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095B1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095B1
KR102628095B1 KR1020190000617A KR20190000617A KR102628095B1 KR 102628095 B1 KR102628095 B1 KR 102628095B1 KR 1020190000617 A KR1020190000617 A KR 1020190000617A KR 20190000617 A KR20190000617 A KR 20190000617A KR 102628095 B1 KR102628095 B1 KR 10262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inge
horizontal
coupl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564A (ko
Inventor
권오관
김경복
안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0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디; 상기 수직바디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수직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는 수직 높이 조절 및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 최소화 되고 이동 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확장범위 대비 부피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직 높이 조절 및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 최소화 되고 이동 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 가능한 핸드 헬드(Hand-Held) 방식과 주로 특정 위치에 두고 사용하는 거치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부를 벽면에 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출력부가 스탠드와 결합하여 바닥 등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이 있다.
스탠드 형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부의 위치 또는 바라보는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부가 스탠드의 상하 방향으로 틸트 거동하는 틸트 거동,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거동 및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거동, 스위블 거동 및 높낮이 조절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불가피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며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거동들을 구현하면서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하고 생산 비용 또한 최소화 하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수직 높이 조절 및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 최소화 되고 이동 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디; 상기 수직바디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수직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수직바디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레일;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롤러; 및 상기 수직롤러 및 상기 수평바디와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디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바디의 길이를 조정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수평레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레일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레일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드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바디; 상기 제1 힌지바디와 상기 수평바디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힌지바디;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감기며 단부는 상기 제2 힌지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바디를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스위블 부재;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꺾어진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 을 포함하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부에 삽입되며 회전시 상기 하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핑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디; 상기 수직바디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직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직바디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레일;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롤러; 및 상기 수직롤러 및 상기 수평바디와 결합하는 열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디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바디의 길이를 조정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수평레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레일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레일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드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바디; 상기 제1 힌지바디와 상기 수평바디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바디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힌지바디;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감기며 단부는 상기 제2 힌지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바디를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스위블 부재;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꺾어진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 을 포함하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부에 삽입되며 회전시 상기 하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핑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직 높이 조절 및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 최소화 되고 이동 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확장범위 대비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종래에 비해 확대되어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와 각도로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2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부를 통해 표시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하고, 하단의 회전부를 통해 베이스를 움직이지 않고도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를 안정적으로 상판에 고정할 수 있어, 표시부의 위치 각도 조정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수직바디(110)와 수평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B-B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C-C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D-D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E-E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2의 F-F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G-G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H-H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 가능한 핸드 헬드(Hand-Held) 방식과 주로 특정 위치에 두고 사용하는 거치 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출력부를 벽면에 거는 벽걸이 형태 또는 출력부가 스탠드(100)와 결합하여 바닥 등에 놓여지는 스탠드(100) 형이 있다.
스탠드(100) 형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부의 위치 또는 바라보는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출력부가 스탠드(100)의 상하 방향으로 틸트 거동하는 틸트 거동,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거동 및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 거동이 가능한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틸트 거동, 스위블 거동 및 높낮이 조절 거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는 불가피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며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추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거동들을 구현하면서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하고 생산 비용 또한 최소화 하는 간단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평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크게 이미지 정보를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인 출력부(200)와 출력부(200)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탠드(100)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00)는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 디스플레이 패널, 백라이트 유닛, 프레임, 리어 케이스의 기본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을 생략할 수도 있고, 프론트 케이스를 생략하고 패널 자체를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스탠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200)를 고정시켜 바닥에 거치시키고 나아가 출력부(200)의 틸트, 회전 및 높이 조절의 물리적 거동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스탠드(100)는 전술한 출력부(200)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부재를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탠드(1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디(110),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디(140) 및 수직바디(110)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160)를 포함하고, 수평바디(140)의 단부에 출력부(200)가 결합된다.
수직바디(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120)와 수평바디(140)의 단부가 결합하여 수평바디(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이동부(1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바디(140)는 길이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이 슬라이딩 결합하여 중첩배치되면 수평바디(140)의 길이가 짧아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프레임이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바디(110)에 인접한 프레임이 하부에 위치하고 표시부(200)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레임이 가장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수평바디(140)는 3개의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늘어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개수가 늘어나면 더 길게 수평바디(140)를 연장할 수 있다.
표시부(200)와 수평바디(140)가 연결되는 부분은 표시부(20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힌지부(150)를 포함한다. 힌지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바디(110)의 하단에 위치하여 지지부(160)와 사이에 회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30)는 수직바디(110)를 회전시켜 스탠드(100) 전체가 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탠드(100)는 도 1에서와 같이 표시부(200)의 위치가 상하방향 수직방향으로 이동하 ㄹ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표시부(20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종래의 스탠드(100)는 좌우 방향으로 조금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거나, 높이조절이 가능하더라도 사용자와의 거리까지 모두 만족하도록 조정하기 어려워 거치된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지지부(160)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와 거리 및 각도로 표시부(200)를 배치할 수 있어 사용성에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수직바디(110)와 수평바디(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A-A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2의 B-B단면도로서, 수직바디(11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수직 이동부(120)는 수직바디(1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직바디(110)로 둘러쌓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수평바디(140)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수직 이동부(120)의 길이에 상응한 길이만큼 표시부(200)를 향하는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수직바디(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레일(1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레일(12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롤러가 수용된다. 수직롤러(123)가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부분은 수직롤러(123)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수직롤러(123)는 수직레일(121)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직레일(121)과 결합할 수 있다.
수직레일(121)은 안정적으로 수직 이동부(120)가 이동하도록 좌우에 대칭으로 한 쌍 포함할 수 있다. 수직레일(121)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프레임(125)은 수직롤러(123)가 결합되고 수직롤러(123)를 통해 수직레일(12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은 수평바디(140)와 연결되어 수평바디(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수직롤러(123)와 수직레일(12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사용자가 소정크기 이상의 힘(정지마찰력보다 큰 힘)을 가하는 경우만 움직인다. 이때, 수평바디(140)에 결합된 표시부(200)의 무게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갑자기 수직 이동부(120)가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여 천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가스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스프링(126)은 인장되는 방향으로는 큰 힘없이 변형 가능하나, 수축되는 방향으로는 힘이 가해지면 가스스프링(126)의 실린더 내의 공기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즉, 가스스프링(126)은 하측 방향으로 수직 이동부(120)가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여 표시부(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의 C-C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2의 D-D단면도로서, 수평바디(14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수평바디(140)는 연결프레임과 체결된 제1 프레임(14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141)에 슬라이드 결합한 제2 프레임(142)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이 중첩되면 수평바디(140)의 길이가 짧아지고 제2 프레임(142)이 슬라이드 이동 하면 수평바디(140)의 길이가 증가한다. 본 실시예는 제2 프레임(142)에 추가로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수평바디(140)의 길이를 더욱 늘릴 수 있어, 표시부(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 자유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의 사이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해 수평레일과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44)와 수평레일 사이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해 슬라이드볼을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볼은 2개의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구슬(146, 147)을 포함하고, 상기 구슬(146, 147)이 이탈되지 않도록 감싸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42)이 슬라이드 이동시 구슬(146, 147)이 회전하면서 제2 프레임(142)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디(110)에 가까운 프레임일수록 더 하부에 위치하고 표시부(200)에 가까운 프레임일수록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 하부에서 무게를 지지하는 것이 상측에서 당기는 형태보다 안정적이므로 수직바디(110)에 가까운 프레임이 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도 2의 E-E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2의 F-F단면도로서, 힌지부(150)를 도시한다. 힌지부(150)는 수평바디(140)의 단부에 위치하며 표시부(200)가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표시부(200)가 향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볼힌지를 이용하면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나, 볼힌지는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탱하며 각도를 유지하기에는 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힌지부(150)는 회전방향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샤프트(15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바디(152)를 포함하고, 제2 힌지부는 제1 힌지 바디(152)에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샤프트(15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 바디(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연동하여 표시부(200)의 각도를 변화시키면 볼힌지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표시부(20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는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가 수평바디(140)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제1 힌지부가 표시부(200)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힌지부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 토션 스프링(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56)은 코일 스프링의 양 단부를 연장하여 비틀림으로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토션 스프링(156)의 탄성이 표시부(200)가 하부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지지부(16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G-G단면도이다. 수직바디(110)의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160)는 스탠드(100)를 바닥면에 거치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한다. 특히 표시부(200)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넓은 면적으로 큰 무게를 가지는 지지부(160)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16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경우 지지부(160)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커질수록 무게가 나가 힘들기 때문에 본 발명은 지지부(160)와 수직바디(110) 사이에 회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회전부(130)는 바닥에 고정되는 스위블 부재(131)와 수직바디(110)와 스위블 부재(131)를 관통하는 회전축(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수직바디(110)가 회전하면 표시부(20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수직바디(110)의 회전시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수직바디(110)와 스위블 부재(131) 사이에 볼베어링(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0)가 없는 경우 지지부(160) 자체를 들어서 원하는 위치로 옮겨야 하나, 회전부(130)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소정범위 내에서는 지지부(160)를 옮기지 않고 표시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탠드(100)의 클램핑부(17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H-H단면도이다. 도 7a와 같은 지지부(160)를 이용하지 않고, 클램핑부(170)를 이용하여 스탠드(100)를 지지할 수 있다. 클램핑부(170)는 지지부(160)보다 더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책상 등의 상판을 집는 구조이므로 수비게 넘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표시부(200)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때 바닥에 고정이 안된 상태에서는 넘어질 수 있으나, 클램핑부(170)를 이용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표시부(200)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도 클램핑부(170)와 수직바디(110) 사이에 회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부(130)의 구성은 전술한 도 7b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클램핑부(170)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71)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72) 및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72)를 관통하는 클램핑 조절나사(173)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7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회전부(130)와 결합하고 책상 등의 상판의 상면와 접하는 상면부와 상면부에서 꺾어져 상판의 측면을 감싸는 제1 측면부(171b)와 를 포함한다.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72)는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172a)를 포함하고, 하면부(172a)는 상판의 하면에 접한다. 하면부(172a)에서 꺾어진 제2 측면부(172b)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71)의 제1 측면부(171b)와 체결되며, 제1 측면부(171b)에는 걸림홈(171c)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측면부(172b)에는 걸림홈(171c)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72c)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71c)과 걸림돌기(172c)가 도 8b와 같이 체결되어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171)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72) 사이에 상판이 위치하여 상판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홈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여 상판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걸림홈만으로 표시부(200)의 무게를 지지하기 부족한 바, 클램핑 조절나사(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조절나사(173)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172)의 하면부(172a)를 관통하며 회전하면 하면부(172a)를 관통하여 클램핑 조절나사(173)가 이동하고 클램핑 조절나사(173)가 상판 하면에 밀착하여 클램핑부(170)를 고정한다. 클램핑 조절나사(173)의 단부는 상판의 하면과 넓은 면적이 접촉되도록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직 높이 조절 및 수평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 최소화 되고 이동 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확장범위 대비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표시부(20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종래에 비해 확대되어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와 각도로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2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부를 통해 표시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하고, 하단의 회전부를 통해 베이스를 움직이지 않고도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100)를 안정적으로 상판에 고정할 수 있어, 표시부(200)의 위치 각도 조정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스탠드 110: 수직바디
120: 수직 이동부 121: 수직레일
123: 수직롤러 125: 연결 프레임
126: 가스스프링 130: 회전부
131: 스위블 부재 132: 회전축
134: 베어링 140: 수평바디
141: 제1 프레임 142: 제2 프레임
143: 제3 프레임 144, 145: 슬라이딩부
146, 147: 구슬 150: 힌지부
151: 제1 샤프트 152: 제1 힌지바디
153: 볼베어링 155: 제2 샤프트
156: 토션 스프링 157: 제2 힌지바디
160: 지지부 170: 클램핑부
171: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171a: 상면부
171b: 제1 측면부 172: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172a: 하면부 172b: 제2 측면부
173: 클램핑 조절나사 200: 표시부
3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6)

  1.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디;
    상기 수직바디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수직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며, 책상 상판에 고정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꺾어진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에서 상측으로 꺾어진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측면부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부에 삽입되며 회전시 상기 하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핑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수직바디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레일;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롤러; 및
    상기 수직롤러 및 상기 수평바디와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디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바디의 길이를 조정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수평레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레일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레일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드볼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바디;
    상기 제1 힌지바디와 상기 수평바디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힌지바디;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감기며 단부는 상기 제2 힌지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바디를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스위블 부재;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9. 삭제
  10.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바디;
    상기 수직바디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수직 이동부;
    상기 수직 이동부와 일단이 결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직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며, 책상 상판에 고정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꺾어진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대면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에서 상측으로 꺾어진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측면부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부에 삽입되며 회전시 상기 하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램핑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디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레일;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롤러; 및
    상기 수직롤러 및 상기 수평바디와 결합하는 열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디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바디의 길이를 조정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된 수평레일;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레일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레일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드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의 타단에 결합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평바디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바디;
    상기 제1 힌지바디와 상기 수평바디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힌지바디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바디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힌지바디;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감기며 단부는 상기 제2 힌지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바디를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스위블 부재;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스위블 부재와 상기 수직바디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KR1020190000617A 2019-01-03 2019-01-03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617A KR102628095B1 (ko) 2019-01-03 2019-01-03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617A KR102628095B1 (ko) 2019-01-03 2019-01-03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64A KR20200084564A (ko) 2020-07-13
KR102628095B1 true KR102628095B1 (ko) 2024-01-23

Family

ID=7157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617A KR102628095B1 (ko) 2019-01-03 2019-01-03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2367A (zh) * 2021-08-26 2024-04-12 Lg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179077U (zh) * 2017-09-25 2018-04-03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可调节的电脑显示屏支架
JP2018116278A (ja) 2017-01-20 2018-07-26 エス・ビー・エフ・アイ リミテッド 表示画面の取り付け具の改良
CN107061944B (zh) * 2016-06-20 2018-12-11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一种三珠列式显示器支撑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17B1 (ko) * 2006-08-09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101799590B1 (ko) * 2010-03-30 201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699156B1 (ko) * 2015-04-09 2017-01-23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KR20170142081A (ko) * 2016-06-16 2017-12-27 이정용 회전이 가능한 tv 거치대
KR102565552B1 (ko) * 2016-09-30 2023-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1944B (zh) * 2016-06-20 2018-12-11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一种三珠列式显示器支撑架
JP2018116278A (ja) 2017-01-20 2018-07-26 エス・ビー・エフ・アイ リミテッド 表示画面の取り付け具の改良
CN207179077U (zh) * 2017-09-25 2018-04-03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可调节的电脑显示屏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64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536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a display mode of a display assembly
KR102136943B1 (ko) 스마트 팔찌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US6134103A (en) Flat panel display with adjustable height for a portable computer
US8047487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djustable supporting unit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US20050051693A1 (en) Flat panel display
JP2006195217A (ja)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8256733B2 (en) Support mechanism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US20080204983A1 (en) Adjustable laptop monitor apparatus
JPS62251785A (ja) 物品支持装置
US20070228253A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US20130146728A1 (en) Bifocal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155116B (zh) 显示器支架
WO2006128594A1 (en) Support for multiple displays
US7261267B2 (en) Tilt mechanism
TWM501698U (zh) 弧形顯示器支架
US20110174952A1 (en) Display device and stand thereof
KR101475490B1 (ko)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US6688572B2 (en) Plane display with foldable support
KR102628095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358505B (en) Supporting device
JPH11338576A (ja) 液晶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20030004967A (ko) 엘씨디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