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060B1 - 근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근력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060B1
KR102628060B1 KR1020210154595A KR20210154595A KR102628060B1 KR 102628060 B1 KR102628060 B1 KR 102628060B1 KR 1020210154595 A KR1020210154595 A KR 1020210154595A KR 20210154595 A KR20210154595 A KR 20210154595A KR 102628060 B1 KR102628060 B1 KR 10262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upled
hemisphere
protrusion
exten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8614A (ko
Inventor
이윤빈
Original Assignee
이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빈 filed Critical 이윤빈
Priority to KR102021015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0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3Fluid-like particles, e.g. gun shot or s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근력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는, 파이프 형태의 센터바; 센터바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손잡이;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연장바; 중량체를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되고 연장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웨이트부; 및 연장바와 웨이트부에 결합되어 웨이트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를 포함하고, 중량체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웨이트부는 챔버에 중량체를 출입시킬 수 있으므로, 웨이트부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중량체가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킬 수 있고 챔버에 수용되는 중량체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력 운동 기구{Muscle strength training equipment}
본 발명은 근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체의 움직임을 통한 다각적인 저항력을 이용하는 근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이란 근육에 일정한 과부하(무게)를 주는 운동이다. 점차 부하(무게)를 늘려가면 근육이 힘을 발휘하는 능력인 근력이 강화된다. 근육이 힘을 내는데 산소의 소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무산소성 운동에 포함된다.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을 일반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이라고 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덤벨이나 바벨, 또는 웨이트 머신을 이용하여 신체에 부하를 주는 운동을 말한다.
종래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덤벨 등은 여러 종류의 무게추를 끼우는 형태이므로 미세한 조절이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덤벨 등은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무게추를 사용하므로 중력 방향의 저항력만 작용하였고, 사용자는 단조로운 운동에서 지루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292호 (공개일자 2019년02월0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웨이트부의 무게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웨이트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쉽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는, 파이프 형태의 센터바; 센터바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손잡이;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연장바; 중량체를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되고 연장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웨이트부; 및 연장바와 웨이트부에 결합되어 웨이트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를 포함하고, 중량체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웨이트부는 챔버에 중량체를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웨이트부는 연장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는 내부에 챔버와 연결되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홀더는, 웨이트부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 및 몸체에서 연장되어 웨이트부를 감싸는 복수의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웨이트부는 연결부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홀더는 몸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는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웨이트부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반구; 및 제1반구와 결합되는 제2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웨이트부는 제1반구 또는 제2반구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고정링은 제1반구와 제2반구의 결합부위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센터바는 손잡이의 제1결합부에 접하는 환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는 연장바의 제2결합부에 접하는 환형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연장바는 홀더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3돌출부가 형성되고, 제3돌출부는 홀더의 돌기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제3돌출부는, 웨이트부를 바라보는 부분에 오링이 결합되는 제1환형홈이 형성되고, 웨이트부를 바라보는 부분에 돌기가 삽입되는 제2환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중량체는 유체 또는 복수의 구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서, 중량체는 유체 및 복수의 구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파이프 형태의 센터바; 센터바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손잡이;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연장바; 중량체를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되고 연장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웨이트부; 및 연장바와 웨이트부에 결합되어 웨이트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를 포함하고, 중량체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웨이트부는 챔버에 중량체를 출입시킬 수 있으므로, 웨이트부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중량체가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킬 수 있고 챔버에 수용되는 중량체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웨이트부는 연장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연결부는 내부에 챔버와 연결되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웨이트부를 분리하면 중량체를 챔버에 쉽게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홀더는, 웨이트부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 및 몸체에서 연장되어 웨이트부를 감싸는 복수의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부는 홀더의 가지가 여러 방향으로 감싸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웨이트부는 연결부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홀더는 몸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는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홀더는 웨이트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돌기는 홀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웨이트부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반구; 및 제1반구와 결합되는 제2반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속이 빈 구 형태의 웨이트부는 두 개의 반구로 분리하여 내부의 챔버를 열 수 있고 중량체를 챔버에 직접 출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웨이트부는 제1반구 또는 제2반구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고정링은 제1반구와 제2반구의 결합부위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링은 결합된 상태의 제1반구와 제2반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센터바는 손잡이의 제1결합부에 접하는 환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는 연장바의 제2결합부에 접하는 환형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연장바는 홀더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3돌출부가 형성되고, 제3돌출부는 홀더의 돌기에 접할 수 있으므로, 제1돌출부는 센터바가 제1결합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고, 제2돌출부는 손잡이가 제2결합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고, 제3돌출부는 손잡이가 연결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제3돌출부는, 웨이트부를 바라보는 부분에 오링이 결합되는 제1환형홈이 형성되고, 웨이트부를 바라보는 부분에 돌기가 삽입되는 제2환형홈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오링은 챔버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연결부와 손잡이 사이로 중량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환형홈은 오링이 압축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중량체는 유체 또는 복수의 구슬일 수 있으므로, 중량체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킬 수 있고, 사용자는 중량체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견디면서 운동하기 위해서 근육의 힘을 가중하고 평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중량체는 유체 및 복수의 구슬일 수 있으므로, 중량체는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다각적인 저항력을 더 크게 일으킬 수 있고, 사용자는 중량체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견디면서 운동하기 위해서 근육의 힘을 더 가중하고 평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를 타나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근력 운동 기구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를 타나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근력 운동 기구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근력 운동 기구 일부를 분해한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유체를 중량체로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타나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에 복수의 구슬을 중량체로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타나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1)는 대략 긴 스틱 형태로서, 파이프 형태의 센터바(100); 센터바(100)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30)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손잡이(200); 손잡이(20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330)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연장바(300); 중량체를 수용하는 챔버(460)가 형성되고 연장바(3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웨이트부(400); 및 연장바(300)와 웨이트부(400)에 결합되어 웨이트부(4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5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체는 양쪽 챔버(460)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중량체는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킬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챔버(460)에 중량체를 출입시킬 수 있으므로, 챔버(460)에 수용되는 중량체는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센터바(100)는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양쪽에 손잡이(200)가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구성이다.
센터바(100)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바(100)는 내부에 중량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통로(110)가 형성될 수 있다.
센터바(100)는 양쪽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바(100)는 손잡이(200)의 제1결합부(230)에 접하는 환형의 제1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120)는 센터바(10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이다.
제1돌출부(120)는 센터바(100)가 제1결합부(230)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센터바(100)가 제1결합부(23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돌출부(120)는 제1결합부(230)를 바라보는 부분에 오링(130)이 결합되는 제1환형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환형홈(111)에 결합되는 오링(130)은 손잡이(200)와 센터바(1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1돌출부(120)는 제1결합부(230)를 바라보는 부분에 제1결합부(23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제2환형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바(100)가 제1결합부(230)에 결합될 때, 제2환형홈(112)은 제1결합부(230)의 테두리에 접할 수 있으므로, 센터바(100)가 제1결합부(23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터바(100)가 제1결합부(230)에 결합될 때, 제2환형홈(112)은 오링(130)이 압축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센터바(100)는 제1통로(110)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로(110)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는 중량체가 양쪽 챔버(46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손잡이(200)는 센터바(100)와 연장바(300) 사이에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구성이다.
손잡이(200)는 센터바(100)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고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센터바(100)를 바라보는 방향에 제1결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30)는 파이프의 측면이 확장되는 형태로서 내부에 센터부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내부에 중량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통로(21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의 제2통로(210)는 센터바(100)의 제1통로(110)와 이어진다.
손잡이(200)는 제1결합부(230)의 반대 방향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연장바(300)의 제2결합부(330)에 접하는 환형의 제2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220)는 손잡이(20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이다.
제2돌출부(220)는 손잡이(200)가 제2결합부(330)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200)가 제2결합부(33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돌출부(220)는 제2결합부(330)를 바라보는 부분에 오링(240)이 결합되는 제1환형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환형홈(211)에 결합되는 오링(240)은 연장바(300)와 손잡이(2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2돌출부(220)는 제2결합부(330)를 바라보는 부분에 제2결합부(33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제2환형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가 제2결합부(330)에 결합될 때, 제2환형홈(212)은 제2결합부(330)의 테두리에 접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200)가 제2결합부(33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200)가 제2결합부(330)에 결합될 때, 제2환형홈(212)은 오링(240)이 압축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제1결합부(230)와 제2돌출부(220) 사이에 미끄럼 방지 그립(250)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00)는 제2통로(210)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로(210)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는 중량체가 양쪽 챔버(46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연장바(300)는 손잡이(200)와 웨이트부(400) 사이에 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구성이다.
연장바(300)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300)는 손잡이(200)를 바라보는 방향에 제2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330)는 파이프의 측면이 확장되는 형태로서 내부에 손잡이(200)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300)는 내부에 중량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3통로(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300)의 제3통로(310)는 손잡이(200)의 제2통로(210)와 이어진다.
연장바(300)는 제2결합부(330)의 반대 방향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300)는 홀더(500)의 돌기(512)에 접하는 환형의 제3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돌출부(320)는 연장바(30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이다.
제3돌출부(320)는 연장바(300)가 연결부(4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연장바(300)가 연결부(41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돌출부(320)는 홀더(500)의 돌기(512)에 접하므로 홀더(500)가 웨이트부(4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돌출부(320)는 웨이트부(400)를 바라보는 부분에 오링(340)이 결합되는 제1환형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환형홈(311)에 결합되는 오링(340)은 연결부(410)와 연장바(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3돌출부(320)는 웨이트부(400)를 바라보는 부분에 홀더(500)의 돌기(512)가 삽입될 수 있는 제2환형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바(300)가 연결부(410)에 결합될 때, 제2환형홈(312)은 홀더(500)의 돌기(512)에 접할 수 있으므로, 연장바(300)가 연결부(41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바(300)가 연결부(410)에 결합될 때, 제2환형홈(312)은 오링(340)이 압축될 수 있는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연장바(300)는 제3통로(310)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통로(310)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는 중량체가 양쪽 챔버(46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웨이트부(400)는 근력 운동을 위한 무게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웨이트부(400)는 연장바(300)의 양쪽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속이 빈 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내부에 중량체를 수용할 수 있는 챔버(460)가 형성될 수 있다.
웨이트부(400)의 챔버(460)는 연장바(300)의 제3통로(310)와 이어진다.
웨이트부(400)는 챔버(460)에 중량체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챔버(460)에 중량체를 출입시켜 중량체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연장바(3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0)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태의 연장바(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0)는 연장바(30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파이프 형태의 내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0)는 챔버(460)와 연결되는 출입구(411)가 파이프 형태의 내부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0)에 결합되는 연장바(300)의 제3통로(310)는 연결부(410)에 형성되는 출입구(411)를 통해서 챔버(46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10)는 파이프 형태의 외부 측면에 복수의 고정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0)는 고정홈(412)에 홀더(500)의 몸체(510)에 형성되는 돌기(512)가 결합될 수 있다.
홀더(500)의 돌기(512)는 연결부(410)의 고정홈(412)과 연장바(300)의 제3돌출부(3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속이 빈 구 형태로서 연결부(410)가 형성되는 제1반구(420) 및 제1반구(420)와 결합되는 제2반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반구(420)는 제2반구(430)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1체결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반구(430)는 제1반구(420)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2체결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421)와 제2체결부(431)는 결합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는 결합부위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반구(420)는 제1체결부(421)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반구(430)는 제2체결부(431)에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가 결합되면 내부에 챔버(460)가 형성될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를 분리하여 내부의 챔버(460)를 열 수 있고 중량체를 챔버(460)에 직접 넣거나 뺄 수 있다.
제1반구(420)는 손잡이(20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반구(430)는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웨이트부(400)는 제1반구(420) 또는 제2반구(430)에 결합되는 고정링(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부(400)는 제1반구(420) 또는 제2반구(430)에 결합되는 오링(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의 결합부위에서 제2반구(430)가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2반구(430)에 제2체결홈(43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체결홈(432)에 고정링(44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홈(432)에 결합되는 고정링(440)은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의 결합부위를 웨이트부(400) 중심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다.
고정링(440)은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의 결합부위를 고정하여 결합된 상태의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의 결합부위에서 제2반구(430)가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1반구(420)에 제1체결홈(42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체결홈(422)에 오링(45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반구(420)는 제2체결부(431) 말단의 세로면과 마주보는 세로면에 제1체결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431) 말단의 세로면은 제1체결홈(422)에 결합되는 오링(450)을 압박할 수 있다.
제1체결홈(422)에 결합되는 오링(450)은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고정링(440)은 제2체결부(431) 말단이 제1체결홈(422)에 결합되는 오링(450)을 압박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제2반구(430)는 제1반구(42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부분을 폐쇄하는 분리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반구(430)에 분리벽이 형성되면,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는 상기 분리벽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챔버(460)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벽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챔버(460)를 선택하여 중량체를 넣거나 뺄 수 있다.
분리벽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챔버(46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챔버(460)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홀더(500)는 연장바(300)와 웨이트부(400)에 결합되어 웨이트부(4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근력 운동 기구(1)를 들었을 때, 홀더(500)는 연장바(300)를 기준으로 웨이트부(400)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500)는, 웨이트부(400)의 연결부(4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통홀(511)이 형성되는 몸체(510); 및 몸체(5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웨이트부(400)를 감싸는 복수의 가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510)는 웨이트부(400)의 연결부(410)가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형태의 몸체(510)는 내부에 웨이트부(400)의 연결부(410)와 결합되는 관통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510)는 연결부(410)의 고정홈(412)에 결합되는 복수의 돌기(512)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510)의 돌기(512)가 연결부(410)의 고정홈(412)에 결합되면, 홀더(500)는 웨이트부(4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510)의 돌기(512)가 연결부(410)의 고정홈(412)에 결합되면, 웨이트부(400)를 기준으로 홀더(5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510)의 돌기(512)는 연결부(410)의 고정홈(412)에 끼움결합, 자성결합 또는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510)는 외부 측면에 복수의 그립홈(5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홈(513)은 홀더(500)를 회전시킬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지(520)는 몸체(510)에서 연장되어 웨이트부(400)를 감싸며 결합되는 구성이다.
가지(520)는 몸체(510)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웨이트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가지(520)를 웨이트부(400)보다 돌출되게 형성하면, 구 형태의 웨이트부(400)가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중량체는 웨이트부(400)의 챔버(460)에 수용되어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켜 근육을 자극하는 구성이다.
중량체는 근력 운동을 위한 무게를 제공할 수 있는 물 등의 유체(600)일 수 있다.
물 등의 유체(600)는 챔버(460)의 벽에 부딪혀 생기는 마찰에 의해 장력과 파동을 일으킬 수 있다.
중량체는 근력 운동을 위한 무게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구슬(700)일 수 있다.
복수의 구슬(700)은 물과 유사한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구슬(700)은 챔버(460)의 벽에 부딪혀 생기는 마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중량체는 웨이트부(400)의 연결부(410)에 형성되는 출입구(411)를 통해서 챔버(460)로 출입하거나, 제1반구(420)와 제2반구(430)를 분리해서 챔버(460)로 출입할 수 있다.
중량체는 양쪽 챔버(460)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근력 운동 기구(1)를 사용하면, 중량체는 양쪽 챔버(460) 사이를 이동하거나 챔버(460)의 벽에 부딪혀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근력 운동 기구(1)를 사용할 때, 중량체는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예측할 수 없는 다각적인 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근력 운동 기구(1)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중량체의 저항력 변화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더 큰 힘으로 근육 운동을 해야 한다.
근력 운동 기구(1)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중량체의 저항력 변화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집중해서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중량체는 유체(600) 또는 복수의 구슬(700)이거나, 유체(600) 및 복수의 구슬(700)일 수 있다.
즉, 중량체는 유체(600)와 복수의 구슬(700)의 중에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모두 함께 사용 있다.
중량체로 유체(600)와 복수의 구슬(700)의 중에 어느 하나를 사용하면, 중량체는 양쪽 챔버(460)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다각적인 저항력을 일으킬 수 있고, 사용자는 중량체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견디면서 운동하기 위해서 근육의 힘을 가중하고 평형성을 높일 수 있다.
중량체로 유체(600)와 복수의 구슬(700)을 모두 함께 사용하면, 물보다 비중이 큰 복수의 구슬(700) 사이로 물이 존재하게 되므로, 중량체가 제공하는 무게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중량체로 유체(600)와 복수의 구슬(700)을 모두 함께 사용하면, 복수의 구슬(700)은 유체(600)에 잠긴 상태로 움직이게 되므로, 중량체의 움직임을 더욱 예측하기 힘들다.
중량체로 유체(600)와 복수의 구슬(700)을 모두 함께 사용하면, 중량체는 양쪽 챔버(460)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다각적인 저항력을 더 크게 일으킬 수 있고, 사용자는 중량체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견디면서 운동하기 위해서 근육의 힘을 더 가중하고 평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근력 운동 기구 100: 센터바
110: 제1통로 120: 제1돌출부
111: 제1환형홈 112: 제2환형홈
130: 오링 200: 손잡이
210: 제2통로 220: 제2돌출부
211: 제1환형홈 212: 제2환형홈
230: 제1결합부 240: 오링
250: 미끄럼 방지 그립 300: 연장바
310: 제3통로 311: 제1환형홈
312: 제2환형홈 320: 제3돌출부
330: 제2결합부 340: 오링
400: 웨이트부 410: 연결부
411: 출입구 412: 고정홈
420: 제1반구 421: 제1체결부
422: 제1체결홈 430: 제2반구
431: 제2체결부 432: 제2체결홈
440: 고정링 450: 오링
460: 챔버 500: 홀더
510: 몸체 511: 관통홀
512: 돌기 513: 그립홈
520: 가지 600: 유체
700: 구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파이프 형태의 센터바;
    상기 센터바의 양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한 쌍의 연장바;
    중량체를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웨이트부; 및
    상기 연장바와 웨이트부에 결합되어 상기 웨이트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상기 양쪽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챔버에 상기 중량체를 출입시킬 수 있고,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연장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웨이트부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웨이트부를 감싸는 복수의 가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부는 연결부에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몸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반구; 및
    상기 제1반구와 결합되는 제2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제1반구 또는 제2반구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1반구와 제2반구의 결합부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바는 상기 손잡이의 제1결합부에 접하는 환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장바의 제2결합부에 접하는 환형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는 상기 홀더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3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홀더의 돌기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웨이트부를 바라보는 부분에 오링이 결합되는 제1환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부를 바라보는 부분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제2환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유체 또는 복수의 구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유체 및 복수의 구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KR1020210154595A 2021-11-11 2021-11-11 근력 운동 기구 KR10262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595A KR102628060B1 (ko) 2021-11-11 2021-11-11 근력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595A KR102628060B1 (ko) 2021-11-11 2021-11-11 근력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614A KR20230068614A (ko) 2023-05-18
KR102628060B1 true KR102628060B1 (ko) 2024-01-23

Family

ID=8654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595A KR102628060B1 (ko) 2021-11-11 2021-11-11 근력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0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5002A1 (en) * 2003-09-24 2005-03-24 Wu-Shuan Su Hollow dumbbell
US20140249002A1 (en) * 2013-01-28 2014-09-04 Kenneth A. Fischer Liquid-containing weighted device suitable for use in fitness, training, conditioning and/or rehabil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268A (en) * 1987-09-14 1994-08-30 Dar Products Corporation Exercise devices
KR102186516B1 (ko) * 2018-12-27 2020-12-03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다목적 운동을 위한 멀티바벨
KR20190000292U (ko) 2019-01-14 2019-02-01 박용 생수용기 또는 음료용기가 결합 되어 아령이 되도록 하는 아령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5002A1 (en) * 2003-09-24 2005-03-24 Wu-Shuan Su Hollow dumbbell
US20140249002A1 (en) * 2013-01-28 2014-09-04 Kenneth A. Fischer Liquid-containing weighted device suitable for use in fitness, training, conditioning and/or rehabil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614A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539B2 (en) Balance board exercise apparatus
US5242348A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4079932A (en) Athletic conditioning apparatus
US7819789B2 (en) Exercise handle and methods of use
US8403818B1 (en) Exercise resistance system
US7179210B2 (en) Club-weight(s)
US10874894B2 (en) Fitness equipment
US7563206B1 (en) Swimming exercising device
US20120258847A1 (en) Pinpoint push-up apparatus
US10888727B2 (en) Aqua exercise equipment
US7306550B2 (en) Annular fitness ball
KR102628060B1 (ko) 근력 운동 기구
US20160074695A1 (en) Fitness structure
KR102628059B1 (ko) 근력 운동 기구
DE60104285D1 (de) Gerät zum training der beckenbodenmuskulatur
KR200473950Y1 (ko) 다용도 줄넘기
KR20210008208A (ko)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CN209900559U (zh) 一种新型配重块可调节式户外负重力量器材
CZ2020472A3 (cs) Posilovací a rehabilitační pomůcka
KR20230033479A (ko) 복합 운동 기구용 근력 운동 풀링 기구
US11944867B2 (en) Portable angle- and depth-adjustable hangboard
CN213698699U (zh) 一种具有调整支撑高度功能的俯卧撑支架
GB2577059A (en) Dumbbell
KR102395323B1 (ko) 요가 기구용 고정구
KR200383644Y1 (ko) 줄없는 줄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