(121)의 형성 방향과 경사를 이루거나 그 경사각이 변동되는 곡면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3 폐쇄 리브는 서로 구분 없이 폐쇄 리브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제2 폐쇄 리브(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의 제1 슬라이딩 홈(111)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 지지 리브(122),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최외곽 라인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제2 플레이트(12)의 삽입 리브(121)의 형성 방형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제2 폐쇄 리브(113)가 끼워지는 제2 슬라이딩 홈(125)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폐쇄 리브(113)에는 제2 슬라이딩 홈(125)에 걸리는 제1 서브 걸림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예와 반대로 제3 폐쇄 리브(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폐쇄 리브(126)는, 제2 플레이트(12)의 삽입 리브(121)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 지지 리브(122),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12)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1 플레이트(11)의 제1 슬라이딩 홈(111)의 형성 방형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제3 폐쇄 리브(126)가 끼워지는 제3 슬라이딩 홈(115)이, 제3 폐쇄 리브(126)의 단측에는 제3 슬라이딩 홈(115)에 걸리는 제2 서브 걸림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매우 안정적으로 경량화된 폐쇄 캐비티를 갖는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12)의 적층구조를 통해서, 기존의 목재, 플라스틱제에 비하여 재생 원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동시에 경량화되며, 또한 소음 및 진동의 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는 피아노의 케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재생원료 기반의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을 포함하고, 내부에 폐쇄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로 분해 가능한 메인 바디;
    상기 폐쇄 캐비티에 배치되는 진동 흡수층;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진동 흡수층 사이를 고정하는 폴리 우레탄 재질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홈이 다수 형성된 평판형의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 상기 삽입 리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 리브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 및 상기 지지 리브가 설치된 판형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 리브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 사이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결착될 시,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이 상기 폐쇄 캐비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65 내지 75 중량%의 EPS, 17 내지 23 중량%의 내충격용 HIPS(High Impact Polystyrene) 및 8 내지 12%의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원료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Phenol수지. Urea수지, Melamine수지, 아민 계화합물, 아미드계화합물, Coupling agent(인계화합물), polyol(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계), 알코올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리브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형성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최외곽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1 폐쇄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2 폐쇄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리브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제2 폐쇄 리브가 끼워지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리브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지지 리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루는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3 폐쇄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형성 방향과 평행한 최외곽 라인에는, 상기 제3 폐쇄 리브가 끼워지는 제3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리브는,
    상기 삽입 리브의 형성 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리브에는 상기 삽입 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리브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의 결합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림홈의 걸림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KR1020210115751A 2021-08-31 2021-08-31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KR10262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51A KR102628217B1 (ko) 2021-08-31 2021-08-31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51A KR102628217B1 (ko) 2021-08-31 2021-08-31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77A KR20230032677A (ko) 2023-03-07
KR102628217B1 true KR102628217B1 (ko) 2024-01-23

Family

ID=8551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751A KR102628217B1 (ko) 2021-08-31 2021-08-31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2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478Y1 (ko) * 1988-07-09 1992-10-15 대우전자 주식회사 데크 메카니즘의 하프로딩 장치
KR20150037739A (ko) * 2012-04-16 2015-04-08 니콜라스 조셉 쇼퍼 피아노 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7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628217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 성능이 향상된 피아노 케이스 구조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180015395A (ko) 바닥충격음이 차단되는 바닥구조시스템
KR101094503B1 (ko) 소음방지부재
KR100722520B1 (ko) 슬래브 바닥구조물
KR100722521B1 (ko) 슬래브 바닥구조물
JP2001065166A (ja) 防音性を有する内装材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269503B1 (ko) 건축물 벽체에 구비된 충격 흡수부재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3470553B2 (ja) パネル
KR102500306B1 (ko) 기능이 향상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459662Y1 (ko)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101938524B1 (ko) 전자 드럼용 진동 흡수 보드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96902B2 (ja) 防音床材
KR100582011B1 (ko) 건축물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2667833B1 (ko) 방진구가 구비된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 완충 구조
KR20080001224U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JP4901336B2 (ja) 防音床材
JP3470552B2 (ja) パネル
CN217000642U (zh) 一种带有减震降噪结构的强化木地板
CN215290735U (zh) 一种具有缓冲和防静电功能的隔音构件
KR200425187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